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057B1 -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057B1
KR102285057B1 KR1020190109933A KR20190109933A KR102285057B1 KR 102285057 B1 KR102285057 B1 KR 102285057B1 KR 1020190109933 A KR1020190109933 A KR 1020190109933A KR 20190109933 A KR20190109933 A KR 20190109933A KR 102285057 B1 KR102285057 B1 KR 10228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temporomandibular joint
mouthpiece
suppor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863A (ko
Inventor
문천호
Original Assignee
문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천호 filed Critical 문천호
Priority to KR102019010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0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구성은 받침패드, 전방지지판 및 후방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윗니와 아랫니의 씹는 면과 맞닿고 구치부 치아와 닿는 면에는 물결모양(또는 톱니모양, 엠보싱 모양 등)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면 돌출부가 있는 받침패드와, 상기 받침패드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외측 치아면 및 잇몸과 접촉 지지되면서 전방 일부 구간에서 상측 전방지지판보다 하측 전방지지판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지지판과, 상기 받침패드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내측 치아면 및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후방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면 돌출부는 제1종 지렛대 원리의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경추부 및 턱관절부에 견인력이 작용하게 하고 두경부에서의 근이완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Mousepiece for correcting TMJ}
본 발명은 턱관절부 및 상부 경추부의 균형 회복을 위하여 사용되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히는 교합고경이 감소하거나 교합이나 턱관절의 균형이 무너질 경우 경추 및 턱관절에 응력(압박력)이 발생하는데, 본 마우스피스를 착용함으로써 교합이 거상되고 턱관절이 전하방으로 이동하면 응력이 해소되어 두경부에서의 근막이완효과를 증대시키고 운동기능 및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턱관절은 개/폐구운동, 저작기능 그리고 발음기능 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
12개의 뇌신경 중 9개가 턱관절 주변을 지나고 있고 수많은 혈관, 임파선, 신경 등이 분포하는 중요한 부위로서, 턱관절의 불균형은 상부 경추가 이탈하는 주요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 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 증상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턱관절의 불균형은 외부 충격이나 사고, 편측저작, 치아 상실, 이갈이, 이악물기, 스트레스, 잘못된 습관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턱관절의 불균형은 치아 뿐만 아니라 경추, 수면 장애, 코골이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양팔 길이의 불균형, 양다리 길이의 불균형, 어깨 높이의 불균형, 안면비대칭, 척추측만증, 고혈압, 불면증, 우울증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A. C. Fonder 박사는 치과에 스트레스 개념을 도입하여 교합이 전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계된 내용에 관한 Dental Distress Syndrome(치아의 스트레스 원인 증후군)을 발표한 바 있으며, 하악과두(condyle)가 후방으로 치우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1) 여러 신경조직과 혈관조직이 압박을 받고 눌려서 신경기능에 이상을 초래하고 혈액순환에 장애를 가져오게 된다.
2) 턱관절원판(Disc)이 전방으로 밀려나서 관절잡음을 일으키고 구강장애를 나타내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편두통을 포함한 여러 형태의 악안면 부위의 통증을 일으킨다.
4) 혈액순환의 장애에 의한 빈혈 증세나 손발의 저림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5) 귀에도 압박이 가해져서 귀 자체에 심한 통증을 나타내고, 이명, 청각 장애, 평형감각의 이상 심지어는 중이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한편, 미국의 공학박사 Casey M. Guzay 씨가 창안한 Quadrant Theorem은 하악운동을 순수하게 물리적으로 해석한 교합이론으로서, 하악운동의 중심이 턱관절(TMJ)에 존재한다는 기존의 교합이론과는 달리 경추의 정중환축관절(Atlant-odontoid process joint)을 중심으로 한 이론이다.
이 이론은 하악운동중심이 경추의 정중환축관절에 존재하며 하악은 공전운동을 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악도 운동하고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교합평면은 체축(體軸)에 수직인 수평면을 이루는 상관 관계에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두개(頭蓋, cranium)를 지탱하는 중요한 역할도 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하악 운동이 공전 운동을 유지하는 환경을 이상(理想)교합상태로, 교합고경이 감소한 상태를 병적교합상태로 정의한다. 도 13은 이상교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4는 병적교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교합고경이 감소하면 경추부에 압박력이 발생하여 후경부의 관련 근육군이 긴장 및 수축하고, 교합고경이 증가하면 경추부에 견인력이 발생하여 후경부의 관련 근육군을 이완시킨다고 한다.
하악 운동이 원활하게 움직이지 않거나 교합위가 잘못돼 있으면, 여기서 나오는 힘은 모두 운동중심에 응력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해 교합력이 경추에 힘(응력)을 가해서 신체의 이상을 초래하게 된다.
병적교합상태의 경우 교합응력이 경추, 턱관절 및 치아에 작용하여 여러 가지의 문제와 질환을 유발시키며, 반대로 교합을 충분히 거상시키면 경추, 턱관절 및 치아의 잠재적인 응력이 해소되어 운동 기능을 향상시켜 준다고 한다.
따라서, 현재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 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발명되고 있다.
이러한 턱관절 마우스피스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1844663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에 게시된 바 있다.
이 기술은 교합을 거상하면서 제1종 지렛작용의 부족으로 경추부에 충분한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는 단점이 있어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고, 치아의 씹는 면(교합면)과 맞닿는 받침패드가 편평하여 장착시 마우스피스에 상당한 변형이 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악을 더 전방으로 내미는데 한계가 있어 두경부 근막이완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으로, 본 마우스피스를 착용했을 때 경추부 및 턱관절부에 견인력이 확실하게 작용하게 되고, 착용시 마우스피스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두경부에서의 효과적인 근막이완을 도모하기 용이한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구성은 받침패드(110), 전방지지판(120) 및 후방지지판(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윗니와 아랫니의 씹는 면과 맞닿고 구치부 치아와 닿는 면에는 물결모양(또는 톱니모양, 엠보싱 모양 등)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면 돌출부(113)가 있는 받침패드(110)와; 상기 받침패드(11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외측 치아면 및 잇몸과 접촉 지지되면서 전방 일부 구간에서 상측 전방지지판(121)보다 하측 전방지지판(12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지지판(120)과; 상기 받침패드(110)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내측 치아면 및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후방지지판(130)을 포함하고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는 받침패드의 받침면 돌출부가 제1종 지렛대 원리의 받침점으로 작용하고 경추부가 작용점으로 작용하게 하면서 아래턱을 약간 내밀 수 있게 하면, 장착시 턱관절이 적절한 위치에 있도록 유도되고 두경부의 무게중심이 변화함으로써 경추부 및 턱관절부에 견인력이 작용하게 하고 두경부에서의 근이완효과를 증대시켜 운동기능 및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추부 및 턱관절부의 균형 회복을 통해 전신 기능의 회복을 도모하고자 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도시한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단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선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이상(理想)교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병적교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되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정면도 및 후면도이고,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단면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단선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각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받침패드(110), 전방지지판(120) 및 후방지지판(13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는 윗니와 아랫니의 씹는 면과 맞닿고 구치부 치아와 닿는 면에는 물결모양(또는 톱니모양, 엠보싱 모양 등)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받침면 돌출부(113)가 있는 받침패드와, 상기 받침패드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외측 치아면 및 잇몸과 접촉 지지되면서 전방 일부 구간에서 상측 전방지지판(121)보다 하측 전방지지판(12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지지판과, 상기 받침패드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내측 치아면 및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후방지지판을 포함한다.
삭제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구강 내에 삽입하여 치아 및 잇몸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는 통상적인 마우스피스의 형상과 유사하다.
상기의 받침패드(110)는 상악 치아가 접촉되는 상측 받침면(111)과 하악 치아가 접촉되는 하측 받침면(112)으로 구성되며, 도 1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치부 영역에는 물결모양(또는 톱니모양, 엠보싱 모양 등)으로 받침면 돌출부(113)가 형성 되어 있어 착용시 구치부 치아가 먼저 접촉함으로써 제1종 지렛작용을 증진 시켜주고 후경부 근육군의 이완을 유도하며, 환자의 교합평면이 불규칙한 경우에도 착용감이 좋게 하고, 장치의 변형을 줄여 주어 내구성을 더 좋게 해 준다.
상기의 전방지지판(120)은 받침패드(110)의 전방측에서 상방으로 기립된 상측 전방지지판(121)과, 받침패드의 전방측에서 하방으로 기립된 하측 전방지지판(12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측 전방지지판(121)의 높이는 평균적인 치아의 높이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하고, 하측 전방지지판(122)의 높이는 평균적인 치아의 높이 정도로 형성하여 착용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착용 중에 입을 벌리고 다물 때도 편하고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전방지지판(121)보다 하측 전방지지판(122)이 일부 구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것은 착용시 턱관절이 전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후방관절원판조직의 손상을 예방하고, 후경부 근육군을 비롯한 두경부 근육의 이완을 충분히 유도하여 운동 기능 및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턱을 앞으로 약간 더 내밀어 마우스피스를 무는 힘이 약화되어 마우스피스가 덜 찢어지는 효과도 있고 취침 중에도 장착이 가능하며, 무게중심의 변화로 상체 및 허리를 펴주는 효과가 있어 척추교정에 도움이 된다.
상기의 후방지지판(130)은 받침패드(110)의 후방측에서 상방으로 기립된 상측 후방지지판(131)과, 받침패드의 후방측에서 하방으로 기립된 하측 후방지지판(13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측 후방지지판(131)과 하측 후방지지판(132)의 높이는 접촉되는 치아, 잇몸, 구개(Palate) 및 구강저에 불편감을 주지 않고 장착시 구강 내에서 쉽게 움직이지 않고 안정감을 줄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이루어진다.
상측 전방지지판(121), 하측 전방지지판(122), 상측 후방지지판(131) 및 하측 후방지지판(132)의 두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크기 및 부위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의 길이와 폭은 다양한 크기로 만들 수 있으며, 개개인의 구강내 환경에 맞게 최후방측, 전방 지지판(120) 및 후방 지지판(130)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 가능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110 : 받침패드
111 : 상측 받침면
112 : 하측 받침면
113 : 받침면 돌출부
120 : 전방지지판
121 : 상측 전방지지판
122 : 하측 전방지지판
130 : 후방지지판
131 : 상측 후방지지판
132 : 하측 후방지지판

Claims (5)

  1.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100)에 있어서,
    구치부 영역의 상측받침면(111)과 하측받침면(112)에는 물결모양(또는 톱니모양, 엠보싱 모양 등)의 받침면 돌출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윗니와 아랫니의 씹는 면과 맞닿는 받침패드(110)와;
    상기 받침패드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외측 치아면 및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전방지지판(120)과;
    상기 받침패드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일정 면적 기립되게 형성되어 내측 치아면 및 잇몸과 접촉 지지되는 후방지지판(130)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면 돌출부는 제1종 지렛대 원리의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경추부 및 턱관절부에 견인력이 작용하게 하고 두경부에서의 근이완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패드(110)의 외측으로 상측과 하측이 연결된 전방지지판(120)의 일부 구간에서 상측 전방지지판(121)보다 하측 전방지지판(12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하악과두가 전하방으로 이동되게 하여 후방관절원판조직의 손상을 예방하고, 후경부 근육군의 이완을 충분히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9933A 2019-09-05 2019-09-05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228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33A KR102285057B1 (ko) 2019-09-05 2019-09-05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33A KR102285057B1 (ko) 2019-09-05 2019-09-05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63A KR20210028863A (ko) 2021-03-15
KR102285057B1 true KR102285057B1 (ko) 2021-08-03

Family

ID=7513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33A KR102285057B1 (ko) 2019-09-05 2019-09-05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972B1 (ko) 2021-11-30 2022-03-02 대전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46B1 (ko) * 2007-07-26 2007-12-13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이를 이용한 치열부정교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0625B1 (ko) * 2016-11-29 2018-04-19 정윤숙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087B1 (ko) * 2014-10-23 2016-07-07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725846B1 (ko) * 2015-09-04 2017-04-11 성진욱 턱관절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46B1 (ko) * 2007-07-26 2007-12-13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이를 이용한 치열부정교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0625B1 (ko) * 2016-11-29 2018-04-19 정윤숙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63A (ko) 202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394B1 (ko)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US8201560B2 (en) Flexible dental appliance
CA2533461C (en) Improved occlusal splint
KR200443403Y1 (ko) 치아 보호용 장치
KR101637087B1 (ko)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0443404Y1 (ko)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101844663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0596129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KR102066677B1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20180060290A (ko) 턱관절 안정장치
KR20120033385A (ko) 턱관절 교정 패드
KR102125967B1 (ko) 턱관절 척추 교정기
KR102098391B1 (ko) 근기능 교정장치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US10383760B2 (en) Therapeutic dental appliance
JP6120780B2 (ja) 口腔装置
KR20220000791A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006369B1 (ko) 턱관절 밸런싱 장치
KR101874692B1 (ko) 턱관절 장애 균형 장치
KR102382847B1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WO2023188415A1 (ja) マウスピース
CN219048904U (zh) 一种前伸再定位咬合板
Ueda et al. Short-term change in occlusal function after using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for snoring: a pilot study
AU2005100272A4 (en) Improved occlusal spl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