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512B1 - 코골이 방지용 기구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512B1
KR102185512B1 KR1020200017746A KR20200017746A KR102185512B1 KR 102185512 B1 KR102185512 B1 KR 102185512B1 KR 1020200017746 A KR1020200017746 A KR 1020200017746A KR 20200017746 A KR20200017746 A KR 20200017746A KR 102185512 B1 KR102185512 B1 KR 102185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air passage
tooth groove
maxillary
passa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병수
Original Assignee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영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주식회사 세영아이티 filed Critical 스타일치과기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7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512B1/ko
Priority to PCT/KR2020/012296 priority patent/WO20211621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Abstract

본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악이 삽입되는 상악부위(10)와, 하악이 삽입되는 하악부위(20)와, 상기 상하악부위(10, 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악부위(10)는 상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상악치아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하악부위(20)는 하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하악치아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0)에는 공기 통로홀(31)이 형성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수면시 원활한 산소 공급을 할 수 있어 코를 골지 않으며 수면 무호흡증에 의한 수면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성인병 예방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예방함으로써 사회적으로는 건강한 사회생활을 통한 건강의료보험을 절약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용 기구{Snoring Prevention Device}
본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시 원활한 산소 공급을 할 수 있어 코를 골지 않으며 수면 무호흡증에 의한 수면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성인병 예방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예방함으로써 사회적으로는 건강한 사회생활을 통한 건강의료보험을 절약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치과기공계에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시장’이 새로운 비젼시장으로 떠오르고 있고, 가파른 상승세로 점점 늘고 있는 수면장애자를 겨냥해 현재도 적지 않은 곳에서 수면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를 개발하거나 또 시판 중이다.
실제로 수면무호흡증 코골이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수면문제의 이해와 불편 연구에 따르면 코골이는 30~35세 남성의 20%, 여성의 경우 5%에서 관찰되며, 6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는 남성에 60%, 여성 40%가 습관적으로 코를 고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실제로 수면 무호흡증코골이가 포함된 수면장애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인원은 2012~2016년 최근 5년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요양기관종별 통계에 따르면 ‘수면장애’로 인한 연도별 수는 2012년 40만4657명에서 2015년 50만5685명, 2016년 54만2939명으로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낸다.
인체구조상 뇌에 필요한 산소는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져서 인체가 원활한 기능을 도모하여야 하며, 주간에는 활동함으로써 원활한 산소공급이 되지만, 야간 수면시 몸의 컨디션에 따라 기도의 구멍이 작아지고, 수면자세로 인한 기도구멍이 좁아지고, 연령에 따라 좁아지므로써 야간 수면시 기도구멍이 좁아져서 산소공급이 줄어지므로 뇌의 기능이 저하 되면서 인체 전달 신경들의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이비인후과의 수술, 치과병의원의 코골이 장치물, 정신과의 양압기 등으로 해결하고 있지만 고가의 의료비와 재발의 문제점이 체계적이고 데이터적으로 분석 고안해서 이 문제점들을 해결 할 수 있는 산소 공급이 야간 수면시에도 충분히 원활하게 공급 할 수 있는 범용 코골이 방지 기구를 표준화된 자동화로 많은 사람들에게 공급하는게 필요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코골이를 예방할 수 있는 다양한 구강장착형 마우스피스에서의 효과는 다양한 논문 및 특허등에서 검증되어 양압기의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코골이 예방으로 성인병문제 및 수면무호흡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어, 시급하게 파급되어야 한다.
종래특허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46675호에는 하악 치궁의 설측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혀를 위로 받쳐서 상기 혀를 거상(Lift)시키는 혀 지지체와, 상기 혀 지지체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기구로서:
상기 혀 지지체는, 설소대를 지나는 혀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상기 혀의 좌측 밑면을 지지하는 좌측 지지부와 상기 혀의 우측 밑면을 지지하는 우측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체는, 상기 혀 지지체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해, 상기 혀 지지체에 구비되어서 하악의 치아에 장착되는 코골이 방지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87188호에는 사용자의 윗니들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
상기 상부지지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에 마련되는 상부걸림턱;
아랫니들에 지지되는 하부지지체;
상기 하부지지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지지체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걸림턱의 앞면에 걸릴 수 있는 하부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걸림턱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연장부와, 상기 하방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걸림턱은,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연장부와, 상기 상방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상기 상부걸림턱의 이탈방지부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제작이 어렵고 사용이 불편하며, 구강 내 보철 상태나 치주 상태에 따라 다시 제작하면, 인상채득을 그때 그때마다 해야 하며 시간과 경제적 손실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수면시 원활한 산소 공급을 할 수 있어 코를 골지 않으며 수면 무호흡증에 의한 수면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성인병 예방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예방함으로써 사회적으로는 건강한 사회생활을 통한 건강의료보험을 절약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악이 삽입되는 상악부위(10)와, 하악이 삽입되는 하악부위(20)와, 상기 상하악부위(10, 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악부위(10)는 상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상악치아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하악부위(20)는 하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하악치아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0)에는 공기 통로홀(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수면시 원활한 산소 공급을 할 수 있어 코를 골지 않으며 수면 무호흡증에 의한 수면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성인병 예방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예방함으로써 사회적으로는 건강한 사회생활을 통한 건강의료보험을 절약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기구 사시도
본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악이 삽입되는 상악부위(10)와, 하악이 삽입되는 하악부위(20)와, 상기 상하악부위(10, 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악부위(10)는 상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상악치아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하악부위(20)는 하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하악치아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0)에는 공기 통로홀(3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악치아홈과 하악치아홈의 중심간 거리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하악부위 바닥면에는 호흡편의를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통로홀(31)은 장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악치아홈은 채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악부위는 곡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장치는 공기통로홀에 설치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어 덮개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며 공기통로홀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전동액츄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장치에는 센서가 설치되어 센서는 코고는소리의 세기를 신호로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코고는소리의 세기에 따라 전동액츄에이터내부의 모터를 정역회전하여 이와 연결된 로드를 신축하고, 상기 로드에 결합된 덮개판이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코골이 방지용 기구 사시도이다.
본발명은 상악이 삽입되는 상악부위(10)와, 하악이 삽입되는 하악부위(20)와, 상기 상하악부위(10, 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악부위(10)는 상악의 앞니들이 위치되도록 상악치아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하악부위(20)는 하악의 앞니들이 위치되도록 하악치아홈이 형성된다. 상기 상하악부위는 곡선형상이며, 상기 상하악치아홈은 채널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30)에는 숨을 쉴수 있도록 공기 통로홀(31)이 형성된다.상기 공기통로홀(31)은 장홀형상이다.
상기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된다. 재질은 합성수지로 제작한다.
그리고 상악치아홈과 하악치아홈의 바닥면간 중심 거리는 2~10㎜간격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하악부위홈 바닥면에는 호흡편의를 위한 다수 개의 홀(12,22)이 형성되며, 상기 홀은 원형이다.
본발명은 상기 앞니의 6전치와 2개의 소구치까지 치아만 감싸게 한다.
본발명은 보급형 코골이 방지기구를 구현하기 위해 치열의 평균구조를 토대로한 제품으로서 6전치+2소구치로 구성되고 구강형상에 따른 치열배열의 종류인 Squared, Tapered(V-Shaped) 및 Ovoid타입을 대부분 포함하며, 특히 표준 Arch Form을 토대로한 소형, 중형, 대형 사이즈에 대한 3D 설계를 통해 제작한다.
3D로 설계된 시제품형상의 검증을 위해 RP를 통해 검증하고, 이를 보완하여 실리콘금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최종 3D 형상을 보완수정하여 시작금형을 제작한다.
적용소재는 TPR(Thermo Plastic Rubber, 열가소성고무, 유아용 인공 젖꼭지 소재)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며, 경도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초기에 경도가 낮은 50부터 제작하여 80까지 샘플을 제작한 다음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실리콘의 최종경도를 선정한다.
ICT 융복합 압력 및 온도센서,블루투스 호황 메인 IC,무선충전 IC,저전력 블루투스 IC, 가속도&자이로 6축 센서.무선충전 코일 등을 장착하여 태블릿PC나 스마트 폰으로 전송해서 다양한 정보를 통한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곧,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착용만으로 원활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본체 상부에 상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상악치아홈이 형성되고, 본체 하부에 하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하악치아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악치아홈과 하악치아홈의 중심간 거리가 수평방향으로 2~10㎜간격을 유지한다.
본발명의 소재는 유아젖병의 인공젖꼭지를 만드는 주요 재질인 TPR(Thermo Plastic Rubber, 열가소성고무)을 적용해 시작 실리콘금형을 통해 시제품을 성형제작하여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를 보급형으로 제작한다.
특이하게 ICT 융복합 센스를 장착한 기능제품으로 4차산업에 접목한 제품을 제작한다.
시작 실리콘금형의 경우 상하금형에 호흡편의를 위한 다수의 홀은 슬라이드코어를 적용하여 제작하며, 제작시 파팅라인을 최소화 한다.
한편, 본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연결부에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장치는 공기통로홀에 설치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어 덮개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며 공기통로홀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전동액츄에이터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장치에는 센서, 주로 음향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센서는 코고는소리의 세기를 신호로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코고는소리의 세기에 따라 전동액츄에이터내부의 모터를 정역회전하여 이와 연결된 로드를 신축하고, 상기 로드에 결합된 덮개판이 좌우로 이동되며 개폐정도를 조절한다. 코고는 소리가 크면 많이 열고, 코고는 소리가 작아져 숙면상태이면 극히 일부만 열고, 닫아서 주로 코로호흡하게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수면시 원활한 산소 공급을 할 수 있어 코를 골지 않으며 수면 무호흡증에 의한 수면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안전하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성인병 예방과 정신적 스트레스를 예방함으로써 사회적으로는 건강한 사회생활을 통한 건강의료보험을 절약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 : 상악부위 20 : 하악부위
30 : 연결부 11 : 상악치아홈
12 : 홀 31 : 공기통로홀

Claims (3)

  1. 상악이 삽입되는 상악부위(10)와, 하악이 삽입되는 하악부위(20)와, 상기 상하악부위(10, 20)를 연결하는 연결부(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악부위(10)는 상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상악치아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하악부위(20)는 하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하악치아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0)에는 공기 통로홀(31)이 형성되는 코골이 방지용 기구에 있어서,
    상기 상하악부위는 곡선형상이며, 상기 상하악치아홈은 채널형상이며, 상기 연결부(30)에는 숨을 쉴수 있도록 공기 통로홀(31)이 형성되되, 상기 공기통로홀(31)은 장홀형상이며,
    상기 코골이 방지용 기구는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제작되고,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며, 상악치아홈과 하악치아홈의 바닥면간 중심 거리는 2~10㎜간격을 유지하며, 상하악부위홈 바닥면에는 호흡편의를 위한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은 원형이며, 상기 코골이 방지용 기구는 6전치+2소구치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장치는 공기통로홀에 설치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연결되어 덮개판을 좌우로 이동시키며 공기통로홀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는 전동액츄에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장치에는 음향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코고는소리의 세기를 신호로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코고는소리의 세기에 따라 전동액츄에이터내부의 모터를 정역회전하여 이와 연결된 로드를 신축하고, 상기 로드에 결합된 덮개판이 좌우로 이동되며 개폐정도를 조절하고, 코고는 소리가 크면 많이 열고, 코고는 소리가 작아져 숙면상태이면 극히 일부만 열고, 닫아서 코로 호흡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기구
  2. 삭제
  3. 삭제
KR1020200017746A 2020-02-13 2020-02-13 코골이 방지용 기구 KR10218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46A KR102185512B1 (ko) 2020-02-13 2020-02-13 코골이 방지용 기구
PCT/KR2020/012296 WO2021162193A1 (ko) 2020-02-13 2020-09-11 코골이 방지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746A KR102185512B1 (ko) 2020-02-13 2020-02-13 코골이 방지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512B1 true KR102185512B1 (ko) 2021-01-04

Family

ID=7412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746A KR102185512B1 (ko) 2020-02-13 2020-02-13 코골이 방지용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5512B1 (ko)
WO (1) WO20211621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62A1 (ko) * 2021-06-25 2022-12-29 파사메디 주식회사 구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642A (ko) * 1993-10-12 1995-05-16 사토 후미오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33537B1 (ko) * 2011-11-24 2012-04-09 김희윤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KR20120033386A (ko) * 2010-09-30 2012-04-09 조아라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393A (en) * 1988-03-30 1990-09-11 Trident Laboratories, Inc. Mouthguard with conformable arch liners
JPH10174697A (ja) * 1996-12-16 1998-06-30 Itaru Watanabe いびき防止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642A (ko) * 1993-10-12 1995-05-16 사토 후미오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3386A (ko) * 2010-09-30 2012-04-09 조아라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KR101133537B1 (ko) * 2011-11-24 2012-04-09 김희윤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62A1 (ko) * 2021-06-25 2022-12-29 파사메디 주식회사 구강장치
KR20230000584A (ko) *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더슬립팩토리 구개전방 개방형 구강장치
KR102564598B1 (ko) * 2021-06-25 2023-08-08 주식회사 더슬립팩토리 구개전방 개방형 구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193A1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6370B2 (ja) 口腔訓練器具
US6837246B1 (en) Tongue-airway appliance
CA2735032C (en) Intraoral apparatus for treating upper airway disorders
US20210059789A1 (en)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7437316B2 (ja) 離隔した電気部品のセットを有する下顎前方固定装置
MX2008013273A (es) Aparato, sistema y método para corregir hábitos de una cavidad oral.
WO2005000142A3 (en) Sleep appliance
US20130263864A1 (en) Teat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other habits
US9192455B1 (en) Or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oral appliances
CN110123464A (zh) 导下颌移动的无托槽隐形矫治器及其制作方法
KR102185512B1 (ko) 코골이 방지용 기구
US11607336B2 (en)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KR101273449B1 (ko) 코숨장치 그의 제조방법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TWM603345U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JP7299452B1 (ja) マウスピース
US20230190514A1 (en) Therapeutic Oral Device
KR102094564B1 (ko) 유아용 발육 안내 젖꼭지
TWI737347B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RU2773363C2 (ru) Внутриротовое трен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230157860A1 (en) Oral appliance
RU2491041C1 (ru) Внутриротовой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луганского
JP3210257U (ja) 食いしばり防止装置
KR101684151B1 (ko) 코숨장치
JP2023085965A (ja) マウス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