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742B1 - 턱관절 안정장치 - Google Patents

턱관절 안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742B1
KR102643742B1 KR1020160159625A KR20160159625A KR102643742B1 KR 102643742 B1 KR102643742 B1 KR 102643742B1 KR 1020160159625 A KR1020160159625 A KR 1020160159625A KR 20160159625 A KR20160159625 A KR 20160159625A KR 102643742 B1 KR102643742 B1 KR 10264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omandibular joint
teeth
support portion
auxiliary pa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290A (ko
Inventor
정수창
Original Assignee
정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창 filed Critical 정수창
Priority to KR102016015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742B1/ko
Priority to PCT/KR2017/001346 priority patent/WO2018097396A2/ko
Priority to TW106108550A priority patent/TW201818886A/zh
Publication of KR2018006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안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를 둘러싸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함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홈 및 상기 결합 홈을 둘러싸는 보조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상기 지지부와 맞물리는 경우, 상기 보조패드는 하부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는 턱을 누름으로써, 턱관절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구조의 턱관절 안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턱관절 안정장치{TEMPOROMANDIBULAR JOINT STABIL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턱관절 안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를 둘러싸는 지지부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한 보조패드를 구비하고,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지지부에 맞물림에 따라 보조패드가 하부 어금니부분에 위치하는 턱을 누름으로써, 턱관절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키도록 하여 치아의 부정교합 및 턱관절의 비대칭적 불균형을 해소시키는 턱관절 안정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 회전운동과 활주운동이 일어나며 저작기능과 발음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
턱관절은 12개의 뇌신경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신경 등이 분포하여 두뇌를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턱관절의 균형이 무너지면 전신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턱관절의 불균형은 1번 경추와 2번 경추의 아탈구를 유발하여 경항부 주위의 근육 밸런스를 깨트림으로서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뿐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증상을 야기한다.
인간은 밤낮으로 하루에 2,400번 이상 무의식적으로 침을 삼키게 되는데 이때 상하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은 약1.6kg정도가 되고, 음식을 씹을 때 가해지는 압력은 20kg~80kg 정도가 되며, 수면 시간 동안 이갈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당히 높은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좌우 턱관절의 불균형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엄청나다고 할 수 있으며,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질수록 턱관절의 불균형이 심화되며, 턱관절의 불균형이 심화될수록 상술한 전신증상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고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균형장치 등이 많이 고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등록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13824호의 턱관절 교정패드, 특허등록 제10-200982호의 윗니 잇몸에 착용하기 위한 턱관절 교정패드 및 특허등록 제10-200983호의 아랫니 잇몸에 착용하기 위한 턱관절 교정패드 등은 턱관절의 디스크를 교정하기 위하여 유동액을 사용하고, 아랫니 또는 윗니의 잇몸에 장착하는 특징이 있으나, 아랫니 또는 윗니에 착용됨으로써 교정패드의 착용시 잇몸에 고정되기 어려워 치아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치아가 모아질 때 유동액의 이동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치아를 둘러싸는 지지부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한 보조패드를 구비하고,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지지부에 맞물림에 따라 보조패드가 하부 어금니부분에 위치하는 턱을 누름으로써, 턱관절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키도록 하여 치아의 부정교합 및 턱관절의 비대칭적 불균형을 해소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턱관절 안정장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환자의 구강구조 및 치아의 상태에 따라 두께조절이 가능한 보조패드를 지지부에 탈부착하는 턱관절 안정장치를 제공하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치아를 둘러싸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함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홈 및
상기 결합에 탈부착되는 보조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상기 지지부와 맞물리는 경우, 상기 보조패드는 하부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는 턱을 누름으로써, 턱관절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안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외측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와 수직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부가 수평을 이루며 하부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은, 상기 하부 어금니와 맞닿도록 상기 지지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드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두께는 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턱관절 안정장치는 보조패드를 지지부의 하부에 부착시킴으로써, 보조패드가 하부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는 턱뼈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머리뼈와 턱뼈사이로부터 이탈된 턱관절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턱관절 안정장치는 두께조절이 가능한 보조패드를 지지부에 탈부착함으로써, 환자의 구강구조 및 치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교정 및 치유를 돕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전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패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전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보조패드가 결합된 부분을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턱관절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전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패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전장치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와 보조패드가 결합된 부분을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를 사용함에 따라 턱관절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100)는 지지부(110), 결합 홈(120) 및 보조패드(1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치아를 둘러싸는 지지부(110), 지지부(110)에 함입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홈(120) 및 결합 홈(120)을 둘러싸는 보조패드(130)를 포함하고,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지지부(110)와 맞물리는 경우, 보조패드(130)는 하부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는 턱을 누름으로써, 턱관절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1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지지부(110)는 치아를 둘러싸는 구강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는 치아의 윗니가 안착될 수 있으며, 하부는 치아의 아랫니가 안착될 수 있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치아는 윗니 와 아랫니로 구분되며 치아의 전방부분이 전치부이고, 치아의 후방부분이 어금니가 배열된 부분으로 구치부이다.
전술한, 지지부(110)는 일정 수준의 강도를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인 치아의 형상에 따라 전치부의 경사 각도가 구치부의 경사 각도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는 구치부 부분의 좌측 및 우측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치부 부분의 좌측 및 우측의 두께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10)는 좌측 어금니 부분과 우측 어금니 부분의 단차를 고려하여 지지부(110)의 우측 구치부 부분의 두께가 좌측 구치부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지부(110)는 외측 가이드부(111) 및 내측 가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가이드부(111)는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지지부(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욋니 및 아랫니가 지지부(110)에 안착 시 윗니 및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내측 가이드부(112)는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지지부(1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윗니 및 아랫니가 지지부(110)에 안착 시 윗니 및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 가이드부(111) 및 내측 가이드부(112)는 치아의 형태 및 구강의 형태에 따라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 가이드부(111) 및 내측 가이드부(112)의 높이는 치아를 둘러싸도록 일정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치아를 지속적으로 자극함으로써 치아가 교정되는 것을 유도 시킨다.
또한, 지지부(110)는 경사부(11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경사부(11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의 상부가 수평을 이루며 하부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10)의 상부가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윗니가 지지부(110)의 상부에 안착 시 윗니와 연결된 머리뼈의 하중의 일부를 지지부(110)의 상부가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지지부(110)의 하부에 경사부(113)를 형성하여 아랫니가 지지부(110)의 하부에 안착 시 아랫니와 지지부(110)사이의 유격을 발생시킴으로써, 지지부(110)가 아랫니를 강하게 압박하지 않으면서 턱뼈를 누르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보조패드(130)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결합 홈(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10)에 함입되는 하나 이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결합 홈(120)은 하부 어금니와 맞닿도록 지지부(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100)의 보조패드(130)를 설명한다.
보조패드(130)는 결합 홈(120)에 탈부착되는 것으로, 본체(131) 및 돌기부(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조패드(130)는 지지부(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 홈(120)의 위치에 따라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일례 로서, 턱관절 비대칭 질환의 환자에 보조패드(130)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키려면, 환자마다 구강구조 및 턱관절 비대칭 질환의 차이가 있으므로, 결합 홈(120)의 위치를 지지부(110)의 하부 후방 중 어느 부위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보조패드(130)는 전술한 경사부(113)에 부착됨으로써, 아랫니를 강하게 압박하지 않으면서 턱뼈를 누르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랫니가 지지부(110)의 하부에 안착 시 하부 어금니에 위치하는 보조패드(130)가 하부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는 턱뼈를 누른다. 이때, 경사부(113)는 지지부(110)의 중앙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보조패드(130)가 하부 어금니를 누르더라도, 경사부(113)와 하부 어금니 사이에 유격이 발생됨으로써, 지지부(110)가 아랫니의 압박 시 완충역할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체(131)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31)의 두께는 1mm 내지 10mm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어금니가 턱뼈를 누르기 위해 치아가 지지부(110)에 맞물리는 경우, 보조패드(130)는 하부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는 턱을 누른다. 이때, 본체(131)가 지지부(11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하부 어금니를 누르기 위해 지지부(110)의 단부방향 거리만큼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131)는 치아 한 개와 맞닿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하부 어금니를 누르도록 한다.
그리고 본체(131)의 두께가 1mm 내지 10mm로 형성됨으로써, 환자의 구강구조 및 턱관절의 비대칭 질환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두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례 로서, 본체(131)의 두께가 10mm 이상인 경우 지지부(110)의 두께와 본체(131)의 두께에 의해 치아가 다물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체(131)의 두께가 1mm 이하인 경우 턱뼈를 누르기 위한 보조패드(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패드(130)는 환자의 턱관절 상태에 따라 본체(131)의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기부(132)는 본체(131)의 일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돌기부(132)는 지지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 홈(120)에 탈부착 된다. 여기서, 돌기부(132)는 결합 홈(120)에 부착되었을 경우 보조패드(130)가 지지부(110)의 하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100)를 사용함에 따라 턱관절의 위치가 이동하는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10)는 상부가 수평을 이루고 하부가 경사면을 이루는 경사부(113)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110)의 하부에 보조패드(130)가 부착되어 있다. 이때, 보조패드(130)는 지지부(110)의 하부 중 후방 어느 부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부(110)는 상부 및 하부에 치아가 맞닿는 경우 지지부(110)의 상부는 치아의 윗니가 안착된다. 그리고 지지부(110)의 상부는 치아의 아랫니가 안착된다.
따라서, 하부 어금니와 보조패드(130)가 맞닿게 되며, 보조패드(130)는 하부 어금니부분에 위치한 턱뼈를 누르게 된다. 이로 인해, 턱뼈가 하부로 이동하고, 머리뼈와 턱뼈 사이로부터 이탈된 턱관절이 원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서로 맞물려있으며 턱관절(T)이 원래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있다. 이때 턱관절(T)이 이탈됨에 따라, 머리뼈와 턱뼈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면서 턱의 부정교합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턱관절(T)이 원래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뼈를 아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100)를 착용시키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100)를 착용하는 경우,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지지부(110)에 맞물림에 따라 지지부(110)의 하부에 부착된 보조패드(130)가 하부 어금니를 누르게된다. 이때, 하부 어금니가 눌리면서 턱뼈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턱뼈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 시 머리뼈와 턱뼈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머리뼈와 턱뼈 사이로부터 이탈된 턱관절(T)이 원래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관절 안정장치(100)를 착용 함으로써, 턱관절(T)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턱관절 안정장치 110 : 지지부
111 : 외측 가이드부 112 : 내측 가이드부
113 : 경사부 120 : 결합 홈
130 ; 보조패드 131 : 본체
132 : 돌기부

Claims (6)

  1. 윗니가 안착되는 상부가 수평을 이루며 하부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사부(113)를 포함하며, 치아를 둘러싸는 지지부(110);
    상기 지지부(110)의 후방 하부에 함입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홈(120); 및
    상기 경사부(113)에서 상기 결합 홈(120)에 탈부착되는 보조패드(130);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상기 지지부(110)와 맞물리는 경우, 상기 보조패드(130)는 하부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는 턱을 누름으로써 턱관절을 원래 위치로 유도시키며, 상기 경사면으로 인해 상기 보조패드(130)가 하부 어금니를 누르더라도 경사부(113)와 하부 어금니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안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외측 가이드부(111); 및
    상기 지지부(110)와 수직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내측 가이드부(112);를 포함하는,
    턱관절 안정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드(13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본체(131); 및
    상기 본체(131)의 일면으로부터 하나 이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32);를 포함하는,
    턱관절 안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31)의 두께는 1mm 내지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안정장치.
KR1020160159625A 2016-11-28 2016-11-28 턱관절 안정장치 KR102643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625A KR102643742B1 (ko) 2016-11-28 2016-11-28 턱관절 안정장치
PCT/KR2017/001346 WO2018097396A2 (ko) 2016-11-28 2017-02-07 턱관절 안정장치
TW106108550A TW201818886A (zh) 2016-11-28 2017-03-15 顳顎關節穩定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625A KR102643742B1 (ko) 2016-11-28 2016-11-28 턱관절 안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290A KR20180060290A (ko) 2018-06-07
KR102643742B1 true KR102643742B1 (ko) 2024-03-06

Family

ID=6219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625A KR102643742B1 (ko) 2016-11-28 2016-11-28 턱관절 안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643742B1 (ko)
TW (1) TW201818886A (ko)
WO (1) WO201809739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56347B (zh) * 2020-08-03 2022-03-18 厦门医学院附属口腔医院(厦门市口腔医院) 颞下颌关节髁突发育诱导器及其制备方法
KR102325958B1 (ko) * 2021-05-31 2021-11-12 이동훈 이갈이 방지 가드
KR102597883B1 (ko) * 2021-08-11 2023-11-02 이동훈 이갈이 방지 가드
CN114305752B (zh) * 2021-12-31 2022-06-14 杭州雅智医疗技术有限公司 针对Angle I类错颌和Angle II类错颌的数字化正畸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2530A1 (en) 2007-02-15 2008-08-28 Sims Anthony B Device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Movement Disorders
US20110005531A1 (en) 2009-07-07 2011-01-13 Brain Pad, Inc. Shock absorbing dental appliance
US20120231932A1 (en) * 2011-03-11 2012-09-13 Power Balance Llc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strength and balance
WO2016122013A1 (ko) *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세연바이오테크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394B1 (ko) * 2013-05-14 2013-12-23 정수창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02530A1 (en) 2007-02-15 2008-08-28 Sims Anthony B Device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Movement Disorders
US20110005531A1 (en) 2009-07-07 2011-01-13 Brain Pad, Inc. Shock absorbing dental appliance
US20120231932A1 (en) * 2011-03-11 2012-09-13 Power Balance Llc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strength and balance
WO2016122013A1 (ko) * 2015-01-27 2016-08-04 주식회사 세연바이오테크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396A2 (ko) 2018-05-31
KR20180060290A (ko) 2018-06-07
TW201818886A (zh) 2018-06-01
WO2018097396A3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394B1 (ko)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KR102643742B1 (ko) 턱관절 안정장치
KR100926483B1 (ko) 턱관절 균형 장치
EP3388018B1 (e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EP2948110B1 (en) Oral appliance
KR100883168B1 (ko) 턱관절 보호 기구
KR101947634B1 (ko)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US8585401B2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KR200443403Y1 (ko) 치아 보호용 장치
KR101637087B1 (ko)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844663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20080005715U (ko)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102098391B1 (ko) 근기능 교정장치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KR101725846B1 (ko) 턱관절 교정장치
KR102125967B1 (ko) 턱관절 척추 교정기
KR102368972B1 (ko)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US10675127B1 (en) User-customizable orthopedic alignment device with alignment gap
EP3442478A1 (en) Cervical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1180285B1 (ko)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조 방법
CN111727029A (zh) 特别用于吞咽障碍患者的功能康复装置
KR20120008305U (ko) 템플레이트
KR200455055Y1 (ko) 턱관절 균형 장치
JP2023522981A (ja) 整合間隙を伴うユーザカスタマイズ可能な整形外科整合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