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4393A1 -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4393A1
WO2022114393A1 PCT/KR2021/001348 KR2021001348W WO2022114393A1 WO 2022114393 A1 WO2022114393 A1 WO 2022114393A1 KR 2021001348 W KR2021001348 W KR 2021001348W WO 2022114393 A1 WO2022114393 A1 WO 202211439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eth
center
oral
tongue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134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류성훈
Original Assignee
류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훈 filed Critical 류성훈
Publication of WO202211439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439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dental anesthesia patients, wherein a patient who has been under local anesthesia for surgery at the dentist does not recognize the lips, tongue, or cheeks in a state in which the anesthesia is less relieved after surgery. It relates to a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dental anesthesia patients that can prevent them from biting or chewing in an unsatisfactory state.
  •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an anesthetic was put in a syringe and injection was placed around the tooth, and anesthesia of the treatment area was made according to the injection of the anesthetic.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25518 (published on March 09, 2018)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fter dental treatment, before the anesthesia is completely released, the incisors are temporarily bitten by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centered on the incisors, so that the anesthesia is not completely released. This is to provide a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dental anesthesia patients that can protect lips, tongue, and cheeks.
  • the handle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from the handle portion to prevent the handle portion from entering the oral cavity, and the diaphragm plate that touches the surface of the lips, and integrally from the diaphragm plate
  • a lip occlusal part where the upper lip and the lower lip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dental occlusal part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from the lip occlusal part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imilar to the arrangement of teeth and engages in a certain range of upper and lower teeth based on the incisors, and the A tongue protective wall that is formed on one surface from the dental occlusal part toward the oral cavity to prevent the tongue from being bitten by the teeth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dental occlusal part, and is formed at the opposite position of the tongue protective part by the teeth It includes an oral barrier that can prevent the upper and lower lip from biting on the cheeks and the inner side of the mouth.
  • the center mouse may be made of a liquid silicone rubber material.
  • the tooth occlusal portion, the width of the central incisor side to be engaged toward the molars is widened, the front teeth side than the molar side may be formed thicker.
  •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cclusal part in a regular or irregular manner to help even the malocclusion teeth.
  • the oral protective wall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tongue protective wall in the tooth occlusion.
  •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forward and rearward, respectively, are formed in the tongue protection unit and the oral protection wall to prevent saliva from accumulating.
  • a body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the oral protective wall
  •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body temperature measured by the body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talled on the blocking plate.
  • the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dental anesthesia patients has an effect of protecting lips, tongue, and cheeks that can be bitten involuntarily in a state in which anesthesia is not completely releas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a dental anesthetic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 FIG. 3 is a plan view of a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a dental anesthetic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tate diagram of a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a dental anesthetized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a dental anesthetic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state diagram of a center-type mouthpiece for oral protection of a dental anesthetic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nter-type mouthpiece 100 for oral protection of a dental anesthetized patient shown in FIG. 1 or FIG. 2 is largely a handle portion 110, and a blocking plate 120 and lips integrally connected from the handle portion 110.
  • the handle 110 may be in a ring shape, an oval shape, or a rod shape, and it is possible as long as it has an easy gripping structure as a part that protrudes out of the oral cavity when worn, so the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a blocking plate 120 that touches the surface of the lips can be formed.
  • the diaphragm plate 120 may be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and may be similar to the form in the gonggal pacifier that babies wear in their mouths, and according to the example, it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figure 8.
  • the blocking plate 120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and children's favorite characters or pictures may be printed on one surface facing the handle unit 110 .
  • the occlusal lip portion 130 which is connected integrally from the occlusion plate 120 and the upper lip and the lower lip,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occlusion plate 120 and the tooth occlusion unit 140, and to the tooth occlusion unit 140. It is the part where the closed upper lip and lower lip meet and touch when installed, so the width does not need to be too wide.
  • the dental occlusal part 140 integrally connected from the diaphragm 120 is a portion that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similar to the arrangement of teeth and engages with a certain range of upper and lower teeth based on the front teeth.
  • the dental occlusal part 140 is worn on the central side of the oral cavity, as shown in FIG. 3, and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toward both molars with the incisors of the teeth as the center to engage upper and lower teeth centering on the incisors.
  • it may have a curved shap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shape of the teeth.
  • the tooth occlusal portion 140 may form a recessed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0a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 regular or irregular manner, so that users of malocclusion during tooth occlusion can also be in close contact.
  •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40a may be an embossed shape or a bar of a certain length.
  • the tooth occlusal portion 140 has a wider width toward the molar side with the front teeth as the center during tooth occlusion, making it comfortable to wear.
  • the front teeth side position may be thicker than the molar side position.
  • the tongue protective wall 142 that can prevent the tongue from being bitten by the teeth is formed vertically on one surface toward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with the tooth occlusal part 140 as the center, and the one surface facing the diaphragm 120 has teeth.
  • the oral protection wall 144 that can prevent the cheeks and the inner upper lip and lower lip from being bitten may be integrally and vertically provided.
  • the oral protection wall 144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tongue protection wall 142 .
  • the tongue protective wall 142 forms a wall to prevent the tongue from approaching the teeth involuntarily, but may be formed in a concave shape.
  • the oral protection wall 144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tongue protection wall 142 , and one surface facing the blocking plate 120 is formed to be convex so that the inner portion of the upper lip and the lower lip can be naturally wrapped.
  • a plurality of holes 142a and 144a penetrating forward and backward are formed in the tongue protection wall 142 and the oral protection wall 144, respectively, to prevent saliva from accumulating.
  • a plurality of chambers 142b and 144b are formed from the tongue protection wall 142 toward the inside of the dental occlusal part 140 and from the oral protection wall 144 toward the inside of the dental occlusal part 140. It can cushion the occlusal impact.
  • a body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oral protective wall 144 , and a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the body temperature measured from the body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on the blocking plate 120 .
  • the body temperature sensor may be a thermistor, and detects and measures the temperature transmitted from the upper lip and the lower lip.
  • the display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temperature sensor so that the body temperature can be displayed numerically through the LED.
  • the center-type mouthpie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liquid silicone rubber material, and more preferably, the handle portion 110 may be polyethylene.
  • the liquid silicone rubber ma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disposal process.
  • the mouthpie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biodegradant in particulate form, micropores can be formed inside the mouthpiece according to the decomposition of the biodegradant. Thereafter, the microbiological community settles on the formed pores, so that the particulate biodegradan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promoting the biodegradation of the entire mouthpiece.
  • the mouth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icroparticles of the biodegradant in the form of microparticles is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uthpiece. By exposing the microparticles to the outer surface, it is possible to enjoy the effect of promoting biodegradation of the mouthpie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iodegradable agent is polylactic acid (PLA), polyglycolic acid (PGA), polycaprolactone (PCL),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butylenes adipate- co-terephthalate), PBAT), or a copolymer thereof may be used alone or as a mixture of two.
  • PLA polylactic acid
  • PGA polyglycol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PBS polybutylene succinate
  • PBS poly(butylenes adipate- co-terephthalate)
  • PBAT poly(butylenes adipate- co-terephthalate)
  • PBAT poly(butylenes adipate- co-terephthalate)
  • PBAT poly(butylenes adipate- co-terephthalate)
  • PBAT poly(butylenes adipate- co-terephthalate)
  • PBAT poly(butylenes adipate- co-terephthal
  • the 'fine particles' refer to particles that are not completely solvated.
  • 'fine particles' are particles that can be filled in at least some of the micropores formed in the mouthpiece, and are used to easily refer to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nano or micron units. It may also be understood that,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descrip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culate can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 the particulate biodegradant may be in the form of a capsule containing a natural product-derived extract exhibiting antibacterial and bad breath removal effects therein.
  • the particulate-form biodegradant may include a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love oil, onion, lemon, propolis, green tea and gardenia, there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love oil 15 parts by weight of the clove oil, 20 parts by weight of onion, 10 parts by weight of lemon, 3 parts by weight of propolis, 3 parts by weight of green tea and 3 parts by weight of gardenia may be mixed, but the extrac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love oil contains antibacterial ingredient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bacteria that cause infections and has the effect of alleviating bad breath, and onions have antiseptic and antimicrobial compounds inside to treat oral problems that cause swollen gums known to be effective in In addition, onion sulfur compounds and antioxidants relieve pain and symptoms caused by bacterial growth in the oral cavity. Lemon soothes sore and swollen gums, antibacterial compounds soothe inflammation and create a protective barrier against odor-causing bacteria, and water brewed with propolis, green tea and gardenia is known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swelling and healing gums.
  • the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cluding one or more extracts of the natural products, and specifically,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with water, a C1 to C4 lower alcoh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More specifically, it may be extracted using 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d chim, warm chim, heating, reflux and ultrasonic extractio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pplied as necessary.
  • the extract may be concentrated or the solvent may be removed by performing a filtration process under reduced pressure or further concentration and/or freeze-drying, specifically, the process of concen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fter extrac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xtract through the proces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by appropriately changing it.
  • the biodegradant is decomposed to create micropores inside the mouthpiece, and the extract derived from the natural product contained in the biodegradant is released to naturally enjoy the antibacterial and bad breath removal effects.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by including only natural product-derived extracts while improving the problems of bacterial growth and severe odors of the conventional mouthpiece.
  • intraoral local anesthesia is used, and after treatment, the patient unconsciously bites the tongue or cheek with a tooth while the anesthesia is less relaxed.
  • the mouthpiece 100 is bitten around the protruding front teeth in the oral cavity.
  • the upper and lower lip of the patient are located in the dental occlusal part 140 , and the upper lip and lower lip are closed by the blocking plate 120 . is located in the lip occlusion part 130 .
  • the tongue is blocked by the tongue protective wall 142 and cannot be directed toward the teeth. 144), the bite by the teeth can be prevented.
  • saliva may accumulate, and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hole 142a of the tongue protective wall 142 and the hole 144a of the oral protective wall 144 .
  • the occlusal shock can be buffered to protect the teeth.
  • the mouthpiece 100 bitten in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is maintained to protect the tongue and cheeks of the patient, and when the anesthesia of the patient is completely released, the mouthpiece 100 may be removed from the patient.
  • the worn-out mouthpiece 100 is stored in a certain case after sterilization and wa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치과 치료 후, 마취가 완전히 풀리기 전에 앞니를 중심으로 상악과 하악에 일시적으로 물리도록 함으로써, 마취가 완전히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깨물 수 있는 입술이나 혀, 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상기 손잡이부가 구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입술의 표면이 닿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닿는 입술교합부와, 상기 입술교합부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되, 치아의 배열과 유사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앞니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상학과 하학에 맞물리는 치아교합부와, 상기 치아교합부에서 구강을 향하는 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에 의해 혀가 깨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혀보호벽 및 상기 치아교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혀보호부의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치아에 의해 볼과 구강 내측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깨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보호벽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본 발명은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치과에서 수술을 위하여 부분 마취를 실시했던 환자가 수술 후 마취가 덜 풀린 상태에서 입술이나 혀, 볼을 본인도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깨물거나 씹을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가 손상되거나 잇몸질환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이의 치료를 위하여 치과에서 치료를 하게 되며, 상기 치료의 원활성과 치료시 발생되는 통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치아의 주위를 마취하고 있었다.
한편, 치과적 치료를 위하여 마취를 할 경우에는 마취제를 주사기에 담아 상기 치아의 주위 에 주사를 놓고 있었으며, 상기 마취제의 주사에 따라 치료를 위한 부위의 마취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치과 치료 후, 마취가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특히, 유아나 어린이 등과 같은 경우 감각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물감을 느끼며, 침이 입안에 고이는 등에 의하여 본인도 모르게 입술이나 혀, 볼을 깨무는 행위를 하게 되어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8-0025518호(공개일 2018년03월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치과 치료 후, 마취가 완전히 풀리기 전에 앞니를 중심으로 상악과 하악에 일시적으로 물리도록 함으로써, 마취가 완전히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깨물 수 있는 입술이나 혀, 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상기 손잡이부가 구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입술의 표면이 닿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닿는 입술교합부와, 상기 입술교합부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되, 치아의 배열과 유사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앞니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상학과 하학에 맞물리는 치아교합부와, 상기 치아교합부에서 구강을 향하는 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에 의해 혀가 깨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혀보호벽 및 상기 치아교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혀보호부의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치아에 의해 볼과 구강 내측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깨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보호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터형 마우스는, 액상 실리콘 고무(Liquid Silicone Rubber)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교합부는, 치합되는 중앙 앞니측 위치에서 어금니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어금니측보다 앞니측이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아교합부의 상면과 하면에는 부정교합 치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아교합부에서 상기 혀보호벽 보다 상기 구강보호벽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혀보호부와 상기 구강보호벽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침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강보호벽에는 체온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체온센서로부터 측정된 체온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막음판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는, 마취가 완전히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깨물 수 있는 입술이나 혀, 볼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마취가 완전히 풀리기 전에 앞니를 중심으로 상악과 하악에 일시적으로 물리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도 부담감없이 착용할 수 있다.
또, 마우스피스의 치아교합부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마우스피스의 착용 시 침이 고이지 않고, 입 밖으로 흐르지 않게 되어 위생 문제기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와는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와는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100)는, 크게 손잡이부(110)와, 손잡이부(110)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는 막음판(120)과 입술이 닿는 입술교합부(130)와, 치아가 맞물리는 치아교합부(140)와, 치아교합부(140)에 형성되어 마취가 덜 풀린 상태에서 혀가 깨물리는 것을 방지하는 혀보호벽(142) 및 마취가 덜 풀린 상태에서 볼과 내측 입술부위가 깨물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강보호벽(144)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손잡이부(110)는 링 형상이나 타원형 또는 막대 형태일 수 있으며, 착용 시 구강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용이한 파지 구조를 가지면 가능하기에 특별히 그 형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손잡이부(110)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손잡이부(110)가 구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입술의 표면이 닿는 막음판(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음판(120)은 수직한 판 형태이면 가능하고, 마치 아기들이 입에 물고 다니는 공갈젖꽂지에 있는 형태와 유사할 수 있으며, 예시된 바에 따르면, 8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막음판(120)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손잡이부(110)측을 향하는 일면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나 그림이 인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막음판(120)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닿는 입술교합부(130)는 막음판(120)과 치아교합부(140)를 잇는 연결부에 해당하며, 치아교합부(140)에 장착 시 다문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마주하여 닿는 부분으로 폭은 그리 넓지 않아도 무방하다.
막음판(120)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는 치아교합부(140)는, 치아의 배열과 유사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앞니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상학과 하학에 맞물리는 부분이다.
덧붙여, 치아교합부(140)는 도 3에서와 같이, 구강의 중심부 측에 착용되는 것으로서, 앞니를 중심으로 하여 상학과 하학에 맞물리기에 치아의 앞니를 중심으로 양측 어금니측으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치아의 배열 형상을 따라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치아교합부(140)는 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파인 홈을 형성할 수도 있고, 상면과 하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40a)가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치아의 교합 시 부정교합의 사용자도 밀착시킬 수 있다.
돌기(140a)의 형상은 엠보싱 형태이거나 일정 길이의 바(bar)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치아교합부(140)는 치아 교합시 앞니를 중심으로 하여 어금니 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져서 착용이 편안하게 하였으며, 바람직하게 어금니측 위치보다 앞니측 위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치아교합부(140)를 중심으로 구강 안쪽을 향하는 일면으로 치아에 의해 혀가 깨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혀보호벽(142)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막음판(120)을 향하는 일면에는 치아에 의해 볼과 구강 내측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깨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보호벽(144)이 일체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혀보호벽(142) 보다 상기 구강보호벽(144)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혀보호벽(142)은 무의식 중에 혀가 치아쪽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벽을 형성하되,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강보호벽(144)은, 혀보호벽(142)보다는 지름이 크며, 막음판(120)을 향하는 일면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윗입술과 아랫입술의 내측부분이 자연스럽게 감쌀 수 있다.
덧붙여서, 혀보호벽(142)과 구강보호벽(144)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홀(142a)(144a)이 형성되어 침이 고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혀보호벽(142)에서 치아교합부(140)의 내부를 향하여 또, 구강보호벽(144)에서 치아교합부(140)의 내부를 향하여 챔버(142b)(144b)가 다수개 형성되어 치아의 교합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보호벽(144)에는 체온센서(미도시)가 내장 설치되고, 체온센서로부터 측정된 체온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막음판(120)에 설치될 수 있다.
체온센서는 써미스터일 수 있으며, 윗입술과 아랫입술로부터 전해지는 온도를 감지하여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는 체온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를 통해 체온이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센터형 마우스피스(100)는 액상 실리콘 고무(Liquid Silicone Rubber)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손잡이부(110)는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상기의 액상 실리콘 고무는 폐기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문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100)는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생분해제의 분해에 따른 마우스피스 내부에 미세기공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이후, 형성된 기공 상에 미생물 군집이 자리잡음으로써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마우스피스 전체의 생분해를 촉진하는 시발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미립자 형상인 생분해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립자는 적어도 일면이 마우스피스의 외면에 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가 외면에 노출됨으로써,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의 생분해가 촉진되는 효과를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생분해제는 피엘에이(polylactic acid, PLA), 피지에이(polyglycolic acid, PGA), 피씨엘(polycaprolactone, PCL), 피비에스(polybutylene succinate, PBS), 피비에이티(poly(butylenes adipate-co-terephthalate), PBAT)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단독 또는 2종의 혼합물일 수 있다. 특히, 생분해 기능과 아울러 가수분해되어 단량체의 유기산으로 분해된다는 점에서 생분해제로서 지방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해된 유기산은 산화제로 작용하여 마우스피스의 추가적인 화학적 분해를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립자'는 완전히 용매화 되지 아니한 입자를 의미한다. 달리, 본 명세서에 있어서 '미립자'는 마우스피스에 형성된 미세 기공 중 일부 이상에 충전될 수 있는 입자로서, 그 직경이 나노 또는 마이크론 단위인 입자를 용이하게 지칭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기재 맥락에 따라 상기 미립자의 적어도 일부는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내부에 항균 및 구취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캡슐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립자 형상의 생분해제는 내부에 정향유, 양파, 레몬, 프로폴리스, 녹차 및 치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담지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향유 15 중량부, 양파 20 중량부, 레몬 10 중량부, 프로폴리스 3 중량부, 녹차 3 중량부 및 치자 각 3 중량부의 추출물을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향유는 항균 성분을 함유함으로써 감염을 유발하는 세균의 숫자를 줄여 입냄새를 완화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양파는 소독 성분 및 항미생물 화합물을 내부에 가지고 있어 부은 잇몸의 원인을 제공하는 구강 문제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양파의 황 화합물과 항산화제는 통증과 구강에서 세균의 번식에 의한 증상을 완화시켜준다. 레몬은 시리고 부은 잇몸을 진정시켜주며, 항균 화합물이 염증을 진정시키고 악취를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보호막을 생성해주고, 프로폴리스, 녹차 및 치자 우려낸 물이 잇몸의 붓기 완화 및 치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천연물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을 이용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의 추출공정은 냉침, 온침, 가열, 환류 및 초음파 추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또는 분획 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추출 후에 감압 농축하는 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마우스피스의 사용 및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분해제가 분해되어 마우스피스 내부에 미세기공이 발생하게 되며, 생분해제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상기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이 방출됨으로써 항균 및 구취제거 효과를 자연스레 향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마우스피스가 가지고 있던 세균 증식 및 심한 냄새가 나는 문제점을 개선함과 동시에 천연물 유래 추출물만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의 착용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치과 치료를 위하여 구강내 부분 마취를 하게 되며, 치료 이후에 환자가 마취가 덜 풀린 상태에서 무의식 중에 치아로 혀 또는 볼을 깨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취 후 치료가 완료된 환자에게 마우스피스(100)를 구강내 돌출된 앞니를 중심으로 물리게 된다.
손잡이부(110)를 잡고서 환자의 입을 벌린 후, 입을 다물게 되면, 환자의 상학과 하학이 치아교합부(140)에 위치되며, 막음판(120)에 의하여 입술이 막힌 상태에서 윗입술과 아랫입술은 입술교합부(130)에 위치되어진다.
그리고 홈으로 파인 치아교합부(140)에 치아가 고정된 상태에서 혀는 혀보호벽(142)에 막혀서 치아쪽으로 향하지 못하게 되고, 이와 같이 구강 내 볼부분과 윗입술 및 아랫입술의 안쪽 부분이 구상보호벽(144)에 의하여 치아에 의한 깨물림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마우스피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침이 고일 수 있는데 혀보호벽(142)의 홀(142a)와 구강보호벽(144)의 홀(144a)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챔버(142b)(144b)에서는 치아가 치아교합부(140)에 접촉 시 교합 충격을 완충시켜서 치아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환자의 구강내 물린 마우스피스(100)는 환자의 혀와 볼을 보호하는 상태가 유지되고, 환자의 마취가 완전히 풀리게 되면, 환자로부터 착용을 해제하면 된다.
착용이 해제된 마우스피스(100)는, 살균 및 세척 후 일정 케이스에 수납되어 보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마취가 완전히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무의식적으로 깨물 수 있는 입술이나 혀, 볼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마취가 완전히 풀리기 전에 앞니를 기준으로 좌, 우측 중 어느 한 곳에 상악과 하악에 일시적으로 물리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도 부담감없이 착용할 수 있다.
또, 마우스피스의 치아교합부에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마우스피스의 착용 시 침이 고이지 않고, 입 밖으로 흐르지 않게 되어 위생 문제기 발생되지 않는 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6)

  1.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상기 손잡이부가 구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며, 입술의 표면이 닿는 막음판과,
    상기 막음판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져서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닿는 입술교합부와,
    상기 입술교합부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되, 치아의 배열과 유사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앞니를 기준으로 일정 범위의 상학과 하학에 맞물리는 치아교합부와,
    상기 치아교합부에서 구강을 향하는 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치아에 의해 혀가 깨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혀보호벽, 및
    상기 치아교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혀보호부의 대향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치아에 의해 볼과 구강 내측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깨물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보호벽,
    을 포함하는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형 마우스는,
    액상 실리콘 고무(Liquid Silicone Rubber)재질로 제작되는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교합부는,
    치합되는 중앙 앞니측 위치에서 어금니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며,
    어금니측보다 앞니측이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교합부의 상면과 하면에는 부정교합 치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규칙 또는 불규칙하게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교합부에서,
    상기 혀보호벽 보다 상기 구강보호벽이 더 높게 형성되는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혀보호부와 상기 구강보호벽에는,
    각각 전방과 후방측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침이 고이지 않도록 하는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PCT/KR2021/001348 2020-11-27 2021-02-02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WO202211439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32A KR102267169B1 (ko) 2020-11-27 2020-11-27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KR10-2020-0162832 2020-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393A1 true WO2022114393A1 (ko) 2022-06-02

Family

ID=7662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1348 WO2022114393A1 (ko) 2020-11-27 2021-02-02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7169B1 (ko)
WO (1) WO202211439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44A (ja) * 1989-05-30 1991-01-14 Earl O Bergersen 幼児用の歯列矯正用おしゃぶり器具
US6773451B1 (en) * 1999-04-14 2004-08-10 Louis-Marie Dussere Ergonomic teat
KR20070084178A (ko) * 2004-10-14 2007-08-24 크리스토퍼 존 패럴 구강장치
KR20130137880A (ko) * 2012-06-08 2013-12-18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90107434A (ko) * 2018-03-12 2019-09-20 문천호 턱관절 척추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53A (ja) * 1991-07-17 1993-02-02 Mitsui Petrochem Ind Ltd 保護矯正具
KR200217319Y1 (ko) * 2000-10-25 2001-03-15 김세원 치과 치료용 마취 마우스장치
US8007277B2 (en) * 2006-08-25 2011-08-30 Ultradent Products, Inc. Non-custom dental treatment trays and mouth guards having improved anatomical features
KR101108104B1 (ko) * 2010-04-01 2012-01-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교정기구
KR200460724Y1 (ko) * 2011-02-22 2012-06-04 주식회사 케이제이엘테크놀러지 치아보호 완충부재가 끼움된 내시경검사용 마우스피스
US8911232B2 (en) * 2012-12-07 2014-12-16 Incept, Inc. Intraoral dental suction and isolation system
US9610009B2 (en) * 2013-11-15 2017-04-04 Shohreh Motamedi Dental retractor for protecting a patient's teeth from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a patient's mouth and tongue
FI126590B (fi) * 2014-11-21 2017-02-28 Medrian Oy Hammas- ja kielituki
KR101954262B1 (ko) 2016-08-31 2019-03-06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용 마우스피스
KR20180002790U (ko) * 2017-03-21 2018-10-01 구현웅 부정교합 진단기
KR102111397B1 (ko) * 2018-04-06 2020-05-19 이노범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20200044349A (ko) * 2018-10-19 2020-04-29 천제민 자일리톨 마우스피스
KR102114714B1 (ko) * 2018-12-28 2020-05-25 김수광 가습기능을 갖는 공갈 젖꼭지
KR102056489B1 (ko) * 2019-03-07 2019-12-17 김유인 마우스피스형 구강 치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144A (ja) * 1989-05-30 1991-01-14 Earl O Bergersen 幼児用の歯列矯正用おしゃぶり器具
US6773451B1 (en) * 1999-04-14 2004-08-10 Louis-Marie Dussere Ergonomic teat
KR20070084178A (ko) * 2004-10-14 2007-08-24 크리스토퍼 존 패럴 구강장치
KR20130137880A (ko) * 2012-06-08 2013-12-18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90107434A (ko) * 2018-03-12 2019-09-20 문천호 턱관절 척추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169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5392A (en) Device for the oral administration of an active substance for prevention of tooth decay in infants
US5730599A (en) Protective dental shield
CA2484120C (en) A pacifier, a system and a method for maintaining proper dentitions
Schneider et al. Oral habits: considerations in management
WO2017150760A1 (ko) 수면용 마우스피스
WO2022030712A1 (ko)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Lucavechi et al. Self-injurious behavior in a patient with mental retardation: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case report.
WO2022114393A1 (ko)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CA3126771A1 (en) Anatomical self-gripping dental barrier device
Kobayashi et al. Treatment of self-inflicted oral trauma in a comatose patient: a case report.
US11607336B2 (en)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WO2021162193A1 (ko) 코골이 방지용 기구
Kumar et al. Successful prevention of oral self-mutilation using a lip guard: a case report.
Kiat-Amnuay et al. An occlusal guar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elf-inflicted tongue trauma in a comatose patient: a clinical report
KR20220000791A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WO2009151268A2 (ko) 치과용 구강 리트랙터
Jackson The use of tongue-depressing stents for neuropathologic chewing
Sonnenberg Treatment of self‐induced trauma in a patient with cerebral palsy
von Gonten et al. Dental management of neonates requiring prolonged oral intubation
WO2015182922A1 (ko) 구강위생용 저작체
CN219374974U (zh) 牙科局麻术后防咬伤装置
CN216908303U (zh) 一种防治夜磨牙的牙贴片
KR102164585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2382847B1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CN217014354U (zh) 一种用于口腔医学的舌体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982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982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