KR20180063190A -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190A
KR20180063190A KR1020187012041A KR20187012041A KR20180063190A KR 20180063190 A KR20180063190 A KR 20180063190A KR 1020187012041 A KR1020187012041 A KR 1020187012041A KR 20187012041 A KR20187012041 A KR 20187012041A KR 20180063190 A KR20180063190 A KR 20180063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tongue
tooth
skull
pa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체스코 마지스트로
Original Assignee
프란체스코 마지스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체스코 마지스트로 filed Critical 프란체스코 마지스트로
Publication of KR2018006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085Mouth or teeth pro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20', 30, 40, 50, 60)로서 - 상악골 및 하악골 치아 및 상악골 및 하악골 치아의 잇몸 전정을 덮기 위해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정 플랜지(2), - 상악골 및 하악골 치아의 구개 및 혀 표면들을 덮기 위해 연장되고 후방의 예리한 평면 변부로부터 혀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하부 앞니까지 연장된 급한 경상의 평면(6a)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혀- 구개 플랜지(6), - 상기 플랜지(2,6)들을 연결하기 위한 폐색 평면(3,3',3",3'"), - 상기 전정 플랜지(2)와 혀- 구개 플랜지(6) 및 상기 폐색 평면(3,3',3",3'")에 의해 형성된 오목하고 빈 체적(7)을 포함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에 있어서, 어금니 위치와 일치하며 상부 혀- 구개 플랜지(6)의 후방부분의 각 변부에 형성된 기준 돌출부(9) 및, 전정 플랜지(2)와 혀- 구개 플랜지(6) 및 상기 폐색 평면(3,3',3",3'")사이에서 상기 폐색 평면(3,3',3",3'")의 상부 표면의 횡 방향 후방 부분에 분리가능한 정렬 클램프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정렬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

Description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
본 발명은 치아- 두개골- 안면(dental skull facial)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orthodontic elastic harmonizer device)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치아 두개골 안면 정형외과에서 이용되는 형태를 가진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본 발명은 치아- 두개골- 안면(dental skull facial)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 두개골- 안면 정형 외과술은, 완전한 신경 근육 및 관절 균형상태로 안면 두개골이 정확하게 위치 설정할 수 있고 적절한 성장을 변형시킬 수 있는 부정적인 간섭을 제거하여 치아 두개골 부정교합(malocclusion)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두개골 안면 정형 외과술은 안면 두개골의 골기능 구조체의 변형을 교정하고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작은 차이를 가진 상이한 형태의 두개골 안면 불균형이 접골요법 시대의 과제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부정교합이 존재할 때 두개골 안면 골 구조체의 파괴는, 두 개의 어금니(상부 치아궁 및 하악 궁(mandibular arch))와 관련된 문제들 및 동일한 궁들사이의 비율의 불균형을 형성할 수 있는 두개골의 문제들을 위해 평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그리고 치아궁들과 두개골- 안면 골 구조체, 모두 근육관련 구조체들에 대해 특히 혀, 두개골 근육 및 관절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저작기관의 성장 기구 및 저작기능도 평가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생동안 환자의 저작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질병을 감시하여 적절한 "저작(masticatory)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가능한 빨리 치료가 개시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치료와 관련하여 두개골 안면 계의 두개골 구조 및 아래턱뼈 자세를 수정하여 구강하악(stomatognathic) 장치를 구성하는 두개골 구조체의 기능과 형상을 개선하는 치아 교정 기능 장비를 이용해야 한다. 또한, 치아 교정 및 정형외과적 작업이 두개골 안면 계 및 구개(palate) 형상과 관련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또한, 입과 머리의 위치는 자세 부유(postural buoyancy) 성분이며 머리의 각 불일치는 부조화 및 이탈 형태와 관련한 목 근육의 상이한 인장 비대칭(tension asymmetries)을 형성한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상기 인장 하중은 하부 동체근육(trunk muscle) 및 상부 안면 저작 근육의 다른 부분들과 관련되어 구조를 변형시키고 부정교합을 초래한다. 사실상, 두개골 및 척추사이에 구조적 연속성이 존재하며 두개골 안면 시스템의 뼈들은 변형된 척추골(metamorphosed vertebrae)로서 고려될 수 있다. 왜냐하면, 부정교합은 척추의 최종 변형을 가진 두개골 안면 벌어짐(thickset)의 다양한 장애(dysmetria), 따라서 주요 원인으로서 상기 구조의 접골요법상 손상 장애를 가지는 자세 변형을 결정할 수 있는 두개골 척추측만증(cranial scoliosis)이기 때문이다.
두 개의 두개골 안면 구조체들 및 치아 궁사이의 관계는 매우 분명하다. 또한 안면 미학을 감지하여 파괴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파괴가 있을 때 서로 다른 형태의 두개골과 얼굴의 변형, 입술, 코, 귀의 위치이탈, 불일치된 눈 및 조직적으로 비틀어져 부정교합되는 턱에 의해 야기되는 안면 장애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직의 이탈이 존재할 때, 두개골 안면 조직 및 구강하악(stomatognathic)에 영향을 주는 다수의 교란들이 발생되고 몸 전체는 심각한 결과를 겪게 된다.
접골의사, 의사 및 치아 교정 기능사, 자세교정사(posturologists)의 치료실패의 결정적 요인은, 척추의 제1 척추뼈를 통해 척추에 연결되는 두개골의 기저부에서 후방에 위치한 뼈 및 두개골 안면 계의 중심에 위치하고 상부 턱의 위치가 연결에 의해 매달린 설상골(sphenoid)로부터 후두의 이탈이다.
사실상, 후두 및 설상골의 상기 두 개의 구조들이 상당히 부정확하게 위치하여 이탈할 때, 연골결합- 설상골-기저부(synchondrosis-spheno-basic)(SSB)은 상부 턱의 회전을 결정하고 설상골의 부분들과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후두로 전달되는 두개골 안면 계의 관련 장애를 가지며 다양한 형태의 부정 교합을 발생시킨다. 후두와 설상골의 상이한 이탈은 다음과 같은 병변을 가진다: 굽힘 병변, 신전(extensions) 병변, 비틀림관련 병변, 옆 굽힘(lateroflexion)- 회전에 의한 병변, 높은 수직 스트레인에 따른 병변, 낮은 수직 스트레인에 따른 병변, 우측 및 좌측의 양쪽 측부들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횡 방향 스트레인 및 압축성 스트레인. 상기 병변이 존재할 때 치아 두개골 안면 구조체의 높이에서 다수의 분열이 발생된다.
그러므로, 치아 두개골 안면 구조체를 조정하는 치아교정 및 정형외과 장치들은 척추에 도움을 주며 적절한 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EPTAMED SRL사의 특허 출원 제 FO2014A000002 호에 설명된 치아교정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특히 상기 치아교정 장치는 사용자의 상부 치아 아치 및 하부 치아 아치사이에 삽입되어야 한다. 치아교정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팽창가능한 재료로 제조되고 치아 아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한 개의 아크(arc) 형상 채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치아교정 장치는 수용 채널을 수정하기 위해 확대되도록 설계되고 미리 정해진 영역의 적어도 한 개의 위치 표시기 요소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 출원의 치아 교정 장치를 포함한 공지된 다른 치아 안면 교정 장치는 턱의 발육 부전(underdevelopment)(상악에 대해 후방에 위치한 턱을 가진 제2 두개골 분류) 또는 턱의 발육 초과(hyper development)(상부 턱에 대해 전방에 위치한 턱을 가진 제3 두개골 분류) 또는 횡 방향으로 이탈한 다수의 턱(상부 턱에 대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과 관련한 특정 형태의 두개골 부정교합을 치료하고, 수직방향의 시작점(vertical origin) 또는 시상봉합 시작점( 전방 후방 운동) 또는 횡단(상부 턱에 대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이동한 턱)에 관한 두개골 문제만을 고려한다. 그러므로, 공지된 장치는 전체적으로 두개골 안면의 두개골 문제들 즉, 두개골 안면 구조체를 형성하는 전체 두개골 구조체의 (균형을 변화시키는) 이탈에 대해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Eptamed 특허의 장치는 아치형상의 형태를 제한하고 개인별 구조적 특징을 고려하지 않고 또한 장치가 매우 짧고 아치를 가진 경계부에 위치하지 않아서 플랜지들이 치아 및 잇몸 뼈 영역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치아 두개골 안면 계의 상이한 질환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적합하지 않다. 그러므로, 골기질(bone matrix)의 자기수용성 자극의 효과를 구할 수 없고 치아 두개골 안면 구조체의 재 균형화가 필요하다.
사실상, 공지된 장치는, 두개골을 이동시키고 두개골 안면 상악 계의 골구조의 구성을 회복할 수 없고 치아 아치들의 조화를 형성할 수도 없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공지된 두 개의 해결책은 특허 출원 제 DE 102013108291 호 및 특허 제 US 5876199호이다. 상기 특허 출원은 하기 구조를 포함한 치아교정 기구를 설명한다: 상부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몸체는 상부 시트의 혀 측부에 위치한 내부벽 및 볼 측부의 외부벽을 포함한다. 상기 특허의 상부 아치는 하기 구성을 포함한다: 웨브, 내부 벽 및 외부 벽을 포함하고, 각각의 내부 및 외부벽은 웨브를 너머 돌출하는 상측 부분을 가지고 상부 치아 아치를 위한 수용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외부 벽과 내부 벽은 각각 하부 치아 아치를 위한 수용 채널을 형성하는 리지 아래에 매달리는 하측 부분을 가지며, 환자의 혀끝이 수용될 때 구개 앞의 끝이 근접하도록 내부벽의 상측 부분을 알고 있는 환자의 혀끝에 적합하도록 형성된 개구부의 내부 벽의 상측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특허는 다양한 입 및 치아 크기에 맞춰질 수 있고 개인의 입내에서 적절하게 치아를 배열하기 위한 치아교정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U자 형상인 폐색 구조를 형성하는 구강 볼(labial buccal) 플랜지 및 상기 구강 볼 플랜지로부터 떨어진 혀 플랜지 및 두 개의 플랜지들을 서로 연결하는 협부(isthmus)를 포함한다. 적어도 한 개의 치아 오목부(tooth trough)가 개인 치아의 상부 열 또는 하부 열을 수용하기 위해 구강 볼 플랜지 및 혀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장치는, 개별 치아 소켓을 포함하지 않지만 대신에 치아를 적절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해 구강 볼, 혀 플랜지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및 관련 각도 및 재료 두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개별 치아 소켓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치아 및 입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수면성 무호흡증(sleep apnea), 코골이, 이갈기(bruxism)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 및 운동선수용 마우스 가드로서 유용하다.
공지된 상기 해결책의 문제점에 의하면, 상기 해결책은 상기 문제점이 발생할 때 정확한 혀 훈련(re education of tongue) 및 삼킴을 수행하지 못한다. 사실상, 혀는 치아 아치의 형태(morphology)에 영향을 줄 수 있고 무엇보다도 부조화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혀는 입속에서 제1 중요한 역할을 한다. 코를 통해 숨을 쉬는 사람들은 구개위에 위치하는 대신에 구개 아래에 위치하는 혀를 가지며 모든 삼킴작용은 구개를 확대시키며 호흡 제1 부교감신경 운동(respiratory primary craniosacral motion)(CSP)에 기여한다. 대신에, 입을 통해 호흡하는 사람은 구개에 대해 상측부 대신에 하측부에 배열된 혀를 가진다. 상기 위치에서 혀는 구개의 성장을 자극할 수 없고 또한 치아들사이에 위치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정 교합 및 치주에 대한 손상을 발생시키고 때때로 앞니 손실을 되돌릴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혀가 정확한 위치에 있고 정확한 삼킴이 수행될 때 두개골 기둥(skull column)비율을 안정시키고 치조골(alveoli dental) 관계를 따르며 설상골(sphenoid)과 후두사이의 평형 관계를 유지한다. 구개와 접촉하지 않고 부정확한 삼킴을 결정하는 혀는 상기 모든 수용체 시스템과 간섭되며 자세 변형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골 안면 패턴에 대해 양호한 적응 폐색 계획을 보장하고 두개골과 안면의 여러 가지 질환 및 변형을 회복하기 위해 치아- 두개골- 안면(dental skull facial)과 조화를 이루는 "순수하게 치아교정" 치료를 수행하며 바람직하지 못한 삼킴 작용을 훈련시키고 공지된 장치들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항에 정의된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더욱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예로써 선호되는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의 내부 벽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3C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가 가지는 폐색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대체예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대체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대체예를 구성하는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의 내부 벽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2 대체예를 각각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2 대체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2 대체예를 구성하는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의 내부 벽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3 대체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3 대체예의 배면도.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3 대체예를 구성하는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의 내부 벽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15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의 내부 벽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6은,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도.
도 18A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3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의 내부 벽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
도 19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폐색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3 실시예를 구성하는 폐색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21A 내지 도 21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및 배면도.
도 22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4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의 내부 벽들을 도시한 도면.
도 23A 내지 도 23B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제1 대체예를 각각 도시한 측면도 및 배면도.
도 24A 내지 도 24C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제1 대체예를 구성하는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의 내부 벽들을 각각 도시한 사시도 및 도면들.
도 25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4 실시예의 제1 대체예를 구성하는 폐색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26A 내지 도 26C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구성하는 폐색 평면들을 도시한 도면들.
상기 도면들 및 특히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dental skull facial)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된다. 좀 더 세부적으로, 상기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는 필수적으로 탄성 변형되고 치아 궁을 위한 한 쌍의 상부 하부 안내부(2)들을 가진 폐색 양악(occlusal bimaxillary)(상악 및 하악)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쌍의 안내부(2)들은, 상측 및 하측 치아들을 덮고 전정 플랜지들을 형성하고 원개(fornices) 영역까지 연장되는 전체 전정 잇몸 표면의 외부 가이드(2) 및, 잇몰 레벨, 하악 레벨, 혀 레벨 및 부분적인 구개 레벨을 완전히 덮는 내부 가이드(6)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두 개의 궁들은 사용자에 의해 씹는 작용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폐색 평면(3)에 의해 연결되어 플랜지(2)와 접촉하는 영역을 문질러서 부드럽게 마사지한다. 이렇게 하여, 신경 근육 시스템(근육 및 신경분포)의 근육 이완작용 및 (치주의) 잇몸 및 뼈 재조정(reconditioning)을 구하기 위한 일련의 자극이 구해진다.
상기 폐색 평면(3)의 상부 표면에 인터로킹되며 예를 들어, 대략 2mm의 두께를 가지며 삽입되고 분리될 수 있는 타이(tie )를 배열하고 장치(1)의 폐색 평면을 변경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장치(1)의 폐색 평면(3)의 상부 표면의 후방에 그리고 폐색 평면(3) 및 전정 플랜지(2) 및 혀 플랜지(6)사이에서 코너에서 횡 방향으로 그루브가 제공된다.
또한, 어금니 또는 제6치아(sixths)에 해당하는 플랜지(6)들의 상측 부분의 후방 영역이 가지는 변부에서 장치(1)의 측정기준으로서 두 개의 돌출된 버튼(9)들이 제공되어 환자의 아치(arch) 크기에 대한 장치의 크기를 감지한다.
장치(1)는 또한, 순음(labial), 혀(lingual) 및 횡 방향 주름띠(laterals frenulum)의 부하를 제거하기 위해 요소(10a, 11, 12)로서 형성된 유입구들을 포함하고, 이것들은 측부 부분들에 의해 정확한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장치(1)의 내측 부분 즉, 혀와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아치들을 덮기 위해 플랜지(2)보다 작은 높이 및 점유공간을 가진 한 쌍의 혀 구개 내부 플랜지(6)(상측 부분의 구개 및 하측 부분의 혀)를 가지며 몰딩된다.
도 3을 참고할 때, 구개 상부 플랜지(6)는 후방 절치 유두(incisive papilla)를 내려놓기 위해 이용되는 오목한 영역을 가진다. 실제로, 상기 자세 수용체(receptors)들은 구개 영역에 위치하고 항상 장치(1)를 이용하여 환자의 혀에 의해 자극되는 것이 필요하고, 오목한 영역(8)은 장치(1)의 작용에 의해 자극을 위한 구개 자세 수용체들의 영역을 완전히 제거하며 후방 절치 유두를 가압하지 못하고 스치는(graze) 것을 회피한다.
또한, 낮은 자세 또는 전환 또는 회전에 의해 이례적인 삼킴 문제가 존재할 때 상부 구개 플랜지(6)는 혀의 위치설정을 위한 급한 경사를 가진 평면(6a) 및 혀를 안내하기 위한 버튼(9a)을 포함하고 적절한 삼킴(swallowing) 작용을 위해 혀의 재교육을 허용한다. 또한, 발바닥 후방 절치 구개 상측 변부로부터 혀의 주름띠(frenulum) 경계까지 연장되는 경사구조의 평면(6a)은 혀를 작은 버튼(9a)을 향해 안내하기 위해 혀에 대해 지지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치아위에 삽입을 차단하한다. 따라서, 혀가 휴지 위상 동안 정확한 자세( 위치)로 작용하고 구개를 향하는 연동(peristaltic) 운동을 통해 정확한 삼킴 작용을 수행한다.
전방 하부 치아까지 연장되는 상기 형태의 급한 경사 평면은 치아위에 혀의 삽입을 차단요소로서 작용함에 따라 상기 평면은 삼중 작용을 가지도록 설계되고 또한 치아들이 앞에 위치할 때 치아들이 정확한 정렬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부정확하게 위치한 치아(하부 앞니들)의 재배열을 결정한다.
두 개의 외부 전정 플랜지(2)들, 구개 형 내부(6) 및 연결수단으로서 이용되는 폐색 평면(3)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오목한 체적(7)내에서, 장치를 이용하는 환자의 치아가 배열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1)는 특히 원형과 가까운 둥근 얼굴 형상으로 설계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장치(1)의 제1 대체예로서 장치(10)를 도시하고 특히 첨두 아치(ogival) 형상과 가까운 둥근 얼굴 형상으로 설계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장치(1)의 제2 대체예로서 장치(20)를 도시하고 특히 직사각형 형상과 가까운 얼굴 형상으로 설계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장치(1)의 제3 대체예로서 장치(20')를 도시하고 특히 정상의 체격을 반영한 보통의 둥근 얼굴 형상으로 설계된다.
모든 장치(1,10,20,20')들은, 제1 두개골 분류 또는 억제 하부 아치(antagonist lower arch)와 상부 아치의 폐색 관계를 가진 정확한 위치의 배열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장치(1,10,20,20')들은 잇몸 리지(gingival ridge)에 양호하게 적용되고 거의 아치를 가진 경계부까지 연장되는 전정 플랜지(2) 및 혀 플랜지(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정 상부 플랜지(2)는 골 기질의 자기수용성 자극을 위해 아치 근처의 경계 영역에서 1.5mm 내지 3mm의 두께를 가지며 폐색 평면(3)의 중심 영역을 향해 내려가며, 전정 하부 플랜지는 전정 상부 플랜지(2) 보다 조금 더 큰 두께를 가지며 약 5/7 mm의 치아위에서 하부 전방 치아와 일치하여 연장되어 하부 입술의 재조정 근육을 위한 입술 차단(lip shield)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배열은, 입의 수직 크기가 손실되기 때문에 양호한 입술 근육 긴장(muscle lip tone)이 존재하지 않을 때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후방 하부 전정 플랜지(2)가 치아에 대해 양호하게 부착되고 성형되며 치아 위로 약 2.4mm 연장되고 마지막 후방 어금니와 경계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상부 구개 플랜지들은, 최소 후방 예리한 구개 지지, 형성된 구개 영역을 가지며 3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지고 상부 아치내에서 확장 효과를 가지며 경계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하부 혀 플랜지(6)들은 치아에 양호하게 부착되고 약 3 내지 4mm의 잇몸 뼈 영역과 접촉하며 위로 연장되며 하부 아치의 양호한 팽창 부스트(boost)를 제공하기 위해 3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진다.
두 개의 측부 혀 플랜지(6)가, 급한 경사를 가진 평면(6a)을 포함한 혀 차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치아에 양호하게 적응되며 최종 후방 어금니까지 연장된다. 두 개의 전정 플랜지(2)들 및 혀 플랜지(6)들은 폐색 평면(3)으로부터 전정 플랜지와 혀 플랜지 사이에 배열되어 잇몸 리지의 외부 및 내부 벽들을 향해 치아까지 안내 트랙을 형성하기 위해 아치 형상의 안내부를 형성한다.
안내부의 두께는, 상부 앞니들(앞니 송곳니) 영역에서 약 2mm로부터 후방 치아(작은 어금니(premolars)) 영역에서 5/6mm까지 그리고 어금니의 후방 영역에서 10mm까지 변화한다. 대신에, 하부 아치의 안내부들은 동일하지만 약 1mm 더 좁다. 뼈 레벨에서(치주) 치아에 대해 넥(necked)을 형성하는 플랜지들의 부착과 자극(자기수용성)에 의해 치아 및 치아 궁의 두개골 기저부의 재배열과 관련하여 상기 형태의 트랙이 중요하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개인의 선천적 생리에 관한 특징들은 상기 특징들을 형성하는 곡선 및 상승과 관련한 자기수용성 접촉을 형성하기 위해 관절의 지지(ATM)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개의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폐색 평면 형태는 개인의 선천적 생리와 관련된 특징에 의해 설계된다. 사실상, 제1 분류의 치아 교정 장치(1,10,20, 20')는,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 폐색 부분(3b)에 대해 전방 영역에서 예를 들어, 약 2mm 상승된 전방 폐색 부분(3a)을 가진다. 이것은 이용되는 상기 형태의 탄성 재료에 의해 구해지는 탄성 효과와 함께, 입의 수직 크기 이상으로 후방 치아의 압출 자극을 보장하는데, 압출 자극은 연속적인 치료과정에서 턱 및 다음에 ATM을 자유롭게 하여 그 결과 두개골 및 근육 문제를 개선시키는 중요한 성분들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또한, 딥 바이트(deep bites) 또는 입의 수직 크기 감소에 의해 결정되는 대부분의 두개골 부정교합을 위해 후방 폐색 평면은 적절한 턱 성장을 위한 스피 및 윌슨 기능 곡선과 관련한 적절한 곡선을 가진 형태를 가진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dental skull facial)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장치(30)는 특히, 후방으로 이동한 상악 또는 정상적인 상악과 비교하여 후방에 위치한 상악과 관련되고 상부 앞니가 매우 앞으로 이동하고 전방으로 펼쳐져 형성되며 후방에 위치한 하부 앞니 및 구개에 대해 변부 앞니를 가지는 매우 현저한 딥 바이트를 나타내는 제2 두개골 분류와 관련한 부정교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다. 상기 두개골 형상은 입술의 부전증(incompetence)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신경 근육계(근육긴장(muscle tone)의 손실 및 저작 근육 수축에 따른 근육 긴장) 및 관절(ATM)(딥 바이트에 의해 막힌 턱에 의한 관절 파괴) 및 부정적 결과 와 매우 불편한 안면 미학을 보상한다. 또한, 이 경우, 혀는 구강 영역내에서 공간이 부족하여 구개 대신에 하부에 위치하고 비정상적인 삼킴(swallowing)은 저작작용 및 발성작용(phonation)을 보상한다.
제2 두개골 분류를 위한 치아 교정 장치(30)는 장치(1,10,20,20')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특히 (관절 및 근육 재조정의) 기능 및 미적으로 장점을 구하기 위해 기능을 개선시키는 다른 부품들을 고려하여 정확한 제1 분류 두개골 위치에 치아 아치(상부 상악 및 하부 하악)을 위치설정 하도록 (양호하게 형성된 폐색 평면 안내부에 의해) 턱의 이동을 통해 턱의 정확한 위치를 회복하도록 설계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두개골 분류를 위한 장치(30)의 폐색 평면은 제1 두개골 분류의 폐색 평면에 대해 전방 위치(앞니 송곳니 영역)에서 경미하게 상승된다. 이렇게 하여, 수직 치수는 저작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추가로 상승되어 신경 근육계를 개선시킨다. 급한 경사 평면(6a)을 통해 턱은 돌출 위치(전방을 향하는 위치)에서 조정된다. 다음에, 턱을 상기 구조에서 안정화하기 위해, 특정 자극이 주간에 환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고 야간에 상기 장치가 고정되어야 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치아 교정 장치(30)는 상부 아치를 가진 경계부에서 매우 높은 전정 플랜지(2)를 가지고 일반적으로 원개(fornix)와 접촉으로부터 플랜지를 분리시키려는 경향을 가지고 동시에 상부 입술을 간섭하는 상부 전방 치아(앞니)들이 벌어진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부 전방 치아 영역에서 오목한 작용(indent effect)을 가지며 즉 원개(fornix)에 대해 유리하다
또한, 치아교정 장치(30)는 하부 전정 플랜지(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정 플랜지는 전체 원주부를 따라 치아에 대해 양호한 넥을 형성하고 하부 치아(앞니) 영역에서 거의 (예를 들어, 하부 입술 차단부로서 작용하는) 하부 원개를 가진 경계부까지 더욱 연장되어 특정 작용을 통해 보통 매우 저긴장된 하부 입술을 더욱 긴장되게 만들고 변화시킨다. 혀 플랜지(6)는 또한 치아와 양호한 넥을 형성하고 특히 혀 차단부 및 급한 경사 평면을 가진 중심 후방 혀 영역내에서 연장되어 혀를 지점을 향해 정확한 자세로 안내하고 혀가 간섭하는 것을 고려하여 작은 버튼에 의해 특정 훈련( 대화 요법)을 통해 자극으로서 작용하며, 때때로 관절(ATM)의 재조정을 위해 (규칙적인 삼킴을 수행하고 정확한 위치에 있을 때) 중요하다. 작은 버튼을 가진 경계부에서 내측부(insole)의 중심 영역에서 작은 오목부는 후방 절치 유두와 간섭되지 않지만 두 개의 전정 및 혀 플랜지들은 폐색 평면과 연결되고 기능 및 더 양호한 미적 효과를 위해 (보통 제어되지 않는) 신경 근육계의 회복과 입술의 양호한 능숙도를 결정하는 치아 아치들과 장치의 균형을 위한 치아교정효과를 위해 치아 및 잇몸 리지에 연결된다.
도 16 내지 도 18은, 특히 제3 두개골 분류를 위한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장치(40)는 제3 두개골 분류를 위해 설계된다. 상기 형태의 두개골 분류는 경추(cervical spine) 및 관절(ATM)의 기능적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부정교합의 특성을 가지며 환자에게 미학적으로 매우 불편을 초래한다. 상악이 돌출된 위치를 가지고 즉 정상적인 상악에 비해 앞을 향해 위치하고 상부 앞니는 하부 앞니에 대해 반대 위치에 위치하여 비정상적인 폐색 관계를 형성하고 두 개의 턱들의 (전방 및 후방의) 시상봉합(sagittal)에서 잘못된 운동에 의해 심각한 부정교합을 형성한다. 제3 기능 분류의 두개골 특징이 가지는 부정교합의 주요 원인들 중 하나는, 혀의 낮은 자세는 하부 치아를 가압하고 비정상적인 가압력(thrust)이 하악 높이에서 작용할 때 발생되는 이례적인 삼킴 작용이며, 돌출된 위치 및 치아 특히 하부 앞니의 확대된 형상에서 삼킴 작용은 증가되며 종종 혀의 운동에 의해 뼈의 치주 높이에서 심각한 상처를 야기한다. 제3 두개골 분류를 위한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는 상기 형태의 두개골 분류에 대해 특정 폐색 평면의 설계에 의해 규칙적인 앞니 비율(incisors ratio)로 치아 아치를 배열하는 상악 의사 프로그나찌(pseudo prognazie)를 처리하기 위해 설계된다. 특히, 치아와 넥을 형성하며 하부 원개까지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 전방 플랜지(6)의 도 18의 순음 차단부(46c)를 통해 턱을 제동하기 위한 압력을 작용시켜서 상부 치아는 후방 및 전방 미끄럼 평면위에 배열되어 제1 분류내에서 상부 턱 및 하부 턱의 정확한 위치 회복 및 장치의 이탈이 존재할 때 장치의 이탈 균형 이외에 결합 효과를 위한 한 쌍의 반대 하중을 결정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3 분류를 위한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는 치아 아치의 조화 효과(harmonizing effect)를 위해 치아에 이용되는 전정 플랜지(2) 및 혀 개구 플랜지(6)를 제공한다. 또한, 전정 플랜지(2)가 전방 치아의 전방 영역(전상악골)에서 아치를 가진 경계부위에 높게 향한다. 상기 플랜지(2)는, 일종의 상부 입술 차단부를 형성하기 위해 잇몸 뼈 영역으로부터 경미하게 분리된다. 상기 특징은, 성장을 허용하지 않는 과다 긴장 입술에 의해 동일한 영역에서 뼈의 수축 가능성에 응답한다. 입술 압력을 제거하면, 전상악골 영역에서 뼈의 성장이 가능하고 동시에 규칙적인 톤(tone)으로 자극할 수 있다. 대신에, 전방 치아 영역에서 하부 전정 플랜지(2)는 치아에 양호하게 적응되어 상악 성장을 구속차단한다. 또한, 전정 플랜지(2)는 치아에 양호하게 적응하고 또한 특히 중앙 후방 혀 영역에서 급한 경사의 평면을 가지며 연장되어 지점을 향해 정확한 자세로 혀를 안내하고 작은 버튼에 의해 특정 작용(대화 요법)을 통해 자극으로서 작용하며 치아 불균형의 숨은 원인들 중 하나를 제거한다. 작은 버튼을 가진 경계부에서 작은 오목부가 내측부의 전방 중심 영역에 존재하여 후방 절치 유두와 간섭되지 않는다.
도 19는, 전방 폐색 평면(3'a)이 후방 폐색 평면(3'b)보다 약간 더 높은 제2 두개골 분류를 위한 폐색 평면(3')을 도시한다. 제1 분류 및 제2 분류를 위한 폐색 평면과 대조적으로 도 20에 도시된 제2 두개골 분류를 위한 폐색 평면(3")은 다르게 설계되는데, 후방 폐색 평면(3"b)은 상악 폐색과 비교하여 상부 턱의 전방부를 향해 미끄럼 작용을 가지며 폐색 전방 평면(3"a) 보다 약간 더 높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전정 플랜지(2) 및 혀 플랜지(6)는 폐색 평면과 연결되어 치아 교정 효과를 위해 치아에 부착되며 정확한 혀 자세 및 치아 아치 및 두개안면계(craniofacial system)의 치아교정 균형 효과를 위해 치아 아치를 제1 두개골 분류내에 배열하고 더욱 양호한 기능과 외관을 위해 입술의 양호한 능력을 보장한다.
도 21 내지 도 22를 참고할 때,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과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23 내지 도 24를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과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제4 실시예에 관한 제1 대체예가 도시된다. 두개 및 안면 계(craniofacial system)의 이탈과 관련된 치열궁(dental arch)의 이탈과 결함이 존재할 때 각각의 도 21 내지 도 22 및 도 23 내지 도 24에 도시된 장치(50,60)들은, 특히 완전한 유치(deciduous teeth)(젖니)를 가진 초기 어린이를 위해 설계된다. 상기 장치들에 의해 치아 잇몸능선(gingival ridge)에서 좁아지는 전정 테두리(vestibular flange)(2) 및 혀의 테두리(6)가 제공되며, 혀가 지점을 향하도록 급경사를 가진 면을 가진 혀 쉴드(tongue shield)가 항상 제공된다. 또한, 인솔(insole)의 중심 영역에 후방 절치 유두를 위한 하우징이 존재한다.
또한,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혀가 지점을 향하도록 자극하여 어린이들이 정확하게 삼키게 하기 위해 장치(1, 10, 20, 20', 30, 40, 50, 60)는 탭(9a, 19a, 29a, 29'a, 39a, 49a, 59a, 69a)을 가진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도 25를 참고할 때, 장치(50,60)의 교합 평면(3"')은 제1 영구치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고려할 때 스피 및 윌슨(spee and Wilson) 곡선 없이 완전한 수평으로 형성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도 26을 참고할 때, 장치(1, 10, 20)의 교합 안내부(13,14,15)에 의해 교합 키(keys)가 정확하게 위치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60)는 외부 그립 요소(61) 예를 들어, 공갈 젖꼭지(pacifier)를 포함한다. 심지어 세 살 또는 네 살 이후에도 어린이가 공갈 젖꼭지의 이용을 원할 때 (일반적으로 야간 이갈이증(nocturnal teeth grinding)과 관련하여 어린이가 신경근 긴장(neuro muscular tension)을 가질 때)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과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60)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장치는 인장 제거(de-tensional) 기구로서 두개골-안면 골 구조체에 대한 차단 및 예방적 치료를 위해 매우 양호한 탄성을 가진다. 사실상, 유리하게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1, 10, 20, 20', 30, 40, 50, 60)의 구성을 위해 이용되는 재료는 탄성을 가지며 특히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53 또는 58 또는 62 쇼와 스케일의 경도를 가진다.
장치(50,60)에 있어서, 경도는 45 쇼와 A 스케일의 강도를 가진다.
각각의 재료 형태는 저작 하중(masticatory load)에 대한 자신의 특정 기능을 가지며, 따라서 저작력 및 서로 다른 인장력을 가진 아동 및 성인을 위해 표시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도시된 장치들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 마모될 때 매우 효과적이고 편안한 쇼와 53- 58- 62 콘시스턴시(consistency) 의 세 가지 구배를 가지며 처리시 문제를 가지지 않는 디나베이스(Dinabase),
- 쇼와 콘시스턴시 45- 60- 80의 세 가지 레벨을 가진 코플렉스(Corflex). 특히 두개골- 안면 구조의 상이한 이탈을 가진 병변들에 대해 완전히 정형외과적 접골요법을 위하여 특히 코플렉스 소프트(Corflex soft) 45 및 60은 (근육 긴장 및 신경근의) 인장 파괴를 나타내며 코플렉스 80은 조인트 파괴(ATM) 형태로 나타난다.
상기 특성에 의해 도시된 장치들은 사용하는 동안 점막의 손상 또는 찰과상이 발생할 위험 없이 치아 및 근육 마사지를 수행하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도시된 도면에 도시되고 본 발명을 따르는 선호되는 실시예는, 표준 아치(standard arch) 크기에 적합한 장치(1)의 실시예를 고려한다. 또한, 크기가 작은 입 및 상대적으로 큰 치수를 가진 입에 적합한 상이한 크기의 장치(1)가 구성된다.
작동과 관련하여, 상기 장치를 이용하는 최종 사용자는 상기 장치를 자신의 입속에 정확한 위치에 배열하고 거의 규칙적인 간격으로 매일 특정 횟수로 상기 장치를 깨무는(chewing) 행위를 수행해야 한다. 상기 깨무는 행위는 상측부와 하측부에서 폐색 평면을 규칙적으로 무는 (전정 플랜지, 구개- 혀 플랜지 및 폐색 평면에 의해 구분되는 오목한 공간내에 위치한) 상부 턱과 하부 턱의 치아의 작용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다수의 유리한 효과들이 하기 설명으로 주어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 장치의 사용자는 전정 플랜지의 내부 층에 고정되어야 하는 젤(gel) 형태의 특정 제품, 즉 치아와 검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들과 함께 장치의 이용에 관련될 수 있다.
이용하는 동안,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는 장치 자체가 가지는 기하학적 형태와 일치와 관련하여 특정 자극을 통해 턱을 배열하여 상악에 대한 작용을 형성하고 이용되는 탄성 재료의 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근육 운동을 제공한다. 치아- 두개골- 안면(dental skull facial)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는 실제 및 적합한 체조에 의해 봉합선 및 두개골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상이한 두개골 및 전체 두개골 안면계의 위치를 재배열 및 재조정하여 (뼈의 새로운 평형과 관련하여) 치아를 위치 설정한다. 플랜지들 및 폐색 평면들이 잇몸 리지에 부착된 모든 치아들을 덮고 두 개의 상부 아치 및 하부 아치를 형성하며 잇몸 영역, 뼈 영역(치주)의 자기 수용성 작용을 결정하고 치아에서 두개골 구조체의 상이한 측정이상(dysmetria)이 회복되어 아치내에 바람직하지 않게 위치한 치아들을 다시 정렬시킨다. 또한, 턱의 이탈이 존재할 때 치아 교정 장치의 양악 작용은 턱의 위치재설정을 위해 중요하다. 또한, 비정상적인 삼킴이 존재할 때 자극으로서 작용하는 작은 버튼 및 혀 플랜지의 중앙에서 혀를 이동시키는 경사 평면을 통해 혀의 삼킴 작용을 교정하고 자세를 훈련시키기 위해 상기 장치가 배열된다. 또한, 치아 교정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재료에 의한 탄성 형태의 활성화를 통해 상기 장치는 동시에 확장기(expander) 및 치아 아치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치료 효과를 위해 그리고 두개골 안면 두개골 질환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는 다른 여러 가지 다기능, 치과적, 폐색 관절(TMJ) 및 긴장성 신경 근육 및 자세 질환에 적합하고 삼킴, 씹기(chewing) 및 대화, 수면중 이갈기 및 야간 코골이와 같은 증상으로부터 회복에 적합하다. 상기 질환으로부터 다시 평형 및 조화를 찾는 자체 자극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환자에게 특정 훈련을 수행하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하여 작동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dental skull facial)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는, 모든 비대칭 형상 및 분류에 대한 포괄적이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고 (수직, 수평 및 봉합선) 세 개의 공간 평면들에 작용하는 치아 아치들의 바람직한 조화 및 버티센트리카(verticentrica)를 구하기 위해 치료 우선순위를 가지며 서로 다른 형태의 아치 형태들 및 환자가 정확한 순간에 환자가 교정을 위해 가장 적합하게 위치하는 구강하악(stomatognathic) 장치의 개발을 고려하고 치료에 의한 임상적 효과의 기초를 형성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의 완전 탄성 효과에 의한) 신경 흥분을 형성하여 두개골 안면의 변형 및 질환 계의 모든 원인과 간섭을 제거한다.
또한,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는 성인과 아동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가 가지는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치아 아치의 형성에 작용하는 상악골을 위한 탄성 기능 장치가 제공되고 치아 또는 치주에 대해 상처 또는 외상을 주지 않고 비침습적(invasive)이다. 상기 장치의 치아 교정 회복 작용은, 구강하악계(치아, 치주, 저작 근육, 관절(TMJ), 볼, 입술, 혀, 신경지배(innervation), 혈관신생(vascularization) 및 상악 골 및 하악 골) 및 작용 기구를 통해 반영되고 가장 적합한 신경 근육 기능과 관련하여 실제 근육 체조 훈련을 허용한다. 근육 수축 및 긴장을 제거하는 근육 이완 작용은 사실상, 턱 및 치아를 다시 조화상태로 형성하기 위해 두개골들사이의 관계 및 위치를 회복한다.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가 가지는 또 다른 장점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민감한 환자들도 쉽게 이겨내고 비침습적이다.
또한,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는, 특정 훈련과 관련된 추가 관절 기능이상(extra-articular dysfunctions), 악관절 반월판(temporomandibular meniscus) 및 치아 폐색 및 ATM 기능이상(측두 하악골 관절(Temporo Mandibular joint))을 가진 환자들에게 제공되고 정확한 자세의 혀로 교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금과 관련된 다양한 치과 질환의 개선 및 입의 해부학적 기능을 치주, 두개골-상악골, 신경 근육 및 자세 회복이 제공되고 삼킴, 호흡, 씹기, 발성을 교정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을 따르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는, 기능 및 생리적 각성을 야기하는 근육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pulses)를 안내하고 자극하며 자극의 방향, 강도 및 주파수에 따라 조직의 형성, 조직의 적응 및 형태(morphology)를 발생시킨다. 기능적 레벨에서, 과상돌기(condylar) 영역의 성장을 자극하고 부정교합을 교정하며 다음에 신경학적으로 리로드(reload)하고 근육계를 재생할 수 있다. 모든 두개골 안면 장치로 전달되는 실제 체조인 특정 훈련에 의해 진동 효과가 형성될 때, 본 발명의 장치는 전압 및 근육 구축(contracture)을 제거하는 근육 이완작용을 형성하기 위해 중요하다. 또한, 부종(edematous) 및 염증과정의 물질대사의 악화를 제거하여 개선하고 신경 근육계의 정상화를 촉진시킨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내에서 수정되고 변경될 수 있다.

2.......전정 플랜지,
3.......폐색 평면,
6.......혀 플랜지,
8.......오목한 영역.

Claims (11)

  1.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20', 30, 40, 50, 60)로서
    - 상악골 및 하악골 치아 및 상악골 및 하악골 치아의 잇몸 전정을 덮기 위해 연장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전정 플랜지(2),
    - 상악골 및 하악골 치아의 구개 및 혀 표면들을 덮기 위해 연장되고
    후방의 예리한 평면 변부로부터 혀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된 하부 앞니까지 연장된 급한 경상의 평면(6a)을 포함하는 적어도 한 쌍의 혀- 구개 플랜지(6),
    - 상기 플랜지(2,6)들을 연결하기 위한 폐색 평면(3,3',3",3'"),
    - 상기 전정 플랜지(2)와 혀- 구개 플랜지(6) 및 상기 폐색 평면(3,3',3",3'")에 의해 형성된 오목하고 빈 체적(7)을 포함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에 있어서,
    어금니 위치와 일치하며 상부 혀- 구개 플랜지(6)의 후방부분의 각 변부에 형성된 기준 돌출부(9) 및, 전정 플랜지(2)와 혀- 구개 플랜지(6) 및 상기 폐색 평면(3,3',3",3'")사이에서 상기 폐색 평면(3,3',3",3'")의 상부 표면의 횡 방향 후방 부분에 분리가능한 정렬 클램프들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정렬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혀 구개 플랜지(6)는 후방 절치 유두를 언로드하기 적합한 요홈(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20', 30, 40, 50, 60).
  3. 제1항에 있어서, 폐색 키들의 위치설정을 위해 형성된 세 가지 형태의 폐색 안내부(13,14,15)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4. 제1항에 있어서, 전정 플랜지(2)와 혀- 구개 플랜지(6)는 잇몸 리지와 양호하게 넥을 형성하고 아치 경계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20').
  5.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전정 플랜지(2)는 치아로 접근하고 치아위에서 2mm로부터 후방에 위치한 마지막 어금니 경계부까지 연장되며, 절치유두 경계부의 후방에서 최소 지지부를 가지고 적어도 3mm의 두께를 가진 구개 경계부내에 상부 혀- 구개 플랜지(6)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20').
  6.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혀- 구개 플랜지(6)가 치아로 접근하고 적어도 3mm의 골 치주 영역과 접촉하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20').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전방 치아 영역(송곳니 앞니)에서 적어도 2mm의 두께, 후방 치아 영역(소구치)에서 적어도 5mm의 두께, 및 어금니의 가장 후방 영역에서 적어도 10mm의 두께를 가진 치아 레일 안내부를 형성하기 위해 전정 플랜지(2) 및 상부 혀- 구개 플랜지(6)들은 전정 플랜지 및 상부 혀- 구개 플랜지들사이에서 폐색 평면(3)에 의해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20').
  8. 제1항에 있어서, 폐색 평면(3)은 후방 폐색 부분(3b, 3'b)보다 더 상승된 전방 폐색 부분(3a,3'a)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20').
  9. 제1항에 있어서, 폐색 평면(3")은 하악골 폐색에 관한 상악골 미끄럼 전달(maxilla slide forwards)효과를 가지며 전방 폐색 부분(3"a)보다 더 상승된 후방 폐색 부분(3"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4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9a, 19a, 29a, 39a, 49a, 59a, 69a)는 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1, 10, 20, 20', 30, 40, 50, 60).
  11.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그립핑 요소(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
KR1020187012041A 2015-09-30 2016-09-28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 KR201800631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B2015A004030A ITUB20154030A1 (it) 2015-09-30 2015-09-30 Dispositivo ortodontico-elastico-armonizzatore dento-cranio-facciale
IT102015000057082 2015-09-30
PCT/IB2016/055791 WO2017056010A1 (en) 2015-09-30 2016-09-28 Orthodontic elastic harmonizer device for dental-skull-facial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190A true KR20180063190A (ko) 2018-06-11

Family

ID=5508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041A KR20180063190A (ko) 2015-09-30 2016-09-28 치아 두개골 안면 장치를 위한 치아 교정용 탄성 조화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256388A1 (ko)
EP (1) EP3355839B1 (ko)
JP (1) JP6941601B2 (ko)
KR (1) KR20180063190A (ko)
BR (1) BR112018006512B1 (ko)
CA (1) CA2998093C (ko)
IT (1) ITUB20154030A1 (ko)
RU (1) RU2721654C1 (ko)
WO (1) WO2017056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3295A1 (en) 2016-09-30 2018-04-05 Shock Doctor, Inc. Mouthguard including a protection portion having heating and softening features
USD834258S1 (en) * 2016-09-30 2018-11-20 Shock Doctor, Inc. Mouthguard
US10150244B2 (en) * 2016-10-20 2018-12-11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s with shaped material components
CN107468358B (zh) * 2017-08-21 2021-04-16 四川大学 一种肌功能训练矫治系统
CN110464490A (zh) * 2019-03-21 2019-11-19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排牙器、排牙套盒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875018B2 (ja) * 2019-07-31 2021-05-19 株式会社デンタルアシスト 歯科矯正具
EP3804655A1 (en) * 2019-10-10 2021-04-14 FKS Holding Srl Balancing device for the temporomandibular joint
US11571327B2 (en) 2021-06-29 2023-02-07 Ortho-Tain, Inc. Wire and ramps in sleep habit correc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8257A (ja) * 1988-01-06 1989-07-14 Kenkichi Tsukamoto 歯科医療用治具
JPH0687860B2 (ja) * 1992-05-27 1994-11-09 善次 橋本 顎関節の位置のずれを矯正する装置
US5462066A (en) * 1994-02-10 1995-10-31 Snyder; David T. Snoring relief device
US5876199A (en) * 1997-08-28 1999-03-02 Ortho-Tain, Inc. Appliance adapted to fit many mouth and tooth sizes for orthodontic correction and other uses
RU2160567C1 (ru) * 1999-07-22 2000-12-20 Скорикова Людмила Анатольев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ривычных вывихов и подвывихов нижней челюсти
NZ525382A (en) * 2002-08-30 2004-09-24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suitable for use as sports guard
AU2004202518A1 (en) * 2003-06-13 2005-01-06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AU2008291628B2 (en) * 2007-08-29 2015-04-09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thodontic appliance
US20090165805A1 (en) * 2007-12-30 2009-07-02 Oral Technology, Llc Mouth Guard
US9375344B2 (en) * 2009-04-20 2016-06-28 All Rest Technologie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breathing assistance
JP3164673U (ja) * 2010-09-29 2010-12-09 有限会社 オーラルアカデミー 下顎位矯正訓練具
FR2973219B1 (fr) * 2011-04-01 2014-04-25 So Dis Ap F Appareil d'orthopedie fonctionnelle dento-faciale
US20130029291A1 (en) * 2011-07-29 2013-01-31 Williams Edward D Dual use exercise whitener appliance
RU117803U1 (ru) * 2011-12-26 2012-07-10 Вадим Александрович Луганский Внутриротовой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луганского
JP5564079B2 (ja) * 2012-07-26 2014-07-30 淳 大塚 歯科矯正装置
AU2013205854B2 (en) * 2012-08-31 2015-06-04 Farrell, Christopher John MR An orthodontic appliance
DE102013108292A1 (de) * 2013-08-01 2015-02-05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Mähdrescher mit einer Häcksel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6010A1 (en) 2017-04-06
EP3355839B1 (en) 2020-10-28
JP2018531059A (ja) 2018-10-25
ITUB20154030A1 (it) 2017-03-30
BR112018006512A2 (pt) 2018-10-09
CA2998093C (en) 2023-11-28
BR112018006512B1 (pt) 2022-10-25
RU2721654C1 (ru) 2020-05-21
EP3355839A1 (en) 2018-08-08
JP6941601B2 (ja) 2021-09-29
CA2998093A1 (en) 2017-04-06
US20180256388A1 (en)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3981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therapy
AU2013205854B2 (en) An orthodontic appliance
JP6941601B2 (ja) 歯−頭蓋骨−顔面機器のための歯列矯正用弾性調整装置
EP1323393A1 (en)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mouthpiece
US7887324B2 (en) Osteogenetic-orthodontic device, system, and method
AU2018333837A1 (en) An oral training appliance
JP2018531059A6 (ja) 歯−頭蓋骨−顔面機器のための歯列矯正用弾性調整装置
US11833008B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NZ545973A (en) Dental appliance
US20230058103A1 (en) Method and device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and to encourage tooth eruption and muscle efficiency of a dental patient
RU269244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дистального прикуса у детей, обусловленного ретрогнатией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hakraborty et al. Tongue: Anatomy, functions and orthodontic implications
RU154582U1 (ru)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3290250A (ja) 歯科矯正用マウスピー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歯科矯正用装置
Galella et al. Guiding Atypical Facial Growth Back to Normal. Part 2: Causative Factors, Patients Assessment, and treatment planning
KR20160079302A (ko) 턱관절 교정 장치
JP2020137899A (ja) 下顎第一大臼歯専用マウスピース
RU207536U1 (ru) Каппа с площадкой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языка
RU226096U1 (ru) Односторонний активатор чепик для вертикализации нижней челюсти
AU2015100651A4 (en) An orthodontic appliance
Irmawati et al. The role of Function Generating Bite (FGB) devices on changes of chewing patterns and muscle activity in deep bite malocclusion
Irmawati et al. The effect of orthodontic treatment with premolar extraction against the temporomandibular joint and masticatory muscles: A review
Savastano Treatment Procedures
Deshkar et al. The Influence of the Tongue on the Development of Dental Malocclusion
Strokon ALF correction of facial and postural asymme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