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440A -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440A
KR20220107440A KR1020210010079A KR20210010079A KR20220107440A KR 20220107440 A KR20220107440 A KR 20220107440A KR 1020210010079 A KR1020210010079 A KR 1020210010079A KR 20210010079 A KR20210010079 A KR 20210010079A KR 20220107440 A KR20220107440 A KR 20220107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base
fixing device
ho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018B1 (ko
Inventor
이현서
Original Assignee
이현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서 filed Critical 이현서
Priority to KR102021001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018B1/ko
Publication of KR2022010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의 배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호 편심되게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ORTHODINTIC RETAINER FOR PREVENTING BRUXISM}
본 발명은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결손되면 결손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또는 브릿지 등을 시술하거나 틀니를 제작하여 장착하게 된다.
임플란트는 치아의 결손 부위에 개별적으로 시술되는 인공치아로서, 본래의 치아와 유사한 저작력을 가지며 최소 10년에서 관리에 따라 30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심미성이 뛰어나고 주변 치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브릿지는 결손된 치아 양 옆의 치아를 삭제하여 지지대로 만들고 지지대에 인공치아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시술이다. 브릿지는 사용수명이 평균 5년에서 10년 정도이며, 짧은 기간 안에 저작력과 심미적인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결손된 치아 주변의 자연치아를 삭제하여 지지대로 사용하므로 정상적인 치아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틀니(Denture, 가철성의치)는 여러 개의 치아가 결손되었을 때 하나로 연결된 인공치아를 치아 결손 부위에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인공 보철물이다. 틀니는 자연치아에 비하여 저작력이 약하므로 음식 섭취에 다소 불편함이 있으나,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치아가 모두 결손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틀니는 치아가 모두 결손된 환자를 위한 전체틀니(총의치)와 치아가 부분적으로 결손된 환자를 위한 부분틀니(국소의치)로 나뉜다. 전체틀니는 잔존치아가 없는 잇몸에 직접 끼워서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반면, 부분틀니는 결손된 치아 주변에 남아있는 자연치아를 지지대로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이갈이는 치아 및 턱관절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수면장애의 일종으로 흔히 보고되고 있다. 이갈이(bruxism)는 성인의 10% 정도, 아동의 15∼ 30% 정도가 겪는 증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스트레스가 이갈이의 요인으로 지목되지만 정확한 것은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영양부족이나 요충, 알러지, 대사장애, 뇌질환 등 의료적 문제가 원인일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가장 흔한 이갈이의 방지법은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수면을 취하는 것이다. 현재 시중에는 이를 위한 마우스피스가 판매되고 있지만, 치과병원에서 치료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마우스피스는 고가이며 착용시 불편함이 많아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도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더욱이, 수면시에 장시간동안 착용하는 경우에 큰 사이즈로 인하여 입안에 이물감을 줄 뿐만 아니라 분비되는 침이 그대로 고이면서 수면 중 호흡을 방해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74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7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치아의 배열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면 중에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이 맞물리는 교정합 부위에 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음압(negative)이 형성되어 코골이 등이 방지될 수 있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는,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의 배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호 편심되게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악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하악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악 지지부는 상기 상악 지지부에 대해 사용자의 설측 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공은,
사용자의 교합면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통공; 및
상기 사용자의 교합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통공은 단면이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통공은 인접한 치아 사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통공은 상악과 하악의 교합면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의 내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수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는 치아의 배열모양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수면 중에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는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이 맞물리는 교정합 부위에 통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자연스럽게 음압(negative)이 형성되어 코골이 등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단면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중에 판매되는 이갈이 방지용 치아 전체를 감싸는 형태의 마우스피스를 착용해야 하므로 착용시 불편함이 많아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도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치아배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베이스를 형성시킴으로써, 착용이 용이하면서도 기능적인 부분을 향상시키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단면도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100)는 치아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베이스(110), 베이스(110)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공(H1, H2)을 포함하되, 베이스(110)는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호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좌측 어금니에서부터 우측 어금니까지 곡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치아배열에 대응하여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00)는 경질의 덴탈 레진(dental resin) 소재로 형성된다. 그 밖에 베이스(100)는 금속재질, 올세라믹, PFM, PFG, 지르코니아에서 선택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110)는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악 지지부(111) 및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하악 지지부(112)를 포함하되, 하악 지지부(112)는 상악 지지부(111)에 대해 사용자의 설측 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110)는 사용자의 치아 형상에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고, 특히 하악 지지부(112)가 상악 지지부(111) 보다 설측, 즉 사용자의 혀 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므로 보다 자연스럽게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베이스(110)에는 사용자의 교합면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통공(H1) 및 상기 사용자의 교합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 통공(H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통공(H1)은 사용자의 안면을 중심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통공(H1)이 형성되고, 사용자의 안면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 베이스(110)의 상악 지지부(111)에서 하악 지지부(11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공(H1)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공(H1)은 치아와 인접한 치아의 사이 위치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통공(H2)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통공(H2)은 사용자의 교합면을 기준으로 치아가 형성된 위치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100)를 착용하고 야간에 취침하는 경우에 베이스(110) 상에 축적되는 침과 같은 분비물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환언하면, 베이스(110)의 상악 지지부(111)에 축적되는 침과 같은 체액은 제1 통공(H1)과 제2 통공(H2)을 통하여 베이스(11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 중 체액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수면 중 호흡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베이스(110)의 상악 지지부(111)의 양측 단부 중 사용자의 입술측에 위치되는 단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상악 연장부(111-1)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베이스(110)의 하악 지지부(112)의 양측 단부 중 사용자의 입술측에 위치되는 단부가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하악 연장부(11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취침 중에 이탈되지 않도록 착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100)의 베이스(110)에는 길이 방향으로 수렴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렴부(115)는 사용자가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반복적으로 사용자의 혀가 수렴부(115) 측으로 밀착 및 이탈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액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면서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베이스(110)의 내면에는 복수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사용자가 수면 중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치아가 상기 체액에 의하여 베이스(110)의 내면에 과도하게 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110: 고정장치 베이스
111: 상악 지지부
111-1: 상악 연장부
112: 하악 지지부
112-1: 하악 연장부
115: 수렴부
H1: 제1 관통홀
H2: 제2 관통홀

Claims (7)

  1.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의 배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되, 가상의 수직선을 중심으로 상호 편심되게 형성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악 지지부; 및
    상기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하악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악 지지부는 상기 상악 지지부에 대해 사용자의 설측 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사용자의 교합면을 기준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통공; 및
    상기 사용자의 교합면을 기준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 통공을 포함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공은 단면이 일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인접한 치아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길이 방향으로 수렴부가 형성되는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KR1020210010079A 2021-01-25 2021-01-25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KR10256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79A KR102566018B1 (ko) 2021-01-25 2021-01-25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79A KR102566018B1 (ko) 2021-01-25 2021-01-25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440A true KR20220107440A (ko) 2022-08-02
KR102566018B1 KR102566018B1 (ko) 2023-08-09

Family

ID=8284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079A KR102566018B1 (ko) 2021-01-25 2021-01-25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01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272B2 (ja) * 1991-10-31 2002-01-07 フアーレル,クリストフアー,ジヨン 口部用品
KR20070084178A (ko) * 2004-10-14 2007-08-24 크리스토퍼 존 패럴 구강장치
KR100847421B1 (ko) 2006-12-14 2008-07-18 강성윤 항균물질이 함침된 치아교정기
KR20080005716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치아 보호용 장치
KR20100124194A (ko) * 2009-09-17 2010-11-26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
JP2010536511A (ja) * 2007-08-29 2010-12-02 クリストファー ジョン ファレル 歯科矯正装置
JP2018504967A (ja) * 2015-01-29 2018-02-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指向性流体ジェットを備えるマウスピース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4272B2 (ja) * 1991-10-31 2002-01-07 フアーレル,クリストフアー,ジヨン 口部用品
KR20070084178A (ko) * 2004-10-14 2007-08-24 크리스토퍼 존 패럴 구강장치
KR100847421B1 (ko) 2006-12-14 2008-07-18 강성윤 항균물질이 함침된 치아교정기
KR20080005716U (ko) * 2007-05-23 2008-11-27 정수용 치아 보호용 장치
JP2010536511A (ja) * 2007-08-29 2010-12-02 クリストファー ジョン ファレル 歯科矯正装置
KR20100124194A (ko) * 2009-09-17 2010-11-26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용 방법
JP2018504967A (ja) * 2015-01-29 2018-02-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指向性流体ジェットを備えるマウスピ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6018B1 (ko)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ltjens et al.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supported by implants and residual teeth: considerations and case reports.
Ramfjord et al. Reflections on the Michigan occlusal splint
US8201560B2 (en) Flexible dental appliance
US11833008B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US9675434B2 (en) Dental bridge
KR20190067743A (ko)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Chen et al. Implant occlusion: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es
Misch Prosthetic options in implant dentistry
JP2004523290A (ja) ピン保持インレーブリッジ及びその製造及び装着方法
EP3139857A1 (en) Removable denture with metal denture tooth or teeth
JP2000287998A (ja) 歯牙用装置
KR102566018B1 (ko)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Cekic‐Nagas et al. Implant‐Supported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Localized Severe Attrition: A Clinical Report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KR102238462B1 (ko)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Dimova TOTAL REHABILITATION BY EDENTULOUS PA-TIENTS WITH IRREGULARITY OF THE ALVEOLAR RIDGES
WO2023188415A1 (ja) マウスピース
TW202005616A (zh) 暴露咬合面的護齒牙套
Yadav et al. Implant O-ring Attachment used for Tooth-borne Overdenture
RU2771425C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маяк игоря мяскивкера для регистрации прикуса
KR102093593B1 (ko)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Shafad et al. Management of Supra Erupted Maxillary Molar by Using a Modified Removable Posterior Bite Plane–Two Case Reports
KR101784608B1 (ko) 통공이 형성된 잇몸부를 구비한 의치
Chidambaram et al.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worn out dentition us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
Elawady et al. Single Implant-Retained Mandibular Overdentures: A Literature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