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625B1 -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625B1
KR101850625B1 KR1020160160190A KR20160160190A KR101850625B1 KR 101850625 B1 KR101850625 B1 KR 101850625B1 KR 1020160160190 A KR1020160160190 A KR 1020160160190A KR 20160160190 A KR20160160190 A KR 20160160190A KR 101850625 B1 KR101850625 B1 KR 101850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outhpiece
teeth
oral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숙
Original Assignee
정윤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숙 filed Critical 정윤숙
Priority to KR1020160160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에 도포되는 구강첨가제가 침과 혀 또는 인체의 입안의 피부에 의해서 중화 또는 제거되지 않도록 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인체의 치아 또는 잇몸을 덮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치아를 받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치아를 마주하는 전면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상기 본체부 또는 전면가이드에 배치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본체부 또는 전면가이드에 배치된 손잡이부에 의해서 사용자가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어서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치아에 사랑니가 없을 경우에는 가변가이드에 의해서 마지막 어금니의 측면이 지지됨으로써, 착용자가 마우스피스를 깨물고 있지 않아도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가 치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사랑니가 있을 경우에는 가변가이드에 의해서 사랑니까지 미백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Mouthpiece for Oral Health}
본 기술은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또는 잇몸에 도포되는 구강첨가제가 침과 혀 또는 인체의 입안의 피부에 의해서 중화 또는 제거되지 않도록 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구강첨가제는 치아 미백제와 불소 및 자일리톨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치아 미백제를 예로써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설명하면, 구강첨가제가 장시간 도포된 상태로 유지시켜, 치아의 미백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치아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재질은 통상의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문헌 1에서 개시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치아에 씌우는 고무틀을 얇고 탄력성이 좋은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여 이물감을 줄이면서 얇은 형상 유지 박판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치형에 따라 트레이를 잇몸에 밀착시켜주면서 밀착 후에는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문헌 1에 개시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손으로 직접 입안으로 밀어 넣어야 하는바, 오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문헌 1에 개시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착용자의 치형에 따라서 밀착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할 때에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에 의해서 치아에 도포된 구강첨가제가 제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2에서 개시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구강 내의 치아 이외의 부분에는 치아 미백제가 묻지 않도록 치아로 마우스피스를 물면 마우스피스 내에 위치한 치아 미백제 주머니가 터지면서 치아에 치아 미백제가 도포되어 치아 미백을 할 수 있도록 한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마우스피스 내측 저면에 얇은 막의 치아 미백제 주머니를 일체로 형성하여 치아로 마우스피스를 물면 상기 치아 미백제 주머니가 쉽게 터지도록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문헌 2에 개시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또한, 사용자의 손으로 직접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입안으로 밀어 넣어야 하는바, 오염으로부터 안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문헌 2에 개시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착용자의 치아 또는 잇몸을 정확하게 압박할 수 없는 바, 치아에 도포된 구강첨가제가 입안의 침에 의해서 중화되어 미백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 대한민국실용신안 제20-0412063호(2006년03월22일 공고) 문헌2. 대한민국실용신안 제20-0388592호(2005년06월29일 공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치아에 도포되는 구강첨가제가 침과 혀 또는 인체의 입안의 피부에 의해서 중화 또는 제거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그리고 착용자의 손에 의해서 발생하는 오염을 억제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가 개시(disclosure)된다. 상기 인체의 치아 또는 잇몸을 덮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치아를 받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치아를 마주하는 전면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상기 본체부 또는 전면가이드에 배치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의 끝단에는 마지막 어금니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변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가이드에 잇몸을 마주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잇몸과 접하는 잇몸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가이드에 연결된 펌핑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는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와 상기 본체부 또는 전면가이드에 중공부와 연결되는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부는 상기 전면가이드의 일면에 통로와 연결된 공급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는 상기 통로 내부에 통로를 막도록 배치되되, 외압에 의해서 치아 방향으로 개방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는 상기 중공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흡입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 내에 흡입구멍을 막도록 배치되되, 외압에 의해서 중공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는 전면가이드의 전면에 배치되되, 펌핑부와 연결된 팽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에 잇몸을 마주하되, 팽창부의 팽창에 의해서 잇몸과 접하는 잇몸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 또는 가변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강첨가제가 보관된 통로가 형성되고, 치아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통로와 연결되는 공급구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본체부 또는 전면가이드에 배치된 손잡이부에 의해서 사용자가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어서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치아에 사랑니가 없을 경우에는 가변가이드에 의해서 마지막 어금니의 측면이 지지됨으로써, 착용자가 마우스피스를 깨물고 있지 않아도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가 치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사랑니가 있을 경우에는 가변가이드에 의해서 사랑니까지 미백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잇몸가이드 또는 펌핑부에 의해서 착용자의 침이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내부로 유입될 수 없는 바, 구강첨가제가 착용자의 침에 의해서 중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잇몸가이드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서 잇몸과 접하므로, 치아에 도포된 구강첨가제가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제거되는 문제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대략적으로 설명하면,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치아를 받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배치되어 치아를 마주하는 전면가이드(200) 및 상기 본체부(100) 또는 전면가이드(200)에 배치된 손잡이부(300)를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가변가이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잇몸가이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펌핑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펌핑부(600)는 중공부(610)와 통로(620) 및 공급구멍(63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펌핑부(600)는 선택적으로(optionally) 차단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펌핑부(600)는 흡입구멍(800) 과 차단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펌핑부(600)는 팽창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 예들에 있어서, 펌핑부(600)에는 잇몸가이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상부 치아 또는 하부 치아를 받치도록 평면의 형상이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상부 치아가 위치하는 공간과 하부 치아가 위치하는 공간을 나눈다. 본체부(100)는 적어도 사랑니가 없는 통상의 치아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전면가이드(200)는 본체부(100)에 배치되어 상부 치아의 전면과 마주하여, 치아의 전면 또는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전면가이드(200)는 상부 치아 전면에 도포되는 구강첨가제가 입술의 안쪽 또는 입안의 피부에 의해서 제거되거나, 인체의 침이 접촉하는 것을 차단한다.
손잡이부(300)는 상기 본체부(100) 또는 전면가이드(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배치된다. 손잡이부(300)는 착용자가 손으로 집어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는 외부환경에 오염되기 쉬운 착용자의 손이 손잡이부(300)에만 접촉하더라도,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용이하게 착용 및 해제할 수 있는바, 외부 세균 등으로부터 구강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 또는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에는 본체부(100)의 끝단에는 마지막 어금니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변가이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가변가이드(400)는 본체부(100)의 끝단에 더 돌출형성되되, 착용자의 마지막 어금니의 측면(목젖 부분) 일부와 접하도록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가변가이드(400)는 착용자에게 사랑니가 없을 경우, 착용자의 마지막 어금니 측면을 지지하여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가 치아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가이드(400)는 착용자에게 사랑니가 있을 경우, 착용자의 마지막 어금니에 속하는 사랑니에 의해서 눌려지게 되어 본체부(100)와 동일하게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를 구분하게 된다.
다른 일례로, 가변가이드(400)에는 전면가이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가이드(200)는 착용자의 사랑니를 받치는 면과 적어도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가변가이드(400)에 배치되는 전면가이드(200)는 착용자의 사랑니에 의해서 가변가이드(400)가 눌려진 상태일 때, 사랑니의 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사랑니가 없는 착용자가 사용할 때에는 가변가이드(400)가 잇몸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가변가이드(400)의 기울어짐에 따라서 전면가이드(200)가 착용자의 마지막 어금니의 전면 일부를 덮게 된다. 가변가이드(400)는 적어도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부분을 탄성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가이드(200)에 잇몸을 마주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잇몸과 접하는 잇몸가이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잇몸가이드(500)는 적어도 착용자가 입을 오므리거나 닫을 때, 입 안의 피부에 의해서 잇몸가이드(500)가 밀려서 잇몸에 밀착된다. 또한, 잇몸가이드(500)에 의해서 전면가이드(200)가 치아 또는 잇몸에 밀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 내지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잇몸가이드(500)는 전면가이드(200)의 끝단(잇몸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잇몸가이드(500)는 전면가이드(200)의 전면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전면가이드(200)는 치아와 떨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한편, 잇몸가이드(500)는 전면가이드(2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전면가이드(200)를 적어도 치아에 밀착하도록 압박할 수 있다. 잇몸가이드(500)에 의해서 적어도 전면가이드(200)가 치아 또는 잇몸에 밀착됨으로써, 착용자의 침이 치아에 도포된 구강첨가제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면가이드(200)를 치아와 떨어진 상태로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할 수 있는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할 때 전면가이드(200)에 의해서 치아에 도포된 구강첨가제가 제거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또 다른 일례로, 잇몸가이드(500)는 이하 설명될 팽창부(900)에 배치될 수 있다. 잇몸가이드(500)는 팽창부(900)가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면가이드(200) 전면에 위치하되, 팽창부(900)가 팽창할 경우에 전면가이드(200) 상부를 통해서 잇몸에 밀착된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체부(100) 또는 전면가이드(200)에 연결된 펌핑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핑부(600)는 적어도 구강첨가제 또는 공기를 본체부(100)나 전면가이드(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 내지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펌핑부(600)는 손잡이부(300)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610)와 본체부(100)에 중공부(610)와 연결되는 통로(6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치아의 전면과 마주하는 전면가이드(200)의 일면에 통로(620)와 연결된 공급구멍(6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610)에는 구강첨가제가 보관된다. 펌핑부(600)는 손잡이부(300)를 누를 경우, 중공부(610)에 보관된 구강첨가제가 통로(620)를 따라서 전면가이드(200)에 형성된 공급구멍(630)으로 배출된다. 즉, 펌핑부(600)는 적어도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강첨가제를 치아 전면에 도포할 수 있다. 그리고 펌핑부(600)는 적어도 치아 전면에 구강첨가제를 보충할 수 있다. 한편, 중공부(610)와 통로(620)는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한 구조로 형성되어, 중공부(610)에 구강첨가제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620)는 중공부(610)와 전면가이드(200)을 연결하도록 배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 다른 일 실시 예로, 통로(620) 내부에 통로(620)를 막도록 배치되되, 외압에 의해서 치아 방향으로 개방되는 차단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700)는 적어도 외압에 의해서 중공부(610)에 보관된 구강첨가제 또는 공기가 다시 중공부(6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일례로, 도 2 내지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부(700)는 적어도 통로(620) 내부의 지름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된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링의 한쪽 측면에는 링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막이 배치되되, 일부분이 링과 결합하여 완성될 수 있다. 차단부(700)는 통로(620) 내부에 배치되되, 치아 방향으로 막이 개방되도록 설치된다. 중공부(610)에는 구강첨가제가 보관된다. 차단부(700)는 외압에 의해서 중공부(610)가 눌려지면, 중공부(610)에 보관된 구강첨가제가 차단부(700)의 막을 밀어 통로(620)를 통해서 이동된다. 반대로 중공부(610)에 가해지는 외압이 사라지면 손잡이부(300)가 다시 복원될 수 있는데, 이때, 통로(620)를 통해서 이동된 구강첨가제가 다시 중공부(610)로 이동된다. 이때, 차단부(700)의 막이 링 전면을 덮어서 구강첨가제가 중공부(610)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한다. 한편, 차단부(700)는 통로(62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통상의 밸브로 구성하여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차단부(700)는 손잡이부(300)의 한쪽에 통로(620)보다 작은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는 구멍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막을 일부 결합하여 구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중공부(610)에는 공기가 채워져서 치아에 도포된 구강첨가제에 바람을 전달하여 구강첨가제가 굳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700)는 본체부(100) 내부에 배치되되, 손잡이부(300)에는 중공부(610)와 연결된 돌출핀이 삽입되도록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손잡이부(300)에 외부와 중공부(610)를 연결하는 흡입구멍(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공부(610) 내에 흡입구멍(800)을 막도록 배치되되, 외압에 의해서 중공부(610) 방향으로 개방되는 또 다른 차단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멍(800)은 외부와 연결되어 적어도 외부에 보관된 구강첨가제 또는 외부의 공기를 본체부(100)나 전면가이드(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 또는 도 4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멍(800)은 중공부(610)와 연결되되, 통로(620)가 형성되지 않은 쪽의 손잡이부(300)에 형성할 수 있다. 중공부(610) 내부에 치아를 향하여 벌어지는 상기 차단부(70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중공부(610)에는 공기가 보관된다. 흡입구멍(800)에 배치된 차단부(700)는 외압에 의해서 중공부(610)가 눌려지면, 차단부(700)가 막에 의해서 흡입구멍(800)이 막힌다. 이때, 중공부(610)에 보관된 공기는 통로(620)를 통해서 이동된다. 반대로 중공부(610)에 가해지는 외압이 사라지면 손잡이부(300)가 다시 복원될 수 있는데, 이때, 흡입구멍(800)에 배치된 차단부(700)가 열려서 외부의 공기가 흡입구멍(800)을 통해서 중공부(610)로 유입된다. 한편, 차단부(700)는 통로(62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통상의 밸브로 구성하여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차단부(700)는 손잡이부(300)의 한쪽에 통로(620)보다 작은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는 구멍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막을 일부 결합하여 구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흡입구멍(800)은 구강첨가제가 보관된 통과 배관으로 연결되어 중공부(610)에 구강첨가제를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가이드(200)의 전면에 배치되되, 펌핑부(600)와 연결된 팽창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팽창부(900)는 적어도 펌핑부(600)에 의해서 팽창하여 전면가이드(200) 또는 잇몸가이드(500)를 치아 또는 잇몸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예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부(900)는 기체 또는 유체가 주입되면 팽창하는 튜브이다. 튜브는 전면가이드(200)와 잇몸가이드(500)의 전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입안의 피부와 이빨 또는 잇몸 사이에 배치된다. 팽창부(900)는 중공부(610)에 연결된 통로(620)와 연결된다. 중공부(610)에는 공기가 보관된다. 팽창부(900)는 중공부(610)가 외압에 의해서 압박되면 중공부(610)에 보관된 공기에 의해서 팽창한다. 팽창부(900)가 팽창하면 적어도 전면가이드(200)와 잇몸가이드(500)가 치아 또는 잇몸으로 이동하여 밀착된다. 한편, 팽창부(900)는 전면가이드(200)에만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팽창부(900)는 잇몸가이드(500)에만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잇몸가이드(500)를 대체하여 팽창부(900)를 전면가이드(200)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잇몸가이드(500)는
나아가, 가변가이드(400)에 배치되는 또 다른 전면가이드(200)는 본체부(100)에 배치된 전면가이드(200)와 팽창부(9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가이드(400)에 배치된 또 다른 전면가이드(200)는 팽창부(900)에 의해서 사랑니의 전면에 압착될 수 있다. 한편, 가변가이드(400)에 배치되는 또 다른 전면가이드(200)는 치아와 본체부(100)에 배치된 전면가이드(200) 사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4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를 마주보는 본체부(100) 및 가변가이드(400)의 일면에 하나 이상의 공급구멍(630)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100) 및 가변가이드(400) 내부에는 공급구멍(630)과 연결되는 통로(620)를 형성할 수 있다. 통로(620)에는 구강첨가제가 보관된다. 본체부(100) 및 가변가이드(400)를 이빨로 압박하면 통로(620)에 보관된 구강첨가제가 공급구멍(630)으로 배출된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 본체부
200 : 전면가이드
300 : 손잡이부
400 : 가변가이드
500 : 잇몸가이드
600 : 펌핑부
610 : 중공부
620 : 통로
630 : 공급구멍
700 : 차단부
800 : 흡입구멍
900 : 팽창부

Claims (7)

  1. 인체의 치아 또는 잇몸을 덮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치아를 받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치아를 마주하는 전면가이드;
    상기 본체부의 끝단에는 마지막 어금니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변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가이드는 착용자의 마지막 어금니의 측면 일부와 접하도록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사랑니가 없을 경우에 착용자의 마지막 어금니 측면을 지지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가이드에 잇몸을 마주하되, 외부의 힘에 의해서 잇몸과 접하는 잇몸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3. 제1항 또는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가이드에 연결된 펌핑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
    상기 본체부 또는 전면가이드에 중공부와 연결되는 통로;
    상기 전면가이드의 일면에 통로와 연결된 공급구멍을 포함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가이드의 전면에 배치되되, 펌핑부와 연결된 팽창부를 더 포함하여, 전면가이드를 치아 또는 잇몸으로 압박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가이드의 전면에 배치되되, 펌핑부와 연결된 팽창부를 더 포함하여, 전면가이드를 치아 또는 잇몸으로 압박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또는 가변가이드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구강첨가제가 보관된 통로가 형성되고, 치아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통로와 연결되는 공급구멍을 더 포함하는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KR1020160160190A 2016-11-29 2016-11-29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KR10185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190A KR101850625B1 (ko) 2016-11-29 2016-11-29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190A KR101850625B1 (ko) 2016-11-29 2016-11-29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625B1 true KR101850625B1 (ko) 2018-04-19

Family

ID=6208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190A KR101850625B1 (ko) 2016-11-29 2016-11-29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6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863A (ko) * 2019-09-05 2021-03-15 문천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WO2021145529A1 (ko) * 2020-01-17 2021-07-22 나공찬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20220039410A (ko) * 2020-09-22 2022-03-29 송영국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KR102404263B1 (ko) * 2022-03-17 2022-05-30 강혜원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4626A1 (en) * 2003-02-12 2004-08-12 E-Z Gard Industries, Inc. Mouthguard
US20060237020A1 (en) * 2005-04-25 2006-10-26 D'magination Licensing And Servicing Company, Llc Mouth guard
US20120156640A1 (en) * 2010-12-16 2012-06-21 Keller Duane C Devices and methods for creating a positive pressure environment for treatment of oral biofilms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4626A1 (en) * 2003-02-12 2004-08-12 E-Z Gard Industries, Inc. Mouthguard
US20060237020A1 (en) * 2005-04-25 2006-10-26 D'magination Licensing And Servicing Company, Llc Mouth guard
US20120156640A1 (en) * 2010-12-16 2012-06-21 Keller Duane C Devices and methods for creating a positive pressure environment for treatment of oral biofilms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8863A (ko) * 2019-09-05 2021-03-15 문천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2285057B1 (ko) * 2019-09-05 2021-08-03 문천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WO2021145529A1 (ko) * 2020-01-17 2021-07-22 나공찬 충격파 전달특성을 제어하는 구강 삽입용 장치
KR20220039410A (ko) * 2020-09-22 2022-03-29 송영국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KR102432950B1 (ko) 2020-09-22 2022-08-16 송영국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KR102404263B1 (ko) * 2022-03-17 2022-05-30 강혜원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625B1 (ko)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ES2391772T3 (es) Mejoras relacionadas con mascarillas respiratorias
ES2530393T3 (es) Tobera para una interfaz buconasal para pacientes
PE39599A1 (es) Dispositivo de inhalacion
NZ739443A (en) Cushion for patient interface
JP2013510641A5 (ko)
JP2009540881A5 (ko)
BR0313452A (pt) Conjunto de recipiente e válvula para armazenar e distribuir substâncias, e método relacionado
AR060517A1 (es) Dispositivo, sistema y metodo para corregir habitos en la cavidad oral
CA2982902A1 (en) Dental suction arrangement
ATE301447T1 (de) Zungenstabilisiervorrichtung
US20190099248A1 (en) Removable denture
NO20085015L (no) Oreklokke
JP5847575B2 (ja) 睡眠時無呼吸防止器具
JPH0537689U (ja) レギユレータのマウスピース
NO20191106A1 (en) Device for distribution of a liquid in a user's mouth
TW202033170A (zh) 能提升配戴舒適感的耳塞
JP3175331U (ja) 人工呼吸用陽圧漏れ防止用具
CN106580484B (zh) 免消毒气动涡轮机头
US7040895B2 (en) Vacuum-seated dentures with skin contacting plate
US20180071611A1 (en) Mouth guard having cavity adapted for the storage and release of a fluid
DE502005000913D1 (de) Dichtungsanordnung
KR20120090238A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40029073A1 (en) Rubber dam
JP2005278734A (ja) 入れ歯代替用マウス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