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398A -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18398A KR20190018398A KR1020180094957A KR20180094957A KR20190018398A KR 20190018398 A KR20190018398 A KR 20190018398A KR 1020180094957 A KR1020180094957 A KR 1020180094957A KR 20180094957 A KR20180094957 A KR 20180094957A KR 20190018398 A KR20190018398 A KR 201900183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unit
- chewing
- teeth
- chew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가, 단단한 몸체를 갖는 저작 유닛을 포함한다. 저작 유닛은, 치조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할 때 변형되지 않는다.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는 치조궁의 치아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저작 유닛 내에 형성된다. 안내 홈이,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된다. 탄성 부재가,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되고, 안내 홈 내에 유지되며, 그리고 치아의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고정되는 여러 연결 부품들과 결합된다.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이, 저작 유닛을 통해 치조궁의 치아들에 전달되며, 그리고 치아를 그의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탄성 부재를 활성화한다. 안내 홈의 배향은,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는, 2017년 8월 14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2/545,047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출원은, 치과교정술적 교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교합 표면(occlusal surface)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들을 교정하도록 설계되는, 환자 제거 가능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정렬된 치아들은, 사람의 치과적 미학, 기능, 및 건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과교정술적 교정의 목표는, 치과적 기능이 개선되는 위치들 또는 방향들로 치아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기계적 힘을 가하는, 기구들을 사용함에 의해 치아들을 적절한 정렬 상태로 이끄는 것이다.
통상적인 버팀대들(braces)이, 치아 상에 힘을 유도하기 위해, 치열궁선 및 브라켓들을 사용한다. 치열궁선은, 사전 성형되며 그리고, 치아들의 표면들에 고정되는 브라켓들을 통해 치아들을 상호연결한다. 최초에 설치될 때, 치열궁선은,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하기 위해 탄성적으로 변형한다. 치열궁선은, 탄력적이며 그리고, 치아들을 치열궁선의 사전 성형된 형태와의 정렬 상태로 이끌기 위해, 브라켓들을 통해 치아들 상에 힘을 가한다. 치열궁선은, 치아들을 그들의 요구되는 위치로 압박하기 위해, 치아들 상에 지속적인 힘을 가한다.
고정된 치아교정술적 버팀대들과 비교하여, 제거 가능한 기구들은, 덜 가시적이며 그리고 구강 위생을 유지하기에 더 쉽다는 관점에서 개선점이다. 기구 자체의 탄력적 특성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투명 교정기들에 동반하는 작동 원리이다.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투명 교정기들의 몸체 또는 외피는, 그의 본래 형상으로 복귀하려고 함에 따라 탄력적인 교정력을 제공하도록, 가요성이며 그리고 기구가 착용될 때 변형된다. 통상적인 투명 교정기들은, 지속적인 교정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루에 20 시간 넘게 착용되도록 요구되며, 그리고 식사 시 또는 치아 세정을 위해 씹을 때 제거된다.
나지 않은 치아들(Unerupted teeth)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들은, 교정하기 어려운 오정렬된 치아들의 유형이다. 통상적인 버팀대들 또는 투명 교정기들은,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들을, 그들의 요구되는 위치들(예를 들어, 완전히 난 그리고 정상적인 위치들)로 성공적으로 안내하지 못한다. 다른 종래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교정하기 위한 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들 상에 고정되는 커넥터들에 연결되는, 탄성을 갖는 미니-스크류들 또는 일시적 정착 장치(temporary anchorage device: TAD)들을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일시적 정착 장치들은, 환자에 의해 제거 가능하지 않으며, 그리고 장치의 침습적 본성은, 환자에게 감염 및 불편함의 원인이다.
그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합 표면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들을 그들의 요구되는 위치들(예를 들어, 완전히 난 그리고 정상적인 위치들)로 안내할 수 있는, 비-침습적 및 환자 제거 가능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저작 유닛, 다수의 제1 연결 부품, 및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가, 제공된다. 저작 유닛은, 단단한 몸체를 구비하며 그리고, 치조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저작 유닛은, 치조궁의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할 때, 변형되지 않는다. 저작 유닛의 재료 강도는,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하다. 제1 리세스가, 저작 유닛 내에 형성되며 그리고,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는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인, 치조궁의 제1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리세스는, 제1 치아가 그의 초기 위치로부터 그의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안내 홈이,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제1 연결 부품들은 개별적으로, 제1 치아의 서로 등지는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된다. 제1 탄성 부재는,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되고, 제1 안내 홈 내에 유지되며, 그리고 제1 치아에 부착되는 제1 연결 부품들과 결합된다.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은, 저작 유닛을 통해 치조궁의 치아들에 전달되며, 그리고 제1 치아를 요구되는 위치로 추진하도록 제1 탄성 부재를 활성화한다. 제1 안내 홈의 배향은,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작 유닛은,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지 않는 치조궁의 제2 치아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제2 리세스를 더 구비한다. 제2 리세스들의 형상들은, 제2 치아들의 형상들과 합치한다.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은, 저작 유닛의 제2 리세스들을 통해, 제2 치아들 및 제2 치아들에 인접한 제1 치아에 전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작 유닛은, 개별적으로 저작 유닛의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제1 치아에 대응하는, 다수의 안내 개구를 더 구비한다. 제1 탄성 부재가 제1 치아를 이동시키도록 추진할 때, 안내 개구들은, 제1 치아의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되는 제1 연결 부품들이 그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안내 개구들의 배향 및 길이는, 제1 치아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작 유닛은, 개별적으로 저작 유닛의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제2 치아들 중의 하나에 대응하는, 다수의 부가적 개구를 더 구비한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다수의 제2 연결 부품 및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2 연결 부품들은 개별적으로, 부가적 개구들에 의해 노출되는 제2 치아의 협측 측면 및 설측 측면에 부착된다. 제2 탄성 부재는, 치조궁 상에서 저작 유닛의 유지력을 증가시키도록, 제2 치아에 부착되는 제2 연결 부품들과 결합하기 위해,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은, 그 내부에 제2 탄성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부가적 홈을 추가로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제3 연결 부품 및 제3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3 연결 부품은, 저작 유닛의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중의 하나에 부착된다. 제3 탄성 부재는, 제1 치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보조적 탄력적 힘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제3 연결 부품 및 제1 치아에 부착되는 제1 연결 부품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안내 홈이 또한,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그 내부에 제3 탄성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은, 다수의 돌출 특징부 및 다수의 오목 특징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저작 유닛, 다수의 제1 연결 부품, 및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다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가, 제공된다. 저작 유닛은, 단단한 몸체를 구비하며 그리고, 치조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저작 유닛은, 치조궁의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할 때, 변형되지 않는다. 저작 유닛의 재료 강도는,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하다. 제1 리세스가, 저작 유닛 내에 형성되며 그리고,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는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인, 치조궁의 제1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1 리세스는, 제1 치아가 그의 초기 위치로부터 그의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안내 구멍이,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아래의 벽 내에 형성되며 그리고, 저작 유닛의 협측 측벽으로부터 협측 측벽 반대편에 놓이는 저작 유닛의 설측 측벽으로 연장된다. 제1 연결 부품들은 개별적으로, 제1 치아의 서로 등지는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된다. 제1 탄성 부재는, 제1 치아에 부착되는 제1 연결 부품들과 결합하기 위해, 안내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은, 저작 유닛을 통해 치조궁의 치아들에 전달되며, 그리고 제1 치아를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1 탄성 부재를 활성화한다. 안내 구멍의 배향은,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교정 유닛, 다수의 제1 연결 부품, 및 제1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다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가, 또한 제공된다. 교정 유닛은, 치조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착용될 때, 교정 유닛은, 치조궁의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하기 위해 가요성이다. 제1 리세스가, 교정 유닛 내에 형성되며 그리고,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는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인, 치조궁의 제1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수의 융기된 안내 부분이, 제1 치아에 대응하는 교정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융기된 안내 부분들은 서로 평행하다. 제1 연결 부품들은 개별적으로, 제1 치아의 서로 등지는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된다. 제1 탄성 부재는, 제1 치아를 그의 요구되는 위치로 추진하기 위한 탄력적 힘을 생성하기 위해, 교정 유닛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되고, 융기된 안내 부분들 사이에 유지되며, 그리고 제1 치아에 부착되는 제1 연결 부품들과 결합된다. 융기된 안내 부분들의 배향은,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융기된 안내 부분들은, 교정 유닛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교합 표면의 협측 에지로부터 협측 에지 반대편에 놓이는 교합 표면의 설측 에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융기된 안내 부분들은, 교정 유닛의 교합 표면 상에 그리고 교합 표면의 협측 에지와 협측 에지 반대편에 놓이는 교합 표면의 설측 에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융기된 안내 부분들은, 개별적으로 교정 유닛의 협측 측벽 상에 그리고 협측 측벽 반대편에 놓이는 교정 유닛의 설측 측벽 상에 형성되는, 복수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지는 후속의 상세한 설명 및 예들을 읽음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저작 유닛을 갖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착용한 환자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b는, 환자의 저작 도중의 교합 시의, 도 1a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제1 저작 유닛 및 제2 저작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제1 탄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저작 유닛의 개략적 평면도 및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상의 제1 안내 홈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어떻게 제1 탄성 부재가,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지를, 제1 안내 홈 내에 유지되는지를, 그리고 교정을 요구하는 제1 치아의 서로 등지는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되는 2개의 제1 연결 부품과 결합되는지를 도시하는,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3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저작 유닛의 개략적 평면도 및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아래의 벽 내에 형성되는 안내 구멍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작 유닛 상의 안내 개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들이고;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제2 탄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6은,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제1 탄성 부재 및 제3 탄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b의 하나의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상의 교합 특징부들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8은 교합 시의 제1 저작 유닛 및 제2 저작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9는, 저작 유닛의 제1 리세스와 제1 치아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10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그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구비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교정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0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그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구비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교정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10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개별적으로 그의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상에 형성되는 2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구비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교정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저작 유닛을 갖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를 착용한 환자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b는, 환자의 저작 도중의 교합 시의, 도 1a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제1 저작 유닛 및 제2 저작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제1 탄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저작 유닛의 개략적 평면도 및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상의 제1 안내 홈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어떻게 제1 탄성 부재가,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지를, 제1 안내 홈 내에 유지되는지를, 그리고 교정을 요구하는 제1 치아의 서로 등지는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되는 2개의 제1 연결 부품과 결합되는지를 도시하는,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3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저작 유닛의 개략적 평면도 및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아래의 벽 내에 형성되는 안내 구멍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저작 유닛 상의 안내 개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들이고;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제2 탄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6은,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제1 탄성 부재 및 제3 탄성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b의 하나의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상의 교합 특징부들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8은 교합 시의 제1 저작 유닛 및 제2 저작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9는, 저작 유닛의 제1 리세스와 제1 치아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10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그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구비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교정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0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그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구비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교정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10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개별적으로 그의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상에 형성되는 2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구비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교정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뒤따르는 개시는, 본 발명의 상이한 특징부들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상이한 실시예들 또는 예들을 제공한다. 구성요소들 및 배열들에 대한 구체적인 예들이 본 개시를 단순화하기 위해 이하에 설명된다. 물론, 이들은 단지 예들이며 제한할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뒤따르는 설명에서 제2 특징부 위의 또는 상의 제1 특징부의 형성은,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가 직접적인 접촉 상태로 형성되는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부가적인 특징부들이,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가 직접적인 접촉 상태에 놓이지 않도록, 제1 특징부 및 제2 특징부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는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에서, "상에", "위에", "아래에", "하부에", "좌측" 및 "우측"과 같은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요소의 상대적 위치들 사이의 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그리고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미가 아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성에 부가하여, 사용 또는 작동 중인 디바이스의 상이한 방향성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부가적으로, 본 개시는, 다양한 예에서 참조 숫자들 및/또는 문자들을 반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반복은, 단순함 및 명료함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그리고 논의되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구성들 사이의 관련성을 그 자체로 기술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특징부들이 임의로, 단순함 및 명료함을 위해 상이한 축적으로 작도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실시예들에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는 일부 요소는, 본 발명의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되는 형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를 착용한 환자를 도시하는 개략도인, 도 1a를 참조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는, 단단한 몸체를 갖는 제1 저작 유닛(10) 및 단단한 몸체를 갖는 제2 저작 유닛(20)을 포함하고,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은, 개별적으로, 환자의 상악 치조궁(100) 및 하악 치조궁(200)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된다. 그에 따라, 환자는, 경우에 따라 및 필요에 따라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을 자유롭게 착용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정상적으로 치아들을 세정할 수 있다(사용하기에 편리함).
단단한 몸체들임에 따라,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은, 음식을 먹는 것 및 껌을 씹는 것과 같은, 저작 도중에 착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환자는,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에 대한 가능한 손상을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은, 구강 적용들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아크릴 수지, 수지 부목 소재 또는 수지 틀니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생물학적 및 기계적 요건들을 만족시키기에 적절한 그리고 충분한 경도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은, 변형 없이, 짧은 기간 내지 중간 기간의 기능적/교합적 하중 및 마모를 견딜 수 있다.
도 1b는, 환자의 저작 도중의 교합 시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의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우선, 환자가 저작 도중에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을 착용할 때, 상악 치조궁(100)과 하악 치조궁(200)의 교합으로부터 생성되는 교합 하중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의 추진력/교정력으로서 작용하도록,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을 통해 각 치아에 그리고 치주막의 정수압 효과 하에서 둘러싸는 치조골에 전달될 수 있다(이러한 작용 원리는, 추가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의 단단한 몸체들은, 변형되거나 또는 치아들에 대해 탄력적인 교정력을 가하지 않으며, 그리고 그들의 형상은,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할 때 교합력으로부터의 하중 하에서 조차도 변형 없이 유지된다는 것을, 또한 알게 된다. 대조적으로, (이상에 설명된)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투명 교정기들은,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해, 가요성이며 그리고 변형된다. 변형된 교정기 몸체 또는 외피는, 교정기 몸체 또는 외피가 그의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할 때, 오정렬된 치아들을 교정하기 위해, 오정렬된 치아들에 대해 탄력적 힘을 가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파선으로 지시되는) 다수의 리세스(R)가, 환자의 상악 치조궁(100) 및 하악 치조궁(200)의 치아들을 수용하기 위해,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의 내측 표면(또한 치아 수용 표면으로 지칭됨) 상에 형성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하악 치조궁(200) 내의 제1 소구치(202)가, 교정을 요구하는, 나지 않은 치아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제1 치아)이며, 그리고 제1 치아(202)는 또한, 그의 협측 측부 또는 설측 측부(미도시)를 향해 편향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의 리세스들(R)은, 다수의 (제2) 리세스(R1) 및 (제2 저작 유닛(20)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되는) 하나의 (제1) 리세스(R2)를 포함한다.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이 착용될 때(도 1b), (제2) 리세스들(R1)의 위치들은 개별적으로,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지 않는 환자의 치아들(제2 치아들)의 위치들에 대응하며, 그리고 제2 리세스들(R1)의 형상들은, 상악 치조궁(100) 및 하악 치조궁(200)의 대응하는 제2 치아들의 형상들과 합치한다. 제1 리세스(R2)의 위치는,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는 비정상 위치의 환자의 치아(제1 치아, 예를 들어, 제1 소구치(202))의 위치에 대응하며, 그리고 공간(G)이, 제1 리세스(R2)와 제1 소구치(202)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리세스(R2)의 개수 및 위치는 또한, 교정을 요구하는 환자의 (제1) 치아 또는 치아들의 개수 및 위치가 상이한 실시예에서 변화될 때, 그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교정을 필요로 하는 제1 치아는 또한, 상악 치조궁(100) 내에 위치하게 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리세스(R2)는, 제1 치아에 대응하도록 제1 저작 유닛(10)의 내측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환자가 저작 도중에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을 착용할 때, 상악 치조궁(100)과 하악 치조궁(200)의 교합으로부터 생성되는 교합 하중이,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을 통해 각 치아에 가해지며 그리고 각 치아에 분산된다. 이어서, 각 치아 상의 교합 하중은, 치근 및 치주 인대에, 그리고 정수압 효과 하에서 둘러싸는 치조골에 전달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합 하중은,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의 제2 리세스들(R1)(이들은 교정을 요구하지 않는 제2 치아들과 직접적인 접촉 상태에 놓임)을 통해 제2 치아들(및 제2 치아들에 인접한 제1 치아)에 전달된다. 이 시점에, 제2 리세스들(R1)은, 제2 치아들을 유지하며 그리고 제2 치아들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제1 치아는, 교합 하중의 작용 하에서 공간(G) 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그에 따라, 교합 하중은, 교정을 요구하는 (제1) 치아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교정력이며, 그리고 교정력은, 치아들 상에 간헐적으로 그리고 생리학적으로 가해지고, 이는 환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교합 하중은 또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의 (이하에 설명될) 적어도 하나의 제1 탄성 부재(4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추진력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의 교정 작용 원리가 종래기술(예를 들어, 투명 교정기들)의 교정 작용 원리와 명백하게 상이하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치과교정술적 치아 이동은, 기계적인 힘이 뼈 재형성을 야기하기 위해 치아에 작용하게 되는 프로세스이다. 치조골 내에서의 치아 이동은 실제로, 치주 인대의 인장 측부에서의 새로운 뼈의 형성 및 압축 측부에서의 뼈 재흡수이다. 뼈 재흡수가, 치아가 치조골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적은 세포 사멸을 동반하는 가운데 직접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가벼운 힘이, 바람직하다. 무거운 그리고 지속적인 힘은, 치주 인대 내에서의 세포 사멸이 치아 이동을 중단시키며 그리고 장기간의 치아의 치근 표면의 치조 소켓(alveolar socket)의 벽과의 접촉은 치근 재흡수 위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투명 교정기들의 경우에, 교정기의 몸체는, 가요성이며 그리고, 비정상 위치의 치아 상에, 또한 하루에 20시간 넘게 일정한 방식으로, 탄력적 힘을 가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의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의 단단한 몸체들은, 가요성이 아니며 그리고, (교합 하중 하에서 조차도) 장치가 저작 도중에 착용될 때, 변형되지 않는다. 특히,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는, 치과교정술적 치아 이동을 가속하는 가운데 장치의 착용의 시간 및 불편함을 감소시키도록, 추진력/치과교정술적 교정력을 위해,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간헐적인 단기간의 교합 하중에 의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는 또한, 교정을 요구하는 나지 않은 치아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인 제1 치아(예를 들어, 하악 치조궁(200) 내의 제1 소구치(202))를 그의 교정된 최종 위치 또는 요구되는 위치(예를 들어, 다른 치아들과 정렬된, 완전히 난 그리고 정상적인 위치)로 더욱 효과적으로 그리고 신속하게 안내하기 위한 교정력으로서, 탄성 부재의 탄력적인 복원력을 활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리세스(R2)는 또한, 제1 치아를 초기 (오정렬된) 위치로부터 요구되는 위치(또는 교정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구비하고, 말하자면, 제1 리세스(R2)의 형상은, 제1 치아의 요구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도 1b 및,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도 1b)의 제1 탄성 부재(40)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한다. 제1 탄성 부재(40)는, 저작 유닛(20)의 교합 표면(B2)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탄성 부재(40)의 양단부는 개별적으로, 제1 치아(제1 소구치(202))의 서로 등지는 협측 표면(202A) 및 설측 표면(202B)에 부착되는 2개의 제1 연결 부품(30)과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품들(30)은 각각,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후크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제1 소구치(202)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연결 부품들(30)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강, 니켈 티타늄 합금, 또는 플라스틱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탄성 부재(40)는, 스프링, 탄성 밴드, 또는 동력 체인(power chain)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따라, 환자가 저작 도중에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를 착용할 때, 교합 하중은,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을 통해 각 치아에 전달됨과 더불어, 제1 치아(제1 소구치(202))를 그의 요구되는 위치(또는 교정된 최종 위치)로 추진하도록 신장된 제1 탄성 부재(40)를 또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탄성 부재(40)는, (도 2에 화살표로 지시되는 바와 같이) 치조골 밖으로 제1 치아를 당기기 위한 그리고 그의 완전히 난 위치에 도달시키기 위한, 탄력적인 (복원) 힘을 생성하거나 또는 가할 수 있는, 리프팅 부재(lifting member)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안내 홈(22)이, 그 내부에 제1 탄성 부재(40)를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제1 탄성 부재(40)가 교정 프로세스 도중에 교합 표면(B2)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작 유닛(20)의 교합 표면(B2) 상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안내 홈의 배향은,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안내 홈(22)이 (교합 표면(B2)의 협측 에지로부터 교합 표면(B2)의 설측 에지로 연장되는 것과 같이) 직선으로 교합 표면(B2) 상에 형성될 때 그리고 제1 리세스(R2)의 (내측) 표면의 중심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때, 제1 안내 홈(22) 내에 유지되는 제1 탄성 부재(40)는, 제1 리세스(R2)의 표면의 중심 위치를 향해 제1 치아를 당기기 위한 탄력적 힘을 가할 수 있다. 제1 안내 홈(22)의 배향이 제1 리세스(R2)의 표면의 중심 위치에 대해 치우치게 될 때, 제1 안내 홈(22) 내에 유지되는 제1 탄성 부재(40)는, 제1 안내 홈(22)의 배향을 향해 제1 치아를 당기기 위한 탄력적 힘을 가할 수 있다.
도 3a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저작 유닛의 개략적 평면도 및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상의 제1 안내 홈(2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a에서, 제1 안내 홈(22)은, 도 2에 도시된 제1 안내 홈(22)과 유사한 방식으로 배열되며, 그리고 부분적으로 난 (오정렬된) 제1 치아(202)는, 치조궁의 설측 측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3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어떻게 (탄성 밴드와 같은) 제1 탄성 부재(40)가,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지를, 제1 안내 홈(22) 내에 유지되는지를, 그리고 교정을 요구하는 제1 치아(202)의 서로 등지는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되는 2개의 제1 연결 부품(30)과 결합되는지를 도시하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구성과 더불어, 제1 탄성 부재(40)는, 오정렬된 제1 치아(202)를 그의 요구되는 위치(또는 교정된 최종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탄력적 힘을 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정렬된 제1 치아(202)는 또한, 치조궁의 협측 측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이상의 장치는, 제1 치아(202)를 그의 요구되는 위치로 또한 안내할 수 있다.
도 3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저작 유닛의 개략적 평면도 및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아래의 벽 내에 형성되는 (파선들에 의해 지시되는) 안내 구멍(2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c에서,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아래의 벽은, 충분한 두께(미도시)를 가지며, 그리고 안내 구멍(23)이, 저작 유닛의 설측 측벽(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우측 측벽)으로부터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아래의 벽을 통해 저작 유닛의 설측 측벽(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좌측 측벽)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지만, 제1 탄성 부재(40)가, 제1 치아를 요구되는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비정상 위치의 제1 치아(202)에 대해 탄력적인 교정력을 가하도록, (도 3b에 도시된 배열과 유사하게) 제1 치아(202)의 서로 등지는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되는 2개의 제1 연결 부품(30)과 결합하기 위해, 안내 구멍(23)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 설명된 제1 안내 홈(22)의 기능과 유사하게, 안내 구멍(23)의 배향은 또한,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다수의 (예를 들어, 2개의) 안내 개구(24)가, 개별적으로 저작 유닛(20)의 대향하는 (제1 치아의 협측 표면(202A)에 대응하는) 협측 측벽(S1) 및 (제1 치아의 설측 표면(202B)에 대응하는) 설측 측벽(S2) 상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탄성 부재(40)가 제1 치아(202)를 이동시키도록 추진할 때, 안내 개구(24)는, 제1 치아(202)의 서로 등지는 설측 표면(202A) 및 설측 표면(202B)에 부착되는 제1 연결 부품들(30)이 그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히, 안내 개구들(24)의 배향 및 길이는, 제1 치아(202)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치아(202)에 부착되는 제1 연결 부품들(30)이 안내 개구들(24)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1 탄성 부재(40)에 의해 추진될 때, 제1 연결 부품들(30)의 (최대) 이동 거리는, 안내 개구들(24)의 (도 4a에 도시된 길이(T1) 또는 도 4b에 도시된 길이(T2)와 같은)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연결 부품들(30)의 (예를 들어, 도 4a 또는 도 4b에 화살표로 지시되는 바와 같은) 이동 방향은, 안내 개구들(24)의 배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안내 개구들(24)은,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제1 치아(202)를 위해 요구되는 상이한 교정/이동 거리 및 방향들에 따라, 상이한 길이들 및 배향들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5를 참조하면, 치조궁 상에서 저작 유닛의 유지를 개선 또는 향상시키기 위해(하악 치조궁(200) 상의 제2 저작 유닛(20)이 예로서 설명됨),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개구(26)가 또한, 저작 유닛(20)의 대향하는 협측 측벽(S1) 및 설측 측벽(S2) 각각에 형성되며, 그리고 부가적 개구들(26)은,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하악 치조궁(200)의 치아들(제2 치아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부가적으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는, 다수의 (예를 들어, 2개의) 제2 연결 부품(32) 및 제2 탄성 부재(42)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연결 부품들(32)은 개별적으로, 부가적 개구들(26)에 의해 노출되는 제2 치아의 서로 등지는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된다. 제2 탄성 부재(42)는, 저작 유닛(20)의 교합 표면(B2)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제2 탄성 부재(42)의 양단부는 개별적으로, 제2 치아의 서로 등지는 표면들에 부착되는 2개의 제2 연결 부품(32)과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가적 개구들(26)은, 많은 이동 공간을 갖지 않는 가운데, 제2 연결 부품들(32)에 의해 꼭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과 더불어, 제2 치아와 결합되는 제2 탄성 부재(42)의 탄력적 힘은, (도 5에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저작 유닛(20)이 하악 치조궁(200) 상에 확고하게 유지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더불어, 부가적 홈(25)이, 그 내부에 제2 탄성 부재(42)를 유지하기 위해, 저작 유닛(20)의 교합 표면(B2) 상에 또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 개구들(26), 제2 연결 부품들(32), 제2 탄성 부재(42), 및 부가적 홈(25)의 개수 및 위치는, 실제 필요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연결 부품들(32) 및 탄성 부재(42)의 구조들 및 소재들은, 제1 연결 부품들(30) 및 제1 탄성 부재(40)의 그것들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지만, 부가적 개구들(26), 제2 연결 부품들(32), 제2 탄성 부재(42), 및 부가적 홈(25)의 설계는 또한, 상악 치조궁(100) 상에서의 제1 저작 유닛(10)의 유지를 개선 또는 향상시키기 위해, 저작 유닛(10)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는, 요구에 따라 비-수직 상향 방향으로 (하악 치조궁(200) 내의 제1 소구치(202)와 같은) 제1 치아를 안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 부품(34) 및 적어도 하나의 제3 탄성 부재(44)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이 경우, 각 안내 개구(24)가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3 연결 부품(34)은, 제1 치아(202)를 위해 요구되는 안내 각도에 의존하여, 저작 유닛(20)의 협측 측벽(S1) 및 설측 측벽(S2) 중의 적어도 하나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3 탄성 부재(44)는, 제1 치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도 6에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은) 보조적 탄력적 힘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치아(202)에 부착되는 제1 연결 부품들(30) 중의 적어도 하나와 그리고 제3 연결 부품(34)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치과교정술적 교정 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연결 부품(34) 및 제3 탄성 부재(44)의 구조들 및 소재들은, 제1 연결 부품들(30) 및 제1 탄성 부재(40)의 그것들과 동일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제3 연결 부품(34)이, 저작 유닛(20)의 (협측 측벽(S1)과 같은) 하나의 측벽에 부착되며, 그리고 제3 탄성 부재(44)가, 제1 치아(202)의 서로 등지는 표면들 상에 위치하게 되는 제1 연결 부품들(30)과 결합하기 위해, 저작 유닛(20)의 교합 표면(B2)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안내 홈(27)이 또한, 그 내부에 제3 탄성 부재(44)를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제3 탄성 부재가 자유롭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작 유닛(20)의 교합 표면(B2), 협측 측벽(S1), 및 설측 측벽(S2) 중의 적어도 하나 상에 상응하게 제공되거나 또는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제3 연결 부품(34)의 배열 위치 및 제3 탄성 부재(44)의 연결 방식에 의존하여, 부가적 안내 홈(27)의 배열 위치 또한, 상응하게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환자의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이, (이상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둘러싸는 치조골에 대해 제1 치아(202)를 이동시키도록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탄성 부재(40) 및 제3 탄성 부재(44)와 같은) 이상의 탄성 부재들의 탄력적인 (복원) 힘은 또한, 제1 치아(202)를 그의 요구되는 위치로 더욱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안내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1 치아(202)가 저작 도중에 치조골에 대한 약간의 이동을 겪음에 따라, 탄성 부재들은 각각, 제1 치아(202)가 이동할 때, 자체의 탄성을 (즉, 꼭 끼지 않은 상태에서, 간헐적인 수축을 동반하는 가운데) 또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 치아(202) 상에 탄성 부재들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기에 덜 쉬우며, 그리고 탄성 부재들은, 탄성 피로를 받기에 덜 쉽다.
더불어, 이상의 실시예들에서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는, 그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기능이 교합 하중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저작 도중에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그에 따라,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가 기능적이도록 하기 위해, 저작 도중에 기능적 교합을 생성하는 특징부를 요구한다. 교합이 기능적이도록 하기 위해, 상악 치아들 및 하악 치아들이, 저작 도중에 턱의 모든 움직임에 대해 트라우마를 생성하지 않는 가운데, 효과적인 방식으로 접촉해야 한다. 이상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경우에서, 교합은, 착용된 저작 유닛들의 접촉을 통해 일어나며, 그리고 저작 유닛들의 교합 표면들은, 기능적 교합을 생성할 수 있는 특징부를 구비해야 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1b의 하나의 저작 유닛(10 또는 20)의 교합 표면 상의 교합 특징부들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특징부들(F1) 및 오목 특징부들(F2)이, 저작 유닛(10)의 교합 표면(B1) 또는 저작 유닛(20)의 교합 표면(B2)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든 오목 특징부들(F2)은, 곡선형(예를 들어, 포물선형)으로 분포된다. 부가적으로,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이 접촉할 때(즉, 교합 시), 하나의 저작 유닛의 돌출 특징부들(F1)은, 다른 저작 유닛의 오목 특징부들(F1)과 접촉하며, 그리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도 8 참조). 따라서, 환자가 저작 도중에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을 착용할 때,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의 교합 지점들(즉, 돌출 특징부들(F1) 및 오목 특징부들(F2))은 바람직하게, 서로 동시에 접촉하며 그리고 서로로부터 동시에 분리된다. 또한, 교합은, 미끄러짐 또는 다른 훼손 이동들 없이 최고로 효과적인 접촉 면적을 동반하는 가운데 일어나며, 그리고 압력이,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 상에서 더욱 균일하게 분포된다. 결과적으로, 제1 저작 유닛(10) 및 제2 저작 유닛(20)을 착용하는 환자의 교정 및 편안함에 대한 유효성이, 개선된다.
다시 도 1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저작 유닛(10)은, 그의 좌측 협측 측벽 및 우측 협측 측벽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예를 들어, 2개의) 송곳니 보호 특징부(F3)를 더 구비한다. 각 송곳니 보호 특징부(F3)는, 제2 저작 유닛(20)을 안내하기 위해, 그의 설측 측면 상에 안내 표면을 형성한다(미도시). 그에 따라, 송곳니 보호 특징부들(F3)은, 저작 도중에 수평 방향으로의 제1 저작 유닛(10)에 대한 제2 저작 유닛(2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고, 그로 인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를 착용하는 환자의 안전 및 안정성을 개선하도록 한다.
비록 이상에 설명된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가 2개의 저작 유닛(10, 20)을 포함하지만, 교정 장치는, 비정상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를 갖는 상악 치조궁 또는 하악 치조궁 상에 배치되는, 단일의 저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비정상 위치의 환자의 치아들이 상악 치아들일 때, 환자는 자신의 상악 치조궁 상에 단일의 저작 유닛을 착용할 수 있다. 역으로, 환자는, 자신의 하악 치조궁 상에 단일의 저작 유닛을 착용할 수 있다. 환자가 하나의 치조궁 상에 단일의 저작 유닛을 착용할 때, 저작 유닛 및 대향하는 치조궁이 또한, 그들의 교합 표면들 상의 돌출 특징부들 및 오목 특징부들을 통해 기능적 교합을 생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완충 부재(M)가 또한, 제1 리세스(R2)와 제1 치아(202)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고 완충하기 위해, 저작 유닛(20)의 제1 리세스(R2)와 제1 치아(20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완충 부재(M)는, 부드러운 비-경화 실리콘계 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일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제1 리세스(R2)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치아(202)가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의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 및 탄성 부재들의 탄력적인 복원력을 포함하는) 교정력에 의해 치조골 밖으로 당겨진 이후에, 완충 부재(M)는, 제1 치아(202)의 전체 치관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치아(202)가 치조골 밖으로 당겨진 이후에, 제1 치아가 교합 하중의 작용 하에서 제1 리세스(R2) 내에서 계속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치아(202)가 제1 리세스(R2)의 표면에 가깝게 놓일 때, 완충 부재(M)는, 변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치아(202)의 치관 표면을 커버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힘을 완충하도록 그리고 환자가 느끼는 고통 또는 불편함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리세스(R2)의 설계된 형상(미도시)은 또한, 완충 부재(M)를 통해 제1 치아(202) 상에 안내하는 힘을 가하여, 여전히 비정상 위치에 놓이는 제1 치아가 그의 요구되는 교정된 최종 위치로 안내되게 이동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의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1)를 착용하는 환자는 단지, 상당한 치과교정술적 교정 (이동)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루에 여러 번 장치(1)를 착용하며 그리고 매번 15 내지 20분 동안 씹는 정도의) 비교적 짧은 교정 시간만을 사용할 것을 필요로 한다. 역으로,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투명 교정기들의 착용 (교정) 시간은, 하루에 20 시간을 초과해야 하며, 그리고 나지 않은 치아들에 대한 교정 효과 또한 제한된다.
많은 변경들 또는 수정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도 1 내지 도 9의 저작 유닛(10 또는 20)과 같은) 단단한 저작 유닛은, 단단하지 않은 교정 유닛으로 교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1 탄성 부재(40)와 같은) 탄성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제1 안내 홈(22)과 같은) 안내 홈은, 교정 유닛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융기된 안내 부분들로 교체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개별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의 교정 유닛(300)을 도시하는 개략도들이다(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가 단일의 또는 복수의 교정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함). 일부 실시예에서, 교정 유닛(300)은, 환자의 상악 치조궁 또는 하악 치조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된다. 교정 유닛(300)의 몸체 또는 외피는 얇고 가요성이다. 치조궁 상에 착용될 때, 교정 유닛(300)은,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하기 위해 가요성이며, 그리고 그의 본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할 때 탄력적인 교정력을 제공한다(즉, 변형). 비록 도시되지는 않지만, 적어도 하나의 제1 리세스가,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는 나지 않은 치아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인, 치조궁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치아를 수용하기 위해, 교정 유닛(300) 내에 (예를 들어, 그의 내측 표면 상에) 형성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한 쌍의 평행한 융기된 안내 부분(301)이, 제1 리세스 및 제1 치아에 대응하는, 교정 유닛(300)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301)은, 상기 한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301) 사이에 제1 탄성 부재(미도시)를 유지하기 위해, 교정 유닛(300)의 교합 표면의 협측 에지로부터 협측 에지 반대편에 놓이는 교합 표면의 설측 에지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제1 탄성 부재는, 제1 치아의 서로 등지는 표면들 상의 복수의 제1 연결 부품과 결합하기 위해, 교정 유닛(300)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신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신장된 제1 탄성 부재는 또한, 제1 치아를 요구되는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제1 치아에 대해 탄력적인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301)(구성이 상기한 제1 안내 홈(22)과 유사하며, 그에 따라 설명이 여기에서 반복되지 않음)의 배향은,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복수 쌍의 평행한 융기된 안내 부분(301)이, 교정 유닛(300)의 교합 표면 상에 그리고 교합 표면의 서로 반대편에 놓이는 협측 에지와 설측 에지 사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융기된 안내 부분들(301)의 특징 및 기능은, 도 10a에 도시된 융기된 안내 부분들(301)과 유사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설명이 여기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부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2 쌍의 평행한 융기된 안내 부분(301)이, 개별적으로, 교정 유닛(300)의 서로 반대편에 놓이는 협측 측벽과 설측 측벽 상에 형성된다. 융기된 안내 부분들(301)은 또한, 상기한 제1 탄성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융기된 안내 부분들(301)의 배치/배향은 또한,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한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안내 개구(310)가, 개별적으로, 교정 유닛(300)의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치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안내 개구들의 특징 및 기능은, 도 2,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안내 개구들(24)과 유사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설명이 여기에서 반복되지 않는다. 부가적으로, 이상의 실시예들에서의 부가적 홈(25), 제2 연결 부품들(32) 및 제2 탄성 부재(42)가 또한, 단단하지 않은 교정 유닛(300)의 적용에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교합 표면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들을 그들의 요구되는 위치들(예를 들어, 완전히 난 그리고 정상적인 위치들)로 효과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다양한 비-침습적 및 환자 제거 가능 장치들을 제공하고, 이는, 전통적인 치과교정술적 기구들이 완전히 나지 않은 치아들을 교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극복한다.
비록 본 개시의 실시예들 및 그의 이점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치환, 변형들이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여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여기에서 설명되는 많은 특징들, 기능들, 프로세스들 및 재료들이, 본 개시의 범위 이내에 남아있는 가운데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더불어, 본 출원의 범위는, 명세서에 설명되는, 프로세스, 기계, 제조, 재료의 조성, 수단, 방법 및 단계에 대한 특정 실시예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당업자 중 하나가 본 개시의 개시로부터 쉽게 인식할 것으로서, 여기에서 설명되는 대응하는 실시예들과 같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달성하는, 기존의 또는 이후에 개발될, 프로세스, 기계, 제조, 재료의 조성, 수단, 방법 및 단계가, 본 개시에 따라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 청구범위는, 그러한 프로세스, 기계, 제조, 재료의 조성, 수단, 방법 또는 단계를 보호 범위 이내에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부가적으로, 각 청구항은, 별개의 실시예를 구성하며, 그리고 여러 청구항 및 실시예들의 조합이 본 개시의 범위 이내에 놓인다.
Claims (13)
-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로서:
치조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단단한 몸체를 갖는 저작 유닛으로서, 상기 저작 유닛은, 치조궁의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할 때 변형되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저작 유닛의 재료 강도가,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한 것인, 저작 유닛;
상기 저작 유닛 내에 형성되며 그리고,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는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인, 치조궁의 1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리세스로서, 상기 제1 리세스는, 제1 치아가 초기 위치로부터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제1 리세스;
상기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되는 제1 안내 홈;
서로 등지는 제1 치아의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부품; 및
상기 저작 유닛의 상기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안내 홈 내에 유지되며, 그리고 제1 치아에 부착되는 상기 제1 연결 부품들에 결합되는 제1 탄성 부재로서,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이, 상기 저작 유닛을 통해 치조궁의 치아들로 전달되며, 그리고 제1 치아를 상기 요구되는 위치로 추진하기 위해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안내 홈의 배향이,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인, 제1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유닛은,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지 않는 치조궁의 제2 치아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2 리세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리세스들의 형상들은, 제2 치아들의 형상들과 합치하며, 그리고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은, 상기 저작 유닛의 상기 제2 리세스들을 통해 제2 치아들에 그리고 제2 치아들에 인접한 제1 치아에 전달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유닛은, 상기 저작 유닛의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상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제1 치아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내 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가 제1 치아를 이동시키도록 추진할 때, 상기 안내 개구들은, 제1 치아의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부착되는 상기 제1 연결 부품들이 그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그리고 상기 안내 개구들의 배향 및 길이가, 제1 치아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유닛은, 상기 저작 유닛의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상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제2 치아들 중의 하나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가적 개구를 더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는, 복수의 제2 연결 부품 및 제2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부품들은, 상기 부가적 개구들에 의해 노출되는 제2 치아의 협측 측면 및 설측 측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치조궁 상에서의 상기 저작 유닛의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치아에 부착되는 상기 제2 연결 부품들과 결합하도록, 상기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유닛의 상기 교합 표면은, 그 내부에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부가적 홈을 추가로 형성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제3 연결 부품 및 제3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 부품은, 상기 저작 유닛의 협측 측벽 및 설측 측벽 중의 하나에 부착되며, 그리고 상기 제3 탄성 부재는, 제1 치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보조적 탄력적 힘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치아에 부착되는 상기 제1 연결 부품들 중의 적어도 하나 및 상기 제3 연결 부품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 안내 홈이, 상기 저작 유닛의 상기 교합 표면, 상기 협측 측벽 및 상기 설측 측벽 중의 적어도 하나 상에 추가로 형성되며, 그리고 그 내부에 상기 제3 탄성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 유닛의 상기 교합 표면은, 복수의 돌출 특징부 및 복수의 오목 특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로서:
치조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단단한 몸체를 갖는 저작 유닛으로서, 상기 저작 유닛은, 치조궁의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할 때 변형되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저작 유닛의 재료 강도가,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한 것인, 저작 유닛;
상기 저작 유닛 내에 형성되며 그리고,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는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인, 치조궁의 1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리세스로서, 상기 제1 리세스는, 제1 치아가 초기 위치로부터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제1 리세스;
상기 저작 유닛의 교합 표면 아래의 벽 내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저작 유닛의 협측 측벽으로부터 상기 협측 측벽 반대편에 놓이는 상기 저작 유닛의 설측 측벽으로 연장되는, 안내 구멍;
서로 등지는 제1 치아의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부품; 및
제1 치아에 부착되는 상기 제1 연결 부품들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안내 구멍을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제1 탄성 부재로서, 저작 도중에 생성되는 교합 하중이, 상기 저작 유닛을 통해 치조궁의 치아들로 전달되며, 그리고 제1 치아를 상기 요구되는 위치로 추진하기 위해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안내 구멍의 배향이,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인, 제1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로서:
치조궁 상에 제거 가능하게 착용되도록 구성되는 교정 유닛으로서, 착용될 때, 상기 교정 유닛은, 치조궁의 오정렬된 치아들을 수용하기 위해 가요성인 것인, 교정 유닛;
상기 교정 유닛 내에 형성되며 그리고, 치과교정술적 교정을 요구하는 나지 않은 또는 부분적으로 난 치아인, 치조궁의 제1 치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1 리세스;
제1 치아에 대응하는 상기 교정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융기된 안내 부분으로서, 상기 융기된 안내 부분들은 서로 평행한 것인, 복수의 융기된 안내 부분;
서로 등지는 제1 치아의 협측 표면 및 설측 표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복수의 제1 연결 부품; 및
제1 치아를 요구되는 위치로 추진하기 위한 탄력적 힘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교정 유닛의 교합 표면을 가로질러 신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융기된 안내 부분들 사이에 유지되며, 그리고 제1 치아에 부착되는 상기 제1 연결 부품들과 결합되는, 제1 탄성 부재로서, 상기 융기된 안내 부분들의 배향이, 제1 치아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인, 제1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된 안내 부분들은, 상기 교정 유닛의 상기 교합 표면 상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교합 표면의 협측 에지로부터 상기 협측 에지 반대편에 놓이는 상기 교합 표면의 설측 에지로 연장되는, 한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된 안내 부분들은, 상기 교정 유닛의 상기 교합 표면 상에 그리고 상기 교합 표면의 협측 에지와 상기 협측 에지 반대편에 놓이는 상기 교합 표면의 설측 에지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된 안내 부분들은, 개별적으로 상기 교정 유닛의 협측 측벽 상에 그리고 상기 협측 측벽 반대편에 놓이는 상기 교정 유닛의 설측 측벽 상에 형성되는, 복수 쌍의 융기된 안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762545047P | 2017-08-14 | 2017-08-14 | |
US62/545,047 | 2017-08-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8398A true KR20190018398A (ko) | 2019-02-22 |
KR102106213B1 KR102106213B1 (ko) | 2020-05-04 |
Family
ID=6324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957A KR102106213B1 (ko) | 2017-08-14 | 2018-08-14 |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1197740B2 (ko) |
EP (1) | EP3443929B1 (ko) |
JP (1) | JP6649999B2 (ko) |
KR (1) | KR102106213B1 (ko) |
CN (1) | CN109381267B (ko) |
CA (1) | CA3014003C (ko) |
PH (1) | PH12018000217A1 (ko) |
TW (1) | TWI67409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69166A1 (en) * | 2017-10-06 | 2019-04-11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REMOVABLE DENTAL APPARATUS COMPRISING A SPRING ELEMENT |
US12064313B2 (en) | 2021-02-16 | 2024-08-20 | Ormco Corporation | Orthodontic appliance with bit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JP2021087465A (ja) * | 2019-12-02 | 2021-06-10 | 株式会社DSi | 歯列矯正具 |
US20210315669A1 (en) * | 2020-04-14 | 2021-10-14 | Chi-Ching Huang | Orthodontic suit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N113893046B (zh) * | 2020-07-06 | 2023-07-07 | 黄奇卿 | 齿列矫正套件及其制造方法 |
JP6980326B1 (ja) * | 2020-06-09 | 2021-12-15 | SheepMedical株式会社 | 歯列矯正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40495A2 (en) * | 2013-09-18 | 2015-03-26 | Megabite 3D Pte Ltd. | System/process for producing orthodontic appliances |
KR20160115854A (ko) * | 2015-03-26 | 2016-10-06 | 청 시앙 훙 | 악교정 보정 장치 및 악교정 보정 방법 |
US20160310237A1 (en) | 2015-04-27 | 2016-10-27 | Cheng-Hsiang Hung | 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
KR101676205B1 (ko) * | 2015-12-31 | 2016-11-15 | 이민정 | 투명교정기 제조방법 |
US20170007360A1 (en) * | 2015-07-07 | 2017-01-12 | Align Technology, Inc. |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ntal appliances with integrally formed features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45364A (en) * | 1991-05-15 | 1992-09-08 | M-B Orthodontics, Inc. |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
US5580243A (en) * | 1995-06-01 | 1996-12-03 | Bloore; John A. | Removable orthodontic aligner with eyelet arm springs |
US5683244A (en) | 1995-07-10 | 1997-11-04 | Truax; Lloyd H. | Dental appliance to correct malocclusion |
US6299440B1 (en) * | 1999-01-15 | 2001-10-09 | Align Technology,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ooth movement |
US6830450B2 (en) * | 2002-04-18 | 2004-12-14 | Align Technology,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engagement between aligners and teeth |
US7878805B2 (en) * | 2007-05-25 | 2011-02-01 | Align Technology, Inc. | Tabbed dental appliance |
TWM544919U (zh) * | 2017-03-21 | 2017-07-11 | shi-zhi Jian | 空間縮調裝置 |
-
2018
- 2018-08-13 TW TW107128178A patent/TWI674092B/zh active
- 2018-08-13 JP JP2018152269A patent/JP6649999B2/ja active Active
- 2018-08-13 CA CA3014003A patent/CA3014003C/en active Active
- 2018-08-13 EP EP18188762.1A patent/EP3443929B1/en active Active
- 2018-08-14 US US16/102,929 patent/US11197740B2/en active Active
- 2018-08-14 PH PH12018000217A patent/PH12018000217A1/en unknown
- 2018-08-14 CN CN201810923682.1A patent/CN109381267B/zh active Active
- 2018-08-14 KR KR1020180094957A patent/KR1021062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40495A2 (en) * | 2013-09-18 | 2015-03-26 | Megabite 3D Pte Ltd. | System/process for producing orthodontic appliances |
KR20160115854A (ko) * | 2015-03-26 | 2016-10-06 | 청 시앙 훙 | 악교정 보정 장치 및 악교정 보정 방법 |
US20160310237A1 (en) | 2015-04-27 | 2016-10-27 | Cheng-Hsiang Hung | 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
KR20160127691A (ko) * | 2015-04-27 | 2016-11-04 | 청 시앙 훙 | 저작성 치아 교정기 |
JP2016202921A (ja) * | 2015-04-27 | 2016-12-08 | 澄祥 洪 | 咀嚼式歯列矯正装置 |
US20170007360A1 (en) * | 2015-07-07 | 2017-01-12 | Align Technology, Inc. |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ntal appliances with integrally formed features |
KR101676205B1 (ko) * | 2015-12-31 | 2016-11-15 | 이민정 | 투명교정기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443929A1 (en) | 2019-02-20 |
JP6649999B2 (ja) | 2020-02-19 |
CN109381267A (zh) | 2019-02-26 |
KR102106213B1 (ko) | 2020-05-04 |
TWI674092B (zh) | 2019-10-11 |
CA3014003C (en) | 2020-07-21 |
CA3014003A1 (en) | 2019-02-14 |
CN109381267B (zh) | 2021-04-06 |
EP3443929B1 (en) | 2020-06-17 |
US20190046294A1 (en) | 2019-02-14 |
PH12018000217A1 (en) | 2019-04-15 |
US11197740B2 (en) | 2021-12-14 |
TW201909850A (zh) | 2019-03-16 |
JP2019034146A (ja) | 2019-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02356B2 (en) | 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 |
KR20190018398A (ko) | 치과교정술적 교정 장치 | |
TWI663964B (zh) | 咀嚼式牙齒矯正裝置 | |
KR200211697Y1 (ko) | 치열교정용 고정판 | |
KR200447220Y1 (ko) | 치과용 교합지 홀더 | |
CN216908155U (zh) | 壳状牙科器械套组 | |
CN220695375U (zh) | 牙科器械及牙科矫治系统 | |
CN113057746B (zh) | 隐形牙套及具有其的隐形矫治上颌前方牵引系统 | |
KR200211698Y1 (ko) | 치열교정용 볼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