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634B1 -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634B1
KR101947634B1 KR1020177001583A KR20177001583A KR101947634B1 KR 101947634 B1 KR101947634 B1 KR 101947634B1 KR 1020177001583 A KR1020177001583 A KR 1020177001583A KR 20177001583 A KR20177001583 A KR 20177001583A KR 101947634 B1 KR101947634 B1 KR 101947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molar
height
jaw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208A (ko
Inventor
이진행
오기화
이건주
Original Assignee
오기화
이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화, 이건주 filed Critical 오기화
Publication of KR2017009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085Mouth or tee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열성형수지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로, 아래턱 치아가 안착되는 받침대 (1000), 상기 아래턱 치아의 앞니가 위치하는, 상기 받침대 (1000) 의 앞니 부분의 상부에서, 윗턱 치아의 앞니와 상기 받침대 (1000)가 안착된 상기 아래턱 치아의 앞니의 간격을 고정하는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 및 열성형수지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가 위치하는, 상기 받침대 (1000) 의 어금니 부분의 상부에 안착되는 보조 받침대 (2000)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보조 받침대 (2000)는, 상기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 가 나타내는 윗턱과 아래턱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와 상기 윗턱 치아의 어금니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보조 받침대 (2000) 가 상기 받침대 (1000) 위에 안착되는 높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HEIGHT-ADJUSTABLE SPL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가능한 스프린트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인의 턱 관절에 맞는 높이를 가지는 스프린트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턱 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의 회전 중심이 되는 관절로서 회전 운동과 활주 운동이 일어나는 관절 부위이다. 턱 관절은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이 동시에 운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즉, 턱 관절을 이용하여, 음식물 등을 씹는 저작 운동, 또는 발음을 위한 상하 운동을 위하여는,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이 동시에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턱 관절은, 한쪽 부위의 턱 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부위의 턱 관절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턱 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향의 치료가 필요하다.
한편, 턱 관절 부근은, 12개의 뇌신경 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및 신경 등이 분포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턱 관절의 불균형은 상부 경추가 이탈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턱 관절과 연관된 근육 밸런스는 물론 중추 신경계의 혼란과 더불어 정상적인 머리뼈의 움직임을 방해하여 전신적인 신경계의 혼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전신적인 신경계의 혼란은,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의 질환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및 운동장애 (틱 장애, 뚜렛장애, 파킨슨씨병) 등 광범위한 전신 병적 증상을 발생시킨다.
턱 관절의 불균형은 각 개인의 생활 습관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개인 주변의 외적 상황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턱 관절의 불균형 정도는 개인에 따라 다르며, 특히,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의 불균형의 정도는 각 개인에 따라 그 편차가 다르다.
종래에는 치과 전문의와 같은, 특수 전문가에 의해서, 각 개인의 좌/우측 턱 관절의 불균형에 따른 어금니 높이의 차이를 조절하여 스프린트를 제작하여야 했다.
또한, 종래에 존재하던 턱 관절 균형 장치는, 개인의 좌측 턱 관절과 우측 턱 관절의 불균형을 고려하지 않고, 정형화된 규격을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어금니의 높이를 일정 높이에 맞추게 되어, 종래에 존재하던 턱 관절 균형 장치로는, 좌/우측 턱 관절 사이의 비대칭이 심해 아래턱이 많이 틀어진 경우, 또는 한쪽의 일부 혹은 치아상실로 좌우 씹는 높이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에는 효과적인 치료효과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존재하던 턱 관절 균형 장치는, 한쪽의 치아를 전부 상실하여 아래턱에서 유지를 얻을 수 없는 경우, 윗 턱 (상악) 이나 아래 턱 (하악) 중 한쪽의 치아가 전부 없는 경우, 좌우 씹는 높이가 많이 낮아 진 경우, 앞니를 모두 상실되고 어금니만 있는 경우, 구강 내 모든 치아가 전부 없는 무치악에서는 장치 제작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1-56876호 (1999.3.2.자 공개)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308403호 (2009.12.17.자 공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045143(2012.3.8.자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치과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일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사용자 개인의 턱 관절 상태에 맞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열성형수지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로, 아래턱 치아가 안착되는 받침대 (1000), 상기 아래턱 치아의 앞니가 위치하는, 상기 받침대 (1000) 의 앞니 부분의 상부에서, 윗턱 치아의 앞니와 상기 받침대 (1000)가 안착된 상기 아래턱 치아의 앞니의 간격을 고정하는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 및 성형 재료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가 위치하는, 상기 받침대 (1000) 의 어금니 부분의 상부에 안착되는 보조 받침대 (200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보조 받침대 (2000)는, 상기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 가 나타내는 윗턱과 아래턱의 위치에 의하여, 상기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와 상기 윗턱 치아의 어금니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보조 받침대 (2000) 가 상기 받침대 (1000) 위에 안착되는 높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는, 상기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와 상기 윗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3.8 mm 에서 4.5 mm 사이의 범위의 간격을 유지하는, 상기 받침대 (1000) 의 앞니 부분과 상기 윗턱 치아의 앞니의 간격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는, 상기 왼쪽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와 상기 윗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 mm 간격을 유지하는, 상기 받침대 (1000) 의 앞니 부분과 상기 윗턱 치아의 앞니의 간격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 (1000) 및/또는 상기 보조 받침대 (200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는, 스틱 형태로 제작되어, 우측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좌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의 앞니 높이 조절대 (4010)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형 재료는, 열 성형수지 (EVA 수지) 또는 비닐폴리실옥산 (vinylpolysiloxane)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균형 장치는, 윗턱 치아가 안착되는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 아래턱 치아가 안착되는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및 상기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와 상기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상기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어금니의 지지부 재질의 경도에 따라 3.8 mm 에서 4.5 mm 사이의 범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지는 치아 받침부 (13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아 받침부 (132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아 받침부 (1320)는, 상기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상기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 mm 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 및/또는 상기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는, 열성형수지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아 받침부 (1320)에 결합되어, 좌측 또는 우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각각 조절하는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치아 받침부 (1320) 와 상기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암/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니 부위가 없는 턱관절 균형 장치는, 형태 유지 및 측방 확장을 위해 금속으로 보강된 앞니 지지부 (7000), 윗턱 치아의 구개면에 밀착되어, 윗턱을 지지하는 윗턱 치아 구개 지지부 (7100) 및 어금니 사이 교합면에 위치하여, 어금니를 지지하는 어금니 받침부 (72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금니 받침부 (7200)는, 아래 방향 또는 윗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형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금니 받침부 (7200)는, 안쪽의 두께가 두껍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거나, 앞뒤로 두께차이에 차이가 나는 형태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용 마우스 가드는, 좌측 윗턱 어금니와 좌측 아래턱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좌측 어금니 받침대 (20010a), 우측 윗턱 어금니와 우측 아래턱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우측 어금니 받침대 (20010b) 및 윗턱 앞니와 아래턱 앞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앞니 받침대 (200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측 어금니 받침대 (20010a) 또는 상기 우측 어금니 받침대 (20010b)에 결합되어, 좌측 또는 우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각각 조절하는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기 좌측 어금니 받침대 (20010a) 또는 상기 우측 어금니 받침대 (20010b) 와, 상기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암/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 어금니 받침대 (2010a) 및 상기 우측 어금니 받침대 (2010b)는, 상기 어금니 사이 간격이 좌측 4.1 mm과 우측 4.55mm을 갖도록 하는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의 좌/우측 턱 관절의 높이 차를 고려한 스프린트 제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개인의 치아 상태와 관계없이, 스프린트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각 개인이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에 맞는 스프린트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받침대 및 이의 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보조 받침대 및 이의 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 내지 도 6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가 부착된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 내지 도 6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가 부착된 받침대에서 좌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및 우측 어금니 조절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 내지 도 6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가 부착된 받침대의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균형 장치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악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어금니 받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니 높이 조절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니 높이 조절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받침대 및 이의 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받침대 (1000)의 정면도 (1010), 배면도 (1020), 좌측면도 (1030), 우측면도 (1040), 평면도 (1050), 저면도 (10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받침대는 실리콘 재질 또는 기존의 스프린트에 사용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해당 재질의 경도 [硬度, hardness] 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의 정면도 (1010) 및 저면도 (1060)을 참조하면, 받침대는 윗턱 (상악) 또는 아래턱 (하악)의 치아가 위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받침대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열성형수지 (EVA 수지)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의 받침대는 윗턱 또는 아래턱에 사용될 수 있으나, 본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아래턱에 받침대를 사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보조 받침대 및 이의 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보조 받침대 (2000) 의 정면도 (2010), 배면도 (2020), 좌측면도 (2030), 우측면도 (2040), 평면도 (2050), 저면도 (20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보조 받침대 (2000)는 실리콘 재질 또는 기존의 스프린트에 사용되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해당 재질의 경도 [硬度, hardness] 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2의 정면도 (2010) 및 저면도 (2060)을 참조하면, 보조 받침대는 열경화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열성형수지 (EVA 수지)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의 보조 받침대는 윗턱 받침대 또는 아래턱 받침대에 사용될 수 있으나, 본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아래턱 받침대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받침대 (1000)의 내면의 열성형수지를 뜨거운 물로 연화한다. 연화된 열성형수지를 포함하는 받침대를 아래턱의 치아 (또는 치아가 없는 부분은 아래턱 잇몸)에 위치시킨다. 코튼 롤 (cotton roll; 3010) 혹은 설합자를 양쪽 어금니에 물면서, 받침대를 아래턱에 압접하여, 받침대에 포함된 열성형수지를 경화하여, 아래턱을 위한 받침대를 완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과정을 통하여 완성한 받침대를 아래턱에 부착한 상태에서, 아래턱의 앞니와 윗턱의 앞니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앞니 높이 조절대 (4010)를 앞니에 위치 시킨다. 도 4에서는 앞니 높이 조절대를 나무 스틱을 사용하여 표현하였으나, 높이를 조절하면서,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 형태라도 사용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대략적인 앞니 사이의 높이를 결정하기 위해 앞니 부위의 받침대 위에,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앞니 높이 조절대의 개수를 증가시키면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앞니의 높이를 결정한다. 이때, 나무 스틱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거나, 사용자의 악력 등의 힘을 측정하여, 그 크기가 가장 커지는 위치 및 높이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앞니의 높이는, 어금니의 치아 사이 높이가 4.1 밀리미터를 기준으로, 높이 조절대를 증감시키면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따라 결정된 앞니 높이 조절대를 앞니에 물린 상태에서, 좌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5010)와 우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미도시)를 사용하여, 좌측 어금니 사이의 높이 및 우측 어금니 사이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좌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와 우측 어금니 조절대를 위치시킨다.
좌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및 우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는, 각각 좌측과 우측의 어금니의 사이의 높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두께를 가지는 좌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와 우측 어금니 조절대의 개수를 늘려가면서, 양측 어금니 사이의 높이를 유지하는 좌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및 우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를 양측 어금니에 각각 위치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과정에 의하여 결정된 좌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및 우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를 양측 어금니 사이에 유지시키면서, 앞니 높이 조절대를 제거한다.
좌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및 우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를 양측 어금니 사이에 유지시킨 상태에서, 아래턱의 전/후/좌/우의 이동 시키면서, 사용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위치(힘이 가장 강한 위치)를 찾는다. 해당 위치에서, 앞니 부위에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 (예를 들면, 치과용 인상재)를 이용하여 위 아래턱의 관계를 기록한다. 이때, 앞니 부위 관계 기록은, 치과용 인상재 대신 앞니 부위에 연화된 열성형수지를 위치시키고 경화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앞니 부위 관계 기록은, 아래턱의 치아와 위턱의 앞니 사이의 위치에 대한 기록으로, 각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힘이 가장 강한) 윗턱 및 아래턱의 위치에 대한 기록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 내지 도 6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가 부착된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 내지 도 6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가 부착된 받침대에서 좌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및 우측 어금니 조절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 내지 도 6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가 부착된 받침대의 저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과정의 다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설명된 보조 받침대 (2000) 에 열성형수지를 채우고, 이를 뜨거운 물로 연화한 후, 받침대 (1000) 의 양측 어금니 부위에 각각 위치시키고,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가 부착된 받침대와 함께 아래턱 치아 (또는, 치아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실된 경우 아래턱 잇몸) 에 위치시킨다.
앞니에 약한 압력을 가하면서,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가 나타내는 윗턱과 아래턱의 관계에 따라, 양측 어금니 사이에 위치한 보조 받침대에도 압력을 가한다. 이 경우, 보조 받침대에 채워진 열성형수지는 양측 어금니에 가해지는 각각의 압력에 따라, 그 높이가 결정되어 경화된다. 따라서, 좌측 어금니 사이의 높이와 우측 어금니 사이의 높이가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해당 차이를 반영한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가 제작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5, 도 6, 도 10에서 각각 설명한 과정을 순서대로 진행하여,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가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부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 및/또는 도 6에서 설명한 과정은 생략하고,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가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서 설명된 과정에 따라, 앞니 높이 조절대 (4010) 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앞니 사이의 높이를 측정한다. 도 5의 과정을 생략하고, 도 6에 설명된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6010) 대신, 앞니 높이 조절대 (401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정확한 앞니 부위 관계 기록이 불가능한 경우, 받침대 (1000)에, 보조 받침대 (2000)와 앞니 높이 조절대 (4010)을 함께 위치시켜, 윗턱과 아래턱을 닫는 경우에, 앞니 높이 조절대 (4010)의 의하여, 양측 어금니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양측 보조 받침대의 높이가 결정되는 방법으로 스프린트가 제작될 수 있다. 이때 4010의 위치를 정확히 재위치 할 수 있도록 상악 치아의 윤곽을 그려놓으면 정확한 위치로 재위치 가능 하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그 목적을 달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마우스 피스 또는 나이트 가드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에는 도 10의 과정에 따라 높이가 조절된 보조 받침대 (2000)가 받침대 (1000)에 부착된 상태의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가 도시되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는 아래턱에서 분리된,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가 도시되어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턱 관절 균형 장치 (1310) 의 사시도 (13000), 평면도 (13100), 저면도 (13200), 측면도 (13300) 및 정면도 (13400) 을 나타낸다.
도 13에서 도시된 턱 관절 균형 장치는 열성형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어금니의 높이를 개인에 맞게 조절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최적의 어금니 높이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턱 관절 균형 장치는 일반적인 시판용 턱 균형 장치와 그 형태가 유사하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4.1 밀리미터 (4.1 mm)로 제작될 수 있다. 이 때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침을 삼켰을 때의 간격을 기준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균형 장치는, 윗턱 치아가 안착되는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 아래턱 치아가 안착되는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및/또는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와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사이에 위치하며,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지는 치아 받침부 (1320)를 포함한다.
치아 받침부 (1320)는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 간격이 3.8 mm 에서 4.4 mm 사이의 범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재료의 강도에 따라 침을 삼켰을 때,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mm가 되도록 치아 받침부 (1320) 가 제작될 수 있다.
치아 받침부 (1320)는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 간격이 4.1 mm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 때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침을 삼켰을 때의 간격을 기준으로 제작될 수 있다.
치아 받침부 (132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 받침부 (1320)는 어금니의 압력 또는 턱 관절의 변화를 반영하여,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 및/또는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는, 열성형수지가 채워질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어금니 부위의 치아 받침부 (1320)에 좌우 높이 차이를 주기 위하여 도 11의 2000와 같이 다양한 두께로 제작하여 치아 받침부 (1320)에 암수 형태로 좌우에 따로 결합될 수 있게 제작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턱 관절 균형 장치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의 변화에 따른 사용자의 악력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마우스 피스 또는 스프린트를 사용할 때, 적절한 턱 관절의 위치는 사용자의 힘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은 이미 여러 실험을 통하여 증명된 바가 있다. 잘못된 턱 관절의 위치에 따른 인체 내의 신경 체계의 문제를 마우스 피스나, 스프린트로 교정을 함으로서 생기는 효과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위와 같은 실험을 근거로, 출원인은 기존의 턱 관절 균형 장치에서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에 따른, 사용자의 상대적 악력 (grip strength, 握力)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사용자의 근 피로감에 따른 악력의 변화를 실험 결과에서 제외하기 위하여, 매일, 일정한 시간 동안만 측정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턱 관절 균형 장치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은 악력의 변화가 급격한 부분에서는 0.05 mm 단위로, 악력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악력의 변화가 크지 않은 부분에서는 0.1 mm 단위로, 악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턱 관절 균형 장치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사용자의 악력을 5라고 했을 때, 다양한 간격을 가지는 턱 관절 균형 장치를 착용하면서 악력을 측정하였다.
대표적인 실험 결과치를 반영하여 도시된 도 14의 그래프를 보면, 턱 관절 균형 장치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약 1.6 mm 부근에서, 사용자의 악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턱 관절 균형 장치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조금씩 늘어나면서, 악력은 다시 5 정도의 크기로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턱 관절 균형 장치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약 4.1 mm 부근에서 대부분의 사용자의 악력이 급격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4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턱 관절 균형 장치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 mm 를 넘어, 계속 증가는 경우, 10 mm 까지는 사용자의 악력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턱 관절 균형 장치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10 mm 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가 턱 관절에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측정치는 의미 있는 실험 결과가 될 수 없어, 이를 제외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턱 관절 균형 장치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 mm 부근에서 사용자의 악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일반적으로, 4.1 mm 의 어금니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경우, 신체의 신경 전달이 원활히 진행됨을 유추할 수 있다.
한편, 4.1 mm 의 어금니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경우, 측두골의 후방이동 감소 및 최적의 운동성 증가로 접형골과 후두골의 굴곡과 신전운동(flection and extension)을 정상화 함으로서 두개골 운동 정상화로 얼굴 비대칭 해소 및 뇌기능를 향상 함으로써 간질, 치매, 알츠하이머, 파킨슨씨병, 근이상긴장증(사경증)에 더욱더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제로 파킨슨 환자의 경우 4.1mm를 유지 하는 경우 약물에도 잘 반응 하지 않던 손 발 떨림이 거의 소실되는 실험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 mm 인 스프린트, 마우스 피스, 나이트 가드 등의 턱 관절 장치를 제안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운동중 부상 방지를 위한 마우스 피스를 제작하기 위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mm 또는 0.05mm 의 두께를 가지는 좌/우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15010, 15020) 를 쌓아 올리면서, 좌/우측 어금니 사이의 교합면의 높이를 구강 내에서 직접 측정한다. 이때, 좌/우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은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높이를 선택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나, 전술한 도 14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여, 4.1 mm에서 0.4 mm 의 오차 간격내의 높이를 측정의 기준치로 삼을 수 있다.
좌/우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결정되면, 결정된 간격에 따른 좌/우측 어금니 높이 조절대 (15010, 15020)를 어금니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아래턱 위치를 설정한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은, 앞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예를 들면, 치과용 인상제)를 이용하여 앞니 사이 높이의 본을 뜨고, 이를 다시 입안에 넣은 상태에서 어금니 부위에 어금니 부위 관계 기록 장치 (예를 들면, 치과용 인상제) 를 이용하여 전체 치아 간 높이 기록체를 완성한다. 이후, 윗턱과 아래턱의 본(impression)을 뜬 후 석고모형을 만든다. 그 후 미리 제작된 전체 치아간 높이 기록체를 이용하여 교합기에 마운팅 (mounting) 후 마우스피스를 완성한다.
전술한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이에 대한 제작 방법은, 마우스 피스 또는 나이트 가드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일반용 마우스피스의 경우에는, 미리 제작된 4.1 mm의 높이를 좌우측 어금니사이에 문다. 그리고 어금니의 측정지 부위가 없는 위 아래턱 장치(EVA 수지)를 뜨거운 물로 연화한 후 앞니 부위에 호흡을 위한 구멍 부착물을 앞니 사이에 넣고 함께 물면서 장치를 완성한다. 어금니 높이에 해당하는 어금니 높이 패드를 뜨거운 물로 연화한 후 미리 제작된 앞쪽의 장치와 결합하여 일반인용 마우스가드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약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도록 마우스 피스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 mm, 우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55 mm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우스 피스를 제작할 수 있다.
전문가용 나이트가드에는 0.05mm 측정지를 쌓아 올리면서 (대략 4.1mm근처) 좌우측 어금니 사이의 교합면 높이를 구강내에서 직접 측정한다. 그 후 아래턱의 전후좌우 좋은 위치로 이동시켜 입안의 어금니에 좌우측 측정지를 물면서 앞니에 치과용 인상제를 이용하여 앞니 사이의 높이 본을 뜬다. 그 본을 다시 입안에 넣은 상태에서 어금니 부위에 치과용 인상제를 이용하여 전체 치아 간 높이 기록체를 완성한다. 이렇게 윗턱과 아래턱의 본(impression)을 뜬 후 석고모형을 만든다. 그 다음 미리 제작된 치아 간 높이 기록체를 이용하여 교합기에 마운팅(mounting)후 전문가용 마우스피스를 완성한다.
일반용 나이트가드의 경우에는, 미리 제작된 4.1 mm의 높이를 좌우측 어금니사이에 문다. 문 상태에서 어금니의 측정지 부위가 없는 윗턱의 장치(EVA수지)를 뜨거운 물에 연화한다. 그 후 모두 함께 물어 앞니 부위 장치가 경화된 후 입안에서 제거한다. 그것을 어금니 부위 장치(EVA수지)인 윗턱 어금니 부위에 연화한 후 앞니 장치와 함께 물어 경화시킨 장치로써 일반용 나이트가드를 완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약간의 차이를 가질 수 있도록 나이트 가드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 mm, 우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55 mm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나이트 가드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어금니 부위를 덮는 장치로 이루어지며, 장치 앞니 부위의 보강과 개인의 상태에 맞게 조절 및 확장이 필요한 경우를 위해서, TMA(Titanium molybdenum wire)나 Stainless steel wire로 보강한다.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어금니 받침부 (1610) 및/또는 앞니 받침부 (16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어금니 받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는, 형태 유지 및 측방 확장을 위해 금속으로 보강된 앞니 지지부 (7000), 윗턱 치아의 구개면에 밀착되어, 윗턱을 지지하는 윗턱 치아 구개 지지부 (7100), 어금니 사이 교합면에 위치하여, 어금니를 지지하는 어금니 받침부 (7200) 및/또는 아래턱 치아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아래 치아를 지지하는 아래턱 치아 설측 지지부 (7300) 를 포함한다.
전술한 앞니 부위가 없는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의 어금니 받침부는 경사가 없는 형태, 경사를 가지는 형태 및/또는 두께의 변화가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어금니 받침부 (7200) 는, 경사가 없는 형태의 경우, 치아 교합면과 평행하게 제작될 수 있다.
어금니 받침부 (7200) 는, 경사를 가지는 형태의 경우, 위아래 치아 및 악궁의 확장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5-10도 경사를, 아래 방향 또는 윗 방향으로 주어, 씹는 힘에 의해 확장할 수 있게 한다.
어금니 받침부 (7200) 는, 두께의 변화가 있는 형태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의 두께가 두껍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아래턱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앞으로 얇아지거나 혹은 두꺼워 지게 제작 될 수 있다. 이의 작용은 사용자의 침을 삼키는 힘에 의해 (보통 2kg/하루에 2000번)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경사 및 두께 변화에 따르는 방향의 변화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래 치아와 접촉 하는 부위는 (7200아래면) 열 가성 수지를 이용하여 치아 에서 유지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니 높이 조절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앞니 높이 조절대는 스틱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우측의 두께가 가장 두껍고, 좌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앞니 높이 조절대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가 가장 편암함을 느끼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형태의 앞니 높이 조절대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의 악력 등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가 가장 높은 위치의 앞니 높이 조절대의 두께를 앞니 사이의 간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윗쪽에 도시된 앞니 높이 조절대 (15030)는 앞니 사이에 직접 위치시켜 좌우 턱의 좋은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아래쪽에 도시된 앞니 높이 조절대 (4010) 는 앞니 사이에 EVA 수지의 장치 (예를 들면, 받침대; 1000) 의 두께를 반영하여, 전체적인 두께를 줄인 장치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니 높이 조절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앞니 높이 조절대는 입 안쪽에 위치되는 후면과, 입 바깥쪽에 위치되는 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앞니 높이 조절대의 단면을 참조하면, 앞니 높이 조절대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이동할 수 록,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앞니 높이 조절대를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가 가장 편암함을 느끼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형태의 앞니 높이 조절대를 전 또는 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사용자의 악력 등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가 가장 높은 위치의 앞니 높이 조절대의 두께를 앞니 사이의 간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 피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우스피스 (20000) 는, 좌측 윗턱 어금니와 좌측 아래턱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좌측 어금니 받침대 (20010a), 우측 윗턱 어금니와 우측 아래턱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우측 어금니 받침대 (20010b), 및/또는 윗턱 앞니와 아래턱 앞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앞니 받침대 (20020)을 포함한다.
이때, 좌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1 mm, 우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4.55 mm을 각각 가질 수 있도록 좌측 어금니 받침대와 우측 어금니 받침대가 각각 제작될 수 있다.
이는 앞니 부위와 어금니 부위의 받침대가 분리되어, 앞니 부위를 우선 제작 하고 어금니부위를 제작된 앞니 부위와 결합하여 전체 장치를 완성 한다.
앞니 받침대 (2020) 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앞니 받침대를 이용하여, 좌우측 턱 사이의 불균형이 심한 사용자에 적용하는 경우, 보다 현저한 턱 관절 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은 전술한 턱 관절 균형 장치 (1310) 또는 마우스 피스 (20000) 에 적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가 마우스 피스 (20000) 에 적용되는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한 설명을 한다.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의 평면도 (21010) 및 측면도 (21020)을 참조하면,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는 마우스 피스 (20000) 의 어금니 받침대의 위 또는 아래에 결합되어, 마우스 피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의 결합을 위하여, 마우스 피스는 구멍 (hole; 암 역할)을 가질 수 있고,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는 측면도 (21020)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피스의 구멍에 결합되는 장치 (수 역할)를 가질 수 있다.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는 다양한 두께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금니 받침대 높이 조절 장치 (21000) 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턱 관절의 균형의 변화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어금니 사이의 간격을 별도로 조절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로 상술되었다.
본 발명은 턱 관절 교정 분야, 턱 관절 보호 분야, 운동 보조 기구 및/또는 치아 보호 분야 산업 전반에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윗턱 치아가 안착되는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
    아래턱 치아가 안착되는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및
    상기 윗턱 치아 보호부 (1310a)와 상기 아래턱 치아 보호부 (1310b)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윗턱 치아의 어금니와 상기 아래턱 치아의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어금니의 지지부 재질의 경도에 따라 기설정된 범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두께를 가지는 치아 받침부 (1320);
    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의 간격이 3.8 mm 내지 4.5 mm 인 턱 관절 균형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형태 유지 및 측방 확장을 위해 금속으로 보강된 앞니 지지부(7000);
    윗턱 치아의 구개면에 밀착되어, 상기 윗턱을 지지하는 윗턱 치아 구개 지지부(7100); 및
    어금니 사이 교합면에 위치하여 상기 어금니를 지지하는 어금니 받침부(7200); 를 포함하고, 상기 어금니 사이의 간격이 3.8mm 내지 4.5mm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턱 관절 균형 장치.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 받침부(7200)는, 아래 방향 또는 윗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관절 균형 장치.
  14.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 받침부(7200)는, 안쪽과 바깥쪽이 두께 차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 관절 균형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7001583A 2015-01-27 2015-01-27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KR101947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0850 WO2016122013A1 (ko) 2015-01-27 2015-01-27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065A Division KR20190014587A (ko) 2015-01-27 2015-01-27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208A KR20170098208A (ko) 2017-08-29
KR101947634B1 true KR101947634B1 (ko) 2019-02-13

Family

ID=565436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583A KR101947634B1 (ko) 2015-01-27 2015-01-27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KR1020197003065A KR20190014587A (ko) 2015-01-27 2015-01-27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065A KR20190014587A (ko) 2015-01-27 2015-01-27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14962A1 (ko)
EP (1) EP3251635A4 (ko)
JP (1) JP6502529B2 (ko)
KR (2) KR101947634B1 (ko)
CN (2) CN110721021A (ko)
WO (1) WO20161220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4959A4 (en) * 2016-03-30 2020-03-25 P3 Athletics Inc. ADDITIVE PRINTING METHOD FOR AIRWAY AND OXYGENATION GROWTH MOUTHPIECE
KR101745561B1 (ko) * 2016-08-31 2017-06-20 주식회사 세연바이오테크 조절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US10945818B1 (en) 2016-10-03 2021-03-16 Myohealth Technologies LLC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WO2018074683A1 (ko) * 2016-10-20 2018-04-26 주식회사 디오 치과용 견인장치
KR102643742B1 (ko) * 2016-11-28 2024-03-06 정수창 턱관절 안정장치
JP6472101B1 (ja) * 2017-11-01 2019-02-20 俊郎 蟹江 マウスガードの製造方法
CN110215304B (zh) * 2019-07-03 2022-02-11 深圳市倍康美医疗电子商务有限公司 磨牙垫高导板的制作方法及磨牙垫高导板
CN111956347B (zh) * 2020-08-03 2022-03-18 厦门医学院附属口腔医院(厦门市口腔医院) 颞下颌关节髁突发育诱导器及其制备方法
CN112914750B (zh) * 2021-03-08 2022-01-18 吉林大学第一医院 一种癫痫患者用辅助口部防护装置
CN115998469B (zh) * 2023-03-24 2023-05-26 四川大学 一种可调节的平导和斜导一体化结构的壳状保持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8403A1 (en) * 2000-09-08 2009-12-17 Mark Roettger Oral appliances with major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JP2012045143A (ja) * 2010-08-26 2012-03-08 Yoshinori Sato 口腔周辺筋強化用マウスピース
US20140060549A1 (en) 2012-09-06 2014-03-06 Kelly Lucas Pre-fabricat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for patients having bruxism/clenching habit with or without various malocclus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9500A (en) * 1986-09-17 1989-01-24 Newbury Renton 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muscle imbalance
US4901737A (en) * 1987-04-13 1990-02-20 Toone Kent J Method and therapeutic apparatus for reducing snoring
US5299936A (en) * 1991-09-20 1994-04-05 Molten Corporation Spacer and mouthpiece for adjusting occulsion
US5365945A (en) * 1993-04-13 1994-11-22 Halstrom Leonard W Adjustable dental applic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JPH1156876A (ja) * 1997-08-19 1999-03-02 Uinkeru:Kk 左右不均等矯正用マウスピース
AU2003903900A0 (en) * 2003-07-25 2003-08-07 Myohealth Pty Ltd Improved occlusal splint
US20050236003A1 (en) * 2004-04-16 2005-10-27 Meader Charles R Apnea nipple and oral airway and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O2009135210A2 (en) * 2008-05-02 2009-11-05 Mcmullin Labs, Inc. Oral appliance for improved nocturnal breathing
US8667971B2 (en) * 2009-08-28 2014-03-11 Nova Scotia Limited Methods of preparing customized mouthpieces for enhancing athletic performance
US9022903B2 (en) * 2011-03-11 2015-05-05 Zaki Rafih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strength and balance
KR200467349Y1 (ko) * 2011-05-27 2013-06-10 이기철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용 치아기구
JP6082738B2 (ja) * 2012-06-22 2017-02-15 株式会社ジーシー 無歯顎用印象トレーセット
KR101480608B1 (ko) * 2013-05-13 2015-01-09 박영현 경구개접촉구를 가지는 상악스프린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08403A1 (en) * 2000-09-08 2009-12-17 Mark Roettger Oral appliances with major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JP2012045143A (ja) * 2010-08-26 2012-03-08 Yoshinori Sato 口腔周辺筋強化用マウスピース
US20140060549A1 (en) 2012-09-06 2014-03-06 Kelly Lucas Pre-fabricat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for patients having bruxism/clenching habit with or without various malocclus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208A (ko) 2017-08-29
US20180014962A1 (en) 2018-01-18
KR20190014587A (ko) 2019-02-12
JP6502529B2 (ja) 2019-04-17
JP2018505021A (ja) 2018-02-22
WO2016122013A1 (ko) 2016-08-04
CN110721021A (zh) 2020-01-24
EP3251635A4 (en) 2019-02-20
EP3251635A1 (en) 2017-12-06
CN107205837A (zh)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634B1 (ko)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US8783259B2 (en) Oral appliance for improved nocturnal breathing
DK2827794T3 (en) Apparatus for jaw joint-related dental positioning corrections
KR100926483B1 (ko) 턱관절 균형 장치
EP1675524B1 (en) Dental appliance for orthodontic correction
JP4384096B2 (ja) 咬合矯正改善システムと補正カンペル平面取得装置並びに咬合矯正改善具
US8585401B2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US11833008B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KR100883168B1 (ko) 턱관절 보호 기구
KR101844663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US973083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tray for stabilizing jaw joint relationship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KR101745561B1 (ko) 조절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US10675127B1 (en) User-customizable orthopedic alignment device with alignment gap
US20200107910A1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n appliance
US20190350676A1 (en) Mouthpiece, system for supporting production of mouthpiece, mini-splint, and method for producing mouthpiece
KR101180285B1 (ko)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9141604A (ja) 高さ調節型スプリント及びその作製方法
KR20180025140A (ko) 조절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KR200455055Y1 (ko) 턱관절 균형 장치
US20160166361A1 (en) Metal Bite Strip
EP4292563A1 (en) Dental det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orientation in space of the dental arches of a patient
US20230181350A1 (en) Dual purpose orthodontic appliance for alignment, bruxism, and sleep apnea with smart sensors and control module system
KR101684151B1 (ko) 코숨장치
JPH07124178A (ja) トゥースポジショナー
JP2023522981A (ja) 整合間隙を伴うユーザカスタマイズ可能な整形外科整合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