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847B1 -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 Google Patents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847B1
KR102382847B1 KR1020210064723A KR20210064723A KR102382847B1 KR 102382847 B1 KR102382847 B1 KR 102382847B1 KR 1020210064723 A KR1020210064723 A KR 1020210064723A KR 20210064723 A KR20210064723 A KR 20210064723A KR 102382847 B1 KR102382847 B1 KR 102382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lip
front guard
support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810A (ko
Inventor
류성훈
Original Assignee
류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6284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00791A/ko
Application filed by 류성훈 filed Critical 류성훈
Publication of KR20220000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10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mouth props, tongue guards, tongue depressors or cheek spreaders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배열 상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후방가드와, 및 상기 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는 치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가드는, 전방측으로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윗입술과 아랫입술에 물리는 입술지지부와, 중앙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입술상순소대와 입술하순소대가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반원홈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가드에는, 중앙으로 양단이 절개되도록 형성된 절개편과, 상기 절개편의 후면과 상기 후면으로부터 삼각형태가 되도록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어 혀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혀접촉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술지지부의 내부로는 상기 후방가드로부터 연통되는 공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홀을 통하여 착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소리를 발생시키면 턱의 위치가 힘의 적용부위로 평행 이동되어 편안한 위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DENTAL CORRECTION DEVICE FOR JAW JOINT CORRECTION}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턱관절의 정확한 중심 위치 유도를 도와 이상적인 기능 교합이 가능한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 회전운동과 활주운동이 일어나며 저작기능과 발음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
턱관절은 12개의 뇌신경 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신경 등이 분포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턱관절의 불균형은 상부 경추가 아탈구되는 원인이 되며, 특히 상부 경추 중 축추(제2경추)의 아탈구는 환추(제1경추)를 비롯한 전신척추의 구조를 무너뜨리는 원인이 된다. 턱관절의 불균형은 턱관절 및 전신척추와 연관된 근육 밸런스를 깨트리게 되어,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 증상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우리 몸의 척추는 목뼈부터 꼬리뼈까지 33마디의 척추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목뼈는 7, 등뼈는 12, 허리뼈는 5, 나머지는 엉치뼈(천골뼈)와 꼬리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축을 갖고 있는 척추는 제2번 경추이고, 이는 축을 가지고 있어 축추라고도 불린다. 또한, 머리와 축추 사이에는 고리처럼 생긴 척추가 있는데 이를 고리 환자 환추라고 한다.
이러한 턱관절의 불균형은 외적 충격이나 음식물을 한 편으로만 씹는 편측저작, 이갈이,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침을 삼키는 일상적인 동작에 의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고,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 패드나 치아교정장치, 교정용 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발명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턱관절 보호 장치는 치아가 안착되는 몸체부(base portion)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정형화된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어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하지는 못하며, 개인별 턱관절 불균형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가 안착되는 교합면은 생리적인 정상 교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았으며 구치부의 패드 두께 또한 생리적인 안정위 공간(freeway space)을 고려하여 장치가 제작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844663호(공고일 2018년04월02일) 대한민국 등록번호 10-1901678호(공고일 2018년09월2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방가드와 후방가드 및 치합지지부로 이루어지는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입술지지부와 입술지지부의 공명홀을 통하여 착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소리를 발생시키면 턱의 위치가 힘의 적용부위로 평행 이동되어 편안한 위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는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전방가드의 상,하단 중앙에 입술상순소대와 입술하순소대가 위치될 수 있도록 반원홈을 형성함으로써, 앞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후방가드에서 구강을 향하는 일면 중앙에 절개편과 다수개의 혀접촉돌기를 형성시킴으로 하여 치아교정장치의 착용 시 바람직한 혀의 위치를 지정하여 턱관절 위치가 저항중심포인트(CR)로 이동되도록 한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생분해성이 향상되어 폐기시 환경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친환경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항균 및 구취 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강케어 및 입냄새 제거 효과를 갖는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치아 배열 상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후방가드와, 및 상기 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는 치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가드는, 전방측으로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어 윗입술과 아랫입술에 물리는 입술지지부와, 중앙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입술상순소대와 입술하순소대가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반원홈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가드에는, 중앙으로 양단이 절개되도록 형성된 절개편과, 상기 절개편의 후면과 상기 후면으로부터 삼각형태가 되도록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어 혀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혀접촉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술지지부의 내부로는 상기 후방가드로부터 연통되는 공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홀을 통하여 착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소리를 발생시키면 턱의 위치가 힘의 적용부위로 평행 이동되어 편안한 위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술지지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되어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맞물리는 부분을 위치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가드와 상기 후방가드에는, 각각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기홀이 더 형성되어 공기와 침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가드의 향하는 상기 전방가드의 일면에는 흡착판이 다수개 형성되어 치아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가드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반원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유격홈이 더 형성되어, 전치부의 치열이 고르지 못한 경우 상기 전방가드가 휘거나 일부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치합지지부는, 상기 치아의 전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치아의 구치부쪽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2지지부는 구치부의 이개량에 따라 안쪽 구치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전체적인 평균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치아교정장치는 피엘에이(polylactic acid, PLA), 피지에이(polyglycolic acid, PGA), 피씨엘(polycaprolactone, PCL), 피비에스(polybutylene succinate, PBS), 피비에이티(poly(butylenes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로 구성된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입술지지부와 입술지지부의 공명홀을 통하여 착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소리를 발생시키면 턱의 위치가 힘의 적용부위로 평행 이동되어 편안한 위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게 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방가드의 상,하단 중앙에 입술상순소대와 입술하순소대가 위치될 수 있도록 반원홈을 형성시키고, 후방가드에서 구강을 향하는 일면 중앙에 절개편과 상기 절개편에는 혀접촉돌기를 형성시킴으로써, 혀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고, 앞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며, 턱관절 통증의 감소와 전신 척추의 질병예방 및 얼굴선을 아름답게 교정할 수 있다.
셋째, 치아교정장치의 사용에 따라 생분해제가 분해되어 치아교정장치 내부에 미세기공이 발생하게 되며, 생분해제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이 방출됨으로써 상기 천연물이 보유하고 있는 항균 및 구취제거 효과를 자연스레 향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후방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A-A선 단면도이고,
도 7 또는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전방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후방측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A-A선 단면도이고, 도 7 또는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는, 크게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전방가드(100)와,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후방가드(110) 그리고 전방가드(100)와 후방가드(1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치아의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는 치합지지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가드(100)는 치아의 배열 형태와 유사한 형상으로, 즉 타원의 단축 방향으로 절단해 놓은 형상을 가지며, 치아의 안착시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전방가드(100)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할 치합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치아의 상악과 하악의 외측을 일정 부분 이상 덮음으로써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으며,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방가드(100)는 치합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치아의 하악이 위치되는 하부측은 상부측 보다는 다소 후퇴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치아의 앞니측 상학이 하악보다는 오버되어 전방측으로 다소 돌출되어야 어금니까지 정확히 맞물릴 수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전방가드(100)는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전방측 외측면으로 볼록면일 수 있으며, 중앙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입술지지부(10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입술지지부(102)는 치아교정장치의 착용 시 사용자의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위치되는 부분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며 단면이 평편할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 상에는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102a)가 더 형성되어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맞물리는 부분을 위치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입술지지부(102)의 내부로는 치합지지부(120)를 통과하여 후방가드(110)까지 연통되는 공명홀(10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명홀(102b)을 통하여 착용자가 입을 다문 상태에서 음~ 또는 에~와 같은 단발음을 일정 시간 내게 되면 턱의 위치가 힘의 적용부위로 평행 이동되어 편안한 위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게 되는 것이다.
보다 자세한 사용 설명은 하기에서 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방가드(100)의 상단과 하단 중앙 각각에 반원홈(104)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홈(104)을 통해 치아교정장치의 착용 시 상단에는 입술상순소대가 위치되고, 하단 반원홈(104)에는 입술하순소대가 위치될 수 있다.
참고로, 입술상순소대와 입술하순소대는 구강내 정중면에서 잇몸부터 윗입술과 아랫입술에 뻗은 점막 주름을 칭한다.
또, 전방가드(100)의 상단과 하단 중앙 각각에 반원홈(104)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유격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유격홈(105)은 반원홈(104)과 유사한 반원 형태이며, 그 크기는 반원홈(104)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을 수 있다.
상기 유격홈(105)은 전치부(앞니)의 치열이 고르지 못한 경우 전방가드(100)가 휘거나 일부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전방가드(100)에는 다수개의 공기홀(106)이 형성되어 공기와 침이 고이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다시 도 2에 도시된 전방가드(100)에는 다른 실시 예로 후방가드(110)를 향하는 일면을 따라 다수개의 흡착판(108)이 형성될 수 있다.
흡착판(108)은 작은 빨판 형태로 치아에 부착되어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가드(110)는 전방가드(10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금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게 된다.
후방가드(110) 역시 치합지지부(120)를 기준으로 치아의 상악과 하악의 내측을 일정 부분이상 덮음으로써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으며,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후방가드(110)는 전체적으로 전방가드(100)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후방가드(110)에는 중앙으로 양단이 절개되도록 절개편(112)을 형성시켜서 치아교정장치를 플렉시블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절개편(112)의 후면 중앙과 후면 중앙으로부터 삼각형 형태가 되는 위치 즉, 후방가드(110)의 하부측에 혀접촉돌기(113)를 일체로 형성시켜서 혀로 하여 치아교정장치의 중심을 확인하고, 혀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후방가드(110)에도 다수개의 공기홀(114)이 형성되어 공기와 침이 고이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방가드(100)를 향하는 일면으로 다수개의 흡착판(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치합지지부(120)는, 전방가드(100)와 후방가드(110)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치아의 상악과 하악이 안착되는 부분으로, 치아가 배치된 형상과 동일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합지지부(120)는 치아의 구치부 부분이 넓은 것을 고려하여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중앙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치합지지부(120)는 치아의 전치부쪽을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부(122)와, 치아의 구치부쪽을 지지하기 위한 제2지지부(124)로 구획될 수 있으며, 도 7을 참고하면, 제2지지부(124)는 구치부의 이개량에 따라 안쪽 구치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제1지지부(122)는 제2지지부(124)의 전체적인 평균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체적으로 전치부측의 상학과 하학이 맞물렸을 때, 상학이 하학을 오버하여 덮는 형태가 되기에 이를 감안하여 제1지지부(122)가 다소 낮게 형성되어 치아가 고르게 맞물릴 수 있다.
더 나아가 제2지지부(124)는 후방 구치부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치아 교합시 어금니 부분이 제2지지부(124)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턱관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치합지지부(120)의 제1지지부(122)에는 앞니의 상악과 하악을 중심 위치로 유도하고, 교합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공기 호흡이 가능하도록 전, 후방가드(100)(110)측으로 개방된 챔버홀(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홀(126)은 공명홀(102b)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히 형성될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2~3개 정도가 적당할 수 있다.
도 6은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A-A선 측단면도로서, 전방가드(100)와 후방가드(110)가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내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의 작용은, 도 7 또는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치아교정장치를 교정을 위해 입속에 착용을 하게 되면, 내측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입술지지부(102)에 위치되며, 이때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가이드돌기(102a)에 접촉되고, 윗입술의 내측면은 전방가드(100)의 상부측에 아랫입술은 하부측에 지지된다.
이어서 전치부는 치합지지부(120)의 제1지지부(122)에 물리고, 구치부는 제2지지부(124)에 접촉되어 진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착용자의 혀에서 혀끝이 삼각형태로 배치된 혀접촉돌기(113)에 위치됨으로써, 혀몸통이 입천장에 접촉되어 정중앙에 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착용자는 치합지지부(120)를 통한 치아의 접촉 압력을 최소화하고, 도 8에서와 같이 입술지지부(102)에 접촉된 입술근육과 구강내 빰 근육에 의해 치아교정장치를 고정한 후, 음~ 또는 에~와 같은 단발음을 대략 5초 정도 내면 입술지지부(102)의 공명홀(102b)과 챔버홀(126)을 통하여 소리가 빠져나가면서 현재 치아가 맞물린 턱의 위치에서 힘의 적용부위로 턱관절이 평행 이동되어 편안한 위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돕게 되는 것이다.
즉, 턱관절이 저항중심포인트(CR)로 이동되어 진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치아와 턱관절이 이상적인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턱관절 통증의 감소와 전신 척추의 질병예방 및 얼굴선을 아름답게 교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치아 교합시 발생하는 상하의 압력을 완충하여 치아를 보호하고, 턱관절에 제공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 교합시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치아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잠자는 시간에도 착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턱관절 보호 및 치아교정의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불균형화된 양측 턱관절이 안정위 공간(freeway space) 이내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턱관절 주변에 분포된 9개 뇌신경의 부정적인 시그널을 꺼주어, 축추를 비롯한 상부 경추 및 전신척추에 연결된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 전신척추를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치아교정장치의 수명은 보통 이를 악물고 가는 강도에 따라서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나, 교정 진행 정도에 따라 수정 필요성이 있으며, 치아교정장치 자체의 수명이 영구적인 것은 아니므로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는 폐기하게 된다.
이때, 턱관절 교정용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치아교정장치는 액상 실리콘 고무(Liquid Silicone Rubber)재질로 제작될 수 제작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교정장치는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제의 분해에 따른 치아교정장치 내부에 미세기공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이후, 형성된 기공 상에 미생물 군집이 자리잡음으로써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치아교정장치 전체의 생분해를 촉진하는 시발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의 치아교정장치에 있어서, 미립자 형상인 생분해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는 적어도 일면이 치아교정장치의 외면에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가 외면에 노출됨으로써, 본 발명의 치아교정장치의 생분해가 촉진되는 효과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생분해제는 피엘에이(polylactic acid, PLA), 피지에이(polyglycolic acid, PGA), 피씨엘(polycaprolactone, PCL), 피비에스(polybutylene succinate, PBS), 피비에이티(poly(butylenes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생분해 기능과 아울러 가수분해되어 단량체의 유기산으로 분해된다는 점에서 생분해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해된 유기산은 산화제로 작용하여 치아교정장치의 추가적인 화학적 분해를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립자'는 완전히 용매화 되지 아니한 입자를 의미한다. 달리,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립자'는 치아교정장치에 형성된 미세 기공 중 일부 이상에 충전될 수 있는 입자로서, 그 직경이 나노 또는 마이크론 단위인 입자를 용이하게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기재 맥락에 따라 상기 미립자의 적어도 일부는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내부에 항균 및 구취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캡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내부에 정향유, 양파, 레몬, 프로폴리스, 녹차 및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담지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향유 15 중량부, 양파 20 중량부, 레몬 10 중량부, 프로폴리스 3 중량부, 녹차 3 중량부 및 치자 각 3 중량부의 추출물을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향유는 항균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감염을 유발하는 세균의 숫자를 줄여 입냄새를 완화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양파는 소독 성분 및 항미생물 화합물을 내부에 가지고 있어 부은 잇몸의 원인을 제공하는 구강 문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양파의 황 화합물과 항산화제는 통증과 구강에서 세균의 번식에 의한 증상을 완화시켜준다. 레몬은 시리고 부은 잇몸을 진정시켜주며, 항균 화합물이 염증을 진정시키고 악취를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보호막을 생성해주고, 프로폴리스, 녹차 및 치자 우려낸 물이 잇몸의 붓기 완화 및 치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천연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을 이용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의 추출공정은 냉침, 온침, 가열, 환류 및 초음파 추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추출 후에 감압 농축하는 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치아교정장치의 사용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분해제가 분해되어 치아교정장치 내부에 미세기공이 발생하게 되며, 생분해제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상기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이 방출됨으로써 항균 및 구취제거 효과를 자연스레 향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치아교정장치가 가지고 있던 세균 증식 및 심한 냄새가 나는 문제점을 개선함과 동시에 천연물 유래 추출물만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전방가드 102 : 입술지지부
104 : 반원홈 106,114 : 공기홀
108 : 흡착판 110 : 후방가드
112 : 절개편 113 : 혀접촉돌기
120 : 치합지지부 122 : 제1지지부
124 : 제2지지부 126 : 챔버홀

Claims (7)

  1. 치아 배열 상태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후방가드와, 및
    상기 후방가드와 상기 전방가드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는 치합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가드는,
    전방측으로 윗입술과 아랫입술에 맞물리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며, 상면과 하면 상에는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가 더 형성되는 입술지지부와,
    상기 입술지지부의 내부로는 상기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맞물린 상태에서 착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소리를 발생시키면 턱의 위치가 힘의 적용부위로 평행 이동되어 편안한 위치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상기 후방가드로부터 연통되는 공명홀과,
    중앙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입술상순소대와 입술하순소대가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반원홈, 및
    상기 전방가드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반원홈을 기준으로 양측에 전치부의 치열이 고르지 못한 경우 상기 전방가드가 휘거나 일부 변형이 가능하도록 유격 공간으로 유격홈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가드에는,
    중앙으로 양단이 절개되도록 형성된 절개편과,
    상기 절개편의 후면과 상기 후면으로부터 삼각형태가 되도록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어 혀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혀접촉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치합지지부는,
    상기 치아의 전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치아의 구치부쪽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로 구획되며, 상기 제2지지부는 구치부의 이개량에 따라 안쪽 구치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제2지지부의 전체적인 평균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가드와 상기 후방가드에는,
    각각 관통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기홀이 더 형성되어 공기와 침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가드의 일면에는 흡착판이 다수개 형성되어 치아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교정장치는 피엘에이(polylactic acid, PLA), 피지에이(polyglycolic acid, PGA), 피씨엘(polycaprolactone, PCL), 피비에스(polybutylene succinate, PBS), 피비에이티(poly(butylenes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로 구성된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하는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0210064723A 2020-06-26 2021-05-20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382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78404 2020-06-26
KR1020200078404 2020-06-26
KR1020200162848A KR20220000791A (ko) 2020-06-26 2020-11-27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0200162848 2020-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10A KR20220000810A (ko) 2022-01-04
KR102382847B1 true KR102382847B1 (ko) 2022-04-08

Family

ID=7934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23A KR102382847B1 (ko) 2020-06-26 2021-05-20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8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24Y1 (ko) * 2011-02-07 2012-07-12 이영준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591014B1 (ko) * 2015-07-16 2016-02-03 (주) 베리콤 치열교정용 와이어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1625B1 (ko) * 2019-04-16 2019-08-16 고영석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403Y1 (ko) * 2007-05-23 2009-02-10 정수용 치아 보호용 장치
KR101016416B1 (ko) * 2008-12-29 2011-02-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브라켓
KR101381485B1 (ko) * 2012-06-08 2014-04-04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844663B1 (ko) 2016-07-08 2018-04-02 김성욱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1901678B1 (ko) 2017-01-17 2018-09-27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2125967B1 (ko) * 2018-03-12 2020-06-23 문천호 턱관절 척추 교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324Y1 (ko) * 2011-02-07 2012-07-12 이영준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591014B1 (ko) * 2015-07-16 2016-02-03 (주) 베리콤 치열교정용 와이어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1625B1 (ko) * 2019-04-16 2019-08-16 고영석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10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422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US8201560B2 (en) Flexible dental appliance
US4810192A (en) Two-stage intra-oral protective system
US5636379A (en) Jaw-joint protective device
US51638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JP2020533130A (ja) 口腔訓練器具
JP6006291B2 (ja) 機能的歯牙顔面整形外科装置
ES2659347T3 (es) Inserto auricular para aliviar molestias en la ATM
KR200443403Y1 (ko) 치아 보호용 장치
KR20100089823A (ko) 안면 근육 및 입 근육 자극장치
US9192455B1 (en) Or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oral appliances
KR200443404Y1 (ko)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20120033385A (ko) 턱관절 교정 패드
KR20220000791A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382847B1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262910B1 (ko)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US10610403B2 (en) Dental appliance
US20190142550A1 (en) Anatomical self-gripping dental barrier device
KR102164585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umar et al. Successful prevention of oral self-mutilation using a lip guard: a case report.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JP6120780B2 (ja) 口腔装置
KR101273449B1 (ko) 코숨장치 그의 제조방법
KR101874692B1 (ko) 턱관절 장애 균형 장치
US10322027B2 (en) Dental bite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