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593B1 -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 Google Patents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593B1
KR102093593B1 KR1020200025729A KR20200025729A KR102093593B1 KR 102093593 B1 KR102093593 B1 KR 102093593B1 KR 1020200025729 A KR1020200025729 A KR 1020200025729A KR 20200025729 A KR20200025729 A KR 20200025729A KR 102093593 B1 KR102093593 B1 KR 10209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teeth
caps
patient
a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봉
Original Assignee
김오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봉 filed Critical 김오봉
Priority to KR102020002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환자의 구강 내에 있는 상악의 전치와 구치를 포함하는 치아들의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환자의 상악의 치아들에 장착되어, 환자의 하악의 치아들 또는 환자의 하악의 치아들에 장착된 스플린트와 함께 음식물의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가 개시되낟. 상기 치과 스플린트는, 환자의 구치들과 전치들을 포함하는 치아들에 대응되는 구치캡들과 전치캡들로 구성된 치캡들을 일체로 포함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치캡들은 대응되는 치아가 삽입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를 안쪽에 한정하는 벽을 갖는 치캡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치아캡들의 서로 이웃하는 전방벽들 사이 및 이웃하는 치아캡들의 서로 이웃하는 후방벽들 사이에는 오목한 전방 경계부 및 오목한 선형 경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벽은 이웃하는 그루브 사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치캡들 각각이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전혀 덮지 않도록, 상기 치캡들 각각의 정점 높이는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 높이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치캡들 각각의 후방벽 상단 높이는 대응 치아의 대응면 최대 풍융부 높이의 80% 이상 100% 미만 사이로 정해진다.

Description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Dental Splint for Correcting TMJ through chewing}
본 발명은 치과 스플린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에 관한 것이다
TMJ(Temporomandibular joint)는 하악과 상악이 연결되는 부위로 귀 앞쪽에 위치하는 작은 관절을 의미한다. TMJ의 사이에는 연질 디스크가 위치하며, 이 디스크는 양쪽의 뼈끼리 직접 접촉해 움직일 때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는 완충 작용을 한다. 이 디스크가 제 위치를 벗어나거나 마모되면, 턱관절증이 발생하며, 더 나아가, 치아들에 심각한 마모와 손상이 발생한다.
사람의 치아는 C.R 상태(Coentric Reration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에 있지만, 외상이나 이갈이 등의 요인이 있는 경우 C.R 상태에서 벗어나 C.O(Centric Occlusion 최대 감압 위)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저작 근육이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는 C.R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강한 힘이 작용되는 C.O 상태로 변화된다. 변형된 최대 감압위 상태는 지속적으로 저작 근육과 치아에 힘을 가중시켜 치아 마모와 치열 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치아의 마모도가 심해짐에 따라 치아 고유의 교합평면까지 흐트러지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치아 보철물을 제작할 때에는 C.R 상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C.R 상태로의 전환을 통해 저작근육의 긴장완화와 치아 건강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저작습관과 긴장한 근육이 형성했던 TMJ의 조인트 쉽게 변화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해, TMJ 장애로 치아 마모와 손상이 발생한 경우, 치과 치료를 통해 치아를 복원한다 하더라도, TMJ가 교정되지 않으면, 근복적인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턱관절 장애 치료의 한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스플린트가 알려져 있다. 종래 스플린트는 환자 구강 내 상악 또는 하악에 장착되도록 적용된다. 현재 사용되는 종래의 스플린트는 착용 상태에서는 저작이 불가능한 것으로서 환자가 취침시에 착용한다. 그러나, TMJ의 교정은 저작 작용을 통해서 가능한 것이므로 환자가 취심시에만 착용하는 종래 치과 스플린트는 TMJ 교정에 실효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스플린트를 착용한 상태로 음식물을 저작하도록 하는 교정 방법이 고려될 수 있지만, 종래 구조의 스플린트는 큰 부피로 인해 구강 내에 음식물을 넣을 공간의 확보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음식물을 교합면으로 옮기는 작용이 불가능하고, 또한, 치아에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저작 작용이 있는 경우, 원치 않는 움직임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잇몸에 닿는 부위가 잇몸을 자극하게 되어, 실제로는 저작 작용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종래의 스플린트는 치아의 언더컷 아래까지 제작되어 치아에 무리한 힘을 가할 경우 치열의 변형을 유발하고 프라그나 이물질이 끼게 되어 치주에 악영향을 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93369호(2015. 02.13.)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취침시 구강 내에 착용하도록 구성되고 음식물 저작이 불가능함으로 인해 TMJ의 교정에 실효적이 못하였던 기존 치과 스플린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할 수 있는 치과 스플린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라, 환자의 구강 내에 있는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와 구치를 포함하는 치아들의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작된 치과 스플린트가 제공되며, 상기 치과 스플린트는, 환자의 구치들과 전치들을 포함하는 치아들에 대응되는 구치캡들과 전치캡들로 구성된 치캡들을 일체로 포함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치캡들 각각은 대응되는 치아가 삽입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를 안쪽에 한정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은 이웃하는 그루브 사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치캡들 각각의 정점 높이는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웃하는 치아캡들의 서로 이웃하는 전방벽들 사이 및 이웃하는 치아캡들의 서로 이웃하는 후방벽들 사이에는 오목한 전방 선형 경계부 및 오목한 후방 선형 경계부가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치캡들 각각의 후방벽 높이는 대응 치아의 대응면 최대 풍융부 높이의 80~100%로 정해지며, 상기 구치캡 각각의 그루브 바닥면에는 대응 구치의 교합면 요철에 상응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전치캡 각각의 그루브 바닥면에는 환자의 대응 전치의 정부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치캡의 하단에 설측 교두와 협측 교두를 포함하는 인공 교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치캡의 하단에 단일 교두를 포함하는 인공 정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는 음식물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는, 치아들에 상응하는 치캡들을 포함하며 상기 치캡들 각각의 그루브가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넘지 않도록 삽입됨으로써, 음식물 저작이 가능함과 동시에, 치아들에 대하여 충분한 유지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는, TMJ를 교정하는 것은 물론이고, 착용 자체만으로 환자의 기존 치아의 심미적 단점을 보완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를 위에서 아래로 보고 촬영한 사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를 입체적으로 촬영한 사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의 구강 내의 바이올로직 존(Biologic zone)에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가 치아들에 대하여 충분한 유지력을 갖도록 해주는 전치와 구치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모델 형성 단계에 의해 구현된 지지 구조체 모델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환자의 치아에 적용된 본 발명의 치과 스플린트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의 치캡 정점부들이 치아들의 최대 풍융부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기존 치과 스플린트의 사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의 심미성 향상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이하, "치과 스플린트"라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악에 6개의 전치와 8개의 구치를 포함하는 총 14개의 치아를 구비한 환자에 적용될 수 있는 치과 스플린트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치과 스플린트는, 환자의 조건에 따라, 상악 또는 하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 전치와 구치의 개수를 포함하는 치아 개수가 상이한 환자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를 위에서 아래로 보고 촬영한 사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를 입체적으로 촬영한 사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1)는 PMMA 재료를 몰딩하여 성형된 것으로서, 14개의 치캡(10, 20)들을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14개의 치캡(10, 20)들을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에 구비된 14개의 치아들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의 환자는 6개의 전치와 8개의 구치를 포함하는 14개의 치아를 상악에 구비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는, 14개의 치캡(10, 20)들 중 8개의 구치캡(10)과 6개의 전치캡(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구치캡(10)들과 전치캡(20)들을 포함하는 치캡(10, 20)들 각각은 치아를 수용하는 그루브(11, 21)를 포함한다. 상기 그루브(11, 21)는 둘레를 감싸는 벽 안쪽에 한정된다. 상기 벽은 환자의 혀와 인접해 있는 후방벽(12)과 그 반대편인 볼 또는 입술과 인접해 있는 전방벽(13)을 포함한다. 또한, 이웃하는 두 그루브들(11과 11)(21과 21) (11과 21) 사이에는 격벽(14 또는 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그루브(11, 21)들 각각은 서로 마주하는 전방벽(13 또는 23) 및 후방벽(12 또는 22)과 서로 마주하는 격벽(14 또는 24)에 의해 그 안쪽에 형성된다. 구치캡(10)들 가장 외곽에 위치한 구치캡(10)의 경우에는 그루브(11)가 마주하는 전방벽(13) 및 후방벽(12)과 격벽(14)과 상기 격벽(14)과 마주하는 측벽(15)에 의해 그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4 또는 24)은 상기 전방벽이나 후방벽과 비교하여 더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린트(1)는 치아캡(10, 20)들 각각이 치아 각각에 대하여 최소한의 두께를 갖도록 그리고 치아캡(10, 20)들 각각과 볼 또는 혀 사이에 바람직한 음압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이웃하는 치아캡(10 또는 20)의 전방벽(13과 13, 또는 23과 23, 또는 13과 23)들 사이에는 오목한 전방 선형 경계부(16 또는 26)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치아캡(10 또는 20)의 후방벽(12와 12, 또는 22와 22, 또는 12와 22)들 사이에는 오목한 후방 선형 경계부(17 또는 27)가 형성된다.
종래 저작이 불가능하였던 일반적인 스플린트의 경우, 치아들 각각을 수용하는 그루브들이 존재하지 않고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열이 동시에 삽입되는 아치형 홈(도 9 참조)만을 구비한다. 그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1)는, 측면 방향으로 모두 막혀 있는 그루브(11 또는 21)들을 포함하고, 치아들 각각이 상기 그루브(11, 21)들 각각에 꼭 맞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1)는 치아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치캡(10, 20)들 각각의 정점 높이가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 높이를 넘지 않도록 그 높이가 정해진다. 치캡(10, 20)의 정점 높이가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넘게 되면, 치캡(10, 20)의 벽과 대응 치아의 언더컷부 사이에 음식물이 끼이는 갭이 발생하며 또한 이하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치과 스플린트(1)가 장착된 치아들과 환자의 볼 또는 혀 사이에 음압을 발생시킬 수 없게 되어 효과적인 저작 작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치과 스플린트(1)와 치아들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치캡(10, 20)의 후방벽(12, 22)의 높이가 대응 치아의 대응면 최대 풍융부 높이의 80~10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과 스플린트(1)는 구치캡(10) 각각의 그루브(11) 바닥면에 환자의 대응 구치의 교합면 요철에 상응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전치캡(20) 각각의 그루브(21) 바닥면에는 환자의 대응 전치의 정부(절연)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린트(1)는 치캡(10, 20)들 각각의 정점이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다 낮게 위치하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내의 바이올로직 존(Biologic zone)에서 음압이 작용하여 음식물을 교합면으로 옮겨갈 수 있다. 치아의 최대 풍융부는 생체학적으로 잇몸 마사지 효과자 나타나도록 하는 매우 중요한 부위이므로 치과 스플린트(1)는 물론이고 보철이나 구강 내 다른 장치를 삽입할 때에도 반드시 지켜줄 필요가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는, 기존 스플린트의 움직임이 저작 효율의 저하를 가져오고, 잇몸에 직접 닿는 부위로 인해 저작에 필요한 힘을 줄 수 없는 것을 개선하여, 치아들에 대해 정확한 적합성을 갖도록 구조화 되어 있다. 앞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1)는,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초과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잇몸 아래까지 연장되지 않지만,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치와 구치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져 강제적인 외력을 가하지 않는 치아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환자의 전치와 구치의 그루브가 정확하게 재현되도록 지지 구조체 모델을 형성한 후, 이 지지 구조체 모델에 교합치를 이용하여 스플린트(1)를 성형함으로써, 스플린트의 리텐션이 강화되도록 한다.
도 5는 전술한 치과 스플린트의 제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치과 스플린트 제조방법은, 환자의 구강 내에 있는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와 구치를 포함하는 모든 치아의 3D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 단계와, 획득된 치아의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에 대응하는 지지 구조체 모델을 형성하는 모델 형성 단계와, 상기 지지 구조체 모델을 이용하여 치캡들을 포함하는 PMMA로 치과 스플린트를 성형하되, 치과 스플린트의 치캡들 각각이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스플린트 성형 단계를 포함한다.
PMMA는 투명 재질의 고분자화합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의 약어에 해당하며, 대표적으로 아크릴 수지가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PMMA는 내약품성과 전기절연성 및 내수성이 모두 양호하고, 강도와 내마모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 치과 스플린트는 모든 부분의 두께가 2.0 mm를 초과하지 않도록 성형된다.
상기 모델 형성 단계는 환자의 치아에 대한 3D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환자의 상악치와 하악치를 각각 모사하여 도 6과 같은 지지 구조체 모델을 형성한다. 이때, 환자의 전치와 구치의 그루브가 정확하게 재현되도록 지지 구조체 모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플린트를 착용할 때 전치의 그루브와 구치의 그루브 각도에 의해 스플린트가 밀착되어 자연스러운 리텐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델 형성 단계에서는 지지 구조체 모델을 형성하기 위하여 주조 방식을 이용하며, 밀링 등을 통해 그루브와 치아 형상을 정밀하게 가공한다. 이때, 적절한 수의 스프루를 적용하여 밀링시 정확한 그루브 및 치아 모양을 재현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도 7b는 다른 환자의 치아에 적용된 본 발명의 치과 스플린트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1)는 치아들에 장착된 상태에서 치캡(10, 20)들 각각의 정점 높이가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 높이를 넘지 않도록 그 높이가 정해진다. 치캡(10, 20)의 정점 높이가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넘게 되면, 치캡(10, 20)의 벽과 대응 치아의 언더컷부 사이에 음식물이 끼이는 갭이 발생하며 또한 이하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치과 스플린트(1)가 장착된 치아들과 환자의 볼 또는 혀 사이에 음압을 발생시킬 수 없게 되어 효과적인 저작 작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플린트(1)와 치아들 사이에 충분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치캡(10, 20)의 후방벽(12, 22)의 높이가 대응 치아의 대응면 최대 풍융부 높이의 80~10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치과 스플린트(1)는 구치캡(10) 각각의 그루브(11) 바닥면에 환자의 대응 구치의 교합면 요철에 상응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전치캡(20) 각각의 그루브(21) 바닥면에는 환자의 대응 전치의 정부(절연)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다.
도 7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과 스플린트(1)는 상기 구치캡(10)의 하단에 설측 교두와 협측 교두를 포함하는 인공 교합면(18)이 형성되고 상기 전치캡(20)의 하단에 단일 교두를 포함하는 인공 정부(28)가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의 치캡 정점부들이 치아들의 최대 풍융부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상악 치아들에 보이는 경계선 아래 부분들이 치아들의 최대 풍융부를 초과하지 않는 치캡들의 영역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기존 치과 스플린트의 사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는,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효과와 더불어 심미성을 좋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0의 (a)는 상악 전치들에 의해 하악 전치들이 가려져 심미성이 나쁜 환자의 치아 상태를 보인 사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 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하악용 치과 스플린트를 하악의 치아들에 착용한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도 10의(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의 하악 전치캡들이 하악측 전치들에 착용되어 하악측 전치들인 것처럼 보여짐과 동시에 상악측 치아들과 함께 외부로 보여질 수 있게 되어 심미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도 11의 (a)는 상악 전치들이 짧아 심미성이 나쁜 환자의 치아들을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1의 (b)는 도 11의 (a) 환자가 본 발명에 따른 상악용 치과 스플린트를 상악의 치아들에 착용한 상태를 보인 사진이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스플린트의 상악 전치캡들이 상악측 전치들에 착용되어 상악측 전치들의 길이를 보상하여 심미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1.............................치과 스플린트
10, 20........................치캡
11, 21........................그루브
12, 22........................후방벽
13, 23........................전방벽
14,24.........................격벽

Claims (3)

  1. 환자의 구강 내에 있는 상악의 전치와 구치를 포함하는 치아들의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환자의 상악의 치아들에 장착되어, 환자의 하악의 치아들 또는 환자의 하악의 치아들에 장착된 스플린트와 함께 음식물의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로서,
    환자의 구치들과 전치들을 포함하는 치아들에 대응되는 구치캡들과 전치캡들로 구성된 치캡들을 일체로 포함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치캡들은 대응되는 치아가 삽입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를 안쪽에 한정하는 벽을 갖는 치캡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치아캡들의 서로 이웃하는 전방벽들 사이 및 이웃하는 치아캡들의 서로 이웃하는 후방벽들 사이에는 오목한 전방 경계부 및 오목한 선형 경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벽은 이웃하는 그루브 사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치캡들 각각이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전혀 덮지 않도록, 상기 치캡들 각각의 정점 높이는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 높이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치캡들 각각의 후방벽 상단 높이는 대응 치아의 대응면 최대 풍융부 높이의 80% 이상 100% 미만 사이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2. 환자의 구강 내에 있는 하악의 전치와 구치를 포함하는 치아들의 3D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환자의 하악의 치아들에 장착되어, 환자의 상악의 치아들 또는 환자의 상악의 치아들에 장착된 스플린트와 함께 음식물의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로서,
    환자의 구치들과 전치들을 포함하는 치아들에 대응되는 구치캡들과 전치캡들로 구성된 치캡들을 일체로 포함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치캡들은 대응되는 치아가 삽입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를 안쪽에 한정하는 벽을 갖는 치캡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치아캡들의 서로 이웃하는 전방벽들 사이 및 이웃하는 치아캡들의 서로 이웃하는 후방벽들 사이에는 오목한 전방 경계부 및 오목한 선형 경계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벽은 이웃하는 그루브 사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치캡들 각각이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를 전혀 덮지 않도록, 상기 치캡들 각각의 정점 높이는 대응 치아의 최대 풍융부 높이를 초과하지 않으며,
    상기 치캡들 각각의 후방벽 상단 높이는 대응 치아의 대응면 최대 풍융부 높이의 80% 이상 100% 미만 사이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치캡 각각의 그루브 바닥면에는 대응 구치의 교합면 요철에 상응하는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전치캡 각각의 그루브 바닥면에는 환자의 대응 전치의 정부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구치캡의 하단에 설측 교두와 협측 교두를 포함하는 인공 교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치캡의 하단에 단일 교두를 포함하는 인공 정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KR1020200025729A 2020-03-02 2020-03-02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KR10209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29A KR102093593B1 (ko) 2020-03-02 2020-03-02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29A KR102093593B1 (ko) 2020-03-02 2020-03-02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593B1 true KR102093593B1 (ko) 2020-03-27

Family

ID=6995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29A KR102093593B1 (ko) 2020-03-02 2020-03-02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59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676A (ko) * 2002-09-20 2005-06-08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아기구
KR20070056742A (ko) * 2005-11-30 2007-06-04 이기영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04796A (ko) * 2010-07-07 2012-01-13 구현웅 윗니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
KR101493369B1 (ko) 2013-08-09 2015-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가드
KR101497493B1 (ko) *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5017A (ko) * 2012-09-12 2015-05-20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개선된 가상 스플린트
KR20160127691A (ko) * 2015-04-27 2016-11-04 청 시앙 훙 저작성 치아 교정기
KR20160128625A (ko) * 2015-04-29 2016-11-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피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3676A (ko) * 2002-09-20 2005-06-08 오서-테인 인코포레이티드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아기구
KR20070056742A (ko) * 2005-11-30 2007-06-04 이기영 치아 보호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04796A (ko) * 2010-07-07 2012-01-13 구현웅 윗니에 결합되는 마우스피스
KR20150055017A (ko) * 2012-09-12 2015-05-20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개선된 가상 스플린트
KR101493369B1 (ko) 2013-08-09 2015-02-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 가드
KR101497493B1 (ko) *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7691A (ko) * 2015-04-27 2016-11-04 청 시앙 훙 저작성 치아 교정기
KR20160128625A (ko) * 2015-04-29 2016-11-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우스피스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우스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3310B1 (en) Dental appliances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EP3193773B1 (en)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CN110063801B (zh) 一种隐形矫治器
US11833008B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KR20050053676A (ko) 부정교합을 치료하는 치아기구
US6062860A (en) Artificial posterior teeth
CN210612259U (zh) 一种隐形矫治器
US20220347005A1 (en) Dental appliance
CN114948287A (zh) 咬合诱导矫治器设计与制造方法及咬合诱导矫治器
CN210903426U (zh) 一种肌功能矫治器
CN210541883U (zh) 一种垫式隐形磁力功能矫治器
CN215458810U (zh) 齿列矫正牙套
CN214318167U (zh) 定制型颞下颌关节再定位牙合垫
KR102093593B1 (ko)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US20230058103A1 (en) Method and device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and to encourage tooth eruption and muscle efficiency of a dental patient
CN211834785U (zh) 一种用于正畸过程中佩戴的牙合垫
JP3198037U (ja) 総義歯口腔再建装置
JP5187724B2 (ja) 口元表情の可変機能を有する義歯
CN214049142U (zh) 一种自固定式个体化下颌保持器
WO2024001628A1 (zh) 牙科器械、牙科器械套组及牙科器械的制造方法
CN220898824U (zh) 壳状牙科器械及壳状牙科器械套组
CN220898823U (zh) 壳状牙科器械及矫治系统
WO2023188415A1 (ja) マウスピース
CN219048904U (zh) 一种前伸再定位咬合板
JP2024070540A (ja) マウス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