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3386A -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3386A
KR20120033386A KR1020100094873A KR20100094873A KR20120033386A KR 20120033386 A KR20120033386 A KR 20120033386A KR 1020100094873 A KR1020100094873 A KR 1020100094873A KR 20100094873 A KR20100094873 A KR 20100094873A KR 20120033386 A KR20120033386 A KR 20120033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jaw
user
center
central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아라
Original Assignee
조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아라 filed Critical 조아라
Priority to KR102010009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3386A/ko
Publication of KR20120033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3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an occlusal p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시 입에 물어 턱관절이 후퇴하지 않도록 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치아가 배열된 형태의 원호를 이루는 경성 중심 골격 경성 중심 골격의 상면에 접착 형성된 상부 부재 및 경성 중심 골격의 하면에 접착 형성된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사용시 열을 가하여 연성으로 만들고, 사용자가 깨물어 사용자의 치아 형태에 맞게 성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 특유의 치아에 맞는 코골이 방지 장치로 사용할 수 있고, 견고하게 치아에 고정 결합될 수 있어 착용감이 좋고 이탈이 쉽게 되지 않아 코골이 방지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턱관절 교정 장치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Snore Preventing and Temporomandibular Joint Adjusting Device}
본 발명은 코골이를 방지 및 턱관절을 교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면시 입에 물어 턱관절이 후퇴하지 않도록 하여 코골이를 방지하고/하거나 턱관절을 정상 위치에 고정하여 턱관절을 교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성인의 기도 직경은 평균 13mm 정도인데, 9mm 이하가 되면 산소 공급이 부족하게 되고 정상적인 호흡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수면 중 코를 고는 이유는 다양한데 그 중에 하나는 코로 정상적인 호흡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아래턱이 작고 뒤로 쳐지거나, 목이 굵은 경우에 코를 심하게 고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목젖 주위가 좁고 숨을 쉬기 위한 폭의 기도 확보를 못하기 때문이다. 코골이가 심하게 되면 밤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게 되거나 수면 무호흡증을 동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주간에 피로감, 주간 졸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면 무호흡증을 방치하게 되면 심폐 계통의 합병증으로 고혈압, 부정맥, 심지어는 돌연사를 초래하기도 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코골이 방지용 수술을 하거나 코골이 방지용 베개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수술은 사람에 따라 크게 꺼릴 수가 있으며, 베게는 자는 동안 몸을 뒤척이게 되면 이탈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0-0006504호에는 코골이 방지 보조기를 개시하는데,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C자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를 코에 삽입한 이후에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콧구멍의 면적을 확대하는 보조역할을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면 중의 호흡에 장애를 가져와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96129호에서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장치를 개시하고 있는데, 코 대신에 구강에 삽입하여 호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종래 기술에서는 치아 안착홈이 기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수면시 이탈되거나 고정성을 확보할 수 없어 본 종래 기술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개개인에게 맞는 맞춤식 마우스 가드를 제작하는 방식으로 치아 안착 홈을 제작하는 것은 제작비용을 높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 스스로 자신에게 특유하게 구성된 안착 홈을 형성하여 구강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통상적으로 긴 시간이 되는 수면중에 호흡에 지장을 주지 않고 동시에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발명하기에 이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코골이 발생 문제와 더불어 아래턱의 비정상 배치 자체로도 턱관절 디스크의 위치 변경을 초래할 수 있고, 턱관절 디스크의 위치 변경에 따른 구조적 불안정은 두통, 턱관절 통증, 안면 통증, 얼굴의 비대칭, 근육통 및 근육경직, 기타 인체 장기나 인체부위에 병적인 증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턱관절(또는 약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얼굴뼈와 턱뼈 사이에 턱관절 디스크가 위치하여 아랫턱을 열고 닫음으로써 턱뼈가 턱관절 디스크를 중심으로 회전방식으로 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턱관절 구조는 인체가 노화되거나 아랫니가 닳음으로써 턱이 상대적으로 상부쪽으로 이동하면서 턱관절 디스크가 앞쪽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상기와 같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의 턱관절 배치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턱관절 구조의 상기와 같은 중요성 때문에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게 된 턱관절 구조를 올바르게 교정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입안의 치아구조에 특별하게 제작된 도구를 이용한 것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고체상의 성형폼으로 형성된 보조기구를 윗니 또는 아랫니 잇몸에 부착하여 착용자가 그 기구를 물고 있음으로써 턱관절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코골이 방지를 위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 크기를 갖는 치아나 관절 구조에 모두 부합하는 턱관절 교정패드를 제작할 수 없어 정확한 교정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사용자에 맞게 제작하는 경우에는 그 비용이 증가한다는 결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코콜이 방지 및 턱관절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자의 치아 형태나 모양, 구조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호흡에 지장을 주지 않는 코골이 방지 장치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스스로 자신에게 맞게 성형시킬 수 있는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치아가 배열된 형태의 원호를 이루는 경성 중심 골격 경성 중심 골격의 상면에 접착 형성된 상부 부재 및 경성 중심 골격의 하면에 접착 형성된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사용시 열을 가하여 연성으로 만들고, 사용자가 깨물어 사용자의 치아 형태에 맞게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절치가 물리는 부분을 주변 부위보다 높게 형성하여 수평 폭이 좁고 수평 길이가 긴 절치가 물리는 부분이 절치와 결합하는 결합력을 주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인 코골이 방지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성 중심 골격은 외면의 중앙에서 외면의 말단으로 가면서 외부 홈이 형성되고 깊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성 중심 골격은 내면을 따라 내부 홈이 형성될 수 있고, 내면의 중앙에 상기 원호의 중심방향으로 리세스(recess)를 포함함으로써 날숨의 방향을 고르게 할 수 있고, 입안에 고이는 침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경성 중심 골격의 중앙에 있는 다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성형할 수 있는 열가소성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 특유의 치아에 맞는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로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견고하게 치아에 고정 결합될 수 있어 착용감이 좋고 이탈이 쉽게 되지 않아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기능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관통 구멍을 통하여 수면 중에 입으로 숨을 쉴 수 있으며, 내면에 형성된 리세스에 의하여 날숨이 고르게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로서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로서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의 중심 골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로서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로서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에 치아 수용 홈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로서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를 개력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는 경성(rigid) 중심 골격(100), 상부 부재(200) 및 하부 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은 치아가 배열된 형태의 원호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부재(200)와 하부 부재(300)는 경성 중심 골격(10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접착 형성된 열가소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의 사용 방법은 사용자가 코골이 방지 장치에 열을 가하면 열가소성(thermoplasticity) 상부 부재(200)와 하부 부재(300)가 쉽게 변형이 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때 사용자의 구강으로 자신의 치아에 맞게 삽입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깨물면 상부 부재(200)와 하부 부재(300) 상에 사용자의 치아 모양에 맞게 성형된 치아 수용 홈(도 4의 210)이 형성되어 일정한 시간 동안 식혀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부 부재(200)와 하부 부재(300)는 열가소성 물질이고 인체에 유해하지 않으면 어떤 물질이든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70도 이상의 뜨거운 물에 2분 동안 담갔을 때 연성으로 변형되는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연성으로 변형된 실리콘을 입에 넣고 턱관절이 뒤로 후퇴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이로 깨물어 본을 뜨면 사용자 고유의 코골이 방지 장치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턱관절 교정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성으로 변형된 실리콘을 입에 넣고 턱관절을 정상 위치로 움직인 후 깨물어 본을 뜨면 사용자 고유의 턱관절 교정 장치를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렇게 만들어진 사용자 고유의 코골이 방지 장치를 입에 물고 잠을 자면 수면시 턱관절이 뒤쪽으로 후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기도가 눌리지 않으므로 공기가 흐르는 통로가 확보되어 호흡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코골이를 완화 또는 방지하게 됨으로써 수면시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게 되어 기상시에도 몸이 가벼워 쾌적한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자신에게 더 효과적으로 코골이가 방지되는 턱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부 부재(200)와 하부 부재(300)를 성형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본 발명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턱관절 교정 장치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200)와 하부 부재(300)는 경성 중심 골격(100)의 중앙 부근, 즉 치아의 절치(또는 앞니)가 안착되는 부분(220)이 주변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치아 중에서 절치가 다른 치아들보다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에 의하여 상부 부재(200)와 하부 부재(300)가 치아의 형상으로 성형되는 경우에, 절치에 맞게 형성된 부분이 다른 치아에 의하여 형성된 부분보다 더 치아와의 결합력이 높아, 특히 이 부분과 치아(즉, 절치)의 결합에 의하여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가 사용자의 수면 중에 입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결합 효과가 별로 없는 다른 부분에 쓰이는 재료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절치 이외의 부분을 낮게 함으로써 사용시 불편함을 덜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성 중심 골격(100)의 중앙에 관통 구멍(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를 구강에 삽입하여 잠을 잘 때 코로만 숨을 쉬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관통 구멍(110)을 통하여 숨을 쉴 수 있도록 하여 호흡을 더 편안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관통 구멍(110)은 다수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태나 크기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로서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의 중심 골격을 개략적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은 외면의 중앙에서 외면의 말단으로 가면서 외부 홈(120)이 형성되고 깊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로서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각각 참조하면,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은 내면을 따라 내부 홈(14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또한,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은 내면의 중앙에 상기 원호의 중심방향으로 리세스(recess)(130)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홈들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가 가지고 있는 무게를 줄여 줄 수 있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를 착용하여 수면을 취할 때의 거부감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내부 홈(140)과 리세스(130)에 의하여 사용자의 구강과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가 정의하는 내부 공간의 체적을 더 크게 할 수 있어 호흡시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어 사용자가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외부 홈(120)은 들숨을 쉴 때 중심 골격(100)의 중앙에 있는 관통 구멍(110)과 더불어 들숨을 받아들이는 통로로 될 수 있으므로 더 충분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내부 홈(140)과 리세스(130)의 전체 형태가 외부에서 내부 쪽으로 후퇴되는 형상, 즉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날숨이 배출될 때 공기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구강 내부에서 외부 쪽)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쉽게 관통 구멍(10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리세스(130) 형태에 따르면 입안에서 형성되는 침의 흐름을 입 내부 쪽으로 흘리게 하여 수면 중 무의식 상태에서 침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로서 상부 부재에 치아 수용 홈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일정한 온도에서 연성으로 만든 후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의 치아의 형태, 모양 및 치아의 구조에 맞게 형성된 치아 수용 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단 형성된 치아 수용 홈(210)은 일반적인 대기 온도에서는 고형으로 굳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수면시 이를 착용하여 아래턱이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자신의 코골이 상태를 피할 수 있어 건강하고 쾌적한 일상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턱관절 교정 장치로 이용되어 턱관절의 불안정한 형태를 교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 및/또는 턱관절 교정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주로 코골이 방지 기능을 중심으로 수면 중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턱관절 교정 장치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수면 중이 아니어도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100: 중심 골격 200: 상부 부재
300: 하부 부재 110: 관통 구멍
120: 외부 홈 130: 리세스
140: 내부 홈 210: 치아 수용 홈

Claims (5)

  1. 치아가 배열된 형태의 원호를 이루는 경성 중심 골격(100);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의 상면에 접착 형성되고 절치가 물리는 부분이 주변 부위보다 높게 형성된 열가소성 상부 부재(200); 및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의 하면에 접착 형성되고 절치가 물리는 부분이 주변 부위보다 높게 형성된 열가소성 하부 부재(300);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재(200) 및 하부 부재(300)는 사용시 열을 가하여 연성으로 만들고, 사용자가 상기 상부 부재(200) 및 하부 부재(300)를 깨물어 사용자의 치아 형태에 맞게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의 중앙에 관통 구멍(1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은 외면의 중앙에서 외면의 말단으로 가면서 외부 홈(120)이 형성되고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은 내면을 따라 내부 홈(1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성 중심 골격(100)은 내면의 중앙에 상기 원호의 중심방향으로 리세스(recess)(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
KR1020100094873A 2010-09-30 2010-09-30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KR20120033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873A KR20120033386A (ko) 2010-09-30 2010-09-30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873A KR20120033386A (ko) 2010-09-30 2010-09-30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3386A true KR20120033386A (ko) 2012-04-09

Family

ID=4613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873A KR20120033386A (ko) 2010-09-30 2010-09-30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3386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38A1 (ko) * 2013-11-12 2015-05-21 이성완 턱관절 교정장치
WO2016027949A1 (ko) * 2014-08-21 2016-02-25 심소희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KR2016004777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710840B1 (ko) 2016-09-26 2017-02-28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KR20170028582A (ko) 2015-09-04 2017-03-14 성진욱 턱관절 교정장치
KR101720640B1 (ko) 2015-10-27 2017-03-28 심윤섭 교합 측정용 게이지
US10265213B2 (en) 2016-03-25 2019-04-23 Jae Il Lim Temporomandibular joint correction apparatus with exchangeable adjustor
KR101954017B1 (ko) 2018-04-20 2019-05-22 임재일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KR20200089430A (ko) * 2019-01-17 2020-07-27 김효정 턱관절 치료용 장치
KR102185512B1 (ko) * 2020-02-13 2021-01-04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코골이 방지용 기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38A1 (ko) * 2013-11-12 2015-05-21 이성완 턱관절 교정장치
US9820830B2 (en) 2013-11-12 2017-11-21 Hi-Feel World Co., Ltd Orthopedic appliance for temporomandibular joint
WO2016027949A1 (ko) * 2014-08-21 2016-02-25 심소희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KR2016004777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70028582A (ko) 2015-09-04 2017-03-14 성진욱 턱관절 교정장치
KR101720640B1 (ko) 2015-10-27 2017-03-28 심윤섭 교합 측정용 게이지
US10265213B2 (en) 2016-03-25 2019-04-23 Jae Il Lim Temporomandibular joint correction apparatus with exchangeable adjustor
KR101710840B1 (ko) 2016-09-26 2017-02-28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KR101954017B1 (ko) 2018-04-20 2019-05-22 임재일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KR20200089430A (ko) * 2019-01-17 2020-07-27 김효정 턱관절 치료용 장치
KR102185512B1 (ko) * 2020-02-13 2021-01-04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코골이 방지용 기구
WO2021162193A1 (ko) * 2020-02-13 2021-08-19 배병수 코골이 방지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3386A (ko)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CA2985360C (en) Oral appliance
CA2679451C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US5915385A (en) Snore and stress relieving device
US6769910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terocclusal mandibular repositioning with adjustable relational members
KR102052617B1 (ko)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US20100095970A1 (en) Mouth-Closing Device for Sleep Disorder Treatments
JP5361991B2 (ja) いびき防止装置
US20110168188A1 (en) Mandibular positioning appliance
WO2010050246A1 (ja) 舌位置制御装置
KR102327808B1 (ko) 코골이 방지 베개
US20120160249A1 (en) Tongue advancement device for reducing obstructive sleep apnea condition
CN112437653A (zh) 口腔器具
CN112041013A (zh) 患者接口
KR100596129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JP2005342133A (ja) マウスガード
KR101074536B1 (ko) 하악 전진장치
KR101828841B1 (ko)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KR101201991B1 (ko) 코골이 방지 장치
KR10093147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102368972B1 (ko)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US20120031410A1 (en)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US201702813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nasal dilation by applying force to a target cheek area without mandibular displacement
KR101273449B1 (ko) 코숨장치 그의 제조방법
US20150122263A1 (en) Cheek depressors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