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691A - 저작성 치아 교정기 - Google Patents
저작성 치아 교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7691A KR20160127691A KR1020160051618A KR20160051618A KR20160127691A KR 20160127691 A KR20160127691 A KR 20160127691A KR 1020160051618 A KR1020160051618 A KR 1020160051618A KR 20160051618 A KR20160051618 A KR 20160051618A KR 20160127691 A KR20160127691 A KR 201601276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calibration unit
- occlusal
- recess
- sha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저작성 치아 교정기(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는 강성 본체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교정 유닛을 포함한다. 교정 유닛은 저작(咀嚼) 중에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 치열궁 상에 착용되며, 교정 유닛의 형상은 치아를 수용할 때에 변형 없이 유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목부가 교정 유닛에 형성되고, 상악 또는 하악 치열궁의 제1 치아 주위에 제1 공간을 남기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치아는 교정을 요구하는 이상 위치의 치아이고, 제1 공간은 제1 치아가 저작 중에 이 제1 공간 내부에서 이동하게 한다. 제1 오목부와 제1 치아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고 완충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완충 부재가 제1 공간에 형성된다.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기능은 저작 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 하에서 활성화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참고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2015년 4월 27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202838.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치아 교정 기술, 구체적으로는 저작성 치아 교정기(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치아가 어긋나 있는 경우, 그 치아 미관, 기능 및 건강은 불리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영향 받는 기능으로는, 씹기, 발음 및 호흡과 같은 일상적인 활동이 있다. 유발되는 치아 건강 상의 문제로는 충치, 치주 질환 및 과도한 치아의 마모가 있다. 치아 교정의 목표는 환자의 치아를 치아 기능이 향상되는 위치 및 배향으로 재배치하거나 재정렬하는 것이다.
종래의 브레이스(brace)는 힘 유도 기기로서 악궁철선(archwire)을 사용한다. 악궁철선은 예성형되고, 치아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통해 치아와 상호 접속된다. 악궁철선은 초기 설치될 때에 이상 위치에 있는 치아를 수용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치아에 탄성 교정력을 가한다. 악궁철선은 치아에 대해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그 최종 위치로 점차로 강제한다. 기기 자체의 탄성 속성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얼라이너(aligner)의 작동 원리이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투명 얼라이너의 본체 또는 쉘은 가요성이며, 기기가 착용되었을 때에 변형하여 그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고자 함으로써 탄성 교정력을 제공한다. 투명 얼라이너가 오정렬된 치아에 착용될 때, 투명 얼라이너는 탄성이고 오정렬된 치아를 수용하려고 하지만, 치아의 표면과 완전히 접촉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얼라이너 본체가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오정렬된 치아에 보다 양호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해 부착부와 같은 치아에 고정되는 다른 부품이 필요하다. 투명 얼라이너는, 치아 교정 결과를 얻도록 연속적인 교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루당 20 시간 넘게 착용될 것이 요구된다.
투명 얼라이너는 덜 보이고 제거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환자 제거형 기기는 보다 양호한 구강 위생을 증진하는데, 그 이유는 환자가 보다 용이하게 치아와 기기를 세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정렬된 치아에 고정되는 부착부와 함께 투명 얼라이너를 사용하는 것은 환자에게 더욱 고통스러울 수 있다. 치아 교정 현장에서는, 치아가 치조골을 통해 보다 빠르게 이동하게 하고 치근 흡수의 우려를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간헐적인 작은 힘이 연속적인 큰 힘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강성 본체를 지닌 적어도 하나의 교정 유닛을 포함하는 저작성 치아 교정기를 제공한다. 교정 유닛은 저작 중에 환자의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착용 시에 교정 유닛의 형상은 치아를 수용하는 경우에 변형 없이 유지된다. 교정 유닛은 교합 부분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목부가 교정 유닛에 형성되고, 교정 유닛이 착용될 때에 상악 또는 하악 치열궁의 제1 치아 주위에 제1 공간을 남기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치아는 교정을 요하는 이상 위치에 있고, 제1 공간은 제1 치아가 저작 중에 제1 오목부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완충 부재가 제1 오목부와 제1 치아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고 완충시키기 위해 제1 오목부와 제1 치아 사이에서 제1 공간에 형성되며,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 완충 부재는 제1 치아를 변형시키고 커버한다.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기능은 저작 중에 발생되는 교합 하중을 받아 활성화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오목부의 형상은,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제1 오목부에서의 제1 치아의 이동을 더욱 안내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교정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데, 이 제2 오목부는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제2 오목부가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의 제2 치아에 맞춰져, 교합 하중의 일부가 교정 유닛으로부터 제2 치아로 전달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교합 부분은 교정 유닛 없이 다른 치열궁과의 기능적 교합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을 갖고, 착용된 교정 유닛은 효율적으로 그리고 저작 중에 부상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다른 치열궁의 치아와 접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는 탄성 부재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교정 유닛은 제1 오목부에 형성된 형상 기억 부재를 더 갖고, 형상 기억 부재는,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변형 상태로 제1 치아에 맞춰지고, 형상 기억 부재가 그 기억 형상으로 점차 복귀할 때에 제1 치아에 응력을 점차로 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교정 유닛은 교합 스플린트(occlusal splint)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또한, 강성 본체를 지닌 제1 교정 유닛과, 강성 본체를 지닌 제2 교정 유닛을 포함하는 저작성 치아 교정기를 제공한다. 제1 교정 유닛은 저작 중에 상악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착용 시에 제1 교정 유닛의 형상은 치아를 수용하는 경우에 변형 없이 유지된다. 제1 교정 유닛은 제1 교합 부분을 갖는다. 제2 교정 유닛은 저작 중에 하악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며, 착용 시에 제2 교정 유닛의 형상은 치아를 수용하는 경우에 변형 없이 유지된다. 제2 교정 유닛은 제1 교합 부분에 대응하는 제2 교합 부분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목부가 제1 또는 제2 교정 유닛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착용될 때에 상악 또는 하악 치열궁의 제1 치아 주위에 제1 공간을 남기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치아는 교정을 요하는 이상 위치에 있고, 제1 공간은 제1 치아가 저작 중에 제1 오목부에서 이동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완충 부재가 제1 오목부와 제1 치아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고 완충하기 위해 제1 오목부와 제1 치아 사이에서 제1 공간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 완충 부재는 제1 치아를 변형시키고 커버한다.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기능은 저작 중에 발생되는 교합 하중 하에서 활성화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오목부의 형상은,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제1 오목부에서의 제1 치아의 이동을 더욱 안내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은 복수 개의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데, 이 제2 오목부 각각은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제2 오목부가 상악 치열궁 및 하악 치열궁의 복수 개의 제2 치아에 맞춰져, 교합 하중의 일부가 제1 또는 제2 교정 유닛으로부터 제2 치아로 전달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교합 부분은 기능적 교합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은 효율적으로 그리고 저작 중에 부상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접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는 탄성 부재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은 교합 스플린트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은 제1 오목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형상 기억 부재를 더 갖고, 형상 기억 부재는,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변형 상태로 제1 치아에 맞춰지고, 형상 기억 부재가 그 본래 형상으로 점차 복귀할 때에 제1 치아에 응력을 점차로 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교합 부분은 이 제1 교합 부분 상에 평면을 형성하고, 제2 교합 부분은 이 제2 교합 부분 상에 상기 평면과 접촉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출부를 형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교합 부분이 제2 교합 부분과 접촉할 때, 평면은 돌출부들과 동시에 접촉하고, 제1 교합 부분이 제2 교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때, 평면은 돌출부들로부터 동시에 분리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교합 부분이 제2 교합 부분과 접촉할 때, 평면과 돌출부들은 복수 개의 접촉 지점을 형성하고, 접촉 지점들은 곡선으로 분포되며, 접촉 지점들의 위치는 각각 상악 치열궁의 각각의 치아의 홈(gullet) 중앙에 대응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교합 부분의 두께의 합은 1.5 mm 내지 2.5 mm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교정 유닛은 좌측 구강 부분, 우측 구강 부분 및 좌측 및 우측 구강 부분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한 부분을 갖고, 제한 부분들은 각각 제2 교정 유닛을 안내하고 저작 중에 제1 교정 유닛에 대한 제2 교정 유닛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안내면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저작성 치아 교정기를 사용하는 환자는 상악 치열궁 및 하악 치열궁 상에 각각 제1 교정 유닛 및 제2 교정 유닛을 착용하거나 저작을 시작할 시에 치열궁들 중 단지 하나에 하나의 교정 유닛만을 착용한다. 환자는 적어도 15분 동안 저작을 진행하며, 이에 의해 저작은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교합 하중을 생성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과 예를 읽어봄으로써 보다 완벽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하기 위해 저작성 치아 교정기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2a는 교합 상태의 도 1의 저작성 치아 교정기의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2b는 도 2a에서의 부분 X의 확대도.
도 3은 도 2a에 있는 제1 교정 유닛 상에서의 교합 지점의 분포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다른 조망각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목부에 있는 형상 기억 부재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하기 위해 저작성 치아 교정기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2a는 교합 상태의 도 1의 저작성 치아 교정기의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2b는 도 2a에서의 부분 X의 확대도.
도 3은 도 2a에 있는 제1 교정 유닛 상에서의 교합 지점의 분포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4는 다른 조망각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목부에 있는 형상 기억 부재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
본 발명의 목적, 피쳐(feature) 및 장점을 예시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이 아래와 같이 상세히 제시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부", "위", "아래", "하부", "좌측" 및 "우측"의 방위는 도면에 예시된 각각의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뜻은 없다.
더욱이,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을 기술하기 위해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지만, 이들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이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하나의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을 다른 요소, 영역 또는 섹션으로부터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1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교시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제2 요소, 영역 또는 섹션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하기 위해 저작성 치아 교정기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작성 치아 교정기(1)는 강성 본체를 지닌 제1 교정 유닛(100)과 강성 본체를 지닌 제2 교정 유닛(200)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교정 유닛(100, 200)은 환자의 상악 치열궁(12) 및 하악 치열궁(22) 상에 제거 가능하게 각각 착용된다. 환자가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작성 치아 교정기(1)는 음식 섭취나 껌을 씹는 것과 같은 일상 활동에서 일어나는 저작 중에 착용된다.
특히, 환자가 저작성 치아 교정기(1)[제1 교정 유닛(100) 및 제2 교정 유닛(200)]를 착용할 때, 저작 중에 상악 치열궁(12)과 하악 치열궁(22)의 교합으로 인한 치아에 대한 하중(도 1에서 화살표로 나타냄)이, 치아 교정기가 치아 교정기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구동력이다. 교정 유닛(100, 200)의 강성 본체는 변형하지 않거나 치아에 대해 탄성력을 가하지 않으며, 그 형상은 교합력으로 인한 하중 하에서도 치아를 수용할 때에 변형 없이 유지된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투명 얼라이너의 경우와 대비되며, 투명 얼라이너의 본체 또는 쉘은 가요성이고 이상 위치에 있는 치아에 착용될 때에 변형되어, 얼라이너 본체 또는 쉘의 탄성력을 치아 교정력으로서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 원리는 도 2a 및 도 2b를 참고로 하는 아래의 단락에서 기술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교정 유닛(100) 및 제2 교정 유닛(200)은 치아 교정 수지나 구강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재료로 형성된 교합 스플린트일 수 있다.
도 2a는 교합 상태의 도 1의 저작성 치아 교정기(1)의 제1 교정 유닛(100) 및 제2 교정 유닛(200)을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b는 도 2a에서의 부분 X의 확대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오목부(R)[상악 치열궁(12)과 하악 치열궁(22) 양자에서 대응하는 점선으로 나타냄]가 상악 치열궁(12)과 하악 치열궁(22)의 치아를 수용하기 위해 제1 교정 유닛(100) 및 제2 교정 유닛(200) 내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오목부(R)는 다수의 제2 오목부(R1)와 하나의 제1 오목부(R2)를 포함한다. 제2 오목부(R1)의 위치는 치아 교정 이동을 요하지 않는 환자의 치아(제2 치아)에 대응한다. 제1 교정 유닛(100)과 제2 교정 유닛(200)이 착용될 때, 제2 오목부(R1)의 형상은 대응하는 제2 치아에 부합한다. 제1 오목부(R2)의 위치는 교정을 요하는 이상 위치에 있는 환자의 치아에 대응한다. 제1 오목부(R2)의 형상은 계획된 교정 최종 위치에 있는 제1 치아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예컨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는 교정을 필요로 하는 단지 하나의 하악 절치(lower incisor)(22A)(제1 치아)를 갖고, 하악 절치(22A)의 교정 최종 위치는 하악 절치를 (도 2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하악 절치(22A)가 저작 중에 이동하게 하도록 제1 공간(G)이 제1 오목부(R2)와 하악 절치(22A) 사이에 형성된다.
더욱이, 완충 부재(S)(도 2b)가 제1 오목부(R2)와 하악 절치(22A) 사이에서 제1 공간(G)에 배치된다. 완충 부재(S)는 연성의 비경화 실리콘계 재료로 형성된 탄성 부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S)는, 예컨대 접착에 의해 제1 오목부(R2) 내부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완충 부재(S)는 이상 위치에 있는 치아[즉, 본 실시예에서 하악 절치(22A)]의 전체 치관을 커버한다.
다음으로, 저작성 치아 교정기(1)의 작동 원리가 도 1a, 도 2a 및 도 2b를 참고로 하여 예시된다.
환자가 저작하기 위해 제1 교정 유닛(100) 및 제2 교정 유닛(200)을 착용할 때, 저작 중에 상악 치열궁(12) 및 하악 치열궁(22)의 교합으로 인한 하중이 교정 유닛(100, 200)으로부터 치아로 그리고 더욱이 각각의 치아의 치근막과, 인접한 치조골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교합력은 저작 중에 제2 치아 상에 인가된다. 교합 하중은 교정 유닛(100, 200)으로부터 제2 치아와 직접 접촉하는 제2 오목부(R1)를 통해 각각의 제2 치아로 전달된다. 교정 유닛(100, 200)은 제2 치아를 유지하고 연결하여, 치아 이동을 제한한다. [완충 부재(S)가 고정되는] 제1 공간(G)으로 인해, 이상 위치에 있는 제1 치아는 저작 중에 이동을 위한 어느 정도의 공간을 갖는다. 교합으로 인한 하중 하에서, 교합력은 제1 치아와 그 지지 조직으로 전달되어, 완충 부재(S)에 의해 완충된다. 또한 교합 하중 하에서, 제1 오목부(R2)의 형상은 완충 부재(S)를 통해 제1 치아에 경량의 안내 힘을 유도하고, 이상 위치에 있고 치아 이동을 겪는 제1 치아는 계획된 완성 위치를 향해 안내된다. 이상 위치에 있는 제1 치아가 제1 오목부(R2) 내에서 이동할 때, 완충 부재(S)는 변형하고 제1 치아 치관의 표면을 커버한다. 완충 부재(S)는 인가된 힘을 완충시켜, 치아 교정 중에 환자가 느끼는 고통과 불편함을 감소시킨다.
전술한 저작성 치아 교정기(1)의 작동 원리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브레이스 및 투명 얼라이너의 작동 원리와는 명백히 상이하다. 치아 교정술의 치아 운동은 기계적 힘이 치아에 가해져 뼈 재구성을 유발하는 프로세스이다. 치조골에서의 치아 이동은 치근막의 인장측 상의 새로운 뼈의 형성 및 가압측 상의 골흡수이다. 골흡수가 보다 적은 세포사로 직접 발생하여 치아가 치조골을 통해 이동하도록 하기 때문에 경량의 힘이 바람직하다. 강하고 연속적인 힘은, 치근막에서의 세포사가 치아 이동을 중단시키고, 장기간의 치조 소켓의 벽과 치아의 뿌리면의 접촉은 치근 흡수 우려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통상의 브레이스에 있어서, 치아 교정 와이어는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에 고정되어 치아에 일정한 힘을 가한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투명 얼라이너의 경우, 얼라이너의 본체는 가요성이며, 하루당 20 시간이 넘게 역시 일정한 방식으로 이상 위치에 있는 치아에 탄성력을 가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교정 유닛에 있는 강성 본체는 비가요성이며, 치아 교정기가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변형하지 않는다. 저작성 치아 교정기는 가해지는 치아 교정력을 위해 저작 중에 발생되는 간헐적인 단기 교합력에 의존하여, 치아 교정술의 치아 운동을 가속화하면서 치아 교정기를 착용하는 시간과 불편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치아 교정기(1)는, 저작 중에 그 치아 교정 기능이 교합 하중에 의해 활성화될 때에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치아 교정기(1)가 기능하기 위해서, 치아 교정기(1)는 저작 중에 기능적 교합을 형성하는 피쳐(feature)를 요구한다. 교합이 기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는 저작 중에 모든 턱 운동에 대해서 부상을 일으키는 일 없이 효율적인 방식으로 접촉해야만 한다. 특히, 기능적 교합은, 하악골 관절구의 위치가 중심 상대 위치에 있을 것을 요구하며, 상기 중심 상대 위치에서 턱은 모든 저작 운동에 대해 편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교합은 교정 유닛이 없는 다른 치열궁과 착용된 교정 유닛들의 접촉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의 착용된 교정 유닛의 접촉을 통해 발생하며, 교정 유닛의 교합 부분은 기능적 교합을 형성하는 피쳐를 가져야만 한다.
도 3은 도 2a에 있는 제1 교정 유닛(100) 상에서의 교합 지점의 분포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교정 유닛(100)은 제1 교합 부분(B1)을 갖고, 제2 교정 유닛(200)은 제1 교합 부분(B1)에 대응하는 제2 교합 부분(B2)을 갖는다. 교합 부분(B1, B2)의 형상은 착용된 교정 유닛(100, 200)을 위한 기능적 교합을 형성하는 피쳐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교합 부분(B1)은 이 제1 교합 부분 상에 평면(P1)을 형성하고, 제2 교합 부분(B2)은 이 제2 교합 부분 상에, 평면(P1)과 접촉하는 다수의 돌출부(P2)를 형성한다. 제1 교정 유닛(100)과 제2 교정 유닛(200)이 교합 상태일 때[즉, 제1 교합 부분(B1)과 제2 교합 부분(B2)이 접촉할 때], 제1 교정 유닛(100) 상의 교합 지점(B)[즉, 평면(P1)과 돌출부(P2)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 지점]은 곡선(도 3)으로 분포되고, 교합 지점(B)의 위치는 각각 상악 치열궁(12)의 각각의 치아의 홈 중앙에 대응한다.
교합 방식은 제1 교정 유닛(100)과 제2 교정 유닛(200)이 접촉하는 방식에 의해 규정된다. 이 경우, 환자가 저작하기 위해 제1 교정 유닛(100)과 제2 교정 유닛(200)을 착용할 때, 평면(P1)은 [제1 교합 부분(B1)이 제2 교합 부분(B2)과 접촉할 때에] 돌출부(P2)들에 동시에 접촉하거나, [제1 교합 부분(B1)이 제2 교합 부분(B2)으로부터 분리될 때에] 돌출부(P2)들로부터 동시에 분리된다. 더욱이, 교합은 슬립이나 다른 손상 운동 없이 최대 유효 접촉 면적으로 발생하며, 압력이 보다 균일하게 분포된다. 결과적으로, 교정의 유효성 및 제1 교정 유닛(100) 및 제2 교정 유닛(200)을 착용하고 있는 환자의 편안함이 향상된다.
도 4는 다른 조망각으로부터의 도 2a의 제1 교정 유닛(100) 및 제2 교정 유닛(200)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제1 교정 유닛(100)은 그 좌측 및 우측 구강 부분 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한 부분(100A)[예컨대, 2개의 제한 부분(100A)]을 더 갖는다. 제한 부분(100A)은 각각 제2 교정 유닛(200)을 안내하기 위해 그 설측 상에 안내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한 부분(100A)은 [제1 교정 유닛(100)과 제2 교정 유닛(200)이 교합할 때에] 제1 교정 유닛(100)에 대한 제2 교정 유닛(200)의 이동 범위를 수평 방향으로 제한할 수 있다. 제한 부분(100A)은 도 2a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악 송곳니(12C)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지만, 상악 치열궁(12)의 다른 치아(예컨대, 소구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교정 유닛(100)에 있는 제1 교합 부분(B1)의 두께(D1)와 제2 교정 유닛(200)에 있는 제2 교합 부분(B2)의 두께(D2)의 합(즉, D1 + D2)은 1.5 mm 내지 2.5 mm이다.
환자는 단기간 동안(예컨대, 각각의 식사당 약 30분) 저작하기 위해 저작성 치아 교정기(1)를 착용하여, 충분한 치아 교정술 치아 운동을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도 또한 주목해야만 한다. 대조적으로, 종래의 브레이스는 항상 착용되며,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투명 얼라이너는 하루당 20 시간 넘게 착용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하악 절치(22A)(도 2a)만이 교정을 요하는 제1 치아의 예로서 예시되지만, 교정을 원하는 이상 위치의 제1 치아의 개수는 1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저작성 치아 교정기는 2개의 교정 유닛[제1 교정 유닛(100) 및 제2 교정 유닛(200)]을 포함하지만,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 상에 배치되는 단일 교정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상 위치에 있는 환자의 치아가 상악 치아일 때, 환자는 그 상악 치열궁 상에 하나의 교정 유닛을 착용할 수 있다. 반대로, 환자는 그 하악 치열궁 상에 단일 교정 유닛을 착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환자가 단일 교정 유닛을 착용할 때, 교정 유닛의 교합 부분도 또한 이 교합 부분 상에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면은 교정 유닛이 없는 다른 치열궁의 치아의 (교합 부분 상의) 돌기(cusp)들과 동시에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더욱이, 교합 지점(즉, 교정 유닛의 교합 부분 상의 평면과 다른 치열궁의 치아의 교합 부분 상의 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 지점)도 또한 곡선으로 분포되며, 교합 지점의 위치는 각각 교정 유닛을 지닌 치열궁의 각각의 치아의 홈 중앙에 대응한다. 더욱이, 교정 유닛은 또한 이 교정 유닛 상에서 좌측 및 우측 구강측 상에 형성된 다수의 제한 부분(예컨대, 2개의 제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 부분은 각각 상부에 교정 유닛이 없는 다른 치열궁의 치아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한 부분은 교정 유닛이 있는 치열궁과 교정 유닛이 없는 치열궁이 교합될 때에 교정 유닛이 있는 치열궁에 대한 교정 유닛이 없는 치열궁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강성 본체를 지닌 제1 교정 유닛(100) 및 제2 교정 유닛(200)은 교합 스플린트일 수 있다. 교합 스플린트는 다음 외관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착색되거나, 패턴을 갖거나, 개구가 있거나 없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오목부(R2)에 있는 형상 기억 부재의 구조를 예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환자의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 상에 착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정 유닛(100), 교정 유닛(100)에 형성되고, 교정을 필요로 하는 이상 위치에 있는 환자의 치아(제1 치아)에 대응하며, 제1 치아가 저작 중에 제1 오목부에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공간(G)을 갖는 제1 오목부(R2), 제1 오목부(R2)와 제1 치아 사이의 제1 공간(G)에 형성되는 완충 부재(S)(점선 영역으로 나타냄), 및 제1 오목부(R2) 내에 형성되는 형상 기억 부재(M)를 포함하는 저작성 치아 교정기(1)를 제공한다. 형상 기억 부재(M)는, 예컨대 메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형상 기억 부재(M)는, 교정 유닛(100)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변형 상태로 제1 치아에 맞춰지고, 형상 기억 부재(M)가 그 기억 형상으로 점차 복귀할 때에 제1 치아에 응력을 점차로 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형상 기억 부재(M)는 교정 유닛(100) 상에 앵커링(anchoring)된다. 형상 기억 부재(M)의 기억 형상은 최종 위치의 제1 치아 형상을 따른다. 실온 하에서, 형상 기억 부재(M)는 변형된 상태이다. 형상 기억 부재(M)는 우선 제1 치아에 착용될 때에 변형 가능하고, 제1 치아에 대해 끼워 맞춰지도록 연신할 수 있다. 온도가 상승하면, 형상 기억 부재(M)는 점차 그 기억 형상으로 복귀하고, 이는 제1 치아가 응력을 받아 (도 5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그 최종 위치로 안내되도록 한다.
환자가 제1 교정 유닛 및 제2 교정 유닛을 착용하게 하거나 치열궁들 중 하나에만 하나의 교정 유닛을 착용하게 하는 단계와, 환자가 15분 내지 20분 동안 저작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치아 교정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또한 제공된다. 저작은 식사 중에 일어날 수 있으므로, 하루에 세 번, 총 1 시간의 착용 시간으로 일어날 수 있다. 저작 중에 발생되는 교합 하중은 장치가 치아 교정기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와 그 장점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변형, 대체 및 변경이 여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범위로 내로 유지되면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여러 피쳐, 기능, 프로세스 및 재료가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수월하게 이해할 것이다. 더욱이, 본 출원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프로세스, 기계, 제조, 물질 성분, 수단, 방법 및 단계의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개시로부터 여기에 설명된 대응하는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현재 존재하거나 이후에 개발될 프로세스, 기계, 제조, 물질 성분, 수단, 방법 또는 단계가 본 개시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수월하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그 범위 내에 상기한 프로세스, 기계, 제조, 물질 성분, 수단, 방법 또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 실시예를 구성하며, 다양한 청구항과 실시예의 조합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Claims (19)
- 저작성 치아 교정기(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로서,
저작(mastication) 중에 환자의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강성 본체를 갖는 교정 유닛으로서, 착용 시에 교정 유닛의 형상은 치아를 수용하는 경우에 변형 없이 유지되며, 교합 부분을 갖는 교정 유닛;
교정 유닛이 착용될 때에 상악 치열궁이나 하악 치열궁의, 교정을 요하는 이상 위치에 있는 제1 치아 주위에 제1 공간을 남겨두는 형상을 갖도록 교정 유닛 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목부로서, 상기 제1 공간은 제1 치아가 저작 중에 제1 오목부에서 이동하게 하는 것인 제1 오목부; 및
제1 오목부와 제1 치아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고 완충하기 위해 제1 오목부와 제1 치아 사이에서 제1 공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부재로서,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 완충 부재는 제1 치아를 변형시키고 커버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완충 부재
를 포함하고, 저작성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기능은 저작 중에 발생되는 교합 하중 하에서 활성화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1항에 있어서, 제1 오목부의 형상은,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제1 오목부에서의 제1 치아의 이동을 더욱 안내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1항에 있어서, 교정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목부를 더 형성하며, 이 제2 오목부는,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제2 오목부가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의 제2 치아에 맞춰져, 교합 하중의 일부가 교정 유닛으로부터 제2 치아로 전달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1항에 있어서, 교합 부분은 교정 유닛 없이 다른 치열궁과의 기능적 교합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을 갖고, 착용된 교정 유닛은 효율적으로 그리고 저작 중에 부상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다른 치열궁의 치아와 접촉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1항에 있어서, 교정 유닛은 제1 오목부에 형성된 형상 기억 부재를 더 갖고, 형상 기억 부재는,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변형 상태로 제1 치아에 맞춰지고, 형상 기억 부재가 그 기억 형상으로 점차 복귀할 때에 제1 치아에 응력을 점차로 가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1항에 있어서, 교정 유닛은 교합 스플린트(occlusal splint)인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저작성 치아 교정기로서,
저작 중에 환자의 상악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강성 본체를 갖는 제1 교정 유닛으로서, 착용 시에 제1 교정 유닛의 형상은 치아를 수용하는 경우에 변형 없이 유지되며, 제1 교합 부분을 갖는 제1 교정 유닛;
저작 중에 환자의 하악 치열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강성 본체를 갖는 제2 교정 유닛으로서, 착용 시에 제2 교정 유닛의 형상은 치아를 수용하는 경우에 변형 없이 유지되며, 제1 교합 부분에 대응하는 제2 교합 부분을 갖는 제2 교정 유닛;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착용될 때에 상악 치열궁이나 하악 치열궁의, 교정을 요하는 이상 위치에 있는 제1 치아 주위에 제1 공간을 남겨두는 형상을 갖도록 제1 또는 제2 교정 유닛 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목부로서, 제1 공간은 제1 치아가 저작 중에 제1 오목부에서 이동하게 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목부; 및
제1 오목부와 제1 치아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고 완충하기 위해 제1 오목부와 제1 치아 사이에서 제1 공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부재로서,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 제1 치아를 변형시키고 커버하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완충 부재
를 포함하고, 저작성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기능은 저작 중에 발생되는 교합 하중 하에서 활성화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7항에 있어서, 제1 오목부의 형상은,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제1 오목부에서의 제1 치아의 이동을 더욱 안내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은 복수 개의 제2 오목부를 더 형성하며, 이 제2 오목부 각각은,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제2 오목부가 상악 치열궁 및 하악 치열궁의 복수 개의 제2 치아에 맞춰져, 교합 하중의 일부가 제1 또는 제2 교정 유닛으로부터 제2 치아로 전달되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교합 부분은 기능적 교합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을 가지며,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은 효율적으로 그리고 저작 중에 부상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접촉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은 교합 스플린트인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은 제1 오목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형상 기억 부재를 더 갖고, 형상 기억 부재는, 제1 및 제2 교정 유닛이 저작 중에 착용될 때에 변형 상태로 제1 치아에 맞춰지고, 형상 기억 부재가 그 기억 형상으로 점차 복귀할 때에 제1 치아에 응력을 점차로 가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7항에 있어서, 제1 교합 부분은 이 제1 교합 부분 상에 평면을 형성하고, 제2 교합 부분은 이 제2 교합 부분 상에 상기 평면과 접촉하기 위한 복수 개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13항에 있어서, 제1 교합 부분이 제2 교합 부분과 접촉할 때, 평면은 돌출부들과 동시에 접촉하고, 제1 교합 부분이 제2 교합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때, 평면은 돌출부들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13항에 있어서, 제1 교합 부분이 제2 교합 부분과 접촉할 때, 평면과 돌출부들은 복수 개의 접촉 지점을 형성하고, 접촉 지점들은 곡선으로 분포되며, 접촉 지점들의 위치는 각각 상악 치열궁의 각각의 치아의 홈(gullet) 중앙에 대응하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13항에 있어서, 제1 교합 부분과 제2 교합 부분의 두께의 합은 1.5 mm 내지 2.5 mm인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제7항에 있어서서, 제1 교정 유닛은 좌측 구강 부분, 우측 구강 부분 및 좌측 및 우측 구강 부분 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한 부분을 갖고, 제한 부분들은 각각 제2 교정 유닛을 안내하고 저작 중에 제1 교정 유닛에 대한 제2 교정 유닛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안내면을 갖는 것인 저작성 치아 교정기.
- 치아 교정 방법으로서,
환자의 상악 치열궁 또는 하악 치열궁에 교정 유닛을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1항에 따른 저작성 치아 교정기를 사용하는 단계; 및
적어도 15분 동안 환자가 저작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저작은 저작성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교합 하중을 발생시키는 것인 치아 교정 방법. - 치아 교정 방법으로서,
환자의 상악 치열궁에 제1 교정 유닛을 결합시키고, 환자의 하악 치열궁에 제2 교정 유닛을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7항에 따른 저작성 치아 교정기를 사용하는 단계; 및
적어도 15분 동안 환자가 저작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저작은 저작성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교합 하중을 발생시키는 것인 치아 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510202838.3 | 2015-04-27 | ||
CN201510202838 | 2015-04-27 | ||
CN201610260756.9A CN106073912B (zh) | 2015-04-27 | 2016-04-25 | 咀嚼式齿列矫正装置 |
CN201610260756.9 | 2016-04-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7691A true KR20160127691A (ko) | 2016-11-04 |
KR101841345B1 KR101841345B1 (ko) | 2018-03-22 |
Family
ID=5585470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1618A KR101841345B1 (ko) | 2015-04-27 | 2016-04-27 | 저작성 치아 교정기 |
KR1020180047850A KR102095105B1 (ko) | 2015-04-27 | 2018-04-25 | 저작성 치아 교정기와 그 제조 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7850A KR102095105B1 (ko) | 2015-04-27 | 2018-04-25 | 저작성 치아 교정기와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10702356B2 (ko) |
EP (2) | EP3087946A1 (ko) |
JP (3) | JP6305460B2 (ko) |
KR (2) | KR101841345B1 (ko) |
CN (2) | CN106073912B (ko) |
CA (2) | CA2928275C (ko) |
PH (1) | PH12018000114A1 (ko) |
TW (2) | TWI595863B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9521A (ko) | 2015-04-27 | 2018-11-02 | 청 시앙 훙 | 저작성 치아 교정기와 그 제조 방법 |
KR20190018398A (ko) * | 2017-08-14 | 2019-02-22 | 청 시앙 훙 |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KR20190019847A (ko) * | 2017-08-17 | 2019-02-27 | 청 시앙 훙 | 치아 교정기 |
KR102093593B1 (ko) * | 2020-03-02 | 2020-03-27 | 김오봉 |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112018008915A2 (pt) * | 2015-11-02 | 2018-11-27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aparelho ortodôntico com memória de formato contínuo |
EP3363404B1 (en) | 2017-02-21 | 2020-05-13 | Cheng-Hsiang Hung | Masticatory orthodontic device |
CN111295153B (zh) * | 2017-10-31 | 2023-06-16 | 阿莱恩技术有限公司 | 具有选择性牙合负荷和受控牙尖交错的牙科器具 |
US11090137B2 (en) | 2017-12-12 | 2021-08-17 | Cheng-Hsiang Hung |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
CN109223207A (zh) * | 2018-08-23 | 2019-01-18 | 王俊 | 一种用于白天和夜晚套戴的牙齿矫正器及其制作方法 |
CN110916824A (zh) * | 2018-09-19 | 2020-03-27 | 邓允文 | 牙套 |
US10315353B1 (en) | 2018-11-13 | 2019-06-11 | SmileDirectClub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thermoforming dental aligners |
US11007042B2 (en) | 2019-02-06 | 2021-05-18 | Sdc U.S. Smilepay Spv | Systems and methods for marking models for dental aligner fabrication |
US10482192B1 (en) | 2019-02-12 | 2019-11-19 | SmileDirectClub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and marking a location on a dental aligner |
US11771527B2 (en) | 2019-02-20 | 2023-10-03 | Sdc U.S. Smilepay Spv | Limited wear aligner and treatment methods |
EP3972523A1 (en) * | 2019-05-20 | 2022-03-30 | Martz, Andrew, S. | Tooth-positioning appliance,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
CN110251248A (zh) * | 2019-05-31 | 2019-09-20 |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 一种具有咬合导向的牙齿矫治器 |
DE102019128048A1 (de) * | 2019-10-17 | 2021-04-22 | Werner Baudisch | Kieferorthopädische Vorrichtung |
US20210315669A1 (en) * | 2020-04-14 | 2021-10-14 | Chi-Ching Huang | Orthodontic su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6945113B1 (ja) * | 2020-05-21 | 2021-10-06 | SheepMedical株式会社 | 歯科矯正具の製造装置及び方法 |
US20230270527A1 (en) | 2020-06-03 | 2023-08-31 | Han-Joon Kim | Mouthpiece type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
EP4171434B1 (en) | 2020-06-30 | 2024-07-24 | Solventum Intellectual Properties Company | Tooth repositioning system |
CN114099025B (zh) * | 2020-08-28 | 2024-05-24 | 正雅齿科科技(上海)有限公司 | 牙科器具及其设计方法和制备方法 |
US20230135019A1 (en) * | 2021-05-18 | 2023-05-04 | 1092228 B.C. Ltd | Orthodontic Aligner with Bulges |
US20220378350A1 (en) * | 2021-05-25 | 2022-12-01 | Cheng-Hsiang Hung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occlusal loading based on simulated human ingestion actions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79780A (en) * | 1945-11-23 | 1949-08-23 | Remensnyder Orrin | Orthodontic appliance |
US3299512A (en) | 1964-10-23 | 1967-01-24 | Robert F Brigante | Dental teaching device |
US3950851A (en) * | 1975-03-05 | 1976-04-20 | Bergersen Earl Olaf | Orthodontic positioner and method for improving retention of tooth alignment therewith |
US4330273A (en) * | 1980-07-21 | 1982-05-18 | Kesling Peter C |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occlusion |
US4448735A (en) * | 1981-06-18 | 1984-05-15 | Professional Positioners, Inc. | Tooth positioner with harder areas |
US4793803A (en) * | 1987-10-08 | 1988-12-27 | Martz Martin G | Removable tooth positioning appliance and method |
US5103838A (en) * | 1990-02-09 | 1992-04-14 | Yousif Edward N | Dental night guard |
US5683244A (en) * | 1995-07-10 | 1997-11-04 | Truax; Lloyd H. | Dental appliance to correct malocclusion |
US6371758B1 (en) | 1996-08-05 | 2002-04-16 | Bite Tech, Inc. | One-piece customizable dental appliance |
AUPP450598A0 (en) | 1998-07-06 | 1998-07-30 | Palmisano, Richard George |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
US6129084A (en) * | 1998-10-22 | 2000-10-10 | Bergersen; Earl O. | Intra-oral appliance for the prevention of snoring |
US6572372B1 (en) * | 2000-04-25 | 2003-06-03 | Align Technology, Inc. | Embedded features and methods of a dental appliance |
ES2319241T3 (es) * | 1999-03-26 | 2009-05-05 | Masakazu Uenishi | Ferula bucal. |
US6454565B2 (en) * | 2000-04-25 | 2002-09-24 | Align Technology,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varying elastic modulus appliances |
US6302686B1 (en) * | 2000-12-02 | 2001-10-16 | Keller Laboratories Inc. | Interocclusal dental appliance and method |
KR100554713B1 (ko) | 2001-07-02 | 2006-02-22 | 최영규 | 형상기억폴리머를 이용한 치열교정장치 |
EP1509159A4 (en) * | 2002-05-28 | 2008-07-16 | Ortho Tain Inc | ORTHODONTIC DEVICE BASED ON SAID SIZES AND SHAPES OF STILL BROKEN TEETH, SYSTEM AND FINISH |
US6886566B2 (en) * | 2002-07-11 | 2005-05-03 | Jimmy B. Eubank | Oral appliance for maintaining stability of one or more aspects of a user's masticatory system |
MXPA05003928A (es) * | 2003-01-21 | 2005-06-17 | Ortho Tain Inc | Un dispositivo dental y un sistema para reducir la cantidad de cooperacion del paciente para tratar una maloclusion utilizando el dispositivo dental. |
DK1871276T3 (da) * | 2004-03-25 | 2012-09-03 | Dror Ortho Design Ltd | Ortodontisk anordning |
TWI267370B (en) | 2004-06-17 | 2006-12-01 | Nat Kaohsiung First University | An orthodontic method |
JP4441510B2 (ja) | 2006-07-18 | 2010-03-31 | 毅 二本木 | 有床義歯 |
US8562337B2 (en) * | 2007-03-19 | 2013-10-22 | Align Technology, Inc. | Active attachments for interacting with a polymeric shell dental appliance |
US8099268B2 (en) | 2007-05-25 | 2012-01-17 | Align Technology, Inc. | Tooth modeling |
CN100574722C (zh) * | 2008-01-22 | 2009-12-30 | 张发根 | 前牙反合矫治器 |
JP2009201916A (ja) * | 2008-02-29 | 2009-09-10 | Tetsuji Yamanouchi | 歯列矯正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US8152518B2 (en) * | 2008-10-08 | 2012-04-10 | Align Technology, Inc. | Dental positioning appliance having metallic portion |
US20100129763A1 (en) | 2008-11-24 | 2010-05-27 | Align Technology, Inc. | Sequential sports guard |
ES2364165B1 (es) * | 2009-07-30 | 2012-07-10 | José Luis Cerdeira Iglesias | Procedimiento mejorado para la realización de aparatos de movilización y corrección posicional de piezas dentarias y aparato obtenido. |
US20140242532A1 (en) * | 2012-03-06 | 2014-08-28 | Airton Arruda |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
US9675427B2 (en) * | 2013-06-07 | 2017-06-13 | Align Technology, Inc. | Adjusting a tooth position |
TWI544907B (zh) * | 2013-06-13 | 2016-08-11 | 曾振文 | 牙齒矯正系統的製造方法 |
KR101493369B1 (ko) * | 2013-08-09 | 2015-02-1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마우스 가드 |
CN105451681B (zh) * | 2013-08-09 | 2018-09-18 | 庆熙大学校产学协力团 | 可拆卸地安装于牙齿的牙科用具 |
WO2015123528A1 (en) * | 2014-02-13 | 2015-08-20 | Silverfox Dental & Ortho, Llc | Oral motion preservation device |
US10537406B2 (en) * | 2014-02-21 | 2020-01-21 | Align Technology, Inc. |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
EP3875053A1 (en) * | 2014-06-20 | 2021-09-08 | Align Technology, Inc. | Aligners with elastic layer |
KR101481801B1 (ko) | 2014-08-21 | 2015-01-12 | 심소희 |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
WO2016038444A1 (en) | 2014-09-09 | 2016-03-17 | Btk Digitec S.R.L. | Orthodontic prosthesis and method for archiving information in an orthodontic prosthesis |
TWM495833U (zh) | 2014-10-22 | 2015-02-21 | Rui-Huan Zhuo | 矯正牙套組及其隱形牙套 |
CN106073912B (zh) | 2015-04-27 | 2019-06-25 | 洪澄祥 | 咀嚼式齿列矫正装置 |
US10743964B2 (en) * | 2015-07-07 | 2020-08-18 | Align Technology, Inc. | Dual aligner assembly |
US11642194B2 (en) * | 2015-07-07 | 2023-05-09 | Align Technology, Inc. | Multi-material aligners |
-
2016
- 2016-04-25 CN CN201610260756.9A patent/CN106073912B/zh active Active
- 2016-04-26 JP JP2016088046A patent/JP6305460B2/ja active Active
- 2016-04-26 US US15/139,201 patent/US10702356B2/en active Active
- 2016-04-27 KR KR1020160051618A patent/KR1018413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27 CA CA2928275A patent/CA2928275C/en active Active
- 2016-04-27 EP EP16167341.3A patent/EP308794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6-04-27 TW TW105113052A patent/TWI595863B/zh active
-
2017
- 2017-04-25 EP EP17168017.6A patent/EP3238654B1/en active Active
-
2018
- 2018-04-24 US US15/961,728 patent/US10898296B2/en active Active
- 2018-04-24 JP JP2018082735A patent/JP6778232B2/ja active Active
- 2018-04-24 CA CA3002457A patent/CA3002457C/en active Active
- 2018-04-25 TW TW107114015A patent/TWI671062B/zh active
- 2018-04-25 KR KR1020180047850A patent/KR1020951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4-25 CN CN201810380951.4A patent/CN108720946B/zh active Active
- 2018-04-25 PH PH12018000114A patent/PH12018000114A1/en unknown
-
2020
- 2020-05-27 JP JP2020092108A patent/JP6968230B6/ja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9521A (ko) | 2015-04-27 | 2018-11-02 | 청 시앙 훙 | 저작성 치아 교정기와 그 제조 방법 |
KR20190018398A (ko) * | 2017-08-14 | 2019-02-22 | 청 시앙 훙 |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KR20190019847A (ko) * | 2017-08-17 | 2019-02-27 | 청 시앙 훙 | 치아 교정기 |
KR102093593B1 (ko) * | 2020-03-02 | 2020-03-27 | 김오봉 | 저작을 통해 tmj를 교정하는 치과 스플린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928275A1 (en) | 2016-10-27 |
JP2020124628A (ja) | 2020-08-20 |
CA3002457A1 (en) | 2018-10-25 |
JP6305460B2 (ja) | 2018-04-04 |
CN106073912B (zh) | 2019-06-25 |
JP6968230B6 (ja) | 2021-12-22 |
KR102095105B1 (ko) | 2020-03-31 |
TWI595863B (zh) | 2017-08-21 |
TW201637625A (zh) | 2016-11-01 |
US20180303582A1 (en) | 2018-10-25 |
US10898296B2 (en) | 2021-01-26 |
US10702356B2 (en) | 2020-07-07 |
EP3238654B1 (en) | 2021-09-29 |
EP3087946A1 (en) | 2016-11-02 |
JP6968230B2 (ja) | 2021-11-17 |
JP2016202921A (ja) | 2016-12-08 |
JP2018183587A (ja) | 2018-11-22 |
PH12018000114B1 (en) | 2019-07-01 |
TW201838598A (zh) | 2018-11-01 |
CN108720946A (zh) | 2018-11-02 |
KR20180119521A (ko) | 2018-11-02 |
US20160310237A1 (en) | 2016-10-27 |
CA2928275C (en) | 2018-06-05 |
EP3238654A1 (en) | 2017-11-01 |
TWI671062B (zh) | 2019-09-11 |
JP6778232B2 (ja) | 2020-10-28 |
CA3002457C (en) | 2020-07-21 |
CN106073912A (zh) | 2016-11-09 |
CN108720946B (zh) | 2021-06-01 |
PH12018000114A1 (en) | 2019-07-01 |
KR101841345B1 (ko) | 2018-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1345B1 (ko) | 저작성 치아 교정기 | |
CA2995173C (en) | Masticatory orthodontic device | |
EP1675524B1 (en) | Dental appliance for orthodontic correction | |
US11197740B2 (en) |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 |
CN210931950U (zh) | 一种牙齿矫治器、矫治器套组以及壳状牙科矫治系统 | |
CN114052950B (zh) | 壳状牙齿矫治器的设计方法及制备方法 | |
TW202312948A (zh) | 牙齒矯正裝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