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462B1 -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462B1
KR102238462B1 KR1020190130309A KR20190130309A KR102238462B1 KR 102238462 B1 KR102238462 B1 KR 102238462B1 KR 1020190130309 A KR1020190130309 A KR 1020190130309A KR 20190130309 A KR20190130309 A KR 20190130309A KR 102238462 B1 KR102238462 B1 KR 10223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dental
base
presen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김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102019013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이갈이를 방지하면서 결손된 치아가 있는 환자에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아 결손 부위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Multi-functional Dental Apparatus For Preventing Bruxism}
본 발명은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결손을 방지하면서 결손된 치아가 있는 환자에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아 결손 부위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가 결손되면 결손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하여 임플란트 또는 브릿지 등을 시술하거나 틀니를 제작하여 장착하게 된다.
임플란트는 치아의 결손 부위에 개별적으로 시술되는 인공치아로서, 본래의 치아와 유사한 저작력을 가지며 최소 10년에서 관리에 따라 30년까지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심미성이 뛰어나고 주변 치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브릿지는 결손된 치아 양 옆의 치아를 삭제하여 지지대로 만들고 지지대에 인공치아를 걸어서 고정시키는 시술이다. 브릿지는 사용수명이 평균 5년에서 10년 정도이며, 짧은 기간 안에 저작력과 심미적인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결손된 치아 주변의 자연치아를 삭제하여 지지대로 사용하므로 정상적인 치아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틀니(Denture, 가철성의치)는 여러 개의 치아가 결손되었을 때 하나로 연결된 인공치아를 치아 결손 부위에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도록 제작되는 인공 보철물이다. 틀니는 자연치아에 비하여 저작력이 약하므로 음식 섭취에 다소 불편함이 있으나,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치아가 모두 결손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틀니는 치아가 모두 결손된 환자를 위한 전체틀니(총의치)와 치아가 부분적으로 결손된 환자를 위한 부분틀니(국소의치)로 나뉜다. 전체틀니는 잔존치아가 없는 잇몸에 직접 끼워서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 반면, 부분틀니는 결손된 치아 주변에 남아있는 자연치아를 지지대로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이갈이는 치아 및 턱관절 등에 악영향을 미치는 수면장애의 일종으로 흔히 보고되고 있다. 이갈이(bruxism)는 성인의 10% 정도, 아동의 15∼ 30% 정도가 겪는 증상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스트레스가 이갈이의 요인으로 지목되지만 정확한 것은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영양부족이나 요충, 알러지, 대사장애, 뇌질환 등 의료적 문제가 원인일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가장 흔한 이갈이의 방지법은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고 수면을 취하는 것이다. 현재 시중에는 이를 위한 마우스피스가 판매되고 있지만, 치과병원에서 치료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마우스피스는 고가이며 치과병원을 수회 방문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시중에 이갈이 방지용 마우스피스가 제공되고는 있지만 이들은 대개의 경우 매일 착용할 필요가 있으며 착용시 불편함이 많아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도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더욱이, 수면시에 장시간동안 착용하는 경우에 큰 사이즈로 인하여 입안에 이물감을 줄 뿐만 아니라 분비되는 침이 그대로 고이면서 수면 중 호흡을 방해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결손된 치아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 이갈이 증상이 있는 경우에 결손된 치아 부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이갈이 방지용 마우스피스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13-7001500호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247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정상 치아는 물론 치아가 손실된 환자의 치아에 간단히 착용하여 수면시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뿐만 아니라 분비되는 침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특정 구조를 갖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는,
치아배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탈부착이 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단면이 '
Figure 112019106824342-pat00001
' 으로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통공에는 고정패드가 더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통공은 상기 치아가 배열되는 위치마다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치과용 치아 결손 방지장치는 경질의 덴탈 레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는 정상 치아는 물론 치아가 손실된 환자의 치아에 간단히 착용하여 수면시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뿐만 아니라 분비되는 침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와 고정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중에 판매되는 이갈이 방지용 마우스피스는 대부분 매일 착용할 필요가 있으며 착용시 불편함이 많아 어린이는 물론 성인들도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정상치아는 물론 결손치아를 보유한 환자의 치아에도 간단하게 착용하면서도 분비되는 침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특정 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착용이 용이하면서도 기능적인 부분을 향상시키도록 하여 전술한 문제점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의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100)는 치아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베이스(110), 베이스(110) 상에 형성되는 통공(101) 및 베이스(110)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연장리브(120)을 포함하여 구설될 수 있다.
베이스(110)는 좌측 어금니에서부터 우측 어금니까지 곡선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치아배열에 대응하여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00)는 경질의 덴탈 레진(dental resin) 소재로 형성된다. 그 밖에 베이스(100)는 금속재질, 올세라믹, PFM, PFG, 지르코니아에서 선택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11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통공(101)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공(101)은 치아가 배열되는 위치마다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환자가 치아결손 방지장치(100)를 착용하고 야간에 취침하는 경우에 베이스(110) 상에 축적되는 침과 같은 분비물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일부 치아가 소실된 환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소실된 부위를 수복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지지부재의 삽입을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110)의 양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리브(1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가 치아결손 방지장치(100)를 착용하고 야간에 취침하는 경우에 베이스(110) 상에 축적되는 침과 같은 분비물을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리브(120)는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침 등의 분비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도면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베이스(100)의 양단부에 형성된 연장리브(120)는 상기 양단부로부터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절곡 되도록 일부가 파단되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양단부에 밀착시키도록 하여 사용시에 이물감을 감소시키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와 고정패드의 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100)는 베이스(110) 상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지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00)는 3개의 지지면(201)이 2개의 절곡부(201)을 중심으로 복수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201)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0)가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220)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삽입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20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회복 가능하도록 복수회 절곡된 지그재그(zig-zag)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110)의 통공(101)에 삽입되도록 원형의 삽입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가 취침 시에 소실된 치아 부위에 지지부재(200)의 삽입부(230)를 베이스(110)의 통공(101)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지지부재(200)는 예를 들어 합성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 또는 주석합금, 타타늄합금, 스테인리스스틸 등과 같은 금속재 및 이들의 조합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지지부재(200)의 삽입부(230)는 베이스(110)의 통공(101)에 반복적으로 삽탈이 가능한 유연한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200)의 삽입부(230)는 베이스(110)의 통공(101)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통공(10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부(230)는 통공(101)의 직경 보다 1.5 내지 3배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배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부(230)가 통공(101)의 직경 대비 1.5배 미만이면 삽입부(230)가 통공(101)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고, 삽입부(230)가 통공(101)의 직경 대비 3.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복적인 착탈에 의하여 삽입부(230)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상기의 범위가 적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100)의 베이스(110)에 형성된 통공(101) 부위에는 별도의 고정패드(300)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고정패드(300)는 지지부재(200)의 삽입부(230)을 베이스(110)의 통공(101)에 삽입하는 경우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부재(200)가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고정패드(300)는 베이스(110)의 통공(101) 부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110)와 동일한 재질로 사출성형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의 사용 상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치아결손 방지장치(100)를 치아(10)에 착용하는 경우에 베이스(110)의 통공(101)을 통하여 환자가 취침 중에서 침 등의 분비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 베이스(110)의 양단부에는 연장리브(120)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분비물이 베이스(110) 부위에 고여있지 않고 환자의 자세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하여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손된 치아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결손 방지장치(100)에 지지부재(200)을 해당 치아가 결손된 부위에 위치한 통공(101)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100)는 정상적인 치아를 가진 사람의 평소 이갈이에 의한 치아 결손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일부 치아가 소실된 환자의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100)의 제조 및 사용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베이스(110)를 제작하는 과정(S100)이 수행된다. 그 다음, 베이스(110) 부위에 복수의 통공(101)을 형성시키되 치아가 위치하는 부위마다 형성시킨다(S200). 그 다음, 베이스(110)의 양단부에 연장리브(120)를 형성시키고(S300), 베이스(110) 통공(101)에 삽입되는 지지부재(200)을 제조하되 지지부재(200)의 삽입부(230)를 통공(101)의 직경 대비 1.5배 크기를 갖도록 형성시킴으로써(S400) 치아결손 방지장치(100) 제조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치아결손 방지장치(100)를 사용할 경우에 치아에 장착하되, 결손된 치아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 지지부재(200)를 사용하여 해당 결손 치아 부위에 형성된 베이스(110)의 통공(101)에 삽입한 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치아 100: 치아결손 방지장치
110: 베이스 120: 연장리브
200: 지지부재 201: 지지면
210: 절곡부 220: 연장부
230: 삽입부 300: 고정패드

Claims (7)

  1. 치아배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탈부착이 가능한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단면이 '
    Figure 112019106824342-pat00002
    '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에는 고정패드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치아가 배열되는 위치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치아 결손 방지장치는 경질의 덴탈 레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KR1020190130309A 2019-10-20 2019-10-20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KR10223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309A KR102238462B1 (ko) 2019-10-20 2019-10-20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309A KR102238462B1 (ko) 2019-10-20 2019-10-20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462B1 true KR102238462B1 (ko) 2021-04-09

Family

ID=75444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309A KR102238462B1 (ko) 2019-10-20 2019-10-20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4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758A (ko) 2006-09-14 2008-03-19 오윤탁 금속표면 스크래칭장치 및 방법
KR101493369B1 (ko) * 2013-08-09 2015-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가드
KR101497493B1 (ko) *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506599B1 (ko) * 2013-09-25 2015-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보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758A (ko) 2006-09-14 2008-03-19 오윤탁 금속표면 스크래칭장치 및 방법
KR101493369B1 (ko) * 2013-08-09 2015-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가드
KR101506599B1 (ko) * 2013-09-25 2015-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보호기
KR101497493B1 (ko) *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5434B2 (en) Dental bridge
KR10059848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11250B1 (ko) 틀니용 어태치먼트
JPH0562546B2 (ko)
Guttal et al. Use of an implant o-ring attachment for the tooth supported mandibular overdenture: A clinical report
KR20120020405A (ko) 틀니용 어태치먼트
JP2004523290A (ja) ピン保持インレーブリッジ及びその製造及び装着方法
Laurina et al. Construction faults associated with complete denture wearers’ complaints
JP5006890B2 (ja) 歯牙固定具
KR102238462B1 (ko) 치과용 치아결손 방지장치
Owen Fundamental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JP2008220418A (ja) 部分床義歯
KR20050014391A (ko) 의치 브릿지 조립체
KR102566018B1 (ko)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KR100334260B1 (ko) 돌출치아의 교정장치
JP6239181B1 (ja) 部分義歯
KR101205904B1 (ko) 치과용 어태치먼트
KR101784608B1 (ko) 통공이 형성된 잇몸부를 구비한 의치
TW202005616A (zh) 暴露咬合面的護齒牙套
CN217219244U (zh) 一种具有即可修复能力的牙种植体
CN214761548U (zh) 一种便于装卸的抗菌义齿
MDACUVARMA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Bruxer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Using All Ceramic Zirconia Crowns–A Case Report
Yadav et al. Implant O-ring Attachment used for Tooth-borne Overdenture
Chidambaram et al.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a worn out dentition using multidisciplinary approach
US20200268488A1 (en) Dental pros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