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9410A -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9410A
KR20220039410A KR1020200122481A KR20200122481A KR20220039410A KR 20220039410 A KR20220039410 A KR 20220039410A KR 1020200122481 A KR1020200122481 A KR 1020200122481A KR 20200122481 A KR20200122481 A KR 20200122481A KR 20220039410 A KR20220039410 A KR 20220039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seating pad
tongue
dental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2950B1 (ko
Inventor
송영국
Original Assignee
송영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국 filed Critical 송영국
Priority to KR102020012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9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구강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위아래 치아가 접촉하는 것을 막아 이 악물기 습관을 교정함으로써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치아파절 등 치과질환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안착되도록 만곡, 형성된 치아안착패드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치아가이드돌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치아가이드돌부;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혀차단부; 및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혀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DENTAL APPATATUS FOR KEEPING INTEROCCLUSAL DISTANCE}
본 발명은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구강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위아래 치아가 접촉하는 것을 막아 이 악물기 습관을 교정함으로써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치아파절 등 치과질환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거나 통증을 유발할 경우 발치하게 되는데, 그 원인은 대부분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치아는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 외에도 사용 중 크랙이 발생하거나 치경부에 마모가 발생될 수 있고, 잇몸에 염증이 생기고 치조골의 흡수가 일어나서 흔들리는 질환이 발생되기도 한다. 그 외 치아에 특정한 원인이 없음에도 턱관절 통증 등이 유발되는 경우도 있다.
전술한 치과 질환은 다양한 발생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주요한 원인으로서 환자들이 무의식 중에 위아래 치아를 과도하게 깨물어 압박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 위아래 치아는 음식물의 섭취나 정상적인 대화를 할 경우 서로 접촉되는 것이 당연하지만 가장 편안한 자세는 입술이 가볍게 닿은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치아가 서로 닿지 않는 치간공극(Freeway Space)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현대인은 불규칙적인 생활습관,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이 악물기를 지속함에 따라 과도한 부하로 인해 치아의 마모나 파절, 치아의 수명 단축, 치주질환의 유발 및 악화를 초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브리지, 틀니, 임플란트 등과 같은 보철물의 손상이나 변형, 수명 단축을 초래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3572호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32222호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한국등록공보 제10-1954262호 "치과용 마우스피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위아래 치아가 접촉하는 것을 막아 이 악물기 습관을 교정함으로써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치아파절 등 치과질환을 치료 및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안착되도록 만곡, 형성된 치아안착패드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치아가이드돌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치아가이드돌부;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혀차단부; 및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혀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안착되도록 만곡, 형성된 치아안착패드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치아가이드돌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치아가이드돌부;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혀차단부; 및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혀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혀차단부 및 상기 하부혀차단부는 혀가 치아에 닿지 않도록 치아의 내측 부분을 덮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치아안착패드부는 상하 입술이 가볍게 닿은 상태에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서로 닿지 않는 2mm 내지 4mm 간격 범위의 치간공극(Freeway Space)이 형성되는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혀차단부 및 상기 하부혀차단부는 혀가 치아에 닿지 않도록 상기 상부치아가이드돌부 및 상기 하부치아가이드돌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전면 중앙에 형성된 굴곡홈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치아 표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철부는 격자무늬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상기 치아 중 상하 사랑니 부분이 안착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양단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사랑니안착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완충작용과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구에 착탈되는 주입구마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의하면, 상부혀차단부 및 하부혀차단부에 의해 혀의 위치를 위턱 경구개에 위치하도록 유도하고 치아안착패드부에 의해 치간공극를 유지할 수 있어서 이 악물기 습관을 치료할 수 있으므로 치아의 마모나 파절, 치아의 수명 단축, 치주질환의 유발 및 악화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리지, 틀니, 임플란트 등과 같은 보철물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하고, 사용 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의하면, 치아안착패드부에 중공부를 형성할 경우 유체를 주입할 수 있어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유체의 주입량 제어를 통해 치간공극을 사용자의 구강 구조나 치아 형상 등의 조건에 따라 조절하면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도1의 A-A선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1 내지 도7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이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특징을 갖는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간략화하거나 생략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나타낸 도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수면중이나 일상 생활 중에 위아래 치아가 접촉하는 것을 막아 이 악물기 습관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치아안착패드부(1), 상부치아가이드돌부(2), 하부치아가이드돌부(3), 상부혀차단부(4), 및 하부혀차단부(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치아안착패드부(1), 상부치아가이드돌부(2), 하부치아가이드돌부(3), 상부혀차단부(4), 및 하부혀차단부(5)는 일체로 성형되어 단일 몸체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의료용 실리콘 등과 같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치아안착패드부(1)는 치아(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박형 띠 형상의 부재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되 대략 반원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치아안착패드부(1)는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서로 닿지 않는 치간공극(Freeway Space)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치간공극은 감소시 과도한 치아 교합력이 가해짐에 따라 거상근(elevator muscle)이 정상적인 이완 위치로 돌아 올 수 없고 근육이 피로해지고 통증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증가시 저작효율이 떨어지고 안모가 불량해지며 빰을 씹게 되거나 악관절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치간공극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수많은 실험과 임상을 통해 치아안착패드부의 두께(t)는 상하 입술이 가볍게 닿은 상태에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서로 닿지 않는 2mm 내지 4mm의 간격 범위의 치간공극(Freeway Space)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부치아가이드돌부(2)는 치아안착패드부(1)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대략 반원 형상으로 만곡되게 상방 돌출되어 있다.
하부치아가이드돌부(3)는 치아안착패드부(1)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대략 반원 형상으로 만곡되게 하방 돌출되어 있다.
상부혀차단부(4)는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치아안착패드부(1)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대략 반원 형상으로 만곡되게 상방 돌출되어 있다.
하부혀차단부(5)는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치아안착패드부(1)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대략 반원 형상으로 만곡되게 하방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상부혀차단부(4) 및 하부혀차단부(5)는 혀를 위턱 경구개에 위치 시킴으로서 위아래 치아가 닿을 수 없도록 유도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혀가 치아에 닿지 않도록 치아의 내측 부분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부혀차단부(4) 및 하부혀차단부(5)는 착용한 상태에서 혀가 치아 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치아가이드돌부(2) 및 하부치아가이드돌부(3)보다 높게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혀차단부(4) 및 하부혀차단부(5)는 구강 내부에 보다 효과적으로 안착되면서도 혀가 치아 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후술되는 굴곡홈부(42,52)로부터 후방을 향해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혀차단부(4) 및 하부혀차단부(5)는 전면 중앙에 굴곡홈부(42,52)가 형성되어 쉽게 구부러져 변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구강 구조에 호환성 있게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굴곡홈부(42,52)는 상부혀차단부(4)의 전면 중앙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2개가 요입, 형성되어 있고, 하부혀차단부(5)의 전면 중앙에 1개가 요입,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치아 표면(교합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치아안착패드부(1)의 상하면에 요철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요철부(14)는 치아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격자무늬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치아 중 상하 사랑니 부분이 안착되도록 치아안착패드부(1)의 양단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사랑니안착패드부(15)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사랑니안착패드부(15)는 그 상하 표면에 치아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요철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구강 내부에 삽입하고, 상부치아의 외면이 상부치아가이드돌부(2)에 접촉되고, 하부치아의 외면이 하부치아가이드돌부(3)에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입술이 가볍게 닿은 상태로 다물게 되면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의 맞물림 표면이 치아안착패드부(1)에 안착된다.
이때, 상부혀차단부(4) 및 하부혀차단부(5)는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의 내면를 감싸도록 정위치하게 되면서 혀가 치아에 닿지 않도록 치아의 내측 부분을 덮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혀차단부(4) 및 하부혀차단부(5)에 의해 치아방향으로의 혀의 움직임을 차단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혀의 위치를 위턱 경구개에 위치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치아안착패드부(1)는 2 내지 4mm의 간격 범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의 치간공극(Freeway Space)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수면을 취하거나 일상 생활 중에 착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반복 사용할 경우 이 악물기 습관을 치료하여 치간공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치아안착패드부(1)에 요철부(1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밀착될 경우 미끄럼 이동되지 않아서 수면 중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이 악물기 치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의 작용에 의해 불규칙적인 생활습관, 과도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만연한 현대인들의 이 악물기 습관을 치료할 수 있어서 치아의 마모나 파절, 치아의 수명 단축, 치주질환의 유발 및 악화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리지, 틀니, 임플란트 등과 같은 보철물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하고, 사용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변형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확대부는 지시된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는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안착되도록 만곡, 형성된 치아안착패드부(1),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치아가이드돌부(2),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치아가이드돌부(3),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혀차단부(4), 및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혀차단부(5)를 구비하되, 다양한 구강 구조와 서로 다른 치아 구조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치아안착패드부(1)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치아안착패드부(1)는 별도의 부재를 끼워넣는 방식으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본 변형예에서는 필요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8)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치아가이드돌부(2) 및 하부치아가이드돌부(3)에는 중공부(8)와 연통되는 유체주입구멍인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주입구에 중공부(8) 내부로 공기나 물 등을 주입한 후 차단할 수 있도록 착탈되는 주입구마개(9)가 설치되어 있다.
주입구마개(9)는 구강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간섭을 유발하지 않도록 정면 중앙의 상부치아가이드돌부(2) 및 하부치아가이드돌부(3) 경계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주입구마개(9)는 공기 등의 유체주입식 튜브나 구조물 등에 형성된 주입구를 막을 수 있는 다양한 기밀식 마개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세부 구조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를 구강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상부치아가이드돌부(2)와 하부치아가이드돌부(3)에 안내되어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치아안착패드부(1)에 안착되는 한편 상부혀차단부(4) 및 하부혀차단부(5)에 의해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의 내면를 감싸도록 정위치하게 되어 치아방향으로의 혀 움직임을 차단하므로 자연스럽게 혀의 위치를 위턱 경구개에 위치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리고, 치아안착패드부(1)에 안착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는 치간공극(Freeway Space)를 유지하게 되면서 이 악물기 습관을 치료하여 치간공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치료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때, 치아안착패드부(1)에 중공부(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공부(8)에 공기나 물 등의 유체를 주입할 수 있어서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고, 유체의 주입량 조절을 통해 치간공극을 사용자의 구강 구조나 치아 형상 등의 조건에 따라 조절하면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의 일부를 치환 및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에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치아안착패드부
14:요철부
15:요철부
2:상부치아가이드돌부
3:하부치아가이드돌부
4:상부혀차단부
42,52:굴곡홈부
5:상부혀차단부
8:중공부
9:주입구마개

Claims (7)

  1.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안착되도록 만곡, 형성된 치아안착패드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치아가이드돌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치아가이드돌부;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혀차단부; 및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혀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2.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안착되도록 만곡, 형성된 치아안착패드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치아가이드돌부;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외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치아가이드돌부;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상방 돌출되는 상부혀차단부; 및
    혀의 치아 접촉을 차단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하방 돌출되는 하부혀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혀차단부 및 상기 하부혀차단부는 혀가 치아에 닿지 않도록 치아의 내측 부분을 덮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치아안착패드부는 상하 입술이 가볍게 닿은 상태에서 상부치아 및 하부치아가 서로 닿지 않는 2mm 내지 4mm 간격 범위의 치간공극(Freeway Space)이 형성되는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혀차단부 및 상기 하부혀차단부는 혀가 치아에 닿지 않도록 상기 상부치아가이드돌부 및 상기 하부치아가이드돌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전면 중앙에 형성된 굴곡홈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점차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아 표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중 상하 사랑니 부분이 안착되도록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양단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사랑니안착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격자무늬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충작용과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치아안착패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중공부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는 주입구에 착탈되는 주입구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KR1020200122481A 2020-09-22 2020-09-22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KR102432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481A KR102432950B1 (ko) 2020-09-22 2020-09-22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481A KR102432950B1 (ko) 2020-09-22 2020-09-22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9410A true KR20220039410A (ko) 2022-03-29
KR102432950B1 KR102432950B1 (ko) 2022-08-16

Family

ID=8099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481A KR102432950B1 (ko) 2020-09-22 2020-09-22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950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178A (ko) * 2004-10-14 2007-08-24 크리스토퍼 존 패럴 구강장치
KR20080005716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치아 보호용 장치
US20080299508A1 (en) * 2007-05-30 2008-12-04 White Velton C Orthodontic appliance
KR20100124194A (ko) * 2009-09-17 2010-11-26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
KR101381485B1 (ko) * 2012-06-08 2014-04-04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850625B1 (ko) * 2016-11-29 2018-04-19 정윤숙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KR101913572B1 (ko) 2016-05-02 2018-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2222A (ko) 2017-06-02 2018-12-12 김병환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KR101954262B1 (ko) 2016-08-31 2019-03-06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용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4178A (ko) * 2004-10-14 2007-08-24 크리스토퍼 존 패럴 구강장치
KR20080005716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치아 보호용 장치
US20080299508A1 (en) * 2007-05-30 2008-12-04 White Velton C Orthodontic appliance
KR20100124194A (ko) * 2009-09-17 2010-11-26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
KR101381485B1 (ko) * 2012-06-08 2014-04-04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913572B1 (ko) 2016-05-02 2018-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954262B1 (ko) 2016-08-31 2019-03-06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용 마우스피스
KR101850625B1 (ko) * 2016-11-29 2018-04-19 정윤숙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KR20180132222A (ko) 2017-06-02 2018-12-12 김병환 치간공극을 이용한 다기능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950B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3461C (en) Improved occlusal splint
US11504213B2 (en)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Ramfjord et al. Reflections on the Michigan occlusal splint
JP2019103853A (ja) 下顎前突症のiii級の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口腔用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60110698A1 (en) Dental orthotic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impaired oral functions and resultant indications
JP6006291B2 (ja) 機能的歯牙顔面整形外科装置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AU2013205854A1 (en) An orthodontic appliance
MXPA05005463A (es) Aparato para dormir.
US10945818B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CN107865705B (zh) 一种口腔正畸用的多功能矫正器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KR102432950B1 (ko)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US6581603B1 (en) Oral appliance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KR102566018B1 (ko)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KR102597507B1 (ko)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US20190336321A1 (en) Intraoral device
JP7299452B1 (ja) マウスピース
US11974941B2 (en) Intraoral device
CN219048904U (zh) 一种前伸再定位咬合板
JP2005312853A (ja) 閉塞性睡眠時無呼吸症候群や習慣性いびき症の予防と改善の口腔内装置
CN219461460U (zh) 颌间关系调整矫治器
CN213607024U (zh) 一种调整上下颌位关系的牙科器械及矫治系统
AU2004260549B2 (en) Improved occlusal spl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