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617B1 -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617B1
KR102052617B1 KR1020170103031A KR20170103031A KR102052617B1 KR 102052617 B1 KR102052617 B1 KR 102052617B1 KR 1020170103031 A KR1020170103031 A KR 1020170103031A KR 20170103031 A KR20170103031 A KR 20170103031A KR 102052617 B1 KR102052617 B1 KR 102052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detachable
snoring
patient
max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275A (ko
Inventor
심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리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리오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리오니
Priority to KR102017010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617B1/ko
Priority to PCT/KR2017/015515 priority patent/WO2019035516A1/ko
Priority to US16/639,038 priority patent/US20200222227A1/en
Publication of KR2019001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상악 및 하악에 각각 결합 되는 상악가드(10) 및 하악가드(20)로 이루어지는 치아가드(1)를 구성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악가드(10)와 하악가드(20)의 선단 내측을 따라 수직 절개되는 절개홈(121,221)을 등간격 다수 형성하여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좌우로 활개 되며 착용 되도록 하되, 상기 하악가드(20)의 양측 상방향으로 돌출부(250)를 형성하고, 상기 상악가드(10)의 양측단 측면으로 각각 상기 돌출부(250)의 후단면과 접하는 클립고정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상악가드(10)의 전면측을 라운딩 커버 하며 상기 클립고정부(150)에 양단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 되는 착탈결합부(310)가 형성되는 클립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면 과정에서 코골이 방지를 위하여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하여 상악가드와 하악가드로 이루어지는 치아가드를 이용하여 코골이가 심한 환자가 수면시 코골이로 인한 무호흡 증상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악가드와 하악가드의 착용감이 좋고, 턱관절에 무리함이 가하지 않으면서도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인위적으로 다물어지는 교정상태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운 벌림 현상이 가능하면서도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Sleep apnea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수면 장애 등을 유발하는 코골이가 심한 환자 등에 채택 적용 가능한 코골이 방지 장치를 제공하되, 수면 과정에서 코골이 방지를 위하여 환자의 상악과 하악의 위치를 교정하기 위하여 상악가드와 하악가드로 이루어지는 치아가드를 이용하여 코골이가 심한 환자가 수면시 코골이로 인한 무호흡 증상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상악가드와 하악가드의 착용감이 좋고, 턱관절에 무리함이 가하지 않으면서도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인위적으로 다물어지는 교정상태에서 벗어나, 자연스러운 벌림 현상이 가능하면서도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코골이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얼굴뼈와 턱뼈 사이에 턱관절 디스크가 위치되어 아래턱을 열고 닫아 턱관절 디스크를 중심으로 회전 방식에 따라 운동 되는 턱관절(또는 약관절; Temporomandibular Joint) 구조는, 인체가 노화되거나 아랫 치아가 닳게 되었을 때 상대적으로 상부쪽으로 이동되며 턱관절 디스크가 앞쪽으로 빠져나오게 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턱의 비정상적 위치는 여러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인자로 인식되고 있고, 이와 같은 턱관절의 비정상적 위치는 코골이를 유발하여 수면 장애 또는 무호흡 수면을 유발시키는 인자로 작용된다.
통상적으로 정의되는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과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을 갖는 것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 되는 호흡시의 잡음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즉, 수면동안 혀의 윗부분 또는 연개구와 인두후벽(posterior pharyngeal)을 병치한 결과 기도폐쇄가 발생하는 것이 통상적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 기도의 직경은 평균 13 mm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대략 9 mm 이하의 기도 직경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산소 공급이 부족하게 되고 정상적 호흡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소 공급 부족 현상을 발생시키는 경우는 수면 중에 자주 발생되며 코를 골게 되는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면 중 코를 고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으나,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코로 정상적인 호흡을 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특히, 수면시 턱관절의 위치가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수면 상태에서 아래턱이 뒤로 쳐지거나 평상시에도 아래턱이 뒤로 쳐져 있는 경우 또는 목이 굵은 경우에 코를 심하게 고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목젖 주위가 좁고 숨을 쉬기 위한 기도의 폭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나 코골이가 심사게 되면 밤에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경우에 따라 수면 무호흡증을 동반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성 수면성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oea)으로 진행되는 것은 잠정적으로 10초 이상 또는 밤에 잠을 자는 동안 300회 이상 수면 중 호흡이 멈추어지는 치명적 질환으로 이어지는바, 이러한 증상에 의해 주간에 피로감, 졸림 증상 등을 유발하게 되며, 수면 무호흡증상을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심폐 계통의 합병증으로 발전하여 고혈압, 부정맥 등을 동반하거나 또는 돌연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어, 가능한 한 조기에 진단 및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유발할 수 있는 코골이 증상을 완화 또는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가지의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코골이 방지 수술을 시행하거나, 또는 코골이 방지용 베개 등을 사용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수술의 경우, 양압환기방식(positive ventilation methods) 및 하악 전진, 혀의 앞쪽 이동 또는 양자의 결합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사용을 포함하게 된다.
특히 가장 통상적 수술방법 중 하나는 구개수구개성형술로, 연개구의 일부를 제거하여 수면동안 인후 기도의 폐쇄를 방지하는 수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방법은 수일의 입원 및 몇주의 회복 주기를 요하게 되어 가장 고치기 어려운 환자들에게 적용되며, 아울러 예상치 못한 현상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어 일반 환자들에게는 비가역적 치료를 선호하지 않게 된다.
이와는 달리 뼈 고정구 삽입 또는 목젖에 자석의 이식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수술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여전히 환자들에게는 선호되지 않는 방법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양압식 호흡법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 호흡법은 그 중 가장 통상적인 것이 지속적 기도양압(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으로, 이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가압 공기를 잠자는 환자에게 공급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CPAP 의 이용은 대개 수면의 질과 삶의 질에서 즉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지만 CPAP 장치에 수반되는 마스크와 호스 등의 구성에 의해 일반 환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술방법 또는 치료방법으로 제안되는 것들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인 측면 및 선호도등에 의해 크게 꺼려지는 문제가 있고, 앞서 전술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제공하는 교정용 베개의 경우 수면 상태에서 몸을 뒤척이는 경우 목 뒷부분을 받쳐주는 베개로부터 이탈되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한 수술방법 또는 치료방법들을 보완하는 것으로, 턱관절을 이용하여 치료 또는 교정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턱관절의 교정을 통하여 하악 전진을 이루도록 설계되는 교정장치등이 있는데, 이러한 하악 전진 이동에 의존할 경우 혀의 윗부분이 인두후벽에 대하여 이완되는 경향을 크게 줄여, 코골이와 많은 경우 수면 무호흡 증상을 완화시키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예컨데 하악의 전진은 바람직한 방식으로는 혀를 앞으로 받치게 하는 것인데, 상기한 증상의 완화를 위해서는 5 ~ 10 mm 정도의 하악 전진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악 전진을 위한 장치 또는 교정도구들은 한 쌍의 별개로 이루어지는 활모양의 치아 결합유닛 즉 치아가드를 기초적 구성으로 한다.
이들 각각은 서로의 상보적 면에 접하는 대체로 편평한 면을 갖도록 하며, 적절한 경우 상악(上顎) 또는 하악(下顎) 치열의 모두 또는 일부와 정확히 맞물리도록 설계되며 마주보는 치열결합면을 갖도록 한다.
선행 특허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10-6504 호의 '코골이 방지 보조기'가 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C자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용 보조기를 코에 삽입한 이후에 분리 이탈을 방지하고 또한 콧구멍의 면적을 확대하는 보조역할을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수면 중의 호흡에 장애를 가져와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달리 구강구조내에 삽입하여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제시되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96129호에서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방지장치를 들 수 있는바, 구강에 삽입하여 호흡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코골이를 방지하기 위한 시도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종래 기술에서는 치아 안착홈이 기 형성되어 있어 다양한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수면시 이탈되거나 고정성을 확보할 수 없어 본 종래 기술이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각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상기한 여타의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주로 코골이 방지에만 적용 가능할 수 있어, 턱관절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코골이 방지 기능의 역할은 수행할 수 있더라도 턱관절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수면시 착용되는 상기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장기간 사용할 시, 턱관절에 구조적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그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또는 고착화되어 턱관절의 교정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즉, 코골이의 방지 및 무호흡 증상 완화와 상기한 턱관절의 교정까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33386 호인,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중앙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치아가 배열된 형태의 원호를 이루는 경성 중심 골격 경성 중심 골격의 상면에 접착 형성된 상부 부재 및 경성 중심 골격의 하면에 접착 형성된 하부 부재를 포함하고,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는 사용시 열을 가하여 연성으로 만들고, 사용자가 깨물어 사용자의 치아 형태에 맞게 성형될 수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교정되는 과정에 따라 상기 교정장치를 새롭게 맞추거나 성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교정자가 턱관절 교정 상태에 따라 해당되는 교정장치를 자신이 스스로 조절하게 되는 경우 정확한 교정이 어렵게 되거나, 비뚤어져 교정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이러한 잘못된 교정이 고착되어 교정 불능 상태에 이를 수 있는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으며, 교정자 자신이 이러한 교정장치를 조정할 때 치과에 내방하여 조절하기 보다는 교정자 임의대로 조정 및 교정을 할 수 있어 환자의 정확한 치료 데이터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형태들의 종래 기술들을 보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590813 호인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기술은, 교정자의 상악 및 하악에 각각 결합 되는 상악가드와 하악가드로 이루어지는 치아가드와, 상기 치아가드의 상악가드와 하악가드 끝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상악결합부 및 하악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결합부와, 상기 하악결합부에 끼워지며 교정자의 턱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자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악가드의 단부측 상악결합부는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 전면으로 상기 조절자를 후방에서 지지하여,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조절자 선택 및 교체를 할 수 있어 치료 및 교정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게 한 효과를 갖도록 하였다.(특허공보 참조)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710840 호인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가 있다.
상기 특허의 경우,
『교정자의 상악 및 하악에 각각 결합 되는 상악가드와, 톱니결합부가 전방 상측에 구비되는 하악가드로 이루어지는 치아가드를 구성하되, 상기 상악가드의 하면과 하악가드의 상면을 결합하며 상기 하악가드의 전진 이송을 가이드 하는 상악 및 하악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구조에서,
상기 상악가드 전면으로부터 하면으로 이어지는 텐션결합부를 이루되, 상기 텐션결합부는 관통공이 천공된 관통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재 후방측을 이루는 안착홈의 하면으로부터 관통부재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 하단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중앙부위에 결합공이 천공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텐션결합부에 끼워지며 상기 톱니결합부와 텐션 고정 결합되는 고정결합구를 이루되,
상기 고정결합구는 전면의 누름부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을 이루고 상기 연장편의 좌우로 이격 절개되며 텐션력을 갖게 되는 텐션지지편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편의 단부 하단으로 절곡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텐션지지편의 단부 외측 바깥면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하악가드와 상악가드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악가드를 상기 상악가드로부터 점진적으로 전진 이송 고정시키며 교정자의 턱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특허공보 참조)를 제공하고 있다.
위와 같이, 본 출원인은 수면시 무호흡 증상을 보이며 코골이가 심한 환자의 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구성들을 지속적으로 개발, 실시하여 오던 중 상기 선행기술들이 환자의 수면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턱관절이 벌어지려는 습성 때문에 턱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점이 문제점을 지적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게 되었다.
턱관절 중 하악을 일정하게 전진시킨 상태에서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지 않도록 인위적으로 고정할 경우, 예측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수면시 하악이 상악으로부터 설정 길이 전진 이송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수면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턱관절의 이완에 의해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려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인위적으로 제어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하악의 전진 이송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환자의 니즈(needs)에 부합될 수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교정장치들은 환자의 구강 구조와 상태 및 그 크기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제조되는바, 환자의 구강 구조 및 크기 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없어 환자가 착용한 상태에서의 착용감이 자연스럽지 못하여 장시간 또는 장기간 착용시 치아의 변형 및 잇몸 표면에 염증을 동반하는 질환등이 발생될 소지가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 10-1590813 호 (2016.02.02. 공고) 국내 특허등록 제 10-1710840 호 (2017.02.2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수면시 무호흡 장애를 동반하며 코골이가 심한 환자의 구강에 착용하여 수면 과정에서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이 자연스럽게 일정각도 벌어지려는 특성을 그대로 수용, 유지하면서도 하악의 전진 이송 상태가 해지되지 않도록 하여 환자의 수면과정에서 무호흡을 동반하는 코골이 증상을 완화,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구조 즉 구강내 치아 배열 및 잇몸의 벌어짐 각도 상이(相異)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환자의 구강에 착용감이 자연스럽도록 하고, 착용 부작용에 따라 동반되는 잇몸 표면 조직의 염증 질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하고, 장시간 및 장기간 착용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치아 변형을 방지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상악 및 하악에 각각 결합 되는 상악가드 및 하악가드로 이루어지는 치아가드를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악가드와 하악가드의 선단 내측을 따라 등간격 절개되어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좌우로 활개 되며 착용 되도록 하되,
상기 하악가드의 양측 상방향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악가드의 양측단 측면으로 각각 상기 돌출부의 후단면과 접하는 클립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악가드의 전면측을 라운딩 커버하며 상기 클립고정부에 양단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되는 착탈결합부가 형성되는 클립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시 무호흡 장애를 동반하며 코골이가 심한 환자의 구강에 착용하여 수면 과정에서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이 자연스럽게 일정각도 벌어지려는 특성을 그대로 수용, 유지하면서도 하악의 전진 이송 상태가 해지되지 않도록 하여 환자의 수면과정에서 무호흡을 동반하는 코골이 증상을 완화, 교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구강 구조 즉 구강내 치아 배열 및 잇몸의 벌어짐 각도 상이(相異)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모든 환자의 구강에 착용감이 자연스럽도록 하고, 착용 부작용에 따라 동반되는 잇몸 표면 조직의 염증 질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하고, 장시간 및 장기간 착용에 의해 발생 될 수 있는 치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환자의 치열을 임프레이션 하기 위하여 초기에 임프레이션 클립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임프레이션 클립부재와 상하악가드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상악가드와 하악가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악가드에서 임프레이션 클립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내지 도 10은 도 1 내지 도 3에 의한 임프레이션 클리부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열을 임프레이션 한 후, 클립부재를 이용하여 상하악가드의 위치 조정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클립부재가 적용된 상악가드와 하악가드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하악가드를 하악하면커버부재와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의 상악가드에서 클립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상악가드와 하악가드가 환자의 구강에 착용된 상태에서의 상하악 가드를 도시한 개괄적 측면도
도 8은 환자의 구강에 상하악가드가 착용된 후 상하악의 자연스러운 벌어짐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하악의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하악의 전징 이송 상태를 가변하기 위하여 클립부재의 착탈결합부의 전체적 길이 중 선택되는 길이를 갖는 클립부재를 선택하여 하악의 전진 이송을 선별, 선택할 수 있음을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10은 도 9에 의한 선별적 하악 전진 이송 상태를 선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다양한 길이의 착탈결합부를 갖는 세트로 본 발명의 클립부재가 제공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 4 내지 도 10의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구강 특히 수면시 무호흡 증상을 동반하며 코골이 현상을 갖는 폐쇄성 수면성 무호흡(obstructive sleep apnoea) 환자의 구강에 착용하여 하악을 상악보다 일정정도 전진 이송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면 동안 코골이 증상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 착용되는 것으로 상악가드(10)와 하악가드(20)를 하나의 셋트로 제공된다.
상기 상악가드(10)의 상면과 하악가드(20)의 하면으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형상기억소재에 의해 형상화되는 상악상면커버부재(11)와 하악하면커버부재(21)가 각각 결합 고정된다.
상기 상악상면커버부재(11)의 상면과 하악하면커버부재(21)의 하면은 환자의 치아가 맞닿는 부위로 각각 치아고정홈(11a, 21a)이 환자의 치열에 부합되도록 성형된다.
상기 상악상면커버부재(11)와 상악가드(10)의 결합 및, 하악하면커버부재(21)와 하악가드(20)의 결합을 위한 구성은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악상면커버부재(11)의 하면으로 돌출 돌기를 형성하고 상악가드(10)의 상방측 안착홈(110)에 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을 형성할 수 있고, 하악하면커버부재(21)의 상면으로 돌출 돌기를 형성하고 하악가드(20)의 하방측 안착홈(210)에 결합홈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상악 및 하악커버부재(11,21)와 상악 및 하악가드(10,20)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은 다양한 방법과 실시 형태에 의해 결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상악상면커버부재(11)와 하악하면커버부재(21)는 환자의 치열 상태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는 것으로, 환자의 치열을 본 뜬 후 제작한 다음, 상기한 일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악가드(10)와 하악가드(20)는 대량 생산에 의해 공급 가능하고, 병원에 내방하는 환자의 치열 상태에 따라 상기 상악상면커버부재(11)와 하악하면커버부재(21)를 형상기억소재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성형, 공급할 수 있어 환자의 부담을 크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악상면커버부재(11)와 하악하면커버부재(21)를 형상기억소재로 성형하는 것은 환자의 구강내 본 발명이 착용 될 때 온도변화에 따라 형상 변이가 발생될 수 있는데 수면 상태를 끝내고 본 발명을 구강내에서 탈거한 후 일정시간 경과하게 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악가드(10)는 도 3 및 도 6 에서 보는 것과 같은 일형태를 갖는데, 상악상면커버부재(11)가 내입 결합될 수 있는 안착홈(110)이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악가드(10)의 선단 내측을 따라 등간격 절개되어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상악가드(10)를 벌리거나 오므려 환자의 구강에 착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상악가드(10)를 안착홈(110)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부(120)와 외측부(130) 및 바닥부(140)로 편의상 구분하여 설명할 때, 상악가드(10)의 선단 내측을 이루는 내측부(120)로부터 바닥부(140)로 이어지도록 절개홈(121)이 등간격 이격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악가드(10)의 양측단 측면으로 각각 하악가드(20)의 돌출부(250) 후단면(도면상 보았을 때 후단면)과 접하는 클립고정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클립고정부(150)는 클립부재(30)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며, 하악가드(20)의 전진 이송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클립고정부(150)는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악가드(10) 양측단 측면으로 돌출되어지되 일단은 막혀지는 형상을 이루고, 타단은 개구되어 클립부재(30)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삽입가이드(15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가이드(151) 내측면으로부터 상악가드(10)의 측면으로 수평하게 이어지는 수평지지바(152)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바(152)의 상하면에 각각 돌출결합구(153)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결합구(153)로부터 이어지며 수직상 단턱(154)을 형성하여 상기 클립부재(30)의 단부가 끼워진 후 고정 결합 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돌출결합구(153)는 후술하게 되는 클립부재(30)와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의 개방홈(311,411))으로부터 이격가이드홈(312,412)로 이어지는 부위에 걸림결합구(313,413)을 형성하여, 상악가드(10)의 클립고정부(150)를 이루는 수평지지바(152) 상하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돌출결합구(153)와 맞물리며 상기 단턱(154)에 의해 결속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악가드(20)는 도 2, 도 3 및 도 4 에서 보는 것과 같은 일형태를 갖으며 상악가드(10)와 대향 구성되는데, 하악상면커버부재(21)가 내입 결합될 수 있는 안착홈(210)이 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악가드(20)의 선단 내측을 따라 등간격 절개되어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하악가드(20)를 벌리거나 오므려 환자의 구강에 착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상악가드(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하악가드(20)를 안착홈(210)에 의해 구분되는 내측부(220)와 외측부(230) 및 천정부(240)로 편의상 구분하여 설명할 때, 하악가드(20)의 선단 내측을 이루는 내측부(220)로부터 천정부(240)로 이어지도록 절개홈(221)이 등간격 이격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악가드(20)의 양측 상방향으로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삼각형태를 이루는 돌출부(250)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250)는 전면측으로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완곡면부(251)를 이루고 후면측으로는 경사각이 완곡면부(251)의 경사각보다 상대적으로 큰 급경사를 이루는 급곡면부(252)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급곡면부(252)와 상기한 상악가드(10)의 클립고정부(150)와 결합되는 클립부재(30)의 착탈결합부(310)가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하악가드(20)의 후진 이송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가드(10)와 하악가드(20)의 위치 조정 및 해당 위치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클립부재(3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클립부재(30)는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별 채택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클립부재(30)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착탈결합부(310)의 전체적 길이 길이(D0, D1, D2 ~ D7)를 서로 달리하는 셋트로 제공되도록 하여, 환자의 코골이 상태에 따라 하악 전진 길이를 조정하며 착용가능할 수 있다.
먼저 클립부재(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것처럼, 클립부재(30)는 상악가드(10)의 양측단에 구성되는 클립고정부(150)에 결합되어, 하악가드(20)의 돌출부(250) 중 후단면의 급곡면부(252)와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서, 하악가드(20)의 전진 이송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클립부재(30)는 상악가드(10)의 전면측을 에워싸듯이 내합 되는 것으로, 그 전체적 구성은 도 6에서 보듯이 원호 형태를 이루며 탄성을 갖도록 하고 양단부의 측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착탈결합부(31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착탈결합부(310)는 전술한 상기 상악가드(10)의 양측단 외측으로 구성되는 클립고정부(150)에 끼워지기 위해, 후단측 단부가 개구되는 개방홈(311)으로부터 좁은 이격가이드홈(312)으로 연하여 형성된 후 전단측 단부는 막혀지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착탈결합부(310)의 전단측 단부인 막혀지는 형태를 이루는 부위는 만곡형태를 이루어 하악가드(20)의 돌출부(250) 중 급곡면부(252)와 접하도록 하여, 착탈결합부(310)에 의해 상악가드(10)와 결합 된 상태에서 하악가드(20)의 후진 이송을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것과 같이, 착탈결합부(310)의 전체적 길이를 다르게 설정하여 다수의 클립부재(30)를 구성하게 되는데 착탈결합부(310)의 전체적 길이가 서로 다른 클립부재(30)를 구성하더라도, 이격가이드홈(312)의 절개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이격가이드홈(312)의 절개 길이는 이와 대응되는 상악가드(10)의 클립고정부(150)에 구성되는 수평지지바(152)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하되, 그 전체적 길이의 가변성에 의해 하악가드(20)의 전진 이송 길이를 선택,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전진 이송 길이의 고정 상태는 코골이 환자의 상태에 의해 선택 착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구성들을 이용한 본 발명의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환자의 치열 상태와 이에 부합되는 상악상면커버부재(11) 및 하악하면커버부재(21)를 얻기 위해 본을 뜨는 임프레이션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임프레이션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상악과 하악이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임프레이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즉 임프레이션 작업을 위하여 상악가드(10)와 하악가드(20)의 초기 설정 위치를 정하기 위한 클립부재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의 클립부재는 코골이 증상 완화를 위해 수면시 착용하게 되는 클립부재(30)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임프레이션 작업을 위한 클립부재를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로 별도 명명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환자의 평상시 상태의 치아 임프레이션을 얻기 위한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는 전술한 클립부재(30)와 그 구성이 동일하지만,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듯이 상악가드(10)와 하악가드(20)가 전후진 이송되지 않는 상태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는, 상기 상악가드(10)의 전면측을 라운딩 커버 하며 상기 클립고정부(150)에 양단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 되는 착탈결합부(410)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그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클립부재(30)와 유사하다.
또한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의 착탈결합부(410)는 후단측 단부가 개구되는 개방홈(411)을 역시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개방홈(411)으로부터 좁은 이격가이드홈(412)이 연하여 연통 형성된 후 전단측 단부는 막혀지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의 착탈결합부(410)의 전단측 단부인 막혀지는 형태를 이루는 부위는 만곡형태를 이루어 하악가드(20)의 돌출부(250) 중 급곡면부(252)와 접하여 착탈결합부(410)에 의해 상악가드(10)와 결합 된 상태에서 하악가드(20)의 후진 이송을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는 전술한 클립부재(30)와 달리 상기 착탈결합부(410)로부터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의 외측면을 따라 이격되는 위치에 스토퍼부(420)를 돌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착탈결합부(410)와 스토퍼부(420)의 이격 공간은, 전술한 돌출부(250)가 끼워지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된다.
즉 코골이 환자의 구강 상태에서 치열 상태를 본 뜨기 위한 임프레이션 작업을 할 때, 상기 착탈결합부(410)와 스토퍼부(420) 사이에 하악가드(20)의 양측에 형성되는 돌출부(250)가 끼워지도록 하여 상,하악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환자의 임프레이션 작업이 용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420)는 상기 돌출부(250)의 완곡면부(251)와 대응되도록 만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긴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의 선하단 내측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평연장편(430)을 형성하여 임프레이션 작업시 상악가드(10)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에 의해 환자의 초기 구강 상태의 임프레이션 작업이 완료되어 치열의 본을 이루게 되는 상악상면커버부재(11)와 하악하면커버부재(21)를 얻게 된 후에는, 전술한 클립부재(30) 중 어느 하나 즉 착탈결합부(310)의 전체 길이 중 선택되는 착탈결합부(310)의 길이를 갖는 클립부재(30)를 선택하여 환자의 구강내에 수면시 착용하여 코골이 상태를 완화 또는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상악가드
11; 상악상면커버부재 11a; 치아고정홈
110; 안착홈 120; 내측부
121; 절개홈 130; 외측부
140; 바닥부 150; 클립고정부
151; 삽입가이드 152; 수평지지바
153; 돌출결합구 154; 단턱
20; 하악가드
21; 하악하면커버부재 21a; 치아고정홈
210; 안착홈 220; 내측부
221; 절개홈 230; 외측부
240; 천정부 250; 돌출부
30; 클립부재
310; 착탈결합부 311; 개방홈
312; 이격가이드홈
40; 임프레이션 클립부재
410; 착탈결합부 411; 개방홈
412; 이격가이드홈 420; 스토퍼부
430; 수평연장편

Claims (10)

  1. 환자의 상악 및 하악에 각각 결합 되는 상악가드(10) 및 하악가드(20)로 이루어지는 치아가드(1)를 구성하는 코골이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악가드(10)와 하악가드(20)의 선단 내측을 따라 수직 절개되는 절개홈(121,221)을 등간격 다수 형성하여 환자의 구강 상태에 따라 좌우로 활개 되며 착용 되도록 하되,
    상기 하악가드(20)의 양측 상방향으로 돌출부(250)를 형성하고,
    상기 상악가드(10)의 양측단 측면으로 각각 상기 돌출부(250)의 후단면과 접하는 클립고정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상악가드(10)의 전면측을 라운딩 커버 하며 상기 클립고정부(150)에 양단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 되는 착탈결합부(310)가 형성되는 클립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가드(10)의 선단 내측을 이루는 내측부(120)로부터 바닥부(140)로 이어지도록 절개홈(121)이 등간격 이격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하악가드(20)의 선단 내측을 이루는 내측부(220)로부터 천정부(240)로 이어지도록 절개홈(221)이 등간격 이격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고정부(150)는 상악가드(10) 양측단 측면으로 돌출되어지되 일단은 막혀지는 형상을 이루고, 타단은 개구되어 상기 클립부재(3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삽입가이드(15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가이드(151) 내측면으로부터 상악가드(10)의 측면으로 수평하게 이어지는 수평지지바(152)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지지바(152)의 상하면에 각각 돌출결합구(153)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결합구(153)로부터 이어지며 수직상 단턱(154)을 형성하여 상기 클립부재(30)의 단부가 끼워진 후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50)는 전면측으로 완만한 경사각을 갖는 완곡면부(251)를 이루고 후면측으로 상기 완곡면부(251) 보다 상대적으로 급경사를 이루는 급곡면부(252)를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30)의 착탈결합부(310)는 후단측 단부가 개구되는 개방홈(311)으로부터 좁은 이격가이드홈(312)으로 연하여 연통 형성된 후 전단측 단부는 막혀지는 형태를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30)는 그 양측단에 형성되는 착탈결합부(310)의 전체적 길이(D0, D1, D2 ~ D7)를 서로 달리하는 셋트로 제공되도록 구성하여, 환자의 코골이 상태에 따라 하악 전진 길이를 조정하며 착용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가드(10)의 상면과 하악가드(20)의 하면으로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형상기억소재에 의해 형상화되는 상악상면커버부재(11) 및 하악하면커버부재(21)를 얻기 위해 본을 뜨는 임프레이션 과정시, 상기 상악가드(10)와 하악가드(20)의 초기 설정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를 구성하되,
    상기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는, 상기 상악가드(10)의 전면측을 라운딩 커버 하며 상기 클립고정부(150)에 양단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착탈 되는 착탈결합부(410)를 이루고,
    상기 착탈결합부(410)는 후단측 단부가 개구되는 개방홈(411)과, 상기 개방홈(411)으로부터 좁은 이격가이드홈(412)이 연하여 연통 형성된 후 전단측 단부는 막혀지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착탈결합부(410)의 전단측 단부인 막혀지는 형태를 이루는 부위는 만곡형태를 이루어 하악가드(20)의 돌출부(250) 중 급곡면부(252)와 접하여 착탈결합부(410)에 의해 상악가드(10)와 결합 된 상태에서 하악가드(20)의 후진 이송을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착탈결합부(410)로부터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의 외측면을 따라 이격되는 위치에 스토퍼부(420)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250)가 상기 착탈결합부(410)와 스토퍼부(42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420)는 상기 돌출부(250)의 완곡면부(251)와 대응되도록 만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긴밀하게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프레이션 클립부재(40)의 선하단 내측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평연장편(430)을 형성하여 임프레이션 작업시 상악가드(10)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10.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311,411)으로부터 이격가이드홈(312,412)로 이어지는 부위에 걸림결합구(313,413)을 형성하여, 상악가드(10)의 클립고정부(150)를 이루는 수평지지바(152) 상하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돌출결합구(153)와 맞물리며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KR1020170103031A 2017-08-14 2017-08-14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KR102052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31A KR102052617B1 (ko) 2017-08-14 2017-08-14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PCT/KR2017/015515 WO2019035516A1 (ko) 2017-08-14 2017-12-27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US16/639,038 US20200222227A1 (en) 2017-08-14 2017-12-27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3031A KR102052617B1 (ko) 2017-08-14 2017-08-14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275A KR20190018275A (ko) 2019-02-22
KR102052617B1 true KR102052617B1 (ko) 2019-12-05

Family

ID=6536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031A KR102052617B1 (ko) 2017-08-14 2017-08-14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222227A1 (ko)
KR (1) KR102052617B1 (ko)
WO (1) WO2019035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4772A1 (en) 2016-10-05 2018-04-12 Panthera Dental Inc. Set of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s with adjustable advancement, kit for mandibular advancement and method of adjusting mandibular advancement using same
AU2020381572A1 (en) * 2019-11-15 2022-06-02 Raghavendra Vitthalrao GHUGE Dynamic mandibular and lingual repositioning devices, controller station, and methods of treating and/or diagnosing medical disorders
US11191664B2 (en) * 2019-12-06 2021-12-07 Brown Innovation, Ll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D983975S1 (en) * 2020-02-27 2023-04-18 Mitsui Chemicals, Inc. Hinge for oral sleep appliance
KR102164585B1 (ko) * 2020-03-17 2020-10-12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USD932626S1 (en) * 2020-05-13 2021-10-05 ProSomnus Sleep Technologies, In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comfort bumps
USD970012S1 (en) 2020-08-27 2022-11-15 Mitsui Chemicals, Inc. Oral sleep apnea appliance
CN112220604A (zh) * 2020-10-15 2021-01-15 湖南省天骑医学新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止鼾器的批量化制备方法
WO2022256792A1 (en) * 2021-06-02 2022-12-08 Align Technology, Inc. Occlusal block design for lateral locking
CN114224592B (zh) * 2021-12-09 2022-11-04 四川大学 一种带有智能化自动调节的下颌前移阻鼾器
USD1019955S1 (en) * 2022-07-19 2024-03-26 Ortho Solutions, LC Oral sleep appliance
USD1019956S1 (en) * 2022-07-19 2024-03-26 Ortho Solutions, LC Oral sleep appli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813B1 (ko) 2015-09-01 2016-02-02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
KR101706648B1 (ko) 2016-08-26 2017-02-14 조용문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
KR101710840B1 (ko) 2016-09-26 2017-02-28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9441A (en) * 1997-06-24 1998-11-03 Nellcor Puritan Bennett Customizable dental devi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KR101380336B1 (ko) * 2012-05-02 2014-04-02 구현웅 코골이 방지용 구강 장치
SE538339C2 (sv) * 2012-06-19 2016-05-24 Dental Device Sweden Ab Anordning för behandling av sömnapné eller snarkning
US20140076332A1 (en) * 2012-09-15 2014-03-20 Kenneth Luco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Sleep Bruxism
WO2015103084A1 (en) * 2013-12-30 2015-07-09 Microdental Laboratories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813B1 (ko) 2015-09-01 2016-02-02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
KR101706648B1 (ko) 2016-08-26 2017-02-14 조용문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
KR101710840B1 (ko) 2016-09-26 2017-02-28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5516A1 (ko) 2019-02-21
KR20190018275A (ko) 2019-02-22
US20200222227A1 (en)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617B1 (ko)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JP6599879B2 (ja) 下顎前方固定デバイス、並びに、該デバイスを作るための方法及びキット
US7328698B2 (en) Intraoral apparatus for enhancing airway patency
CA2985360C (en) Oral appliance
KR101590813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
JP4936061B2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10840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US20150272773A1 (en)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JP2020528331A (ja) 下顎調整用の口腔内デバイス
US20140261450A1 (en) Intraoral mandibular advancing positive pressure apparatus
KR102015801B1 (ko) 혀를 내밀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CN112437653B (zh) 口腔器具
KR101832858B1 (ko) 분리형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KR20120033386A (ko)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US20190380863A1 (en) Dental appliance for sleep apnea, snoring and tongue and oral cavity remodeling
KR101990318B1 (ko)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20190117864A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102096597B1 (ko) 코골이 수면무호흡 치료용 구강 장치
CN109475393A (zh) 用于下颌前移的装置和器械以及用于制造下颌前移的装置的方法
KR102368972B1 (ko)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KR101954017B1 (ko)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20220089956A (ko) 전방돌출턱이 구비된 코골이 방지기구
KR20220089955A (ko) 코골이 방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