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967B1 - 턱관절 척추 교정기 - Google Patents

턱관절 척추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967B1
KR102125967B1 KR1020180028691A KR20180028691A KR102125967B1 KR 102125967 B1 KR102125967 B1 KR 102125967B1 KR 1020180028691 A KR1020180028691 A KR 1020180028691A KR 20180028691 A KR20180028691 A KR 20180028691A KR 102125967 B1 KR102125967 B1 KR 102125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erior
teeth
support
support pad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434A (ko
Inventor
문천호
Original Assignee
문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천호 filed Critical 문천호
Priority to KR102018002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9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윗니와 아랫니의 사이 공간에 대응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받침패드(110)와; 상기 받침패드(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외측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외측지지판(120)과; 상기 받침패드(1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내측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내측지지판(130)과; 상기 받침패드(110)의 상하 양측에 구비되어, 전치부 치아(A)는 접촉되지 않고 구치부 치아(B)만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구치부받침턱(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턱관절 척추 교정기{Physiologic TMJ and Spine balancer}
본 발명은 턱관절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교정기를 착용하는동안 전치부 치아에 가해지는 힘을 차단하여 전치부 치아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으며 기존 교정기에 비해 구치부 치아 높이를 증가시켜 두경부에서의 근막이완효과를 증대시켜 교정효과를 높일 수 있는 턱관절 척추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 회전운동과 활주운동이 일어나며 저작기능과 발음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
턱관절은 12개의 뇌신경 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신경 등이 분포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턱관절의 불균형은 상부경추가 이탈하는 원인이 되며, 턱관절과 연관된 근육 밸런스를 깨트리게 되어,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 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 증상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턱관절의 불균형은 외적 충격이나 음식물을 한 편으로만 씹는 편측저작, 이갈이,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침을 삼키는 일상적인 동작에 의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턱관절의 불균형은 치아 뿐만 아니라 경추, 수면 장애, 코골이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구체적으로 양팔 길이의 불균형, 양다리 길이의 불균형, 척추측만증,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자율신경실조증, 우울증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 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발명되고 있다.
이러한 턱관절 균형 장치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1180285호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조방법"에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개시된 등록특허의 턱관절 균형장치(10)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이고, 도 2는 턱관절 균형장치(10)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턱관절 균형장치(10)는 윗니와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패드(110)와, 받침패드(110)의 테두리영역에 수직하게 형성된 외측지지판(120)과 내측지지판(130)이 구비된다.
종래 턱관절 균형장치(10)는 사용자가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착용하면, 윗니와 아랫니가 각각 받침패드(110)에 접촉된다.
그런데, 종래 턱관절 균형장치(10)는 치아의 전치부와 구치부가 모두 받침패드(11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교정기를 착용하는 동안 전치부 치아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고, 그 힘이 전치부 치아에 측방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전치부 치아가 불편해지거나 예민해질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전치부 치아와 구치부 치아가 동일한 높이로 받침패드(110)와 접촉하게 되므로 이상(理想) 교합상태에 미치지 못하여 교정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치부 치아에 가해지는 힘을 줄여 교정기를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가 받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턱관절 척추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치부 치아의 교정높이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교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턱관절 척추 교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턱관절 척추 교정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턱관절 척추 교정기는, 윗니와 아랫니의 사이 공간에 대응하여 평행하게 형성된 받침패드(110)와; 상기 받침패드(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외측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외측지지판(120)과; 상기 받침패드(1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내측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내측지지판(130)과; 상기 받침패드(110)의 상하 양측에 구비되어, 전치부 치아(A)는 접촉되지 않고 구치부 치아(B)만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구치부받침턱(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치부받침턱(140)의 높이는 5mm~12mm 범위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치부받침턱(14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척추 교정기는 전치부 치아는 닿지 않고 구치부 치아만 닿게 하여 전치부 치아에 대한 압박을 해소하여 편안한 교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구치부받침턱에 의해 구치부 치아의 높이를 높여 턱관절 뿐만 아니라 척추까지 교정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뇌신경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한다.
또한, 구치부받침턱을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안한 착용을 도울 수 있다.
도 1은 종래 턱관절 균형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턱관절 균형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척추 교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Quadrant Theorem의 이상교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Quadrant Theorem의 병적교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스피만곡과 윌슨커브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턱관절 척추교정기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는 사용자의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패드(110)와, 받침패드(110)의 외측 테두리영역을 따라 일정면적 기립되게 형성된 외측지지판(120)과, 받침패드(110)의 내측 테두리영역을 따라 일정면적 기립되게 형성된 내측지지판(130)과, 받침패드(110)의 구치부영역에 일정 높이 돌출되게 결합된 구치부받침턱(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는 받침패드(110)의 전치부영역과 구치부영역의 높이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치아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구치부 치아(B)는 구치부받침턱(140)에 접촉되나 전치부 치아(A)는 받침패드(110)와 접촉되지 않고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를 치아에 착용하여 교정기를 착용하는 동안 전치부 치아에 가해지는 힘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교합높이를 상승시켜 턱관절 뿐만아니라 경추에까지 교정효과가 미치게 하여 턱관절과 척추를 함께 교정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는 미국 Casey M. Guzay 공학박사의 Quadrant Theorem에 이론적 바탕을 두고 설계되었다.
Quadrant Theorem은 하악운동을 순수하게 물리적으로 해석한 교합이론으로서, 하악운동의 중심이 악관절(TMJ)에 존재한다는 기존의 교합이론과는 달리 경추의 정중환축관절(Atlant-odontoid process joint)을 중심으로 한 이론이다.
이 이론은 하악운동중심이 경추의 정중환축관절에 존재하며 공전운동을 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악도 운동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교합평면은 체축(體軸)에 수직인 수평면을 이루는 상관 관계에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두개(頭蓋, cranium)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도 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하악 운동이 공전 운동을 유지하는 환경을 이상(理想)교합상태이고, 교합고경이 감소한 상태를 병적교합상태로 정의한다. 도 7은 이상교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병적교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Quadrant Theorem의 요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하악개폐운동은 공전운동이다.
2) 하악과두 및 악관절은 제1상한에, 하악치열은 제4상한에 위치한다.
3) 교합은 X축 평면상에서 행해진다.
4) 교합위의 변화(X축)는 체간축(Y축)의 변화와 값이 같다.
5) 하악과두는 악관절 내에서 자유로이 운동하며 하악운동을 도와준다.
6) 하악 개폐운동 중심은 X축과 Y축의 교점(정중환축관절)에 존재한다.
세상 모든 생체의 작동은 물리적 법칙을 넘어서는 작동되지 않는다. 하악운동도 일종의 중요한 생체운동이므로 이를 물리적으로 해석하여 하악운동법칙을 도입하여 이론화한 것이 Quadrant Theorem이다.
하악과두의 이동량과 하악의 개구량을 기하학적인 그림으로 만들어 그 운동중심이 Sub-Atlas(정중환축관절)에 존재함을 결정하게 된다.
정중환축관절의 환추(C1, Atlas)와 축추(C2, Axis)의 치돌기 관절이 환추에 있어 수평방면, 즉 치돌기의 전면관절이 된다.
이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두개는 좌우로 자유롭게 선회하며 하악도 개폐운동을 한다. 다시 말해서 이 지점이 두개와 하악운동의 중심이 된다.
하악운동이 원활하게 움직이지 않거나 교합위가 잘못돼 있으면, 여기서 나오는 힘은 모두 운동중심에 응력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해 교합력이 경추에 힘을 가해서 신체의 이상을 초래하게 된다.
병적교합상태의 경우 교합응력이 경추, 악관절 및 치아에 작용하여 여러 가지의 수소(愁訴)와 질환을 유발시키며, 반대로 교합을 충분히 거상시키면 경추, 악관절 및 치아의 잠재적인 응력이 해소되며, 따라서 운동 기능을 향상시켜 준다고 기술한다.
이에 본 발명의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는 교정기간 동안 구치부 치아(B)가 위치되는 높이를 구치부받침턱(140)을 이용해 강제로 거상시켜 경추, 악관절 및 치아의 응력을 해소하여 교정효과를 높여줄 수 있다.
받침패드(110)는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배치되며 외측지지판(120) 및 내측지지판(130)과 구치부받침턱(140)을 지지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는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며 일체로 성형된다.
경우에 따라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는 사용자의 구강구조에 맞춰 맞춤설계될 수도 있다.
받침패드(110)의 두께는 받침패드(11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교정력에 영향을 주지 않을 범위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지지판(120)과 내측지지판(130)은 각각 받침패드(110)의 외측과 내측에서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받침패드(1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잇몸에 접촉지지된다. 이 때, 잇몸과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지지판(120)와 내측지지판(130)은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형성된다.
또한, 받침패드(110)와 외측지지판(120) 및 내측지지판(130)은 도 9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만곡(Curve of Spee)와 윌슨커브(Wilson's Curve)가 적용되게 형성된다.
받침패드(110) 자체의 두께가 얇을 경우 탄력성이 높아서 이 두 곡선의 의미가 중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구치부영역의 받침패드(110)의 두께가 두꺼워질 경우 탄력성이 낮아져 교합력의 벡터 방향에 문제가 발생되어 치아와 두개 또는 비강 등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외측지지판(120)과 내측지지판(130)에는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를 착용하는 동안 침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침배출공(1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지지판(120)에는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의 올바른 착용 방향을 표시하는 이미지(16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가 완벽한 대칭을 이루지 않으므로 착용 방향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에 사용자가 착용할 때 방향을 인지할 수 있도록 이미지(160)가 형성된다.
구치부받침턱(140)은 받침패드(110)의 양측 상하좌우에 구비되어 구치부 치아(B)가 받침패드(110)에 닿는 높이가 높아지도록 지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패드(110)는 제1두께(d1)을 갖게 형성된다. 구치부받침턱(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높이(h) 만큼 받침패드(110)에 부가되어 구치부영역의 받침패드(11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두께(d1+2*h)를 갖도록 한다.
여기서, 구치부받침턱(140)의 높이(h)는 5mm~12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교합고경의 증가는 경추로 가는 압박력을 해방시켜 주고 Quadrant Theorem 에서 하악의 치열운동범위를 확실하게 제3상한, 제4상한에서 유지시킬 목적으로 제2대구치부에서 약 10mm 이상의 거상량을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높이가 5mm 보다 낮을 경우 거상량이 높아지는 효과가 낮아지고, 전치부 치아(A)가 받침패드(110)와 닿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 높이(h)가 12mm 보다 두꺼울 경우에 사용자가 쉽게 적응을 하지 못할 수 있으며, 계속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하므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에 5~12mm 범위로 높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적응을 쉽게 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구치부받침턱(140)을 10mm 보다 낮게 형성하고, 적응이 되면 점차 10mm 보다 높여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치부받침턱(140)은 구치부 치아(B) 전체에 걸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제1소구치 영역(141)에서 제2대구치 영역(143)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상부경사면(142)을 갖게 형성된다.
상부경사면(142)의 경사각도(θ1)는 5°~20°범위로 형성된다. 이 때, 하부경사면(144)은 상부경사면(142)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경사각도(θ2)가 형성된다.
상부경사면(142)과 하부경사면(144)의 경사각도와 형상은 사용자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상악치열면과 하악치열면이 형성하는 각도는 사람에 따라 다르며,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의 두께에 따라(개구량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를 편안하게 끼우기 위해서 상부경사면(142)과 하부경사면(144)의 경사각도를 다양한 각도로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의 사용과정을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보관케이스(미도시)에 넣어 보관한다.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는 담당 전문의의 처방에 따라 하루동안 착용해야할 시간이 정해진다.
사용자는 담당 전문의가 처방한 시간 동안 치아에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를 착용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관절 척추 교정기(100)를 착용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받침패드(110)를 끼운다. 그리고, 외측지지판(120)과 내측지지판(130)을 잇몸의 외측와 내측에 끼워 받침패드(110)가 빠지지 않게 끼운다.
이 때, 구치부받침턱(140)이 받침패드(110)에 대해 돌출되게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구치부 치아(B)는 구치부받침턱(140)과 접촉되고, 전치부 치아(A)는 받침패드(110)와 닿지 않고 떠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치부 치아(A)는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구치부 치아(B)가 거상되므로 턱관절을 비롯한 척추 전체에 교정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척추 교정기는 전치부 치아는 닿지 않고 구치부 치아만 닿게 하여 전치부 치아에 대한 압박을 해소하여 편안한 교정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구치부받침턱에 의해 구치부 치아의 높이를 높여 턱관절 뿐만 아니라 척추까지 교정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뇌신경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한다.
또한, 구치부받침턱을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편안한 착용을 도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턱관절 척추 교정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턱관절 척추 교정기
110 : 받침패드
120 : 외측지지판
130 : 내측지지판
140 : 구치부받침턱
150 : 침배출공

Claims (3)

  1. 윗니와 아랫니의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패드(110)와;
    상기 받침패드(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외측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외측지지판(120)과;
    상기 받침패드(1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내측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내측지지판(130)과;
    상기 받침패드(110)의 상하 양측에 구비되어, 전치부 치아(A)는 접촉되지 않고 구치부 치아(B)만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구치부받침턱(140)을 포함하고,
    상기 구치부받침턱(140)은 높이가 5mm ~12mm 범위로 형성되고, 구치부받침턱(14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되, 상부경사면의 경사각도(θ1)는 5°~ 20° 범위로 형성되고, 하부 경사면은 상기 상부경사면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경사각도(θ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척추 교정기.
  2. 삭제
  3. 삭제
KR1020180028691A 2018-03-12 2018-03-12 턱관절 척추 교정기 KR10212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91A KR102125967B1 (ko) 2018-03-12 2018-03-12 턱관절 척추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691A KR102125967B1 (ko) 2018-03-12 2018-03-12 턱관절 척추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34A KR20190107434A (ko) 2019-09-20
KR102125967B1 true KR102125967B1 (ko) 2020-06-23

Family

ID=6806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691A KR102125967B1 (ko) 2018-03-12 2018-03-12 턱관절 척추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9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847B1 (ko) * 2020-06-26 2022-04-08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267169B1 (ko) * 2020-11-27 2021-06-18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087B1 (ko) 2014-10-23 2016-07-07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725846B1 (ko) 2015-09-04 2017-04-11 성진욱 턱관절 교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663B1 (ko) * 2016-07-08 2018-04-02 김성욱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087B1 (ko) 2014-10-23 2016-07-07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725846B1 (ko) 2015-09-04 2017-04-11 성진욱 턱관절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434A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394B1 (ko)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KR100926483B1 (ko) 턱관절 균형 장치
US20060110698A1 (en) Dental orthotic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impaired oral functions and resultant indications
US20060078840A1 (en) Dental orthotic for management of impaired oral functions
KR101947634B1 (ko)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KR101637087B1 (ko)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RU2721654C1 (ru)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е эласти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зубо-черепно-лицевого аппарата
KR100883168B1 (ko) 턱관절 보호 기구
US20190117442A1 (en) Bruxism treatment apparatus
JP2018531059A6 (ja) 歯−頭蓋骨−顔面機器のための歯列矯正用弾性調整装置
KR102125967B1 (ko) 턱관절 척추 교정기
KR101844663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US2023038101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mouth and jaw disorders
KR200443404Y1 (ko)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102643742B1 (ko) 턱관절 안정장치
US102384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maintaining an orthopedically optimized Cranio-cervical/Cranio-mandibular position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WO2015132649A1 (en) Orthodontic orthopaedic functional appliance
KR101180285B1 (ko)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조 방법
JP6120780B2 (ja) 口腔装置
KR200455055Y1 (ko)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745561B1 (ko) 조절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US20160166361A1 (en) Metal Bite Strip
KR20120008305U (ko) 템플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