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4178A - 구강장치 - Google Patents

구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4178A
KR20070084178A KR1020077010693A KR20077010693A KR20070084178A KR 20070084178 A KR20070084178 A KR 20070084178A KR 1020077010693 A KR1020077010693 A KR 1020077010693A KR 20077010693 A KR20077010693 A KR 20077010693A KR 20070084178 A KR20070084178 A KR 2007008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base member
user
teeth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276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존 패럴
Original Assignee
크리스토퍼 존 패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4905924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4905924A0/en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토퍼 존 패럴 filed Critical 크리스토퍼 존 패럴
Publication of KR2007008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085Mouth or tee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085Mouth or teeth protectors
    • A63B2071/086Mouth inserted protectors with breathing holes

Abstract

사용자의 턱의 윤곽에 대응하는 대체로 U 형상의 형태로 된 나일론으로 만들어진 베이스 부재(2)와 이 베이스 부재(2)를 둘러싸는 치아 결합부재(5)를 포함하는, 치아의 어긋난 배열의 교정을 돕기 위한 치아 교정 트레이너(1).
베이스 부재(2)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15)들에 의해 이격된 간격으로 상호 연결된 곡선의 내외측 연장 프레임 부재(10)(12)로 된 개방 구조체를 가진다. 실리콘 러버 또는 PVC로 만들어진 연속적인 치아 결합부재(5)는 웨브(40)와, 이 웨브(40)의 상하부면으로부터 상하로 돌출한 내외측 플랜지(44)(45)를 포함한다. 이들 플랜지(44)(45)와 웨브(40)는 사용자의 상하부 치아가 수용될 수 있는 상하부 채널을 형성한다.
치아, 교정, 구강, 베이스, 프레임, 스포츠, 가드, 실리콘, 나일론, 폴리머

Description

구강장치{ORAL APPLIANCE}
본 발명은 치아에 정확한 힘을 가함으로써 어긋난 치열을 교정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치열 교정장치인 구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이것의 샘플 장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보다 넓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치아에 원위치로 돌리는 힘을 작용하지 않고 혀를 밀어넣게 하는 것과 같은 구강습관의 개선을 촉진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장치는 또한 마우스 가드 또는 스포츠 가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engaging)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를 포함하며, 유지(retaining) 또는 걸림(latching)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양한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가 알려져 있다. 치열 교정장치의 한 타입은 환자 입의 치아의 본(impression)을 뜬 후에 만들어진 맞춤품(custom)이 있다.
치아의 본은 차례로 구체적으로 치수가 정해지고 환자의 입에 적합하게 형성 된 장치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몰드(mould)를 만들기 위해 사용된다. 당연하게 이 장치는 사용자의 입에 편안하게 끼워지며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인공치아로 만들어진 장치의 한계는 그와 같은 장치를 만드는 비용이 높으며, 이것은 시장에서 사용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제작과정에서 많은 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환자의 입에 간편하고 편안하게 끼워지게 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분명한 요구가 있다.
대량 생산된 치열 교정 트레이너(trainer)는 호주 퀸즈랜드 주에 있는 헬렌스베일 플라자의 Myofunctional Research Pty Ltd. 에 의해 제작된 것이다.
이 트레이너는 아치와 같은 형상을 가져서 사용자의 상하부 아치의 각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상하부 채널을 형성한다.
이 트레이너는 실리콘 러버로 만들어지며, 단일의 몰딩작업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실리콘 러버는 이 장치를 통해 단일의 균질형상과 밀도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유연성이 있다. 상하부 치아를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트레이너의 벽은 부드러우며, 따라서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에 대해 편안함을 준다.
그러나 이 트레이너는 부드럽기 때문에 채널 안에 수용되는 치아에 강한 유지력과 교정력을 주지 못한다. 예를 들면, 그 부재를 휘게 하거나 비틀어지게 하기 쉽다.
상기에 언급된 트레이너는 사용자, 특히 어린이의 구강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어졌다. 혀 탭(tab)은 혀를 올바르게 위치시키고 혀 밀어넣기를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그것은 또한 하부 턱을 상부 턱에 대해 올바르게 위치시키게 한다.
그 트레이너는 또한 치아의 정렬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어서 치아의 어긋난 배열을 교정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아직까지 상당한 개선을 위한 여지가 있다. 치아와 맞닿는 실리콘 러버 재질의 부드러움은 실제로 사용자의 치아를 재 위치시키기 위한 트레이너의 능력을 제한한다.
하나의 가능성은 이 트레이너를 폴리우레탄과 같이 실리콘 러버보다 더 딱딱한 재질로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폴리우레탄은 사용자의 부드러운 잇몸에 비해 딱딱해서 고통과 불편함을 야기시킨다. 또한, 장치가 단일의 딱딱한 재질로 만들어지면 어긋나게 배열된 치아를 수용하기 위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능력을 제한시킬 것이다. 따라서 모두 각자의 아치 크기와 치아의 어긋난 배열을 가진 많은 사용자에게 맞추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따라서 처음부터 이 트레이너를 끼우는 것이 어렵게 될 것이다.
분명하게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간단한 해결책이 없다는 것은 명백하지만, 부드럽고 끼우기가 편안하며, 또한 강한 재 위치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트레이너가 고안된다면 매우 유용할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의 치아의 재배열에 보다 강력한 영향을 가하는 반면에 종래의 실리콘 러버 트레이너의 이점을 실현할 것이다. 그와 같은 트레이너는 치아교정 트레이너에서 큰 도약 또는 진전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턱의 윤곽에 대응하는 U 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하나의 재질로 만들어진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재질보다 더 부드러운 다른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며, 사용자의 관련된 아치와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치아 채널의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치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구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강장치는 사용자의 치아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시키고, 그리고/또는 더 바람직한 위치로 치아를 이동시키는 것을 촉진하는것을 돕기 위한 치아 교정 트레이너로 될 수 있다.
상기 구강장치는 접촉 스포츠와 같은 스포츠를 할 때 사용자의 치아를 위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스포츠 가드 또는 마우스 가드로 될 수 있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폴리머(polymeric)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재질은 폴리머 내에서 반복적인 유닛으로서 실리콘을 함유하는 폴리머 재질로 될 수 있다. 이것은 실리카로 보강된 교차 연결 폴리머인 합성 엘라스토머(elastomer)로 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재질은 실록산(siloxane) 폴리머 또는 실레인(silane) 폴리머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서 실리콘을 함유한 상기 폴리머는 실리콘 러버, 예컨대 치아교정 트레이너 분야에서 이미 채택되어진 의학등급 실리콘으로 된다. 상기 실리콘 재질은 사용자의 잇몸과 다른 입 조직에 대해 특히 부드럽고 편안함을 줄 것이다. 이것은 치아와 잇몸 주위레서 변형되고 휘어지는 능력을 가진다.
대안으로서 치아 결합부재의 폴리머 재질은 첨가 폴리머로 될 수 있다. 상기 첨가 폴리머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로 될 수 있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는 실리콘보다 더 낮은 용융점을 가진다. 그 결과 베이스 부재 위에 치아 결합부재가 성형될 때 베이스 부재가 노출되는 온도는 실리콘 러버가 사용될 때 보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가 치아 결합부재를 위해 사용될 때가 더 낮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의 폴리머 재질은 탄력 있게 될 수 있다.
치아 결합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폴리머 재질은 딱딱한 재질로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가 만들어지는 재질은 국부 압력 또는 포인트 압력이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작용할 때 쉽게 변형되지 않는 사실에 의해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동시에 상기 부재의 양 측면이 비틀어지거나 서로 향하고 멀어지게 될 때 약간의 휘어지는 능력이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또한 힘이 이에 작용할 때 딱딱하고 변형에 저항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가 만들어지는 폴리머 재질은 열가소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재질은 섭씨 160도 또는 그 아래의 온도에서 유동재질로 될 때 그 형태를 유지하고 부드럽지 않게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300℃까지의 온도에서 노출될 때 그 형태를 유지하고 부드럽지 않게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가 만들어지는 폴리머 재질은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재질은 아미드 단량체(monomer)의 응축 중합반응 또는 카프로락탐의 링 개방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재질은 통상적으로 나일론으로 알려지거나 미국 듀퐁 화학회사의 상표인 나일론으로 판매되는 폴리아미드 폴리머로 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재질, 예컨대 나일론은 탄성과 딱딱함 사이에서 적당한 균옇을 가지기 때문에 특히 적합하다. 이것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아암이 약간 굽힘성을 갖도록 한다. 그러나 이것은 굽혀지거나 비틀어지는 힘을 받을 때 좋은 기억력을 가져서 그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 가는 성향이 있다. 이것은 상기 베이스 부재가 합리적인 정도의 착용 편안함을 유지하는 한편 원하는 아치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대안으로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폴리머 재질은 첨가 폴리머 또는 응축 폴리머로 될 수 있다. 상기 첨가 폴리머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 폴리머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머 재질은 또한 산토프렌(santoprene)과 같은 가소성 엘라스토머로 될 수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실행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실리콘 러버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결합과 함께 상기 폴리아미드, 예컨대 나일론 베이스 부재는 상기 트레이너의 제작 중에 먼저 성형된다. 그 후 상기 실리콘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성형된다. 상기 나일론 베이스 부재는 용융된 실리콘 러버에 노출되고 상기 실리콘 러버가 상기 성형물에 주입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를 둘러쌀 때 부드럽게 되지 않고 용융되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구강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장치에 대해 기초를 이루는 골격 강도를 제공하는 재질로부터 형성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보다 상당히 더 부드럽고 성형될 수 있는 실리콘 러버 또는 PVC로 되어 포위하는 치아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딱딱한 기초 베이스 부재를 가짐으로써 상기 장치는 단지 부드러운 실리콘 러버로 만들어지는 것보다 환자의 치아의 정렬에 상당히 더 강력한 영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형상과 아치의 폭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어떤 경우에 상기 트레이너가 상기 치아를 넓은 아치 위치로 힘을 가하게 될 넓은 아치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트레이너는 좁은 아치를 더 미적으로 쾌감을 주고 바람직한 넓은 아치로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횡방향의 프레임 부재에 의해 이격된 간격으로 서로 연결된 곡선의 내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를 가진, 개방된 프레임 구조, 예컨대 납작한 개방 프레임구조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개방 프레임 구조는 한 평면에 넓게 놓여질 수 있다. 즉, 상기 종방향 프레임 부재와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모두 동일 평면에서 넓게 놓여 질 수 있다. 상기 평면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측의 치아 재위치 구조체는 상기 외측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높이 위로 상향 돌출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외측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 아래로 하향 연장한 외측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외측의 종방향 프레임 부재 위에 있는 외측의 치아 재위치 구조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측의 치아 재위치 구조체는 상기 외측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높이 위로 돌출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외측의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레벨 아래로 하향 연장한 외측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내측의 종방향 프레임 부재에 있는 내측의 치아 재위치 구조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내측의 치아 재위치 구조체는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높이 위로 상향 돌출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로부터 사익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레벨 아래로 하향 연장한 내측 플랜지를 포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중앙의 전부 영역과 상기 중앙 전부 영역에서 좌우측 후단으로 후방향으로 연장한 좌우측 아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랜지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로부터 적어도 상기 중앙 전부 영역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시 상기 외측 플랜지는 사용자의 상부 전면 치아 위로 가로질러서 연장한다.
상기 외측 플랜지의 상기 중앙 전부 영역은 횡방향 프레임 부재 위에서 예컨대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상면 위에서 2-10mm, 예컨대 4-8mm, 예컨대 약 6mm 정도로 상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랜지의 상기 중앙 전부 영역은 또한 상기 개방 프레임의 상기 평면 위에서 2-10mm, 예컨대 4-8mm, 예컨대 약 6mm 정도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 플랜지는 특히 상기 중앙 전부 영역에서 약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랜지는 또한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 위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좌우측 아암 영역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랜지의 상기 좌우측 아암 영역은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 예컨대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상면 위에서 2-6mm, 예컨대 3-5mm, 예컨대 약 4mm 정도로 상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랜지의 상기 좌우측 아암 영역은 또한 상기 개방 프레임의 상기 평면 위에서 2-6mm, 예컨대 3-5mm, 즉 예컨대 4mm 정도로 상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 전부 영역에서 상기 외측 플랜지는 상기 좌우측 아암 영역에 있는 상기 플랜지보다 더 높으며, 예컨대 사용자의 어금니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연장한다.
또한 상기 외측 플랜지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좌우측 아암 영역과 상기 외측 플랜지의 중앙 전부 영역 중간에 있는 좌우측 핸드 측면의 위치에서 가로 막혀지거나 낮아진 높이로 될 수 있다. 좌우측의 이 위치는 송곳니에 대응한다. 상기 외측 플랜지가 중앙 전부 영역에서와 같은 높이로 된다면 송곳니는 때때로 다른 치아에 비해 바깥으로 돌출하며 상기 플랜지의 뒤에 끼울 수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외측 플랜지의 높이는 이 포인트에서 낮아진다.
상기 외측 플랜지는 곡선의 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와 사출 성형작업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곡선의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 예컨대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상면에서 위로 약 1-3mm, 예컨대 약 2mm의 길이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곡선의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기 개방 프레임의 평면으로부터 위로 약 1-3mm, 예컨대 약 2mm의 길이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로부터 적어도 상기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의 중앙 전면영역을 따라 위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의 전 길이을 따라 위로 돌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플랜지는 실질적으로 전 길이를 따라 동일 높이로 위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랜지는 또한 곡선의 내측 요소와 사출 성형작업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곡선의 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외측 플랜지는 적당한 정도까지 상기 개방 프레임의 평면 아래로 하향 연장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상기 곡선의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플랜지는 적당한 정도까지 상기 개방 프레임의 평면 아래로 하향 연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하나 또는 그 이상 하향으로 연장한 플랜지를 가진 장치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있다고 하는 것은 타당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 개방 프레임에서 아래로 돌출하지 않고 오직 위로 돌출한 내외측 플랜지로 만족스러운 경도와 강도가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러나 만일 상기 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에 인접하여, 예컨대 치아의 외측에서 보다 큰 강도가 요구된다면, 상기 플랜지는 상향으로 돌출할 뿐만 아니라 하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하향으로 연장한 내측 플랜지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에 기술된 상기 내외측 플랜지는 또한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에서 위로 돌출하는 대신에 상기 개방 프레임의 평면 또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에서 아래로 돌출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 전부 영역에서 전부 횡방향 프레임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좌우측 아암 영역의 후부에서 두 후부 횡방향 프레임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또한 상기 아암 영역의 후부에 있는 상기 후부 횡방향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전부 횡방향 부재 사이에서 복수의 중간 횡방향 프레임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 전부 영역에서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5-15mm, 바랍직하게는 8-12mm,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9-11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아암 영역의 후부에서 상기 후부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2-10mm, 바람직하게는 3-8mm, 더 바람직하게는 4-6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1-4mm, 예컨대 2-3mm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전부 영역,즉 실질적으로는 중앙에 배치된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상기 후부 및 중간 프레임 부재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들 횡방향 프레임 부재 또는 크로스 요소는 중요한 구조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아암 영역의 전부와 후부와 같은 주요 지역에서 상기 장치를 보강한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개방 프레임 구조체, 예컨대 상기 개방 프레임 구조체의 양 상하부 면과, 또한 상기 개방 프레임 구조체의 내측 및 외측 측면을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개방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한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진 중앙 웨브(web)와, 또한 상기 웨브의 상하부면의 적어도 하나에서 횡방향으로 떨어져서 돌출한 내외측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외측 플랜지와 웨브는 사용자의 치아가 수용되는 채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결합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웨브와 내외측 플랜지는 어떤 경우에는 상기 부재의 플랜지가 상기 웨브의 양 상하부면에서 떨어져서 돌출한 양 상하부 치아 결합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와 웨브에 의해 형성된 이들 치아 결합 구조체는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상하부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 주위에서 연장하여 상기 트레이너의 몸체를 형성한다. 그것은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에 접촉하여 결합되는 상기 트레이너의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외향 표면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전체 표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대적으로 얇은 층의 재질, 예컨대 실질적으로 상기 외측 플랜지의 내부면을 덮은 것보다 더 얇은 층의 재질로 상기 외측 플랜지의 외부면을 덮을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베이스 부재와 치아 결합부재를 함께 지지하는 것을 돕는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를 둘러싸는 것의 이점은 상기 치아 결합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 위에 지지하는 것을 돕는다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와 치아 결합부재는 다른 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다른 재질은 그들이 갈라지지 않도록 서로 합쳐져서 이동할 필요가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치아 결합부재 안에서 둘러싸는 것은 상기 두 부재를 함께 지지하는 것을 도우며, 그 결과 상기 장치는 사용 시 갈라지지 않게 된다.
치아 결합부재는 WO 00/35369로서 WIPO에 의해 공개된 본 출원인의 선출원 PCT/AU99/00840에 도시된 것과 대체로 동일한 형상과 형태를 가진다. 상기 명세서의 내용은 직접 교차 참조 됨으로써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사용자의 개별적인 치아를 위치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채널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 예컨대 복수의 상기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지정 구조체는 또한 상기 장치를 초기에 끼우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기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각각 상기 내외측 플랜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상기 채널 또는 아치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일치되는 쌍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상기 한 플랜지로부터 상기 한 채널로 내측으로 연장한 웨지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위치지정 구조체는 대체로 사용자의 치아의 형상과 서로 보완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될 수 있으며, 아주 작은 길이로 관련 채널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사용자의 입 안에서 치아를 위한 소위 이상적인 위치를 향해 치아가 이동하는 것을 촉진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사용자의 치아의 적어도 중앙 전면의 두 송곳니, 예컨대 사용자의 적어도 전방 4개의 치아를 공동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사용자의 전방 4개의 치아를 공동으로 위치시킨다.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사용자의 전면 4개의 치아의 후부의 각 측면에서 사용자의 전방 4개의 치아를 공동으로 위치시킨다.
상기 돌기는 상기 치아 결합부재가 베이스 부재 위로 성형될 때 상기 치아 결합부재에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에 지적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사용자의 상하부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양 상하부 채널을 형성한다. 그와 같은 트레이너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양 상하부 치아를 위치 지정시키기 위해 상기 양 상하부 채널에 있는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치열 교정 트레이너는 상기 치아 결합부재와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외면과 그 내면으로 개방된 홀을 구비한다.
상기 치열 교정 트레이너는 또한 사용자가 올바르게 혀을 위치시키게 하기 위한 혀 탭을 구비한다.
상기 치아 교정 트레이너는 또한 상기 트레이너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아치의 폭, 예컨대 특히 상기 치아 결합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좌우측 아암 영역의 폭이 조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전부 영역, 예컨대 상기 곡선의 내측 플랜지에 형성된 절취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혀 탭의 각 측면의 스페이스에 의해 간편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치아 교정 트레이너는 또한 상기 곡선의 외측 플랜지의 중간부, 예컨대 상기 웨브의 위와 아래에 있는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트레이너가 닳아서 안락성이 향상될 때 부드러운 잇몸 영역이 상기 치아 결합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좌우측 아암 영역에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약간 두꺼운 웨브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두께는 중앙 전부 영역에서 상기 좌우측 아암 영역의 후부를 향해 후방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렇게 두껍게 되는 것은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좌우측 아암 영역의 후부의 전방으로 이격된 한 지점에서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이 점에서 상기 좌우측 아암 영역의 후부까지 다시 얇아질 수 있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두께부는 단면으로 볼 때 곡선의 하부면과 실질적으로 평면의 상부면에 의해 전도된 날개(aerofoil)를 닮은 것일 수 있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웨브 영역의 이 형상은 근육과 또한 TMJ(측두 하악관절)의 이완을 촉진하도록 상하부 턱의 치아를 서로에 대해 올바르게 위치시킨다.
상기 장치는 치아의 크기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위해 선택된 트레이너의 여러 크기와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질 것이다. 다른 크기는 2개의 다른 아치 크기를 포함할 것이며, 각 아치 크기는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의 약 6개의 다른 크기와 위치를 가질 것이다. 상기 다른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다른 사용자의 치아 크기와 치아 위치를 수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턱의 윤곽에 대응하는 대체로 U 형상의 형태로 되어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지고, 횡방향 프레임 부재에 의해 이격된 간격으로 상호 연결된 곡선의 내외측 연장 프레임 부재와 함께 개방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중앙 전부 영역과 좌우측 아암 영역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중앙 전부 영역을 가로질러서 연장한 상기 외측 연장 프레임 부재에 있는 치아 재위치 구조체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와;
실리콘 러버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로 된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둘러싸며, 웨브와 상기 웨브의 양 상하부면에서 상하로 돌출한 내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상하부 치아가 수용될 수 있는 상하부 채널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치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 트레이너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외측 연장 프레임 부재에 있는 상기 치아 재위치 구조체는 또한 상기 중앙 전부 영역뿐만 아니라 상기 좌우측 아암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로질러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내측 연장 프레임 부재에서 치아 재위치 구조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치아 교정 트레이너는 사용자의 치아의 정확한 위치지정을 촉진하기 위한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나일론으로 된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실리콘 러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턱의 윤곽에 대응하는 대체로 U형상의 형태로 되어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지고, 횡방향 프레임 부재에 의해 이격된 간격으로 상호 연결된 곡선의 내외측 연장 프레임 부재와 함께 개방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중앙 전부 영역과 좌우측 아암 영역을 가진 베이스 부재와; 실리콘 러버 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로 된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져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둘러싸며, 웨브와 상기 웨브의 양 상하부면에서 상하로 돌출한 내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상부 아치와 치아가 수용될 수 있는 상부 채널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치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스포츠 가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스포츠 가드는 본 발명의 선행 양태에서 한정된 상기 치아 교정 트레이너의 시각적인 특징들 중의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나일론으로 된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실리콘 러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가 개선된 구강 습관을 촉진하게 하고, 그들의 치아의 위치지정의 개선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연장하는데,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게 상기의 본 발명의 제1 및 제2양태에 기술된 장치를 끼우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일정한 기초하에 착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착용자는 각 24시간에 적어도 몇 시간 동안 상기 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는 매일 낮시간 동안 적어도 몇 시간을, 그리고 밤시간 동안 적어도 몇 시간을 상기 장치를 착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스포츠를 하는 동안, 그리고 특별한 접촉 스포츠에서 사용자의 치아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연장하는데, 상기 방법은 상기의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3양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자에게 끼우는 단계와, 머리 또는 턱에 강타를 받을 수 있는 어떤 활동을 할 때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착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트레이너로 되는 장치의 상부 및 전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상부 및 후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장치의 일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장치의 타 측면도이다.
도 9는 기초를이루는 베이스부재를 노출시키기 위해 치아 결합부재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 1의 장치의 상부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베이스 부재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숨겨진 상세구조는 나타내지 않고 후부에서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츠 가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3은 전부에서 본 도 12의 가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4는 베이스 부재를 숨겨진 상세 라인으로 보인 도 12의 가드의 후면도이다.
도 15는 베이스 부재를 숨겨진 상세 라인으로 보인 도 12의 가드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베이스 부재를 숨겨진 상세 라인으로 보인 도 12의 가드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치아 결합부재를 점선으로 보인 도 12의 가드의 베이스 부재의 후부 상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치아 결합부재를 점선으로 보인 도 12의 가드의 베이스 부재의 전부 상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트레이너 또는 스포츠 가드로 되는 구강장치는 그 자체로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몇 가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제공할 것이다. 본 상세 설명을 제공하는 목적은 본 발명의l 요지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러나 본 상세 설명의 구체적인 특징은 선행하는 설명의 일반성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하게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9에서 참조 번호 1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트레이너로 되는 장치를 나타낸다.
치아 교정 트레이너(1)는 사용자의 턱의 윤곽에 대응하는 대체로 U형상의 형태를 가진 베이스 부재(2)를 포함한다. 그 자체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2)는 도 1 내지 도 9에서 숨겨진 상세 라인에 의해 나타나 있다.
치아 교정 트레이너(1)는 실리콘 러버로 만들어져서 베이스 부재(2)를 둘러싸는 치아 결합부재(5)를 더 구비한다. 치아 결합부재(5)는 실질적으로 베이스 부재(2) 보다 더 큰 체적을 차지하여 트레이너(1)의 몸체와 형상을 형성한다. 그것은 또한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 조직과 상호작용하고 결합하는 모든 작업적인 면을 한정한다.
베이스 부재(2)는 부분적으로 도 9 내지 도 11에서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횡방향 프레임 부재 15에 의해 이격된 간격으로 연결된 곡선의 내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10)(12)와 함께 개방 프레임의 형태로 기초 지지부를 가진다.
베이스 부재(2)는 대체로 부호 17로 지칭된 전면부와, 대체로 부호 18과 19로 지칭된 좌우측 아암 영역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2)는 몇 개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15)를 가진다. 이들 중의 하나는 원형 요소(10)(12)의 전부 중앙 영역(17)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 횡방향 프레임 부재(15)는 약 8-12mm의 폭을 가지며, 다른 횡방향 프레임 부재들 보다 상당히 더 두껍게 된다.부가적인 폭은 이 횡방향 프레임 부재(15)에 부가적인 강도를 부여하도록 기능한다. 추가된 2개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15)는 베이스 부재(2)의 좌우측 아암 영역(18)(19)의 후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들 횡방향 프레임 부재(15)는 3-6mm의 폭을 가진다. 이들은 전부 횡방향 프 레임 부재보다 더 얇게 되지만, 나머지 횡방향 프레임 부재보다는 더 두껍게 된다.
나머지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중간 횡방향 프레임 부재(15)로 알려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각 아암 영역(18)(19)에는 2개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가 있다. 이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1-4mm, 예컨대 약 2mm의 폭을 가진다.
베이스 부재(2)는 또한 곡선의 외측 프레임 부재(10)(이하에서는 '외측 프레임'으로 함)에서 위로 돌출하여 곡선의 외측 프레임 부재(1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한 외측 플랜지(25)를 구비한다. 외측 플랜지(25)는 개방 프레임 구조체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15)와 개방 프레임의 대체적인 평면 위에서 위로 돌출한다.
곡선의 외측 프레임 부재(10)의 전부 중앙 영역(17)에 있는 플랜지(25) 부분은 좌우측 아암 영역(18)(19)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 부분보다 더 돌출한다. 전부 중앙 영역(17)에 있는 플랜지 부분은 최대 6-8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외측 프레임 부재(10)의 좌우측 아암 영역에 있는 플랜지 부분은 최대 5-7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외측 플랜지(25)는 전부 중앙 영역(17)과 좌우측 아암 영역(18)(19) 사이에 있는 각 측에 저점(28)을 형성한다. 저점(28)은 사용자의 송곳니가 놓여지는 지점에 위치된다. 그 이유는 송곳니는 때때로 다른 치아의 횡방향 외측으로 위치되게 되며, 상기 플랜지가 이 지역에서 더 높게 되면 트레이너는 사용자의 치아에 끼울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은 각 측의 이 점에서 외측 플랜지(25)의 높이를 줄임으로써 트레이너가 이러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대부분의 입에 끼울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베이스 부재(2)의 곡선의 내측 프레임 부재(12)(이하에서는 '내측 프레임'으로 함)는 또한 개방 프레임에서 위로 연장한 플랜지(30)을 가진다. 내측 플랜지(30)는 개방 프레임 위에서 1-3mm, 예컨대 약 2mm의 길이로 위로 돌출한다. 따라서 그것은 외측 플랜지(25)보다 훨씬 작게 직립하여 돌출한다.
곡선의 내외측 프레임 부재(10)(12)와 내외측 플랜지(25)(30)는 사용자의 상하부 아치에서 어떤 어긋나게 배열된 치아에 함께 정확한 힘을 가하여 적극적으로 상부 치아를 올바른 위치로 오게 촉진한다. 부가해서 그것은 더욱 베이스 부재(2)에 견고성 또는 강성과 구조적인 강도를 제공한다.
도면에서 베이스 부재(2)는 베이스 부재(2)의 개방 프레임 아래에서 적당한 정도로 하측으로 연장한 플랜지를 갖지 않는다. 본 출원인은 상부 플랜지가 베이스 부재(2)에 비틀림 강성과 견고성의 필요한 수준을 제공하며, 하부 플랜지는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러나 하향으로 연장한 플랜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하향으로 연장한 플랜지는 더욱 베이스 부재의 강도를 증대시킬 것이다.
베이스 부재(2)는 중앙 전부 영역(17)에 한 쌍의 개구부(38)(39)를 형성한다. 개구부(38)(39)는 베이스 부재(2)의 곡선의 내외측 프레임 부재(12)(10)에 형성된다. 이들은 베이스 부재(2)의 전부 영역(17)의 좌우측에 놓여진다. 이들 개구부(38)(39)는 베이스 부재(2) 아래에서 하측으로 연장한 일체형 브라켓 또는 루프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부(38)(39)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치아 결합부 재(5)에 있는 대응하는 개구부와 협동한다.
베이스 부재(2)는 약 300℃ 아래의 온도에서 노출될 때 용융되거나 부드럽게 되지 않는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는 나일론으로 된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진다. 나일론은 실리콘이 나일론에 사출성형되는 경우 실리콘과 접촉할 때 부드럽게 되거나 용융되지 않는다. 부가해서 그것은 딱딱하고, 강성의 적당한 수준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함께 그것은 좌우측 아암 영역이 서로를 향하고 멀어지는 약간의 움직임을 허용하며, 좌우측 아암 영역이 서로에 대해 약간 비틀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나일론은 주요 폴리머 체인의 일체형의 부분으로서 아미드 그룹을 반복하는 긴 체인 합성 폴리메릭 아미드의 총칭적인 이름이다. 폴리머는 선형이며, 이 경우에는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필라멘트에 형성되도록 적용된다. 본 출원서에 적합하게 하는 나일론의 특성 중의 하나는 특히 고온을 견디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다. 그 결과 그것은 고온에서 용융된 실리콘과 접촉할 때 부드럽게 되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인은 대만의 타이페이에 있는 신코 화학회사로부터 나일론을 입수했다. 아래 표는 이 회사에 의해 공급된 나일론 66의 등급을 나타낸 것이다.
인장강도 KG/cm2 800 900 1700 1900 840 1150
연신율 % 55 10 7.1 2 4 4.5
휨 강도 KG/cm2 1000 1350 2300 2600 1200 1700
휨 계수 KG/cm2 28000 35000 80000 108000 31000 72000
IZOD 충격강도 KG-cm/cm 13 8.5 11 9 7.3 7
로크웰 경도 R-SCALE 118 119 120 120 118 119
용융점 260 260 255 260 260 260
M.D.T (18.6KG/cm2) 66 200 238 240 73 248
M.D.T (4.6KG/cm2) 230 240 255 255 230 245
ASH CONTENT W1% - 13 33 45 - 25
성형 수축율 1.7-1.8 0.3-0.5 0.2-0.4 0.2-0.3 1.0-1.3 0.3-0.5
1.3-1.4 0.8-1.0 0.7-1.0 0.3-0.5 0.7-1.0 0.7-1.0
M.F. g/10min 55 20 13 10 43 20
SP Gr g/cm2 1.1 1.2 1.35 1.46 1.16 1.38
본 출원인은 만들어진 장치에 대해 나일론66 6212GA로 알려진 나일론 66의 등릅을 이용했다. 이 재질은 다음의 특성을 가진다.
인장 강도 900
휨 강도 1350
로크웰 경도 119
나일론은 또한 미국 델라웨어에 있는 듀퐁사를 포함하는 다른 수많은 화학제품 공급회사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출원인은 듀퐁사에서 얻어진 나일론도 또한 만족할만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 재질은 표준상품이며, 세계의 수많은 나일론 공급회사로부터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일론이 어떤 공급자로부터 공급된 것인지 관계없이 똑같이 잘 실행될 수 있다.
치아 결합부재(5)는 베이스 부재(2)의 개방 프레임 부분을 폭넓게 둘러싸는 중앙 웨브(40)를 포함한다. 그것은 교차 요소들(15)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며, 또한 개방 프레임 위에 약간의 두께를 가진 층을 형성한다. 치아 결합부재(5)는 또한 웨 브(40)의 양 측에서 상하로 연장한 내외측 플랜지(44)(45)를 가진다. 이들 플랜지(44)(45)는 웨브(40)와 함께 사용자의 상하부 치아가 수용되는 상하부 채널(46)(47)을 형성한다. 베이스 부재(2)와 동일하게 치아 결합부재(5)는 중앙 전부 영역과 좌우측 아암 영역(48)(49)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아 결합부재(5)는 의학등급의 실리콘 러버로 되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폴리머 화합물로 만들어진다. 이 러버는 표준상품이며, 잘 알려진 수많은 화학회사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 예컨대, 출원인은 미국 델라웨어에 있는 듀퐁사로부터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출원인은 일본 도쿄에 있는 Shin-Etsu 화학회사로부터 적당한 실리콘 러버를 공급받았다. 이 재질에 대해 상기 화학회사에 의해 제공받은 재질 명세표는 아래와 같다.
재질 명세표
Shin-Etsu 실리콘 러버 화합물 투명 고 강도
전형적인 특성 단위 KE-1950-50 (A-B) KE-1950-60 (A-B) KE-1950-70 (A-B)
Viscosity in mPa.s (P) Brookfield-type rotational viscometer 680 730 750
(6800) (7300) (7500)
25℃에서의 비중 g/cm3 1.13 1.14 1.15
혼합비율 A:B 1:1 1:1 1:1
경도 JIS-A 50 58 68
인장강도 JIS-6301 Mpa 9.3 7.8 7.8
연신율 JIS-6301 % 55 380 350
찢어짐 강도 JIS-6301 kN/m 44.1 43.1 49
압축 세팅 22h/150℃ % 28 22 50
선형 수축율 JIS-6301 % 2 1.9 2.1
Volume Resistivity Comments Ω-m 10T 10T 10T
본 출원인이 본 장치에 대해 가장 자주 사용했던 실리콘의 등급은 가장 딱딱 한 등급인 KE-1950-70 이다.
실리콘 러버의 다른 공급자는 독일에 있는 Bayer 화학회사이다. Bayer는 비 독성이고 의학 등급 재질로 적합한 액체 실리콘 러버 LSR 2050을 공급한다. 그것은 각각이 분리된 용기에 포장된 2개의 화합물 러버이다. 이 2개의 화합물은 정압 믹서로 펌핑되어 완전히 혼합된 후 사출 성형 다이 안으로 주입된다.
트레이너(1)는 또한 치아 결합부재(5)의 내외측 플랜지(44)(45)의 각각에 있는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50)를 구비한다.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50)는 개별 치아를 사용자의 아치에서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여 치우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각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50)는 각 내외측 플랜지(44)(45)로부터 상하부 채널(46)(47)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돌출한 돌기를 포함한다.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50)의 각 돌기는 단면으로 볼 때 쐐기 형상으로 되어 인접한 치아 사이의 원하는 위치의 한 점까지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치아 결합부재(5)의 각 상하부 채널에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5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턱의 아치의 전면에 가장 가까운 사용자의 10개의 치아를 위치시키기 위해 10개의 위치지정 구조체(50)가 있다. 마찬가지로, 치아 결합 구조체는 또한 사용자의 하부 턱의 10개의 전방 치아를 위치시킬 수 있다.
치아 교정 트레이너는 또한 치아 결합부재(5)의 외측 플랜지(45)의 정중앙 상부면에 있는 노치 또는 절취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외측 플랜지(45)의 하부면에 있는 더 작은 정중앙 노치 또는 절취부(57)를 구비한다. 이들 노치는 치아 결합부재로부터 정중앙에서 재료를 제거하여서 이 지역에 있는 부드러운 조직과 접촉하지 않게 한다. 이 지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힘줄이 있는데, 치아 결합부재(5)가 힘줄과 접촉하지 않는다면 사용자에게 더 편안함을 주게 된다.
치아 교정 트레이너(1)는 또한 사용자의 혀를 정확한 중앙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한 혀 탭(60)을 가진다. 이 혀 탭(50)은 웨브(40)의 상향에서 치아 결합부재(5)의 내측 플랜지(44)에 형성된다. 이것은 사용자의 구강 습관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특히 혀가 밀게 되는 것을 피하는데 도움을 준다. 혀 탬(60)의 어느 한 측면에 있는 공간은 여러 사용자의 여러 아치 크기를 수용하도록 트레이너(1)의 아암을 내외측 방향으로 조정하게 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것은 대부분의 환자에게 끼워질 수 있게 하기 위해 2개의 다른 아치 크기를 가진 2개의 크기의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내측 플랜지의 하부 가장자리, 예컨대 중앙 위치에는 작은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치아 결합부재(5)의 웨브(40), 예컨대 그 상하부면은 부재(4)의 전부 영역에서 좌우측 아암 영역(48)(49)에 대해 후부방향으로 외측으로 경사를 이룬다. 이것의 효과는 치아 결합부재(5)의 전부에서 후부로 가는 방향으로 웨브(40)가 점차로 두껍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아암 영역의 후단의 전방으로 이격된 좌우측 아암 영역(48)(49)에 있는 일 지점까지 연속된다. 그 후에 치아 결합부재(5)의 상하부면은 상기 일 지점에서 치아 결합부재(5)의 후부까지 점진적으로 얇아지도록 서로를 향해 내측으로 경사진다. 정리하면, 웨브(40)는 대체로 전부 영역에서 뒤로 연장한 각 아암 영역(48)(49)에서 비대칭의 날개 형상을 가진 것으로 설명될 수 있 다. 상기 날개는 하측에서 곡면을 가지며, 따라서 전도된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형상의 웨브(40)는 사용자의 상하부 치아 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턱을 지지하게 된다. 이것은 상부 턱과 관련하여 하부 턱이 해부학적으로 올바른 위치로 될 수 있게 하고, 이것은 사용자에게 이완과 근육 상의 이점을 가진다.
치아 결합부재(5)는 또한 베이스 부재(2)의 개구부(38)(39)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통로를 가진다. 이들 통로는 연속적이고 양단에서 개방된다. 베이스 부재(2)의 개구부(38)(39)는 베이스 부재(2)와 접촉상태로 되는 치아 결합부재(5)의 표면 지역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치아 결합부재(5)를 베이스 부재(2)에 지지하는 것을 돕고 층 분리를 막는 것을 돕기 때문에 이점이 있다.
치아 교정 트레이너는 다음과 같이 제작된다. 먼저 베이스 부재(2)가 제1사출성형 단계에서 나일론으로부터 사출 성형된다. 그리고 나서 치아 결합부재(5)는 제2성형 단계에서 베이스 부재(2)의 주위에서 성형되어 베이스 부재(2)를 둘러싼다. 그리고 나서 형성된 치아 교정 트레이너(1)는 다이에서 분리될 수 있다.
각 성형단계의 주기는 약 15초로 될 수 있다. 실리콘 러버 성형을 위한 주기는 나일론 베이스 부재를 위한 주기보다 더 길다. 대체로 성형된 피스들은 수동적으로 냉각되도록 허용된다. 그러나 실리콘 러버는 일단 성형이 완료되면 능동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대체로 상기 부재들은 성형된 재료가 충분히 냉각될 기회를 가지고 나서 다이에서 분리된다.
용융된 실리콘은 매우 높은 온도에서, 예컨대 적어도 300℃에서 다이로 유입된다. 따라서 성형된 베이스 부재는 연화됨이 없이 이 온도를 견딜 수 있어야 한 다. 나일론은 실리콘의 사출 온도를 견딜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목적을 위해 매우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나일론은 높은 수준의 강성과 국부적인 경도를 가지는 한편으로 트레이너의 아암 영역들이 서로를 향하고 멀어지게 약간의 가요성을 갖게 한다.
트레이너는 2개의 분리된다이에서 성형될 수 있어서 제1다이에서 베이스 부재가 성형되어 분리된 후 치아 결합부재가 성형되는 제2다이에 놓여지게 된다.
대안으로서, 베이스 부재와 치아 결합부재는 공동 사출과정에서 동일 몰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베이스 부재가 사출 성형과정에 의해 제1단계에서 성형되고 나서 치아 결합부재가 제2성형 단계에 의해 베이스 부재 위에 성형된다. 베이스 부재는 치아 결합부재가 그 위헤 성형되기 전에 몰드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다. 몰드는 각각베이스 부재와 치아 결합부재를 위한 2개의 몰드부를 포함하여 몰드 지역에서 차례로 작업위치로 보내진다.
사용 시 상기에 기술된 치아 교정 트레이너는 전형적으로 치과 교정의사 또는 치과의사에 의해 끼워질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트레이너는 적어도 2개의 다른 크기를 가진 베이스 부재를 구비한다. 이런 크기를 가진 각 베이스 부재는 다른 크기를 가진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구비한 적어도 4개의 다른 크기를 가진 치아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른 크기의 트레이너로부터 적당한 트레이너를 선택하여 환자의 입에 삽입해야 할 것이다. 대체로 작업자는 사용자의 아치와 치아를 검사하고 측정한 후 하나의 크기를 가진 트레이너를 선택할 것이다. 그러나 시행착오 절 차도 또한 사용될 수 있어서 작업자는 다른 크기를 가진 각 장치를 시험한 후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한다.
일단 환자의 입에 끼우게 되면 치아 결합부재의 부드러운 실리콘 러버는 사용자의 잇몸과 치아를 지지한다. 골격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는 트레이너에 의해 한정된 아치의 형상과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초적인 강도를 제공하며, 또한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향하게 한다.
치아 결합부재의 내외측 플랜지는 치아를 지지한다. 실리콘은 부드럽고 사용자의 입에 순응하는 능력을 가진 한편으로 탄성이 있어서, 치아에 의해 변형되면 사용자의 치아에 대해 복원력을 작용시킨다. 이 힘은 개별 치아를 정렬하게 하여서 치아가 돌출하거나 들어가지 않게 한다. 베이스 부재의 기초적인 강성은 아치의 형상을 유지하여서 평면에서 볼 때 부드러운 곡선 또는 포물선 형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좁은 아치는 변형된 베이스 부재의 탄성 편심력(biasing force)에 의해 넓어지게 압박을 받게 된다.이것은 능동 스프링 에너지와 유사하다. 편심력은 치아에 작용되어 아치를 넓어지게 한다.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또한 개별 치아가 아치의 라인의 길이를 따라 바람직한 위치를 차지하도록 촉진한다.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한 힘의 작용은 치아 교정학에서는 표준 실무이다.
치아 교정 트레이너는 사용자의 상하부 아치와 치아를 수용하며, 따라서 일상 생활 동안 사용에 적합하지는 않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 트레이너를 착용하는 동안 담화하거나 식사할 수 없다. 이 트레이너는 전형적으로 밤 몇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다. 트레이너는 또한 가능하다면 낮의 몇 시간 동안 착용된다면 유리하다. 치아의 적당한 면에 힘을 가하는 시간을 늘리게 되면 치아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치아 움직임이 실행되는 생리학적인 메카니즘은 치과와 교정학 관련분야에서는 잘 이해될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기술하지 않을 것이다.
도면에는 예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는 나일론으로부터 만들어지고, 치아 결합부재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로 만들어진다.
PVC 수지는 화학 산업에서 표준 상품이며, 세계의 수많은 화학 제조업체로부터 이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호주의 퍼시픽 던롭 주식회사의 한 사업부인 IMPRODEX로부터 PVC 수지를 얻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사용된 제품에 대한 사양은 HYCO 4016-89 PVC 화합물이다. 이것은 좋은 투명도와 낮은 독성을 요구하는 장치를 위한 투명한 추출물 등록의 PVC 화합물이며, 음식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 PVC 등급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특별 특성
순간적인 Shore A 경도 79
도10초 지체된 Shore A 경도 71
비중 1.22
인장 강도 17.7 MPa
파괴시 연신율 400 %
이들 재료로 만들어지고 상기에 기술된 실리콘 러버와 동일한 구조적인 특징과 형태를 가진 트레이너는 유사한 2 단계의 성형과정에 의해 제조된다. 베이스 부재는 제1단계에서 나일론으로 성형된다. 그 후 치아 결합부재는 제2사출 성형단계 에서 PVC로 제조된다.
실리콘 러버 대신에 PVC를 사용의 이점은 고온의 사출온도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사용되는 성형장비를 단순화시킨다. 이것은 또한 치아 결합부재가 그 위에 성형될 때 베이스 부재가 견딜 것을 요구하는 온도를 줄인다. 이것은 베이스 부재에 대해 나일론 이외의 다른 재질을 사용할 가능성을 열게 한다. 출원인은 첨가 폴리머,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다른 재료, 폴리우레탄과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응축 폴리머, 그리고 산토프렌과 같은 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가소성 재질도 적합할 수 있다.
사용 시 이 트레이너는 상기에 기술된 트레이너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PVC는 실리콘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다른 폴리메릭 재질이 사용된다면 나일론과 유사한 사용 특성을 가진다.
도 12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포츠 가드로 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스포츠 가드는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에 기술된 트레이너와 유사하다. 따라서 달리 지적되지 않으면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참조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본 실시예와 상기 트레이너 사이의 첫째의 중요한 차이는 상기 가드는 사용자의 상부 아치와 치아를 수용하기 위해 오직 상부 채널만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사용자의 하부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 채널을 갖지 않는다.
베이스 부재(2)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너에 있어서와 같이 개방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11에 있어서의 개방 프레임 조립체가 주요 평면으로 되는 반면에 도 12 내지 도 18에 있어서의 개방 프레임 조립체는 더 정교하고 수평면 뿐만 아니라 상향으로 연장한다.
개방 프레임은 도 1에서와 같이 하부 외측의 곡선의 종방향 프레임 부재(10)와, 또한 외측 프레임 부재(10)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내측 곡선의 종방향 프레임 부재(12)를 포함한다. 내외측 프레임 부재(12)(10)는 동일 수평면에 놓여져서 수평의 프레임부를 형성한다고 말할 수 있다.
내외 및 하부 외측 프레임 부재(12)(10)는 또한 내외측 프레임 부재(12)와 동일한 수평한 평면으로 놓여진 횡방향 프레임 부재(1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들 횡방향 프레임 부재(15)는 내측 및 하부 외측 프레임 부재(12)(10)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간격으로 놓여진다. 중앙 전부 영역(17)과 또한 좌우측 아암 영역(18)(19)의 후부에서 특히 돌출한 횡방향 프레임 부재(15)가 있다.
도 14 내지 도 18에 있는 베이스 부재는 또한 상부 외측의 곡선의 종방향 프레임 부재(70)를 구비한다. 이 상부 종방향 프레임 부재(70)는 하부 종방향 프레임 부재(10) 위에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것은 하부 외측의 종방향 프레임 부재(10)와 유사한 두께와 크기로 된다.
프레임 부재(10)(70)는 함께 수직의 프레임부를 형성한다. 상부 프레임 부재(70)는 하부 프레임 부재(10) 위에서 약 7-14mm, 예컨대 8-12mm로 이격된다.
베이스 부재(2)는 상하부 외측 종방향 부재(70)(10) 사이에서 이들 부 재(70)(10)의 길이를 따라, 그리고 대체로 베이스 부재(2)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간격으로 연장한 수직 연장 횡방향 프레임 부재(72)를 더 구비한다.
돌출한 수직 횡방향 부재(72)가 베이스 부재(2)의 중앙 전부 영역(17)에 위치된다. 이 횡방향 프레임 부재(72)는 그 상단을 향하는 분기부(74)를 가진다. 이 분기부(74)는 치아 결합부재(5)의 외측 플랜지(45)에 있는 절취부(55) 주위를 우회하는 의도를 가진다. 절취부(55)는 도 1을 참조하여 상기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돌출한 수직 횡방향 프레임 부재(72)는 상하부 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70)(10)의 후부를 향해 놓여진다. 또한 이들 돌출 횡방향 프레임 부재들의 전부 영역과 후부 사이에는 몇 개의 중간 수직 횡방향 부재(72)가 있다.
베이스 부재(2)의 전부를 향하는 중간 횡방향 프레임 부재(72)는 바닥에서 상부까지 대각 후방으로 경사지거나 또는 연장할 수 있다. 받침대 또는 횡단 버팀대(76)가 하부 종방향 프레임 부재(10)로부터 후부 횡방향 프레임 부재(72)가 상부 종방향 프레임 부재(70)와 교차하는 지점까지 대각 상향과 후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것은 가드의 전부에 작용된 강한 타격로부터 후방으로 베이스 부재(2)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는 것을 돕는다.
대조적으로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12)로부터 위로 연장한 동등한 수직 개방 프레임 구조는 없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12)는 수평 횡방향 프레임 부재(15) 위로 돌출하도록 전체 길이를 따라 다소 두껍게 된다. 이것은 특히 도 17과 도 18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다. 도시된 내측 프레임 부재(12)는 약 2 내지 10mm, 예컨대 3-7mm의 높이를 가진다. 그러나 그것은 외측 프레임 부재(10)와 같이 그것으로부터 위로 연장한 개방 프레임 구조를 갖지는 않는다.
개방 프레임 구조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약간의 탄성을 허용한다. 개방 프레임의 수평 연장부에 부가해서 상부 외측 프레임 부재(70)와 횡방향 프레임 부재(72)와 버팀대(72)와 함께 수직 프레임부를 구비한 의도는 베이스 부재(2)를 더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치아의 외측에 놓이는 개방 프레임의 이 수직 연장부는 전방 충격에 대해 가드를 보강한다. 따라서 그것은 전방 충격에 기인한 손상에 대해 치아, 특히 상부 아치의 송곳니를 보호한다.
도시된 가드의 베이스 부재(2)는 나일론과 같이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진다.
치아 결합부재(5)는 내외측 플랜지가 상부 아치와 상부 치아가 수용되는 상부 채널에만 형성된다는 사실에 의해 특징이 있다. 가드의 하측은 도 14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이것은 사용 시 사용자의 치아의 하부 열의 상단과 접촉하게 하지만 수용하지는 않게 한다. 사용자의 입이 닫히면 가드의 하측은 치아의 하부 열에 안치된다. 이것은 사용자가 가드를 착용한 채 말을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깊이 숨을 쉴 수 있게 한다. 많은 스포츠 가드는 이러한 일반적인 특징을 가진다.
치아 결합부재(5)는 베이스 부재(2)를 둘러싸서 수용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를 덮는 치아 결합재료의 두께는 매우 넉넉하다. 이것은 치아 결합부재의 외면이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부드럽게 되도록 한다. 그것은 또한 가드 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를 증대시킨다.
치아 결합부재는 도 1의 실시예의 것과 같이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갖지 않는다. 이것은 그것의 진정한 기능은 치아와 턱을 보호하는 것이지 치아를 재위치 시키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도시된 가드의 치아 결합부재는 실리콘 러버로 만들어진다. 실리콘 러버는 폴리아미드 베이스 부재 위에 성형된다. 실리콘 러버는 부드러움과 이미 구장장치에서 인정을 받은 사실 때문에 치아 결합부재에 유리하다.
스포츠 가드로 사용 시 이 가드는 초기에 상기에 기술된 치아 교정 트레이너와 동일한 방식으로 치과의사 또는 다른 사람에 의해 끼워진다. 적당한 크기의 가드가 이용될 수 있는 여러 크기로부터 선택되어 사용자의 입에 삽입된다.
그 후 가드는 접촉 스포츠를 하는 동안 요구되는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된다. 중요하게 이 가드는 끊는 물에 넣을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입에 적합하게 성형된다.
이 가드는 실리콘 러버가 부드럽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강도를 가진다. 이것은 실리콘 치아 결합층 아래의 나일론 베이스 부재의 강도에 기인한다. 전부 영역을 가로지르는 수직 프레임부를 가진 베이스 부재는 어떠한 전방의 강한 타격이 단지 전방 치아에 걸치지 않고 턱의 전체 아치를 걸쳐서 작용하도록 한다.
상기에 기술된 가드는 어린이에게, 특히 아직 성장하고 있는 어린이에게 특별히 적용된다. 어린이는 성형될 필요가 있는 가드를 사용하는 것에 약간의 저항을 보여 주며, 성형될 필요가 없는 가드를 선호한다.
나일론은 사용자에게 끼워지는 장치가 성형이 실행됨이 없이 안락함을 줄 수 있는 충분한 탄성과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또한 실리콘 러버의 부드러움은 성형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끼워지는 가드가 적당한 정도의 안락함을 갖게 한다.
이 장치는 따라서 스포츠 가드로 사용 시 매우 효과적으로 마련된다. 특히 이 가드는 사용자의 치아와 턱에 매우 높은 수준의 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것은 어른이 스포츠를 할 때보다 타격의 힘이 더 약하게 되는 자라나는 어린이에게 특히 적합하다. 그것은 또한 겪게 되는 타격의 강도가 럭비 또는 미식축구에서 보다도 약하게 되는 낮은 수준의 접촉 스포츠에 특히 적합하다. 이 스포츠 가드는 축구, 스쿼시, 그리고 하키와 같은 스포츠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에 기술된 장치의 이점은 아치를 넓히고 치아를 재 위치시키기에 충분히 강한 힘을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치아에 작용하는 힘은 다른 치아 교정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에 필적한다. 재 위치시키는 힘은 나일론 베이스 부재의 기초적인 강도에 기인한다. 베이스 부재는 돌출한 것이건 들어간 것이건 어긋난 치아에 힘을 작용하는 효과를 가지며, 이 힘은 치아를 아치 형태 또는 아치 라인으로 복원되게 한다.
베이스 부재의 외측 곡선 프레임 부재에 있는 플랜지는 사용자의 치아를 재정렬시키고 아치를 넓히는 것을 돕는다. 플랜지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의 내외측 종 방향 프레임 부재는 치아가 뒤로 이동되거나 어긋나게 될 때 치아를 전방으로 미는 효과를 가진다. 유사하게 말단 가장자리가 돌출하고 중심 가장자리가 밀려 들어가면서 치아가 돌아간 경우 내외측 플랜지는 또한 올바른 위치로 회전하여 재정렬시키는 힘을 작용시킨다. 또한 아치 형태가 좁은 경우 내외측 프레임 부재는 넓은 아치 형태로 설계되고 탄성이 있어서 치아를 외측으로 밀어서 아치 형태를 넓힌다.
따라서 트레이너는 단순히 서로 인접한 치아를 정렬하여 돌출하지 않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치가 이상적인 아치 폭보다 좁은 경우 아치를 넓히게 하는 것이다. 그것은 또한 개별 치아를 아치의 라인을 따라 올바른 지점에 올바르게 위치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2개의 전방 치아 사이의 라인은 아치의 중간 라인에 위치된다. 이것은 만족할만한 성형 치아 교정학을 위해 중요한 요구사항이다.
또한 상기에 기술된 치아 교정 트레이너의 이점은 실리콘 러버가 매우 유연한 재질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치아와 잇몸에 너무 큰 국부적인 압력을 작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의 윤곽에 일치하는 능력을 가진다. 그와 같은 트레이너는 사용자의 입에 과도하게 거칠게 되지 않는다. 그것은 환자의 입에서 부드러운 조직을 해치지 않으며, 또한 상당한 정도의 안락감으로 착용될 수 있다.
더욱 트레이너는 다량으로 성형 작업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장치는 2단계 성형 작업으로 사출 성형된다. 이것은 이 장치를 합리적인 비용으로 만들 수 있게 할 것이다. 각 개별 사용자를 위해 맞추어서 성형될 필요가 없다. 이것은 이 장치가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에 기술된 치아 교정 트레이너의 이점은 사용자의 개별 치아를 최 적의 위치에 지정하기 위한 위치 지정 구조체를 가진 것에 있다. 대량 제조된 트레이너로 개별 치아를 아치의 포물선 커브에 이와 같이 위치 지정시키는 것은 상당한 진전이다.
더욱 치아 교정 트레이너는 혀를 올바르게 위치 지정시키기 위한 탭과 탭의 한 쪽에 공간을 가져서 트레이너의 아암이 어느 정도 개방되거나 폐쇄되게 한다.
상기에 기술된 스포츠 가드의 이점은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끼울 수 있는 효교적인 스포츠 가드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또한 스포츠 가드는 사용자의 치아와 잇몸에 접촉하는 실리콘 러버가 부드럽고 안락하기 때문에 편안함을 준다. 또한 이 스포츠 가드는 스포츠를 하는 동안 머리와 입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충분한 보호를 제공한다. 또한 이 스포츠 가드는 매우 합리적인 가격으로 시장에 공급될 수 있으며, 이것은 사용자에게 끼워지기 전에 끊는 물에 성형할 필요가 없다.
상기의 기재는 오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예에 의해 주어진 것이며, 당업자에게 분명한 것처럼 모든 변경과 다양성은 본 발명의 넓은 범위와 영역 안에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45)

  1. 사용자의 턱의 윤곽에 대응하는 U 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하나의 재질로 만들어진 베이스 부재;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재질보다 더 부드러운 하나의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며, 사용자의 관련된 아치와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치아 채널의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치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폴리머 재질은 실리콘 러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폴리머 재질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로 된 첨가 폴리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탄성이 있는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폴리머 재질은 아미드 단량체들의 응축 중합반응 또는 카프로락탐의 링 개방 중합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폴리머 재질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구비한 첨가 폴리머 또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산토프렌인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구비한 응축 폴리머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실리콘 러버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개방 프레임 구조의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프레임 구조는 횡방향 프레임 부재들에 의해 이격된 간격으로 상호 연결된 곡선의 내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프레임 부재와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모두 동일 평면에 놓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에 있는 외측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상기 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높이 위로 돌출한 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중앙 전부 영역과, 상기 중앙 전부 영역으로부터 좌우측 후단까지 연장한 좌우측 아암 영역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로부터 적어도 상기 중앙 전부 영역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하여 사용 중에 사용자의 상부 전방 치아 위로 가로질러서 연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의 중앙 전부 영역은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상면 위에서 2-10mm 정도로 상향으로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는 또한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 위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좌우측 아암 영역을 따라 상향으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의 좌우측 아암 영역은 상기 개방 프레임의 횡방향 프레임 부재 위에서 2-6mm 정도로 상향으로 연장하여 사용 시 사용자의 어금니들 중의 적어도 일부분 위로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상기 좌측 아암 영역과 중앙 전부 영역 중간의 좌측 위치에서, 그리고 또한 상기 외측 플랜지의 우측 아암 영역과 중앙 전부 영역 중간의 우측 위치에서 중단되는 또는 낮아진 높이로 되며, 상기 좌측과 우측의 위치는 사용자의 어금니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는 곡선의 외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0. 제1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에 있는 내측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상기 내측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높이 위로 돌출한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의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에 있는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상면에서 약 1-3mm의 길이로 떨어져서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로부터 상기 내측 종방향 프레임 부재의 전 길이를 따라 위로 돌출하되, 상기 내측 플랜지는 실질적으로 그 전 길이를 따라 동일 높이로 위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는 상기 곡선의 내측 요소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5. 제9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 전부 영역에서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의 전부를 가지며,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좌우측 아암 영역의 후부를 향해서 상기 횡방향 프레임 부재들의 후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아암 영역의 후부에 있는 상기 후부 횡방향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전부 횡방향 프레임 부재 사이에 있는 중간 횡방향 프레임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 전부 영역에 있는 상기 횡방향 크로스 요소는 5-15mm의 폭을 가지며, 상기 각 아암의 후부에 있는 후부 횡방향 크로스 요소는 2-10mm의 폭을 가지며, 상기 중간 횡방향 프레임 부재는 1-4mm의 폭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개방 프레임의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상하부면을 가진 중앙 웨브와, 또한 상기 웨브의 상하부면 중의 적어도 하나로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하여 상기 웨브와 함께 사용자의 치아가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형성하는 내외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프레임 구조는 상하부와 내외측부를 가지며,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개방 프레임 구조의 상기 상하부와 내외측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웨브의 상하부면에서 떨어져서 돌출한 플랜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치아의 상하부열을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상하 부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베이스 부재 주위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연장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전체 면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내면을 덮는 재료의 층보다 실질적으로 더 얇은 재료의 층으로 상기 외측 플랜지의 외면을 덮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치아 결합부재를 함께 지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상기 채널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위치지정 구조체는 사용 시 이에 인접한 사용자의 치아를 위치 지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복수의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사용자의 치아의 중앙 전방의 두 송곳니를 공동으로 위치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사용자의 치아의 상하부 열에서 전방 4개의 치아와, 상기 전방 4개의 치아의 각 측 후방에 있는 3개의 치아를 공동으로 위치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6. 제33항 내지제3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각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채널로 내측으로 연장한 쐐기 형상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쐐기 형상의 돌기는 상기 치아 결합부재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숨 구멍과, 사용자가 혀를 올바르게 위치시키게 하기 위한 혀 탭과, 또한 상기 웨브의 위와 아래에 있는 상기 치아 결합부재의 곡선의 외측 플랜지에 위치하여 사용 시 이 영역에서 사용자의 부드러운 잇몸이 상기 치아 결합부재와 접촉하지 않게 하는 절취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장치.
  38. 사용자의 턱의 윤곽에 대응하는 대체로 U 형상의 형태로 된 폴리아미드 재질로 만들어지고, 횡방향 프레임 부재들에 의해 이격된 간격으로 상호 연결된 곡선의 내외측 연장 프레임 부재로 된 개방 프레임 구조체를 가지며, 중앙 전부 영역과 좌우측 아암 영역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중앙 전부 영역을 가로질러서 연장한 상기 외측의 연장 프레임 부재에 있는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 그 리고
    실리콘 러버 또는 PVC로 만들어져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둘러싸며,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하부면에서 상하로 돌출한 내외측 플랜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상하부 치아가 수용될 수 있는 상하부 채널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치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트레이너.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장 프레임 부재에 있는 상기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는 또한 상기 중앙 전부 영역뿐만 아니라 상기 좌우측 아암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로질러서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트레이너.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내측 연장 프레임 부재 위의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트레이너.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사용자의 치아를 올바른 위치로 지정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치아 위치지정 구조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트레이너.
  42. 제38항 내지 제4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치아 결합부재는 실리콘 러버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트레이너.
  43. 사용자의 턱의 윤곽에 대응하는 대체로 U 형상의 형태를 가진 나이론으로 만들어지고, 횡방향 프레임 부재들에 의해 이격된 간격으로 상호 연결된 곡선의 내외측 연장 프레임 부재로 된 개방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중앙 전부 영역과 좌우측 아암 영역을 가진 베이스 부재; 그리고
    실리콘 러버 또는 PVC로 만들어져서 상기 베이스 부재를 둘러싸고,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돌출한 내외측 플랜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상부 아치와 치아를 수용할 수 있는 상부 채널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치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가드.
  44. 환자가 개선된 구강 습관을 촉진하도록 처치하고 치아의 위치지정의 향상을 촉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에게 청구항 1 내지 42에 따른 장치를 끼우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착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하루에 적어도 몇 시간 동안 상기 장치를 착용하고, 일주일에 적어도 3일을 이렇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차 처치 방법.
KR1020077010693A 2004-10-14 2005-10-14 구강장치 KR1011722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4905924 2004-10-14
AU2004905924A AU2004905924A0 (en) 2004-10-14 Oral appliance
PCT/AU2005/001598 WO2006108209A1 (en) 2004-10-14 2005-10-14 Oral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178A true KR20070084178A (ko) 2007-08-24
KR101172276B1 KR101172276B1 (ko) 2012-08-09

Family

ID=3708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693A KR101172276B1 (ko) 2004-10-14 2005-10-14 구강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70254256A1 (ko)
EP (1) EP1802248B1 (ko)
JP (2) JP5069117B2 (ko)
KR (1) KR101172276B1 (ko)
CN (2) CN101039632B (ko)
AT (1) ATE511811T1 (ko)
AU (2) AU2005330526B2 (ko)
CA (2) CA2778133C (ko)
EA (1) EA010998B1 (ko)
ES (1) ES2367912T3 (ko)
NZ (1) NZ554972A (ko)
PL (1) PL1802248T3 (ko)
UA (1) UA97621C2 (ko)
WO (1) WO2006108209A1 (ko)
ZA (1) ZA20070373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169B1 (ko) * 2020-11-27 2021-06-18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KR20220039410A (ko) * 2020-09-22 2022-03-29 송영국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KR20220107440A (ko) * 2021-01-25 2022-08-02 이현서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1802248T3 (pl) * 2004-10-14 2011-10-31 Christopher John Farrell Aparat nazębny
KR100883168B1 (ko) 2007-05-23 2009-02-10 정수용 턱관절 보호 기구
JP5409633B2 (ja) * 2007-08-29 2014-02-05 クリストファー ジョン ファレル 歯科矯正装置
CN101896134B (zh) * 2007-11-27 2014-05-07 克里尔斯迈尔控股有限公司 牙科器械
US20100129763A1 (en) * 2008-11-24 2010-05-27 Align Technology, Inc. Sequential sports guard
KR100926483B1 (ko) 2009-05-18 2009-11-12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180285B1 (ko) 2009-09-17 2012-09-06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455055Y1 (ko) 2009-09-18 2011-08-12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
US8252023B2 (en) * 2009-11-16 2012-08-28 Pacif-Air, Llc Pacifier
US20130327343A1 (en) * 2010-06-01 2013-12-12 William Cook High performance mouthguard
EP2566588B1 (en) * 2010-06-25 2017-08-30 Signature Mouthguards Pty Limited A mouth guard
US20120017922A1 (en) * 2010-07-23 2012-01-26 Jr286 Technologies, Inc. Mouthguard having breathing cavities and breathing holes incorporated into the body of the mouthguard
US9022903B2 (en) * 2011-03-11 2015-05-05 Zaki Rafih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strength and balance
WO2012138459A1 (en) * 2011-04-05 2012-10-11 Airway Technologies, Llc Oral appliance for treating particular disorders associated with sleep
JP5777438B2 (ja) * 2011-07-28 2015-09-09 株式会社八光 気管挿管用歯牙保護デバイス
FR2981843B1 (fr) * 2011-10-28 2017-03-10 Orthodontie Alliance Laboratoire Dispositif d'activation de croissance mandibulaire, de croissance maxillaire et de propulsion mandibulaire
CN102499767B (zh) * 2011-11-01 2013-08-28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真空成型改良式Activator矫治器及其制作方法
US20130167846A1 (en) * 2012-01-03 2013-07-04 Edward Patrick Hurley Aerobic mouthguard adapted to permit larger oral osmosis while diffusing larger oral shock
CN102648874B (zh) * 2012-05-03 2014-08-27 张栋梁 一种用于个性化舌侧矫治的解剖式模型排牙方法
KR101381485B1 (ko) 2012-06-08 2014-04-04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TW201417781A (zh) * 2012-11-02 2014-05-16 zhen-wen Zeng 用於矯正牙齒的定位調整裝置
DE202014011570U1 (de) * 2013-10-22 2023-04-04 Biolux Research Holdings, Inc. Intraorale Lichttherapiegeräte
CN104688363A (zh) * 2013-12-10 2015-06-10 中国人民解放军第307医院 一种唇舌习惯矫正器
JP6033905B2 (ja) 2014-02-28 2016-11-30 典洋 井津上 矯正装置
CA156096S (en) * 2014-04-11 2014-12-19 New Age Performance Inc Mouth guard
USD752295S1 (en) * 2014-04-25 2016-03-22 Opro International Limited Mouthguard
US9370707B2 (en) * 2014-05-13 2016-06-21 Akervall Technologies, Inc. Adaptive mouth guard and method of use
JP6438705B2 (ja) * 2014-08-22 2018-12-19 株式会社ホワイトベース 矯正歯科口腔トレーナー
FI127479B (en) * 2014-12-31 2018-06-29 Lm Instr Oy Orthodontic device
USD760441S1 (en) * 2015-01-28 2016-06-28 Tim Cody Mouth guard
USD767146S1 (en) 2015-02-09 2016-09-20 Christopher John Farrell Orthodontic appliance
US9937019B1 (en) * 2015-04-21 2018-04-10 Daniel P. Copps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abilizing a subject during radiation therapy
WO2016191826A1 (en) * 2015-06-04 2016-12-08 Nowtray Pty Ltd Dental trays or mouthguards
CN105266908B (zh) * 2015-07-15 2017-11-07 欧阳年沣 一种颈后牵引式口腔矫正器具
USD771876S1 (en) * 2015-07-27 2016-11-15 James T. Hazard Mouthpiece
US20170100215A1 (en) * 2015-10-09 2017-04-13 John H. Khouri Orthodontic assembly
USD800317S1 (en) 2015-11-09 2017-10-17 Myosa Pty Ltd Oral appliance
USD792028S1 (en) * 2015-12-03 2017-07-11 Design Blue Limited Mouthguard
EP3427704B1 (en) * 2016-03-08 2021-04-07 Mitsui Chemicals, Inc. Mouthpiece
CN105559898B (zh) * 2016-03-10 2022-09-13 河南省新诺兰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口腔反颌矫治器
WO2018053425A1 (en) * 2016-09-16 2018-03-22 Gelro,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the lower face and lips; and oral appliance therefore
CN107865705B (zh) * 2016-09-26 2023-07-07 上海慕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口腔正畸用的多功能矫正器
FR3059544B1 (fr) * 2016-12-07 2019-05-10 Oniris Dispositif intrabuccal a paire de gouttieres dentaires articulees
USD830640S1 (en) * 2016-12-27 2018-10-09 Rayne William Supple Mouthguard
DE102017102101A1 (de) 2017-02-03 2018-08-09 Dreve-Dentamid Gmbh Zahnschutzvorrichtung
AU201710942S (en) 2017-02-16 2017-10-06 Orthodontic appliance
USD795501S1 (en) * 2017-04-10 2017-08-22 Jbl Radical Innovations, Llc Mouthpiece
CN107049530A (zh) * 2017-04-25 2017-08-18 吉林大学 一种医用多功能矫治器
US20180344508A1 (en) * 2017-06-02 2018-12-06 Brown Innovation, Llc Custom-fit dental guard
AU2018333837A1 (en) * 2017-09-13 2020-04-23 Farrell, Christopher John DR An oral training appliance
USD852424S1 (en) * 2017-11-08 2019-06-25 Pierre-Antoine Callabe Mouth guard
USD854753S1 (en) * 2017-12-15 2019-07-23 Shock Doctor, Inc. Mouthguard
US11179622B2 (en) 2018-01-10 2021-11-23 Shock Doctor, Inc. Mouthguard with tapered breathing channel
JP6980290B2 (ja) * 2018-10-03 2021-12-15 株式会社be—king 印象トレイ
CN109949678A (zh) * 2019-04-01 2019-06-28 南京市口腔医院 一种正畸教学培训模拟牙套
USD963950S1 (en) 2020-01-28 2022-09-13 Shock Doctor, Inc. Mouthguard
AU2021218473A1 (en) * 2020-02-11 2022-09-29 Neomorph Pty Ltd Heat mouldable mouth guard
CN111714232A (zh) * 2020-06-29 2020-09-29 冯慕青 一种口腔功能矫治器
CA202322S (en) * 2020-10-08 2024-03-12 Myosa Pty Ltd Oral appliance
CN112932701A (zh) * 2021-01-22 2021-06-11 湘南学院附属医院 一种口腔正畸用多功能矫正器
JP6963855B1 (ja) * 2021-01-25 2021-11-10 SheepMedical株式会社 歯科矯正具
CN112914775B (zh) * 2021-02-18 2022-05-17 北京大学口腔医学院 一种牙外伤固定用口内保护装置的数字化制备方法
WO2023225724A1 (en) 2022-05-25 2023-11-30 Atanasov Orlin Valentino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treatment
CN116509576A (zh) * 2023-05-12 2023-08-01 无锡聚利笙科技有限公司 正畸功能矫治器设计方法、制造方法和正畸功能矫治器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7899A (en) * 1954-12-06 1958-03-25 Altieri Domenico James Tooth guard and jaw protector
US3224443A (en) * 1965-02-24 1965-12-21 Richard P Monaghan Teeth protector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3510946A (en) * 1969-02-28 1970-05-12 Peter C Kesling Orthodontic appliance
US3950851A (en) * 1975-03-05 1976-04-20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positioner and method for improving retention of tooth alignment therewith
US4983334A (en) * 1986-08-28 1991-01-08 Loren S. Adell Method of making an orthodontic appliance
US4830612A (en) * 1987-05-26 1989-05-16 Bergersen Earl Olaf Deciduous dentition treatment appliance and orthodontic method
US4793803A (en) * 1987-10-08 1988-12-27 Martz Martin G Removable tooth positioning appliance and method
US5406962A (en) * 1991-12-02 1995-04-18 Loren S. Adell Dental arch appliances
WO1991003215A1 (en) * 1989-09-06 1991-03-21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al appliance
US5082007A (en) * 1990-01-24 1992-01-21 Loren S. Adell Multi-laminar mouthguards
JPH03234254A (ja) * 1990-02-09 1991-10-18 Earl O Bergersen 歯列拡大用矯正器具
US5031638A (en) * 1990-03-13 1991-07-16 Roll-A-Puck Limited Direct-formed mouthguard, a blank for use in making the mouthguard and a method of making the mouthguard
US5293880A (en) * 1991-10-02 1994-03-15 Levitt Steven J Athletic mouthguard
CA2122634C (en) * 1991-10-31 2004-08-31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al appliance
US5203695A (en) * 1991-12-20 1993-04-20 Bergersen Earl Olaf Orthodontic device for expansion of arches with imbedded wire
US5511562A (en) * 1994-11-14 1996-04-30 Hancock; Raymond R. Temporomandibular joint appliance
JPH08206272A (ja) * 1995-02-06 1996-08-13 Bayer Nippon Shika Kk マウスガードの基体及びマウスガードの製作方法
US7404403B2 (en) * 1998-12-16 2008-07-29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EP1139905B1 (en) * 1998-12-16 2006-06-21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US6082363A (en) * 1999-10-28 2000-07-04 E-Z Gard Industries, Inc. Triple layer mouthguard having integral shock absorbing framework
US6598605B1 (en) * 2000-09-08 2003-07-29 Bite Tech, Inc. Non-softenable, impressionable framework for dental appliances
US20030101999A1 (en) * 2001-04-06 2003-06-05 Kittelsen Jon D. Composite mouthguard with nonsoftening framework
US6508251B2 (en) * 2001-04-06 2003-01-21 Jon D. Kittelsen Composite mouthguard with palate arch with nonsoftening framework having at least one bridge
US6584978B1 (en) * 2001-05-25 2003-07-01 Sportsguard Laboratories, Inc. Mouthguard and method of making
JP3940601B2 (ja) * 2001-12-28 2007-07-04 医療法人 エヌアール日本生体咬合研究所 咬合補助装置
US6790036B2 (en) * 2002-05-23 2004-09-14 Neil John Graham Orthodontic tooth repositioner
JP2005527293A (ja) * 2002-05-28 2005-09-15 オルソ−テイ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未萠出歯の予測されたサイズ及び形状に基づく歯列矯正器具、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NZ525382A (en) * 2002-08-30 2004-09-24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suitable for use as sports guard
US7458810B2 (en) * 2002-09-20 2008-12-02 Bergersen Earl O Dental appliance having an altered vertical thickness between an upper shell and a lower shell with an integrated hinging mechanism to attach an upper shell and a lower shell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s
US7963765B2 (en) * 2002-09-20 2011-06-21 Ortho-Tain, Inc System of dental appliances having various sizes and types and a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s of patients of various ages without adjustments or appointments
US20040154625A1 (en) * 2002-12-31 2004-08-12 Foley Timothy W. Mouthguard and method of making the mouthguard
US20040154626A1 (en) * 2003-02-12 2004-08-12 E-Z Gard Industries, Inc. Mouthguard
US7210483B1 (en) * 2003-07-25 2007-05-01 Medtech Products, Inc. Sporting prophylaxis
US20050115571A1 (en) * 2003-12-02 2005-06-02 Scott Jacobs Mouthguard
US20060065277A1 (en) * 2004-09-29 2006-03-30 Scott Jacobs Dual tray athletic mouthguard
US20060084024A1 (en) * 2004-10-14 2006-04-20 Farrell Christopher J Oral appliance
PL1802248T3 (pl) * 2004-10-14 2011-10-31 Christopher John Farrell Aparat nazębn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410A (ko) * 2020-09-22 2022-03-29 송영국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KR102267169B1 (ko) * 2020-11-27 2021-06-18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WO2022114393A1 (ko) * 2020-11-27 2022-06-02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KR20220107440A (ko) * 2021-01-25 2022-08-02 이현서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8209A1 (en) 2006-10-19
CN103126774A (zh) 2013-06-05
AU2010200550B2 (en) 2012-08-16
CN101039632B (zh) 2013-03-20
ATE511811T1 (de) 2011-06-15
NZ554972A (en) 2010-09-30
JP2008515572A (ja) 2008-05-15
EP1802248B1 (en) 2011-06-08
CA2778133A1 (en) 2006-10-19
CN103126774B (zh) 2016-05-18
JP2012223587A (ja) 2012-11-15
EA010998B1 (ru) 2008-12-30
PL1802248T3 (pl) 2011-10-31
EP1802248A4 (en) 2009-11-11
CN101039632A (zh) 2007-09-19
JP5705794B2 (ja) 2015-04-22
CA2583560A1 (en) 2006-10-19
CA2778133C (en) 2014-07-15
EA200700856A1 (ru) 2007-10-26
AU2005330526B2 (en) 2011-08-04
JP5069117B2 (ja) 2012-11-07
KR101172276B1 (ko) 2012-08-09
UA97621C2 (ru) 2012-03-12
ES2367912T3 (es) 2011-11-10
AU2005330526A1 (en) 2006-10-19
US20070254256A1 (en) 2007-11-01
AU2010200550A1 (en) 2010-03-04
CA2583560C (en) 2012-08-07
ZA200703738B (en) 2010-09-29
EP1802248A1 (en) 200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276B1 (ko) 구강장치
US20060084024A1 (en) Oral appliance
US8105079B2 (en) Orthodontic appliance
US20100196837A1 (en) Orthodontic appliance
US8920163B2 (en) Orthodontic appliance
US6508251B2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palate arch with nonsoftening framework having at least one bridge
US6505627B2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palate arch and anterior palate opening
US6505626B2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nonsoftenable framework and disconnected anterior impact braces
US6510853B1 (en) Encapsulated quintuple composite mouthguard
US6588430B2 (en) Composite performance enhancing mouthguard with embedded wedge
US6675806B2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elastomeric traction pads and disconnected anterior impact braces
US6505628B2 (en) Quadruple composite performance enhancing mouthguard
US6675807B2 (en) Quadruple composite performance enhancing mouthguard
US20030101999A1 (en) Composite mouthguard with nonsoftening framework
AU2013204650B2 (en) An orthodontic appliance
AU2012241192B2 (en) An orthodontic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