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875Y1 -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875Y1
KR200411875Y1 KR2020050031679U KR20050031679U KR200411875Y1 KR 200411875 Y1 KR200411875 Y1 KR 200411875Y1 KR 2020050031679 U KR2020050031679 U KR 2020050031679U KR 20050031679 U KR20050031679 U KR 20050031679U KR 200411875 Y1 KR200411875 Y1 KR 200411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onnecting member
orthodontic
support device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성민
경희문
Original Assignee
(주)덴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덴토스 filed Critical (주)덴토스
Priority to KR2020050031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8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조골에 체결(식립)되어 치열교정용 탄성체의 일측을 지지하는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지장치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회전모멘트(turning moment)가 작용되더라도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고, 지지장치의 연결부재는 치은조직 바깥으로 노출되게 구성하여 수술과 회복이 빠르도록 함으로써 치아교정이 훨씬 수월해지고 교정시간이 단축되며 환자의 고통이 경감되는 등 궁극적으로 치아교정효율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Figure 112005064276936-utm00001
마이크로 임프란트, 치열교정, 탄성체, 스크류, 회전모멘트, 치조골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MONENT RESISTING ORTHDONTIC MICROIMPLAN}
도 1 : 치열교정을 위한 시술 참고도.
도 2, 도 3 : 종래 치열교정 스크류의 정면도.
도 4, 도 5 : 치열교정 시술 예시도.
도 6 : 치열교정 다른 실시 예의 예시도.
도 7 :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8 :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9 ~ 도 21 : 본 고안 연결부재의 다양한 실시예 사시도 및 정면도.
도 22 : 본 고안 도 9의 다른 실시예 단면도.
도 23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 예의 평면도.
도 24 :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25 : 본 고안 도 24의 분해 상태 사시도.
도 26 : 본 고안 사용 상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치아 (2)(44)(58)--브라켓
(3)(21)--와이어 (4)(19)(40)--탄성체
(5)(6)(18)(26)(50)(51)--스크류 (7)(12)(32)(56)--연결부
(8)--걸림판 (9)(15)(17)(24)(29b)(53)(61)--나사부
(10)(16)(25)(29a)(45a)(55)(64)--머리부 (11)--비 나사부
(13)(39)(41)--삽입공 (14)--걸림부
(22)--탄성부재 (23)(23a)--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26a)--수직 통공 (27)(52)--연결부재
(28)--치조골 (29)--피스
(30)--평면부 (31)--나사홈
(33)(54)(62)--스토퍼 (34)--치밀골
(35)--치은조직 (36)--장공
(37)--단턱부 (38)--스프링 와셔
(40a)--걸림부 (42)--둥근튜브
(43)--각 튜브 (45)--훅
(46)(59)(60)(63)--관통공 (47)--절곡편
(48)(57)--삽입홈 (49)--결속선
(h1)--스크류 머리부 높이 (h2)--치은조직의 두께
본 고안은 치아교정을 위하여 치조골에 체결(식립)되는 탄성체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를 한 쌍으로 구성하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고,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의 연결부재는 수술과 회복이 쉽도록 치은조직 바깥으로 노출시켜 시술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술이 간단할 뿐 만 아니라 환자의 고통도 경감되며, 치아교정이 훨씬 수월하고 교정시간이 단축되는 등 궁극적으로 치아교정 효율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치열교정용 탄성체를 지지하는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열(齒列)을 교정할 때, 치아의 전면(순측면) 또는 뒷면(설측면)에 브라켓을 부착시켜 고정하고, 상기 브라켓에 강선으로 된 와이어(wire)를 연결시킨후 입 안쪽의 천궁 부분이나 치조골에 치열 교정용 스크류를 박아 고정시키고, 상기 스크류에 교정용 탄성체를 걸어 치아를 이동시키고 있다.
즉,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교정보조 치아(교정이 불필요한 일반치아)와 교정대상 치아(1)의 표면(전면 또는 뒷면)에 접착제로 브라켓(2)을 각각 접착한 다음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강선 와이어(3)로 브라켓(2)을 서로 연결하고, 입 안쪽의 천궁부분이나 치조골(齒槽骨) 부분에 치열교정용 스크류(5)를 박아 고정하고, 코일스프링이나 탄성고무 또는 각형 호선 등으로 구성된 탄성체(4)의 일측 끝부분은 와이어(3)에 고정하고, 탄성체(4)의 타측 끝 부분은 치열 교정방향과 교정력을 감안한 위치의 치조골(악골)에 식립되는 스크류(5)에 걸어 와이어(3)가 적절히 긴장되게 함으로서 교정대상 치아(1)가 정상위치로 이동하여 교정된다.
종래 치열교정용 스크류는 일반적인 나사못처럼 단순히 머리부와 나사부로 구성된 것으로, 나사부를 치조골에 식립한 후 머리부와 나사부를 연결하는 목 부분에 탄성체를 걸어 치열을 교정하게 된다. 그러나 한 개의 교정용 마이크로 스크류는 모멘트를 가할 경우 회전력에 저항하지 못한다.
그리고 기존의 스크류는 도 2와 같이 탄성체가 걸림되는 연결부(7) 상.하부 전체 외경이 같은 크기이므로 이에 거림되는 탄성체가 상.하로 움직이는 경향이 여전하여 잇몸(치은조직)에 염증이나 합병증을 유발시키고 교정시간을 지연시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가 걸림되는 연결부(12)가 상향 할수록 그 외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하여 탄성체가 연결부(12)의 상부에서 걸림되게 구성하여 탄성체의 처짐이나 유동 및 잇몸(치은조직)에 닿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부(12)의 상부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삽입공(13)을 형성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탄성체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걸림부(14)는 만곡형으로 형성하여 잇몸의 자극이나 상처를 방지하도록 하고, 비(非)나사부(15)는 머리부(16) 방향으로 상향 할수록 더욱 벌어지게 형성하여 강도 증가와 더불어 잇몸조직의 자극이나 염증을 방지하도록 한 "치열 교정용 스크류"를 본 고안자들(박효상, 배성민, 경희문)이 특허출원하여 제0233786호로 특허등록한 바 있으며, 위와 같은 종래의 치열 교정용 스크류(고정나사)들은 치조골에 매식되는 부분에 나사부(9)(17)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치조골에 미리 형성하는 매식홀 부분에 체결기구의 도움으로 나사결합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악골에 고정된 치아(앞니)가 앞으로 돌출된 경우에는 스크류를 측면 치조골에 체결시켜 탄성체로 당기면 쉽게 교정할 수 있으나, 상악골에 고정된 치아(앞니)가 밑으로 쳐진 경우에는 상위(上位)로 작용되는 힘(당기는 힘)이나 측위로 작용되는 힘을 이용하여 치아를 당겨 올리도록 함으로써 정상위로 교정하게 된다. 이때 때로는 전치부의 이동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후방 견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나 구치부의 기존 스크류 만으로는 조절이 불가능하다.
도 5와 같이 전치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법은 구치쪽 한 쪽에 한 개의 스크류를 식립하여 견인하는데, 전치부의 상방이동과 더불어 후방 이동을 얻기 위해서는 구치부의 스크류식립 위치와 아치와이어에 연결된 전치부의 훅의 높이를 조절하고, 또한 아치와이에 벤딩을 하여 조절하였으나 정확하게 치아이동을 조절하고, 또한 아치와이어에 벤딩을 하여 조절하였으나 정확하게 치아이동을 조절하기에는 대단히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의 대안으로 도 6과 같이 스크류(18)가 비록 교정대상 치아(20)의 직상부나 그 부근이 아닌 비교적 떨어진 치조골의 측부에 위치하더라도,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19) 대신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이나 강선과 같은 탄성부재(22)의 끝부분을 와이어(21)와 스크류(18)에 각각 고정 또는 연결시켜 교정대상 치아(20)를 마치 직상부에서 당겨 올리는 것과 같은 교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도 문제점이 있다. 즉, 도 6에서 처럼 교정대상 치아(20)를 들어 올리고자 하는 탄성부재(22)의 힘에 의해 스크류가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려는 회전모멘트(turning moment)가 발생된다.
상기 회전모멘트에 의해 이들 스크류(5)(18)가 도 6의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려는 경향이 있으며, 실제 이러한 모멘트를 실제 마이크로 임프란트는 지경이 작기 때문에 회전에 적절하게 저항하지 못한다.
그리고 교정대상 치아(20)가 구강 바깥으로 돌출되면서 밑으로 쳐진 경우, 교정대상 치아(20)를 위로 들어올리면서(압상력) 구강 안쪽으로 당기는 힘(후상방력)이 필요하므로 교정시술은 더욱 복잡해진다. 이러한 경우 스크류(18)가 치조골로부터 보다 쉽게 이탈하거나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가 회전 모멘트에 견디어 주면 와이에 모멘트를 주어 전치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그 반대의 이동도 가능하다.
또한 종래에는 교정부재의 회전을 방지하게 위하여 교정부재의 머리부가 치은조직 속으로 들어가도록 시술하고 있어서 치은절개에 따른 환자의 고통이 심하고 주위에 염증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사용 후 교정부재를 제거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교정부재의 머리부가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치은조직을 절개하는 시술이 필요하며, 따라서, 시술 및 치료회복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환자에게는 보다 많은 고통을 안겨주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치조골에 체결되는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를 한 쌍으로 구성한 다음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그 회전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들이 해소되는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를 제 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의 연결부재 부분에 다양한 구성의 탄성체 지지구를 구비시켜 다양한 방법으로 탄성체의 일측 끝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위치의 치조골 부분에 이격 체결되는 주 스크류 및 보조스크류와, 상기 주 스크류와 보조 스크류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주 스크류의 회전이 방지되는 또 다른 구성의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의 연결부재가 치은조직 바깥으로 노출되게 구성하여 수술과 회복이 빨라 교정시간이 단축되고 환자의 고통이 경감되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본 고안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는 치조골에 이격시켜 체결(식립)할 수 있게 나사부와 머리부를 갖는 한 쌍의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머리부에 체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의 탄성체 지지구로 구성하여 치열교정시 회전모멘트나 외압에 의한 회전이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스크류의 머리부에는 나공이 각각 형성되고, 연결부재의 양쪽 끝부분에는 장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머리부를 갖는 피스로 상기 스크류와 연결부재를 견고히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각도ㆍ체결위치ㆍ체결상태ㆍ체결여건 등에 따라 치조골에 체결되는 스크류간의 이격거리가 달라지더라도 연결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장공을 이용하여 스크류와 연결부재를 양호하게 체결할 수 있게된다.
본 고안에서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의 매식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치조골에 쉽게 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모멘트가 작용되더라도 연결부재의 양측 끝부분에 체결된 스크류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므로 치조골에 체결된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의 이완이나 유동, 그리고 분리 및 탈락이 방지되며, 스크류의 머리부와 나사부 사이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가 치조골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의 일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는 치조골(28)의 소정 위치에 이격시켜 체결(식립)할 수 있도록 나사부(24)와 머리부(25)를 갖는 한 쌍의 스크류(26)와, 상기 스크류(26)의 머리부(25)에 피스(29)로 체결되는 연결부재(27)와, 연결부재(27)의 중간 부분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의 탄성체(40) 지지구로 크게 구성되며 치열교정시 회전모멘트나 외압 등에 의한 회전이나 유동 및 탈락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한 쌍의 스크류(26)는 도 8과 같이 치조골(악골)을 파고 들어가 견고히 체결(식립)되는 나사부(24)와, 상기 나사부(24)를 소정의 치조골(28) 부분에 체결할 때 도구가 결합되는 머리부(25)와, 연결부재(27)의 표면이 면접촉되는 평면부(30)와, 머리부(25)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나사홈(31)과, 나사부(24)와 머리부(25) 를 연결하는 연결부(32)와, 상기 연결부(32)에 형성되는 스토퍼(33)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33)의 평면적은 머리부(25)의 평면적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어 치조골(28)에 체결할 때 치밀골(34) 부분에 걸리면서 과도한 진입이 방지되며, 시술 후에는 치은조직(또는 연조직이나 잇몸조직)(35)으로 덮어 싸이게 된다.
그리고, 도 8과 같이 머리부(25)의 높이(h2)는 가장 두꺼운 치은조직(35)의 두께(h1)보다 조금 높게 구성함으로써 연결부재(27)가 치은조직(35) 바깥으로 노출되며, 식립시 외과적 절개가 필요 없으므로 시술 후 고통이 적고 회복이 빨라진다.
물론, 상기 치은조직(35)의 두께(h1)는 한 쌍의 스크류(27)를 시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치은조직(35)의 최고 두께를 뜻한다.
연결부재(27)의 양쪽 끝 부분에는 피스(29)를 끼울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길쭉한 형상의 장공(36)이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고, 장공(36) 사이에는 다양한 구성의 탄성체 지지구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 장공(36) 대신 도 8과 같이 원형의 수직통공을 형성하여 피스(29)가 끼워지게 구성하는 경우, 연결부재(27)와 스크류(26)의 견고한 결합을 달성할 수 있으나, 치조골(28)에 체결(식립)되는 한 쌍의 스크류(26)가 체결각도ㆍ체결위치ㆍ체결상태ㆍ체결여건 등에 따라 이격거리가 달라지게 되므로 피스(29)가 결합 되는 위치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스크류(26)간의 이격거리가 다소 달라지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피스(29)를 체결시킬 수 있는 장공(36)이 바람직하며, 여건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수직통공(피스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구멍)을 조밀한 간격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도 22와 같이 수직 통공(26a)을 중첩되게 형성하여 스크류(26)간의 이격거리가 달라지더라도 나사홈(31)과 대응하는 수직 통공(26a)에 피스(29)를 끼워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2와 같이 중첩되는 수직 통공(26a)에 피스(29)를 끼워 체결하는 경우 길이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공(36) 보다는 우수한 체결력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피스(29)는 머리부(29a)와 나사부(29b)로 구성되며, 머리부(29a)는 공구를 결합할 수 있게 도 7과 같이 육각형 또는 다각형 구조이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드라이버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이며, 스크류(26)와 연결부재(27)를 체결할 때 스프링 와셔(38)를 사용하면 외압등에 의해 피스(29)가 이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장공(36)은 도 7과 같이 머리부(29a)가 연결부재(2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전체 내경이 같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도 15, 도 16, 도 20, 도 12와 같이 머리부(29a)가 걸림되는 요입형 단턱부(37)를 형성하여 머리부(29a)가 장공(36) 내부로 요입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턱부(37)의 평면형상은 장공(36)의 평면형상과 닮은 꼴이면 만족한다.
상기에서 머리부(29a)가 단턱부(37)로 요입되는 경우, 머리부(29a)가 많이 돌출하지 아니하므로 잇몸과의 불필요한 접촉이 방지된다.
본 고안에서 한 쌍의 스크류(26)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7)는 대체로 직사각형상의 바(Bar) 또는 블록이지만 땅콩형상이나 타원형상, 또는 이들의 변형형상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에 국한됨이 없이 이격하여 위치하는 한 쌍의 스크류(26)를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중앙부에 탄성체(40)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는 형상 구조이면 만족한다.
본 고안에서 탄성체 지지구는, 연결부재(27)의 중앙부에 탄성체(40)를 끼워 결합할 수 있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의 삽입공(39)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삽입공(41)이나, 또는 이들의 변형 형상의 삽입공을 각각 또는 혼합 형성하거나, 또는 연결부재(27)의 상부면(또는 하부면)에 접합(용접, 접착 등) 또는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둥근튜브(42), 각 튜브(43), 브라켓(4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둥근튜브(42), 각 튜브(43) 내부에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되며, 만곡구조의 브라켓(44)은 일측으로 개방되어 와이어 및/또는 결속선 등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도 15 내지 18은 연결부재(27)의 측면이나 상부면 또는 측면과 상부면에 1개 이상 복수 개의 훅(45)을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접합시켜 스프링과 같이 걸고리를 갖는 탄성체를 걸어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훅(45)은 탄성체가 걸려 있도록 외경이 큰 머리부(45a)가 끝부분에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와이어나 결속선을 끼워 고정할 수 있으므로 도 18, 도 19와 같이 훅(45) 부분의 상부나 하부 또는 상하부에 관통공(46)을 수평이나 경사 지게 형성함으로써 탄성체를 다양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9는 연결부재(27)의 상부면에 "ㄱ"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편(47)을 일체형 또는 접합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켜 탄성체를 걸어 지지하거나 묶어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삽입공(39)은 세로방향으로 길쭉한 장방형으로 형성하여 탄성체(40)의 유동이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물론, 치열교정 여건에 따라 상기 삽입공(39)은 도면으로 도시한 것처럼 가로방향으로 길쭉한 장방형 구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정사각형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0, 도 21과 같이 연결부재(27)의 중앙 상부면에 일측으로 개방된 만곡형 브라켓(44)을 복수 개로 대향 고정시켜 브라켓(44)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홈(48)으로 탄성체(40)를 삽입한 다음 결속선(49)으로 묶어 고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부재(27)의 측면으로 형성되는 삽입공(39)과 브라켓(44) 사이의 삽입홈(48)에 탄성체(40)를 각각 끼워 동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교정개소가 복수 개소이거나 충분한 탄지력을 얻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브라켓(44)을 2개 한 쌍으로 구성하는 경우 탄성체(40)의 고정방향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변경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도 20 및 도 21과 같이 브라켓(44)을 2개 2쌍으로 구성하여 탄성체(40)를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를 치조골(28)에 체결할 때 치은조직이 접하는 연결부재(27)와 훅(45)과 피스(29) 등은 표면이 매끄럽 게 면가공하여 치은조직의 염증을 감소시키거나 염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도 9, 도 10, 도 13, 도 22는 삽입공(39)과 각 튜브(43)를 혼용 구성한 것이고, 도 14는 삽입공(39)과 둥근튜브(42)를 혼용 구성한 것이고, 도 15, 도 16, 도 17, 도 18은 삽입공(39)과 훅(45)을 혼용 구성한 것이고, 도 20, 도 21은 삽입공(39)과 브라켓(44)을 혼용 구성한 것이고, 도 19는 삽입공(39)과 절곡편(47)을 혼용 구성한 것이다. 물론 도면이나 설명으로 예시한 이외의 구성으로 적절히 혼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4, 도 25는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a)의 사시도로, 탄성체(40) 또는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주 스크류(50)와, 상기 주 스크류(50)와 이격하여 설치되는 보조스크류(51)와, 주 스크류(50)와 보조 스크류(51)를 연결하여 주 스크류(5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연결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주 스크류(50)는, 나사부(53)의 상부에 스토퍼(54)와, 머리부(55)와, 연결부(56)와, 삽입홈(57)을 갖는 브라켓(58)이 차례로 형성되고, 머리부(55)와 브라켓(58)에는 관통공(59)(60)이 각각 형성된다.
보조 스크류(51)는 나사부(61)의 상부에 스토퍼(62)와 관통공(63)을 갖는 머리부(64)가 형성되며, 주 스크류(50)의 관통공(60)과 보조 스크류(51)의 관통공(63)은 연결부재(52)로 연결시켜 구성함으로써 탄성체(40) 또는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주 스크류(5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머리부(55)(64)는 도구로 집 거나 결합할 수 있게 육각형 또는 다각형 구조이다.
상기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a)는 주 스크류(50)의 연결부(56) 상부에 삽입홈(57)을 갖는 브라켓(58)을 형성한 것으로 일 예를 들었으나, 물론, 상기 브라켓(58) 대신 연결부(56) 상부에 둥근튜브(42), 각 튜브(43), 절곡편(47)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혼용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머리부(53) 또는 연결부(56) 상부에 별도의 머리부를 형성한 다음 사각형의 삽입공(39)이나, 원형 또는 타원형의 삽입공(41)이나, 또는 이들의 변형 형상의 삽입공을 각각 또는 혼합 형성하여 구성하여 탄성체(40) 또는 탄성부재를 다양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 나사부(24)의 길이는 시술 대상자와 시술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예컨데, 성인, 청소년, 어린이, 남여와 같이 시술 대상자가 달라지거나 시술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3㎜ ~ 8㎜의 길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치은조직이 비교적 두꺼운 입천정 등에 사용하는 경우 나사부(24)의 길이는 5㎜ 전ㆍ후로 형성하고, 상(上)ㆍ하(下)악골 부위에 식립하는 경우 식립부위에 따라 2㎜ ~ 6㎜ 전ㆍ후의 길이로 형성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하(下)악골에 식립하는 경우 나사부(24)의 길이는 3㎜ ~ 6㎜ 전ㆍ후로 하고, 나머지 부분은 2㎜ ~ 6㎜ 전ㆍ후로 형성하면 되며, 이는 한 예를 들어 그렇다는 것이다.
도 26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사용 상태도로, 교정대상 치아(20)의 교정방향과 교정력을 감안한 소정위치의 치조골(28) 부분에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23a)를 체결시켜 치열을 교정하게된다.
한 쌍의 스크류(26)를 사용하는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의 경우, 도구(도시안됨)를 이용하여 2개의 스크류(26)를 치조골(28) 부분에 이격시켜 체결한 다음 평면부(30)에 연결부재(27)를 접촉시킨 후, 피스(29)로 체결하면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가 견고히 고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교정대상 치아(20)를 결찰하고 있는 탄성체(40)의 끝 부분을 삽입공(39), 다른 삽입공(41), 둥근튜브(42), 각 튜브(43), 브라켓(44) 등의 지지수단에 끼우거나 걸림되게 설치한 다음, 절곡시켜 걸림부(40a)를 형성하면 탄성체(40)의 견고한 지지가 달성되며, 훅(45)의 경우 탄성체의 걸고리를 훅(45) 부분에 걸어주면, 마찬가지로 탄성체(40)의 견고한 지지가 달성된다.
이 때 교정대상 치아(20)는 탄성체의 교정력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위치이동하여 교정되며,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26)와 스크류(26)의 머리부(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7)에 의해 교정력(회전모멘트)이나 외압에 의한 회전이 방지되므로 교정시간이 단축되며 환자의 고통이 경감된다.
또한 주 스크류(50)와 보조스크류(51) 및 연결부재(52)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a)의 경우, 교정방향과 교정력과 감안한 치조골(28) 부분에 주 스크류(50)와 보조 스크류(51)를 각각 이격시켜 체결한 다음 주 스크류(50)의 관통공(60)과 보조 스크류(51)의 관통공(63)은 연결부재(52)로 연결시키면 탄성체(40) 또는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주 스크류(50)의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연결부재(52)는 관통공(60)(63)으로 각각 끼워 돌출시킨 다음 절곡시켜 분리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치조골(28)은 외부에 치밀골(34)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망상 연조직이 형성되며, 본 고안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를 체결할 때 스크류의 나사부(24)는 상기 망상조직 사이를 파고 들어가게 되며, 망상조직은 생장하면서 외부로 부터 침입한 나사부(24)를 빙둘러 감싸게 되므로 스크류(26)가 치조골(28)에 견고히 고정된다.
치열교정이 끝나 스크류(26)를 치조골(28)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나사부(24)가 빠져 나감에 따라 치조골(28) 내부에 중공이 생기게 되나 망상 연조직이 생장하면서 중공이 메워지고, 나사부(24)가 삽입되었던 치밀골(34) 부분은 골생성 세포(Osteo blast)에 의해 메워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스크류(26)의 연결부(32)에는 스토퍼(33)가 형성되어 치조골(28)로의 과도한 체결이 방지되며, 스크류(26)의 머리부(25)는 육각형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구를 이용하여 치조골(28)에 체결할 때 큰 힘 들이지 않고서도 쉽게 체결(식립)할 수 있게된다.
또한, 본 고안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23)는 치열교정 뿐 아니라 각종 치과치료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치조농루 등의 치주질환에 의하여 동요하고 있는 치아의 고정이나, 새로 돋아날 예정치아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치아의 고정이나, 소아에 있어서의 디스탈슈우(distal shoe)로서의 제1 큰어금니의 고정이나, 뻐드렁니가 되려고하는 치아의 고정이나, 이식치의 고정이나, 새로 돋아나기 곤란한 치아의 견인이나, 상의치(床義部) 파절부(破折部)의 보강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미 설명 부호 (65)는 탄성체 또는 탄성부재를 치아에 접합된 브라켓에 결찰시키는 밴드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는 한 쌍의 스크류와 연결부재 및 탄성체 지지구로 구성되어 회전이 방지되므로 치아 교정방향이나 치아 교정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와 탄성체 지지구는 치은조직 바깥으로 노출되어 수술이 간편하고 회복이 빠를 뿐 아니라, 치아교정이 훨씬 수월하고 교정시간도 단축되어 환자의 고통이 경감되는 등 궁극적으로 치아교정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의 중앙부에는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탄성체 지지구가 구비되어 탄성체를 쉽게 걸어 고정하거나 삽입시켜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등 치아교정효과가 극대화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9)

  1. 치열교정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치조골에 체결되는 한 쌍의 마이크로 임프란트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연결시켜 고정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탄성체 지지구와, 상기 연결부재와 스크류에 체결하는 피스로 구성하여서 된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치조골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도구가 결합되는 머리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표면이 면접촉되는 평면부와, 상기 머리부에 형성되는 나사홈과, 상기 나사부와 머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로 구성하여서 된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쪽 끝 부분에 피스가 결합되는 장공이 수직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 상기 연결부재는 양쪽 끝 부분에 피스가 결합되는 수직 통공이 중첩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머리부의 높이(h2)는 가장 두꺼운 치은조직의 두께(h1)보다 조금 높은 높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지지구는 연결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사각형 삽입공ㆍ타원형 삽입공ㆍ연결부재에 고정되는 둥근튜브ㆍ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각 튜브ㆍ연결부재에 고정되는 브라켓ㆍ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절곡편ㆍ연결부재에 고정되는 훅들중 적어도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 삽입공은 직사각형 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8. 삭제
  9. 삭제
KR2020050031679U 2005-11-08 2005-11-08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KR200411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679U KR200411875Y1 (ko) 2005-11-08 2005-11-08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679U KR200411875Y1 (ko) 2005-11-08 2005-11-08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425 Division 2005-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875Y1 true KR200411875Y1 (ko) 2006-03-21

Family

ID=4176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679U KR200411875Y1 (ko) 2005-11-08 2005-11-08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8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212B1 (ko) 2007-07-10 2009-03-06 함종욱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장치
KR100943420B1 (ko) * 2008-02-18 2010-02-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212B1 (ko) 2007-07-10 2009-03-06 함종욱 치과용 임플란트 고정장치
KR100943420B1 (ko) * 2008-02-18 2010-02-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966B1 (ko) 치열교정장치
US5853291A (en) Subperiosteal bone anchor
US6827574B2 (en) Skeletal transmucosal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US5938437A (en) Bony anchor positioner
US8662889B2 (en) Arch bars for use in maxillofacial surgery and orthodontics
JP3751562B2 (ja) 皮質骨切り術による急速歯列矯正方法及びその矯正器具
US9687323B2 (en) Temporary anchorage device with external plate
US20070259306A1 (en) Orthodontic Plate and Method
US4988292A (en) Abutment for orthodontic anchorage to a dental implant fixture
EP0823244A2 (en) Supporting body for use in orthodontic appliance
EP0947177A2 (en) Orthodontic anchor appliance
US7637741B2 (en) Orthodontic anchor
KR100676130B1 (ko) 교정용 구개측 고정판
US8113826B2 (en) Biased palatal bone expander
KR200411875Y1 (ko) 치열교정용 마이크로 임프란트 지지장치
JP3651640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KR102263933B1 (ko) 경구개 손상을 최소화한 치열교정용 지지부재
JP3238934U (ja) シェル型歯科矯正器具用の補助矯正装置、矯正器具および矯正システム
KR101646905B1 (ko) 구개고정용장치
US20040197726A1 (en) Clip type orthodontic anchor
KR101108104B1 (ko) 치열교정기구
KR101156864B1 (ko) 교합평면의 기울어짐을 교정하는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과교정장치
CN216933534U (zh) 磨牙直立簧
KR101129111B1 (ko) 악교정 수술기구
KR20170072672A (ko) 치과 교정치료용 고정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