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4585B1 -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4585B1
KR102164585B1 KR1020200032320A KR20200032320A KR102164585B1 KR 102164585 B1 KR102164585 B1 KR 102164585B1 KR 1020200032320 A KR1020200032320 A KR 1020200032320A KR 20200032320 A KR20200032320 A KR 20200032320A KR 102164585 B1 KR102164585 B1 KR 102164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support
teeth
guard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훈
Original Assignee
류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훈 filed Critical 류성훈
Priority to KR102020003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4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4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4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의 정확한 중심 위치 유도를 도와 이상적인 기능 교합이 가능한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배열 상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후방가드와, 상기 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는 치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합지지부는 상기 치아의 앞니쪽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치아의 어금니쪽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앞니의 상악과 하악을 중심 위치로 유도하고, 교합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 후방가드측으로 개방된 챔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MOUTHPIECE FOR TEMPOROMANDIBULAR TREATMENT}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턱관절의 정확한 중심 위치 유도를 도와 이상적인 기능 교합이 가능한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 회전운동과 활주운동이 일어나며 저작기능과 발음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
턱관절은 12개의 뇌신경 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신경 등이 분포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턱관절의 불균형은 상부 경추가 아탈구되는 원인이 되며, 특히 상부 경추 중 축추(제2경추)의 아탈구는 환추(제1경추)를 비롯한 전신척추의 구조를 무너뜨리는 원인이 된다. 턱관절의 불균형은 턱관절 및 전신척추와 연관된 근육 밸런스를 깨트리게 되어,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 증상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우리 몸의 척추는 목뼈부터 꼬리뼈까지 33마디의 척추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목뼈는 7, 등뼈는 12, 허리뼈는 5, 나머지는 엉치뼈(천골뼈)와 꼬리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축을 갖고 있는 척추는 제2번 경추이고, 이는 축을 가지고 있어 축추라고도 불린다. 또한, 머리와 축추 사이에는 고리처럼 생긴 척추가 있는데 이를 고리 환자 환추라고 한다.
이러한 턱관절의 불균형은 외적 충격이나 음식물을 한 편으로만 씹는 편측저작, 이갈이,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침을 삼키는 일상적인 동작에 의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고,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 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발명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턱관절 보호 장치는 치아가 안착되는 몸체부(base portion)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정형화된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어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하지는 못하며, 개인별 턱관절 불균형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가 안착되는 교합면은 생리적인 정상 교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았으며 구치부의 패드 두께 또한 생리적인 안정위 공간(freeway space)을 고려하여 장치가 제작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844663호(공고일 2018년04월02일)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901678호(공고일 2018년09월2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치합지지부의 중앙부에 챔버가 형성되어 앞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어금니가 닿는 제2지지부의 높이가 제1지지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턱관절 균형에 핵심이 되는 어금니 부분이 먼저 닿도록 함으로써 턱관절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생분해성이 향상되어 폐기시 환경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친환경 마우스피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항균 및 구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우스피스를 제공함으로써 구강케어 및 입냄새 제거 효과를 갖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치아 배열 상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후방가드와, 상기 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는 치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치합지지부는 상기 치아의 앞니쪽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치아의 어금니쪽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앞니의 상악과 하악을 중심 위치로 유도하고, 교합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 후방가드측으로 개방된 챔버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가드에는 상기 제1지지부와 근접하는 중앙측에 양단이 절개된 절개편을 형성시켜서 상기 마우스피스를 플렉시블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편의 후면 중앙에 돌기를 형성시켜서 혀로 중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챔버는 상기 제1지지부를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제의 분해에 따른 마우스피스 내부에 미세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치합지지부의 중앙부에 챔버가 형성되어 앞니의 균형 유지가 가능하며, 더욱이 어금니가 닿는 제2지지부의 높이가 제1지지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턱관절 균형에 핵심이 되는 어금니 부분이 먼저 닿도록 함으로써 턱관절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치아와 턱관절이 이상적으로 위치함으로써, 턱관절 통증의 감소와 전신 척추의 질병예방 및 얼굴선을 아름답게 교정할 수 있다.
셋째, 마우스피스의 사용에 따라 생분해제가 분해되어 마우스피스 내부에 미세기공이 발생하게 되며, 생분해제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이 방출됨으로써 상기 천연물이 보유하고 있는 항균 및 구취제거 효과를 자연스레 향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A-A선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는, 크게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전방가드(100)와,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후방가드(110) 그리고 전방가드(100)와 후방가드(1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치아의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는 치합지지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가드(100)는 치아의 배열 형태와 유사한 형상으로, 즉 타원의 단축 방향으로 절단해 놓은 형상을 가지며, 치아의 안착시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드(100)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할 치합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치아의 상악과 하악의 외측을 일정 부분 이상 덮음으로써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으며,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가드(100)는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내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가드(110)는 전방가드(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금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게 된다.
후방가드(110) 역시 치합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치아의 상악과 하악의 내측을 일정 부분이상 덮음으로써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으며,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방가드(110)는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내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치합지지부(120)는 전방가드(100)와 후방가드(110)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치아의 상악과 하악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치아가 배치된 형상과 동일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평면도로서, 치아 배열 형태의 전방가드(100)와 전방가드(100)로부터 이격되어 후방가드(110)가 형성되고, 전방가드(100)와 후방가드(110)의 사이에 치합지지부(120)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치합지지부(120)는 치아의 어금니 부분이 넓은 것을 고려하여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중앙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치합지지부(120)는 치아의 앞니쪽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22)와, 치아의 어금니쪽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124)로 구성되며, 제1지지부(122)로부터 제2지지부(124)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치아 교합시 어금니 부분이 제2지지부(124)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턱관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치합지지부(120)의 제1지지부(122)에는 앞니의 상악과 하악을 중심 위치로 유도하고, 교합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전, 후방가드(100)(110)측으로 개방된 챔버(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126)는 제1지지부(122)를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나란히 형성될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3개 정도가 적당할 수 있다.
도 3은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배면도로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 후방가드(110)에는 제1지지부(122)와 근접하는 중앙측에 양단이 절개된 절개편(112)을 형성시켜서 마우스피스를 플렉시블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개편(112)의 후면 중앙에 돌기(113)를 일체로 형성시켜서 혀로 하여 마우스피스의 중심을 확인하고, 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도 4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A-A선 측단면도로서, 전방가드(100)와 후방가드(110)가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내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를 가지고 있으며, 전방가드(100)와 후방가드(110) 사이의 챔버(126)는 다수개가 나란히 배열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가지고서 전방과 후방으로 개방되어 교합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앞니의 상악과 하악을 중심 위치로 유도하게 된다.
또한, 치합지지부(120)의 제1지지부(122)의 t1의 두께가 제2지지부(124)의 t2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즉, t1〉t2로 하여 치아 교합시 어금니 부분이 제2지지부(124)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턱관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체의 중앙부에 챔버가 형성되어 앞니의 균형 유지가 가능하며, 더욱이 어금니가 닿는 제2지지부의 높이가 제1지지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턱관절 균형에 핵심이 되는 어금니 부분이 먼저 닿도록 함으로써 턱관절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치아와 턱관절이 이상적인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턱관절 통증의 감소와 전신 척추의 질병예방 및 얼굴선을 아름답게 교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치아 교합시 발생하는 상하의 압력을 완충하여 치아를 보호하고, 턱관절에 제공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 교합시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치아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잠자는 시간에도 착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턱관절 보호 및 치아교정의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불균형화된 양측 턱관절이 안정위 공간(freeway space) 이내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턱관절 주변에 분포된 9개 뇌신경의 부정적인 시그널을 꺼주어, 축추를 비롯한 상부 경추 및 전신척추에 연결된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 전신척추를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마우스피스의 수명은 보통 이를 악물고 가는 강도에 따라서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나, 교정 진행 정도에 따라 수정 필요성이 있으며, 마우스피스 자체의 수명이 영구적인 것은 아니므로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는 폐기하게 된다.
이때, 턱관절 교정용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마우스피스는 단단한 합성수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제의 분해에 따른 마우스피스 내부에 미세기공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이후, 형성된 기공 상에 미생물 군집이 자리잡음으로써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마우스피스 전체의 생분해를 촉진하는 시발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미립자 형상인 생분해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는 적어도 일면이 마우스피스의 외면에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가 외면에 노출됨으로써,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의 생분해가 촉진되는 효과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생분해제는 피엘에이(polylactic acid, PLA), 피지에이(polyglycolic acid, PGA), 피씨엘(polycaprolactone, PCL), 피비에스(polybutylene succinate, PBS), 피비에이티(poly(butylenes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생분해 기능과 아울러 가수분해되어 단량체의 유기산으로 분해된다는 점에서 생분해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해된 유기산은 산화제로 작용하여 마우스피스의 추가적인 화학적 분해를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립자'는 완전히 용매화 되지 아니한 입자를 의미한다. 달리,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립자'는 마우스피스에 형성된 미세 기공 중 일부 이상에 충전될 수 있는 입자로서, 그 직경이 나노 또는 마이크론 단위인 입자를 용이하게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기재 맥락에 따라 상기 미립자의 적어도 일부는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내부에 항균 및 구취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캡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내부에 정향유, 양파, 레몬, 프로폴리스, 녹차 및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담지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향유 15 중량부, 양파 20 중량부, 레몬 10 중량부, 프로폴리스 3 중량부, 녹차 3 중량부 및 치자 각 3 중량부의 추출물을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향유는 항균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감염을 유발하는 세균의 숫자를 줄여 입냄새를 완화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양파는 소독 성분 및 항미생물 화합물을 내부에 가지고 있어 부은 잇몸의 원인을 제공하는 구강 문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양파의 황 화합물과 항산화제는 통증과 구강에서 세균의 번식에 의한 증상을 완화시켜준다. 레몬은 시리고 부은 잇몸을 진정시켜주며, 항균 화합물이 염증을 진정시키고 악취를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보호막을 생성해주고, 프로폴리스, 녹차 및 치자 우려낸 물이 잇몸의 붓기 완화 및 치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천연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을 이용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의 추출공정은 냉침, 온침, 가열, 환류 및 초음파 추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추출 후에 감압 농축하는 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마우스피스의 사용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분해제가 분해되어 마우스피스 내부에 미세기공이 발생하게 되며, 생분해제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상기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이 방출됨으로써 항균 및 구취제거 효과를 자연스레 향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마우스피스가 가지고 있던 세균 증식 및 심한 냄새가 나는 문제점을 개선함과 동시에 천연물 유래 추출물만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방가드 110 : 후방가드
112 : 절개편 113 : 돌기
120 : 치합지지부 122 : 제1지지부
124 : 제2지지부 126 : 챔버

Claims (5)

  1. 치아 배열 상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후방가드와, 상기 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는 치합지지부를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치합지지부는,
    상기 치아의 앞니쪽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치아의 어금니쪽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상기 제2지지부를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앞니의 상악과 하악을 중심 위치로 유도하고, 교합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 후방가드측으로 개방된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마우스피스는 피엘에이(polylactic acid, PLA), 피지에이(polyglycolic acid, PGA), 피씨엘(polycaprolactone, PCL), 피비에스(polybutylene succinate, PBS), 피비에이티(poly(butylenes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로 구성된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가드에는,
    상기 제1지지부와 근접하는 중앙측에 양단이 절개된 절개편을 형성시켜서 상기 마우스피스를 플렉시블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의 후면 중앙에 돌기를 형성시켜서 혀로 중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제1지지부를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5. 삭제
KR1020200032320A 2020-03-17 2020-03-17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2164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20A KR102164585B1 (ko) 2020-03-17 2020-03-17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320A KR102164585B1 (ko) 2020-03-17 2020-03-17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4585B1 true KR102164585B1 (ko) 2020-10-12

Family

ID=7288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320A KR102164585B1 (ko) 2020-03-17 2020-03-17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458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716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치아 보호용 장치
KR20080005715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20100011527U (ko) * 2009-09-18 2010-11-26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30137880A (ko) * 2012-06-08 2013-12-18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6004777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JP2018506289A (ja) * 2015-02-27 2018-03-08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喫煙物及び喫煙物用マウスピース
KR101844663B1 (ko) 2016-07-08 2018-04-02 김성욱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1901678B1 (ko) 2017-01-17 2018-09-27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90018275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엘리오니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716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치아 보호용 장치
KR20080005715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20100011527U (ko) * 2009-09-18 2010-11-26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30137880A (ko) * 2012-06-08 2013-12-18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6004777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JP2018506289A (ja) * 2015-02-27 2018-03-08 ブリティッシュ アメリカン タバコ (インヴェストメンツ) リミテッド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imited 喫煙物及び喫煙物用マウスピース
KR101844663B1 (ko) 2016-07-08 2018-04-02 김성욱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1901678B1 (ko) 2017-01-17 2018-09-27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90018275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엘리오니 수면시 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22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US4810192A (en) Two-stage intra-oral protective system
Mikhalchenko et al. Optimization of the selection of provisional structures in the period of osseointegration in dental implants.
US51638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JP2020533130A (ja) 口腔訓練器具
JP5357189B2 (ja) Tmjの不快感を軽減するための耳への挿入物
KR101919909B1 (ko) 기능적인 악안면 치과교정 장치
US20080044797A1 (en) Inserts for use with oral appliances
WO2006019934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head injury
Blair Surgery and diseases of the mouth and jaws
Macpherson et al. Orthognathic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self-mutilization of the lips
KR102164585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2363254B1 (ko) 바나나 형상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KR20220000791A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382847B1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US20190142550A1 (en) Anatomical self-gripping dental barrier device
Kumar et al. Successful prevention of oral self-mutilation using a lip guard: a case report.
KR102267169B1 (ko)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RU154582U1 (ru)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73449B1 (ko) 코숨장치 그의 제조방법
Akhtar et al. Use of silastic as interpositional material in the management of unilateral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Bukhari et al. Jambi.“Prosthodontic Rehabilitation of Completely and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ith Bell’s Palsy”
Strauss Oral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CN219000822U (zh) 一种可调节支撑型口内止鼾器
Raja et al. Comparison between the Neutral Zone and Admixed Impression Techniques in the Management of Atrophic Mandibular 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