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017B1 -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017B1
KR101954017B1 KR1020180046046A KR20180046046A KR101954017B1 KR 101954017 B1 KR101954017 B1 KR 101954017B1 KR 1020180046046 A KR1020180046046 A KR 1020180046046A KR 20180046046 A KR20180046046 A KR 20180046046A KR 101954017 B1 KR101954017 B1 KR 10195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impression material
width
maxillary
mand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일
Original Assignee
임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6797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540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임재일 filed Critical 임재일
Priority to KR102018004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면에 상악절개홈을 형성하고, 상기 상악절개홈 후방 내측면으로 상악삽입홈을 갖는 상악가드; 상기 상악가드의 하부에 결합 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하악절개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악절개홈 후방 내측면으로 하악삽입홈을 갖는 하악가드; 상기 상악가드 및 하악가드 내측면의 상악삽입홈 및 하악삽입홈에 끼워지며 상하악가드를 전체적으로 외측방향으로 활개시키며 폭 확장 가능하도록 삽입게재되는 폭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치과 환자의 구강 구조, 치아 배열 구조에 따라 능동적으로 인상재 트레이의 폭 조절로 최적화된 치과 치료용 인상재 또는 코골이 방지를 위한 턱관절 교정용 인상재를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치과 치료용 또는 코골이 증상 교정용 인상재 채득을 위한 트레이의 폭 조절 과정을 단순화하여, 종전과 같이 인상재 트레이를 구강내 삽입 및 조절 과정을 반복하며 조절하는 번잡함 없이 인상재 트레이의 조절 작업 용이에 의한 환자의 피로도를 줄임은 물론, 환자의 구강내 치아 배열 및 잇몸의 벌어짐 각도 상이(相異)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어 모든 환자의 구강에 착용감이 자연스럽도록 하고, 착용 부작용에 따라 동반되는 잇몸 표면 조직의 염증 질환 발생을 방지하고, 장시간 및 장기간 착용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치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The mouth cavity impression material tray width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상 된 치아의 치료 또는 코골이 환자의 수면시 무호흡 증상을 치료, 완화하기 위하여 구강구조가 다른 환자들의 구강 및 치열 상태 등을 인상하기 위한 인상재를 획득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는 치아의 교정 및 새로운 의치의 제작을 위해 치아의 모형을 제작, 사용하게 된다.
치과 치료에 있어서 치아의 인상 채득과정이란, 치아의 결손을 치료하기 위한 용도를 위해 채득하거나 또는 코골이 환자 등이 수면시 치아의 상태를 인위적으로 조정, 조절하여 수면 장애를 유발하는 코골이 증상을 완화, 치료하기 위한 용도로 환자의 구강 상태를 채득하는 등, 매우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을 위해 치아의 인상을 채득하고 있다.
통상적인 인상재 채득과정을 살펴보면 인상재를 얻기 위한 트레이를 사용하여 해당 환자의 치아 인상을 뜬 후 기공소에 보내어 석고모형 또는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인상재 탑재를 위한 트레이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구강내 치료 부위, 상태 및 인상재의 종류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선별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트레이에 가득 담은 인상재(치형을 만들기 위하 유동성을 갖는 실리콘)를 환자의 구강내에 인입하여 고형화 시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상재를 얻기 위한 트레이 구조는 치과 환자의 구강 구조에 상관없이 획일적인 규격(크기나 폭)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구강 구조가 큰 환자 또는 구강 구조가 상대적으로 작은 환자 모두에게 일률적인 적용을 통하여 인상재를 채득하고 있어, 정밀한 구조를 갖는 인상재를 얻기가 불가능하다.
아울러, 치과에서 채득되는 인상재는 치과 치료용으로도 활용되지만 코골이 환자에게도 유용한 치료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수면시 코를 고는 증상은 안면 구조에서 턱의 비정상적 위치를 갖는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턱관절 구조의 중요성으로 인하여 구조적 불안정성을 갖는 턱관절 구조를 올바르게 교정하여 코골이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시도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코골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코골이 방지 수술을 시행하거나, 또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등을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는데 수술의 경우, 양압환기방식(positive ventilation methods) 및 하악 전진, 혀의 앞쪽 이동 또는 양자의 결합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사용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가장 통상적 수술방법 중 하는 구개수구개성형술로, 연개구의 일부를 제거하여 수면동안 인후 기도의 폐쇄를 방지하는 수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방법은 수일의 입원 및 몇주의 회복 주기를 요하게 되어 가장 고치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적용되며, 아울러 예상치 못한 현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 일반 환자들에게는 비가역적 치료를 선호하지 않게 되고, 이와는 달리 뼈 고정구 삽입 또는 목젖에 자석의 이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술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여전히 환자들에게는 선호되지 않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양압식 호흡법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호흡법은 그 중 가장 통상적인 것이 지속적 기도양압(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으로, 이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가압 공기를 잠자는 환자에게 공급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CPAP 의 이용은 대개 수면의 질과 삶의 질에서 즉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지만 CPAP 장치에 수반되는 마스크와 호스 등의 구성에 의해 일반 환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술방법 또는 치료방법으로 제안되는 것들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인 측면 및 선호도등에 의해 크게 꺼려지는 문제가 있고, 앞서 전술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제공하는 교정용 베개의 경우 수면 상태에서 몸을 뒤척이는 경우 목 뒷부분을 받쳐주는 베개로부터 이탈되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한 수술방법 또는 치료방법들 중에서 턱관절을 이용하여 치료 또는 교정을 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데 입안의 치아 구조에 부합되는 치아가드 또는 도구를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를 위하여 고체상의 성형폼으로 형성되는 보조 기구를 윗니 또는 아랫니 잇몸에 부착하여 착용자가 그 기구를 물고 있어 턱관절을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구강내 치열 상태를 인상 채득하여 얻거나 또는 인상 채득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일률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수면시 환자의 턱을 앞으로 전진 된 상태를 유지하여 코골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은 서로 다른 형태, 크기를 갖는 치아나 관절 구조에 모두 부합되는 턱관절 교정패드 또는 교정가드를 제작할 수 없어, 환자 상태에 맞는 정확하고 정교한 교정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환자에 맞게 제작하는 경우 그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는 단점을 갖게 된다.
예컨데 이와 같은 턱관절의 교정을 통하여 하악 전진을 이루도록 설계되는 교정장치등이 있는데, 이러한 하악 전진 이동에 의존할 경우 혀의 윗부분이 인두후벽에 대하여 이완되는 경향을 크게 줄여, 코골이와 많은 경우 수면 무호흡 증상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즉 하악의 전진은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혀를 앞으로 받치게 하는 것인데, 상기한 증상의 완화를 위해서는 5 ~ 10 mm 정도의 하악 전진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악 전진을 위한 장치 또는 교정도구들은 한 쌍의 별개로 이루어지는 활모양의 치아 결합유닛 즉 치아가드를 기초적 구성으로 한다.
이들 각각은 서로의 상보적 면에 접하는 대체로 편평한 면을 갖도록 하며, 적절한 경우 상악(上顎) 또는 하악(下顎) 치열의 모두 또는 일부와 정확히 맞물리도록 설계되며 마주보는 치열결합면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하악 전진 방법들을 이용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개시되어 있는 선행 특허들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10-6504 호의 '코골이 방지 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C자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를 코에 삽입한 이후에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콧구멍의 면적을 확대하는 보조역할을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면 중의 호흡에 장애를 가져와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구강구조내에 삽입하여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시되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96129호에서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장치를 들 수 있는바, 구강에 삽입하여 호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종래 기술에서는 치아 안착홈이 기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수면시 이탈되거나 고정성을 확보할 수 없어 본 종래 기술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각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상기한 여타의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주로 코골이 방지에만 적용 가능할 수 있어, 턱관절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코골이 방지 기능의 역할은 수행할 수 있더라도 턱관절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수면시 착용되는 상기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장기간 사용할 시, 턱관절에 구조적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그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또는 고착화되어 턱관절의 교정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코골이의 방지 및 무호흡 증상 완화와 상기한 턱관절의 교정까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33386 호인,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치아가 배열된 형태의 원호를 이루는 경성 중심 골격 경성 중심 골격의 상면에 접착 형성된 상부 부재 및 경성 중심 골격의 하면에 접착 형성된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사용시 열을 가하여 연성으로 만들고, 사용자가 깨물어 사용자의 치아 형태에 맞게 성형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교정되는 과정에 따라 상기 교정장치를 새롭게 맞추거나 성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정환자가 턱관절 교정 상태에 따라 해당 되는 교정장치를 자신이 스스로 조절하게 되는 경우 비교적 정확하지 못한 구성들의 조합에 의해 정확한 교정이 어렵게 되거나, 물리적으로 잘못 조절되어 비뚤어지는 상태로 교정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이러한 잘못된 교정이 고착되어 교정 불능 상태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교정장치들은 환자 인상 맞춤형으로 기공소에서 제작되는데, 교정환자의 이가 빠기제 되는 경우 임플란트 등의 치료를 받을 때 임프레이션을 다시 떠 교정장치를 재 제작하여야 하므로, 교정 비용 및 시간 등이 더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과 치료를 위해 선행되는 것은 환자의 치열 상태를 얻기 위한 인상재를 얻거나, 코골이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하여 교정하기 위한 장치로 기구를 이용한 교정장치 또는 인상재를 구강내에 삽입하여 수면시에만 착용하여 하악이 전진 이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교정수단을 취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치과 치료 또는 코골이 환자에 적용되는 교정장치 등을 얻기 위해, 환자의 구강 상태를 인상재로 채득하고자 할 때 인상재 트레이를 입안에 삽입시 환자의 구강상태 특히 크기나 폭 등에 따라 다양한 인상재 트레이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는 물론, 균일화된 인상재 트레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환자에 정밀한 인상재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한 해소 방안 중의 하나로 공개특허 10-2017-0142385 가 있으나, 다수개로 구성되는 구성편들을 나사의 조임 및 풀림에 의해 인상재 트레이의 폭을 넓이는 구조가 제시되고 있으나, 다수 구성편들의 조임 및 풀림 작업을 반복하여 원하는 폭을 얻게 되므로 그 작업이 번잡하고, 헐거워진 상태로 인상재를 채득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어 정밀한 인상재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7-0142385 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10-6504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596129 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33386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치과 환자의 치과 치료를 위한 인상재 채득 또는 코골이 환자가 수면시 코고는 증상을 완화, 교정하기 위한 교정수단을 얻기 위한 인상재 채득시 환자의 구강 상태 및 구강 크기나 치열 상태 등을 고려하여 환자의 구강에 적합한 인상재를 얻을 때 인상재 트레일의 폭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정교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를 얻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측면에 상악절개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상악절개홈(110) 후방 내측면으로 상악삽입홈(120)을 갖는 상악가드(100);
상기 상악가드(100)의 하부에 결합 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하악절개홈(210)을 형성하고, 상기 하악절개홈(210) 후방 내측면으로 하악삽입홈(220)을 갖는 하악가드(200);
상기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 내측면의 상악삽입홈(120) 및 하악삽입홈(220)에 끼워지며 상하악가드(100,200)를 전체적으로 외측방향으로 활개시키며 폭 확장 가능하도록 삽입게재되는 폭조절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 환자의 구강 구조 또는 치아의 배열 구조에 따라 능동적으로 인상재 트레이의 폭을 조절하여 환자에 최적화된 치과 치료용 인상재 또는 코골이 방지를 위한 턱관절 교정용 인상재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치과 치료용 또는 코골이 증상 교정용 인상재 채득을 위한 트레이의 폭 조절 과정이 단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종전과 같이 인상재 트레이를 구강내 삽입 및 조절 과정을 반복하며 조절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회피하여 인상재 트레이의 조절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여 환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구강 구조 즉 구강내 치아 배열 및 잇몸의 벌어짐 각도 상이(相異)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환자의 구강에 착용감이 자연스럽도록 하고, 착용 부작용에 따라 동반되는 잇몸 표면 조직의 염증 질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하고, 장시간 및 장기간 착용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치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결합된 사시도면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상악가드만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상악가드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하악가드만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면
도 6은 도 1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의 폭조절부와 상악(하악)가드간의 결합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평단면도
도 8은 도 7에 의한 상태에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폭조절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첨부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치과 환자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여 치열 상태를 인상 채득하거나 또는 구강 특히 수면시 무호흡 증상을 동반하며 코골이 현상을 갖는 폐쇄성 수면성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oea) 환자의 구강에 착용하여 하악을 상악보다 일정정도 전진 이송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면 동안 코골이 증상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 착용되는 것으로 상악가드(100)와 하악가드(200)를 하나의 셋트로 제공하고, 상악가드(100)와 하악가드(200) 내부에 게재되어 상하악가드(100,200)를 외측방향으로 벌릴 수 있도록 하는 폭조절부(3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상악가드(100)는 안착홈(130)이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악가드(100)의 내측면에 상악절개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상악절개홈(110) 후방 내측면으로 상악삽입홈(120)이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상악가드(100)가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구강에 착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악가드(200)는 상악가드(100)와 대향 구성되는데, 안착홈(230)이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악가드(200)의 선단 내측면에 하악절개홈(210)을 형성하고, 상기 하악절개홈(210) 후방 내측면으로 하악삽입홈(220)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 특히 코골이 환자의 수면시 코골이 증상을 완화, 예방하기 위한 인상재 채득 및 치과 치료 환자의 치아 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악가드(100)와 하악가드(200)의 결합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본원인에 의해 기 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10-1710840 호인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의 일 구성을 차용하여 실시하였다.
즉, 상기 상악가드(100) 전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이어지는 텐션결합부(150)를 이루고, 상기 하악가드(200) 전방 상측면에 상기 텐션결합부(150)와 대응되는 톱니결합부(250)를 형성하고, 상기 텐션결합부(150)에 끼워지며 상기 톱니결합부(250)와 텐션 고정 결합되는 고정결합구(160)를 이루고, 상기 상악가드(100)의 하면과 하악가드(200)의 상면간 결합되며 하악가드(200)의 전진 이송을 가이드하는 상악 및 하악 가이드부(170,260)로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상악가드(100)와 하악가드(200)의 안착홈(130,230)은 환자의 치아 상태를 본 뜨기 위한 인상재가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인상재 채득을 위해 상악가드(100)와 하악가드(200)를 활용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와 달리 상악가드(100)의 안착홈(130)과 하악가드(200)의 안착홈(230)에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형상기억소재에 의해 형상화되는 상악상면커버부재(140)와 하악하면커버부재(240)를 각각 결합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악상면커버부재(140)와 하악하면커버부재(240)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채득되는 인상재라기 보다는, 환자의 치열에 부합되도록 성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악상면커버부재(140)의 상면과 하악하면커버부재(240)의 하면은 환자의 치열에 부합되도록 성형된다.
또한 상악상면커부재(140)와 상악가드(100)의 결합구조 및 하악하면커버부재(240)와 하악가드(200)의 결합구조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악상면커버부재(140)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돌출 돌기를 형성하고 상악가드(100)의 상방측 안착홈(130)에 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고, 하악하면커버부재(240)의 상면으로 돌출 돌기를 형성하고 하악가드(200)의 하방측 안착홈(230)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상악 및 하악커버부재(140,240)와 상악 및 하악가드(100,200)간 결합을 위한 구성, 구조는 다양한 방법과 실시 형태에 의해 결합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상악가드(100)와 하악가드(200)는 대량 생산에 의해 공급 가능하고, 병원에 내방하는 환자의 치열 상태에 따라 상기 상악상면커버부재(140)와 하악하면커버부재(240)를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 공급할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을 크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악상면커버부재(140)와 하악하면커버부재(240)를 형상기억소재로 성형하는 것은 환자의 구강내 본 발명이 착용 될 때 온도변화에 따라 형상 변이가 발생될 수 있는데 수면 상태를 끝내고 본 발명을 구강내에서 탈거한 후 일정시간 경과하게 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상면커버부재(140)와 하악하면커버부재(240)를 단순하게 치열 배치 상태만을 얻은 후 결합하건 또는 환자의 치열 상태를 본을 뜬 다음 즉 인상채득한 다음 상기한 일예들에 의한 구성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치과 치료를 위한 인상재를 채득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비교적 간단한 형태를 갖는 전술한 상악상면커버부재 또는 하악하면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이 환자의 치아 상태를 정교하게 본을 뜨는 인상재와 전술한 상악상면커버부재, 하악하면커버부재를 통틀어 인상재로 명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언급되는 인상재는 이러한 통상적인 인상재를 포함하여, 전술한 상악상면커버부재 또는 하악하면커버부재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폭조절부(300)는 상기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 내측면의 상악절개홈(110) 및 하악절개홈(210)에 끼워지며 상하악가드(100,200)를 전체적으로 외측방향으로 활개시키며 폭 확장 가능하도록 삽입게재되는 구성으로, 환자의 구강 상태 즉 치열의 구강 구조 활개 각도 여부 및 턱관절이 벌어져 있는 정도 등에 따라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의 폭이 조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의 폭에 의해 환자가 구강내에 삽입하였을 때 안정감에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고, 착용시 불편함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의 폭 조절을 통하여 환자의 구강 구조에 가장 최적화된 인상재를 얻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폭조절부(300)를 제공하게 되는데 상기 폭조절부(300)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악가드(100)와 하악가드(200) 내측면에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중앙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환부(310)를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이어지며 상방측을 커버하게 되는 상방커버부(320)를 이루고, 상기 환부(310)의 외측으로부터 이어지며 하방향으로 연하여 이루어지는 하방측면커버부(330)를 이루어 전체적으로 "∩"형태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340)를 형성하되, 상기 상방커버부(320)의 외측면과 하방측면커버부(330)의 외측면에 각각 삽입돌부(331,341)를 형성하여 상기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 내측면의 상악삽입홈(120) 및 하악삽입홈(220)에 끼워지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내부의 공간부(340)는 환자의 혀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폭조절부(300)는 규격별로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그 폭의 대소(大小)에 따라 다수의 폭조절부(300)를 구비하여, 환자의 구강 상태에 적합한 폭조절부(300)를 선택하여 결합되어 있는 상악가드(100)와 하악가드(200)의 내측면에 끼워 폭조절부(300)의 삽입돌부(341)가 상악삽입홈(120) 및 하악삽입홈(22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는 내측 전면에 형성된 상악절개홈(110) 및 하악절개홈(210)에 의해 폭조절부(300)의 폭에 대응하여 벌어지게 되어, 환자의 구강 구조에 적합한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서는 이러한 폭조절부(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방커버부(320)를 이등분하여 대향되는 상태에서 내측단면에 암나사공(321)을 천공하고 상기 암나사공(321)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322) 및 상기 나사봉(322) 중앙의 핸들(323)을 형성하여, 상기 핸들(323)의 조작에 따라 나사봉(322)과 결합된 이등분되어 이격된 상태의 상방커버부(320)가 좌우로 벌어지거나 조여지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폭조절부(300)를 이용할 경우 환자 등이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를 결합한 상태에서 폭조절부(300)를 상악가드(100)와 하악가드(200) 내측면에 위치시키며 상악삽입홈(120)과 하악삽입홈(220)에 폭조절부(300)의 삽입돌부(341)를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한 후,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하여 핸들(323)의 조작에 따라 환자 구강 조건에 부합되는 최적의 폭 조정을 통하여 인상재를 채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상악가드 110; 상악절개홈
120; 상악삽입홈 130; 안착홈
140; 상악상면커버부재 150; 텐션결합부
160; 고정결합부 170; 상악가이드부
200; 하악가드 210; 하악절개홈
220; 하악삽입홈 230; 안착홈
240; 하악상면커버부재 250; 톱니결합부
260; 하악가이드부 300; 폭조절부
310; 환부 320; 상방커버부
321; 암나사공 322; 나사봉
323; 핸들 330; 하방측면커버부
331; 삽입돌부 340; 공간부
341; 삽입돌부

Claims (3)

  1. 내측면에 상악절개홈(110)을 형성하고, 상기 상악절개홈(110) 후방 내측면으로 상악삽입홈(120)을 갖는 상악가드(100);
    상기 상악가드(100)의 하부에 결합 되는 것으로 내측면에 하악절개홈(210)을 형성하고, 상기 하악절개홈(210) 후방 내측면으로 하악삽입홈(220)을 갖는 하악가드(200);
    상기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 내측면의 상악삽입홈(120) 및 하악삽입홈(220)에 끼워지며 상하악가드(100,200)를 전체적으로 외측방향으로 활개시키며 폭 확장 가능하도록 삽입게재되는 폭조절부(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부(300)는 외측면으로 돌출되는 환부(310)를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이어지며 상방측을 커버하게 되는 상방커버부(320)와, 상기 환부(310)의 외측으로부터 이어지며 하방향으로 수직상 연하여 이루어지는 하방측면커버부(330)를 이루어 전체적으로 "∩"형태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340)를 형성하되, 상기 상방커버부(320)의 외측면과 하방측면커버부(330)의 외측면에 각각 삽입돌부(331,341)를 형성하여 상기 상악가드(100) 및 하악가드(200) 내측면의 상악삽입홈(120) 및 하악삽입홈(220)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커버부(320)를 이등분하여 이격 대향되는 상태에서 내측단면에 암나사공(321)을 천공하고 상기 암나사공(321)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봉(322) 및 상기 나사봉(322) 중앙의 핸들(323)을 형성하여, 상기 핸들(323)의 조작에 따라 나사봉(322)과 결합된 이등분되어 이격된 상태의 상방커버부(320)가 좌우로 벌어지거나 조여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KR1020180046046A 2018-04-20 2018-04-20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KR10195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46A KR101954017B1 (ko) 2018-04-20 2018-04-20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46A KR101954017B1 (ko) 2018-04-20 2018-04-20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017B1 true KR101954017B1 (ko) 2019-05-22

Family

ID=6667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46A KR101954017B1 (ko) 2018-04-20 2018-04-20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950A1 (en) * 2021-02-18 2022-08-25 The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Inc. Dentoalveolar trauma stabilizer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129B1 (ko) 2004-08-02 2006-07-03 황청풍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KR20100006504U (ko) 2008-12-17 2010-06-25 조영철 코콜이방지보조기
WO2010117398A1 (en) * 2009-04-08 2010-10-14 Lax Ronald 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positioning the mandible
KR20120009478A (ko) * 2009-05-19 2012-02-01 김태형 의치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20033386A (ko) 2010-09-30 2012-04-09 조아라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KR101302702B1 (ko) * 2013-05-16 2013-09-03 김종화 틀니 제작용 상하트레이 장치
KR101466158B1 (ko) * 2014-10-07 2014-12-01 정성락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WO2016191826A1 (en) * 2015-06-04 2016-12-08 Nowtray Pty Ltd Dental trays or mouthguards
KR101710840B1 (ko) * 2016-09-26 2017-02-28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KR20170142385A (ko) 2016-06-17 2017-12-28 서성철 크기 조절이 가능한 치아 인상재 탑재용 트레이 유닛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129B1 (ko) 2004-08-02 2006-07-03 황청풍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KR20100006504U (ko) 2008-12-17 2010-06-25 조영철 코콜이방지보조기
WO2010117398A1 (en) * 2009-04-08 2010-10-14 Lax Ronald 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positioning the mandible
KR20120009478A (ko) * 2009-05-19 2012-02-01 김태형 의치 제작 방법 및 장치
KR20120033386A (ko) 2010-09-30 2012-04-09 조아라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KR101302702B1 (ko) * 2013-05-16 2013-09-03 김종화 틀니 제작용 상하트레이 장치
KR101466158B1 (ko) * 2014-10-07 2014-12-01 정성락 상악구치부의 3차원적 치아 이동 구조물
WO2016191826A1 (en) * 2015-06-04 2016-12-08 Nowtray Pty Ltd Dental trays or mouthguards
KR20170142385A (ko) 2016-06-17 2017-12-28 서성철 크기 조절이 가능한 치아 인상재 탑재용 트레이 유닛
KR101710840B1 (ko) * 2016-09-26 2017-02-28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950A1 (en) * 2021-02-18 2022-08-25 The Medical College Of Wisconsin, Inc. Dentoalveolar trauma stabiliz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617B1 (ko)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KR101590813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
EP1867309B1 (en) Intra-or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EP0697844B1 (en)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5868138A (en)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100413069B1 (ko) 수면시의 일시호흡곤란 및 코골이 치료기구
US6729335B1 (en)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6161542A (en) Method of treat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20150272773A1 (en)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AU2016236827B2 (en) Mandibular reposition device and coupling therefor
RU242478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ячивания нижней челюсти
KR101710840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US20120227750A1 (en) Dental implant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20110168188A1 (en) Mandibular positioning appliance
US20140060549A1 (en) Pre-fabricat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for patients having bruxism/clenching habit with or without various malocclusions
JP2009028084A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68186A1 (en) Intra-or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KR101954017B1 (ko)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KR101720640B1 (ko) 교합 측정용 게이지
KR101990318B1 (ko)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102368972B1 (ko)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KR102022370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기구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Yildiz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s (MAD) in the Therapy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KR20220089955A (ko) 코골이 방지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