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790U - 부정교합 진단기 - Google Patents

부정교합 진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790U
KR20180002790U KR2020170001310U KR20170001310U KR20180002790U KR 20180002790 U KR20180002790 U KR 20180002790U KR 2020170001310 U KR2020170001310 U KR 2020170001310U KR 20170001310 U KR20170001310 U KR 20170001310U KR 20180002790 U KR20180002790 U KR 201800027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ar
body portion
molar support
support portion
fron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웅
Original Assignee
구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현웅 filed Critical 구현웅
Priority to KR2020170001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790U/ko
Publication of KR20180002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7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관한 부정교한 진단기는 양 단부가 중앙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위아래턱 어금니에 물려지는 어금니지지부와, 어금니지지부의 배치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몸체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정교합 진단기{MALOCCLUSION DIAGNOSIS DEVICE}
본 고안은 부정교합 진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의 부정교합 여부를 간단하게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부정교합 진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합이란 입을 다물었을 때 위아래턱의 치아가 서로 맞물리는 상태를 말한다. 부정교합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위아래턱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의 위치를 벗어나서 심미적 또는 기능적으로 문제가 되는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부정교합의 경우에 구강 내 치태가 증가하게 되어 치아우식증이나 잇몸 염증 등의 잇몸 질환이나 심한 두통과 같이 다양한 합병증을 앓을 수 있다. 그러나 치아의 부정교합을 식별할 수 있는 기구나 장치가 대중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환자 자신이나 의사마저도 정확하게 부정교합의 진단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115152호(2005. 12. 07. 공개, 발명의 명칭 : 골격형 Ⅱ급 부정교합 교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위아래턱 어금니에 의해 물려지게 하여 치아의 부정교합 여부를 간단하게 바로 진단할 수 있는 부정교합 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는: 양 단부가 중앙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위아래턱 어금니에 물려지는 어금니지지부; 및 상기 어금니지지부의 배치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어금니지지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착탈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에는 상기 어금니지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어금니지지부가 배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실리콘, 레진, 금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부는 열이 가해지면 변형 가능하여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어금니지지부 간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몸체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어금니지지부 간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위아래턱 어금니에 의한 가압력이 제공되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어금니지지부가 위아래턱 어금니에 물려지면 위아래턱 앞니가 삽입되는 앞니안착부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앞니안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돌출부에 의해 위턱 앞니가 삽입되는 상부홈부가 구비되는 상부앞니안착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돌출부에 의해 아래턱 앞니가 삽입되는 하부홈부가 구비되는 하부앞니안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앞니안착부에는 3개 이상의 상기 상부돌출부에 의해 상기 상부홈부가 2개 이상 구비되거나, 상기 하부앞니안착부에는 3개 이상의 상기 하부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부홈부가 2개 이상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앞니안착부는 상기 손잡이부 상에서 상기 하부앞니안착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앞니안착부는 상기 손잡이부 상에서 상기 하부앞니안착부와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반대되는 방향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부정교합으로 인한 두통 등의 통증 격감 유무를 통해 부정교합의 여부를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바로 진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몸체부가 열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피진단자의 구강구조에 맞게 부정교합 진단기를 조정함으로써 부정교합 여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어금니지지부가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부정교합 진단 시 피진단자의 입 안에서 어금니지지부가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어금니지지부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부정교합 진단 시 피진단자의 입 안에서 어금니지지부가 스톱퍼에 의해 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어금니지지부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가 가열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의 손잡이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에서 상하치아 부정교합시 어금니지지부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에서 좌우치아 부정교합시 어금니지지부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가 가열에 의해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의 손잡이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에서 상하치아 부정교합시 어금니지지부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에서 좌우치아 부정교합시 어금니지지부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1)는 몸체부(10), 어금니지지부(20),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는 양 단부가 중앙부에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어금니지지부(20)는 몸체부(10)에 의해 위아래턱 어금니(M) 사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0)는 치아열에 대응되도록 U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외에도 몸체부(10)는 어금니지지부(20)가 위아래턱 어금니(M)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면 U 형상 외에 V 형상, ┗┛ 형상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몸체부(10)는 열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몸체부(10)는 열이 가해지면 변형이 가능하여 몸체부(10)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어금니지지부(2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부정교합 진단기(1)에서 한 쌍의 어금니지지부(20)간의 간격이 A cm 라면, 몸체부(10)에 열이 가해져 변형된 도 3의 부정교합 진단기에서 어금니지지부(20) 간의 간격은 A + α cm 가 될 수도 있고, A - α cm 가 될 수도 있다.
이는 피진단자마다 좌우 어금니(M1, M2)간의 간격이 동일하지 않음을 고려한 것으로, 몸체부(10)가 열에 의해 변형이 가능함에 따라 피진단자의 좌우 어금니(M1, M2) 간격에 맞게 어금니지지부(20) 간의 간격을 맞춘 상태로 부정교합 진단기(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각 피진단자의 구강구조에 맞게 부정교합 진단기(1)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으므로, 부정교합 진단기(1)를 통한 부정교합의 판정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몸체부(1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피진단자의 구강구조를 고려하여 몸체부(10)의 양 단부 간의 사이를 좁히거나 늘림으로써 몸체부(10)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어금니지지부(20) 간의 간격을 조절 가능하다.
어금니지지부(20)는 몸체부(10)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어금니지지부(20)는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어금니지지부(20)는 물론 손잡이부(30)까지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와 같이 어금니지지부(20)가 몸체부(1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부정교합 진단 시 피진단자의 입 안에서 어금니지지부(20)가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어금니지지부(20)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어금니지지부(20)는 몸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도 7 참조). 어금니지지부(20)의 슬라이드홈부(21)는 몸체부(10)의 슬라이드돌기(11)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끼워진다. 어금니지지부(20)가 몸체부(10) 상에 정위치에 도달하면 몸체부(10)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스톱퍼(12)에 의해 어금니지지부(20)의 슬라이드 이동은 차단된다.
즉, 어금니지지부(20)는 슬라이드홈부(21)가 슬라이드돌기(1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몸체부(10)에 끼워지며, 어금니지지부(20)의 슬라이드 이동은 어금니지지부(20)가 스톱퍼(12)에 접하면서 종료된다. 이처럼 스톱퍼(12)가 몸체부(10)의 양 단부에 구비되므로, 어금니지지부(20)는 몸체부(10)의 양 단부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되고, 어금니지지부(20)가 피진단자의 입 안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도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부정교합 진단 시 어금니지지부(20)가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어 피진단자가 어금니지지부(20)를 삼키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어금니지지부(20)는 위아래턱 어금니(M)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위아래턱 어금니(M)에 의해 물려진다. 어금니지지부(20)는 위아래턱 어금니(M)에 의한 가압력이 제공되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위아래턱 어금니(M)가 어금니지지부(20)를 지그시 물게 되면 가압력의 크기에 따라 변형된다.
어금니지지부(20)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어금니지지부(20)는 몸체부(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게 형성된다. 이로써 위아래턱 어금니(M)가 어금니지지부(20) 상에 놓일 수 있게 된다.
어금니지지부(20)는 몸체부(10)와 반대되는 방향의 모서리(22)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어금니지지부(20)가 피진단자의 입 안으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또는 진입된 이후 위아래턱 어금니(M)에 의해 물리는 과정에서 어금니지지부(20)의 모서리(22)가 피진단자의 입 안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30)는 어금니지지부(20)의 배치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몸체부(1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부(30)는 몸체부(10)를 기준으로 어금니지지부(20)가 배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도 1 참조). 이로써 피진단자를 포함한 사용자는 손잡이부(30)를 파지함으로써 피진단자의 입 안으로 어금니지지부(2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손잡이부(30)는 몸체부(10)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몸체부(10)의 양 단부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고, 그 중앙부에서 손잡이부(30)와 연결된다. 따라서 몸체부(10)와 손잡이부(30)는 전체적으로 Y자 형상을 갖게 된다.
손잡이부(30)에는 앞니안착부(31, 36)가 구비된다. 앞니안착부(31, 36)는 어금니지지부(20)가 위아래턱 어금니(M)에 물려지는 경우 위아래턱 앞니(T)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앞니안착부(31, 36)는 상부앞니안착부(31)와 하부앞니안착부(36)를 포함한다.
상부앞니안착부(31)는 손잡이부(3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돌출부(33)에 의해 위턱 앞니(T)가 삽입되는 상부홈부(34)가 구비된다. 상부돌출부(33)는 종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서로 이웃한 2개의 상부돌출부(33)에 의해 1개의 상부홈부(34)가 형성된다. 따라서 3개 이상의 상부돌출부(33)가 손잡이부(30)의 상면에 형성되면, 2개 이상의 상부홈부(34)가 손잡이부(30)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방으로 갈수록 상부돌출부(33)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상부홈부(34)의 폭은 상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된다. 즉, 상부홈부(34)는 종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피진단자의 위턱 앞니(T)가 상부홈부(34)의 저부로 자연스레 안착되게끔 유도한다.
하부앞니안착부(36)는 손잡이부(30)의 하면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돌출부(38)에 의해 아래턱 앞니(T)가 삽입되는 하부홈부(39)가 구비된다. 하부돌출부(38)는 종단면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서로 이웃한 2개의 하부돌출부(38)에 의해 1개의 하부홈부(39)가 형성된다. 따라서 3개 이상의 하부돌출부(38)가 손잡이부(30)의 하면에 형성되면, 2개 이상의 하부홈부(39)가 손잡이부(30)의 하면에 형성된다.
하방으로 갈수록 하부돌출부(38)의 폭이 좁아짐에 따라 하부홈부(39)의 폭은 하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게 된다. 즉, 하부홈부(39)는 종단면이 역V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피진단자의 아래턱 앞니(T)가 하부홈부(39)의 상부로 자연스레 안착되게끔 유도한다.
상부앞니안착부(31)와 하부앞니안착부(36)는 손잡이부(30) 상에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앞니안착부(31)의 상부홈부(34)와 하부앞니안착부(36)의 하부홈부(39)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앞니(T)가 안착되는 오목한 홈 형상을 갖는다.
상부앞니안착부(31)와 하부앞니안착부(36)는 손잡이부(30) 상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앞니안착부(36)의 좌측단 하부홈부(39)와 후측단 하부홈부(39)는 상부앞니안착부(31)의 상부홈부(34)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이로써 위아래턱 앞니(T)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지 않은 피진단자라도 상부홈부(34)와 하부홈부(39)에 각각 위아래턱 앞니(T)를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부앞니안착부(31)의 상부홈부(34)와 하부앞니안착부(36)의 하부홈부(39)는 위아래턱 앞니(T)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피진단자가 위아래턱 어금니(M)로 어금니지지부(20)를 물게 되면 위아래턱 앞니(T)는 서로 이격되게 되는데, 위아래턱 앞니(T) 사이에 상부홈부(34)와 하부홈부(39)를 배치함으로써 상부홈부(34)와 하부홈부(39)가 위아래턱 앞니(T)에 접촉되도록 한다.
부정교합 진단기(1)에서 피진단자의 입 안으로 삽입되는 몸체부(10)와 어금니지지부(2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레진, 금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손잡이부(30)도 실리콘, 레진, 금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중심으로 부정교합 진단기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피진단자를 포함한 사용자는 손잡이부(30)를 손가락 등으로 파지하여 어금니지지부(20)가 위아래턱 어금니(M) 사이에 배치되도록 부정교합 진단기(1)를 피진단자의 입 안에 넣는다. 피진단자는 위아래턱 어금니(M)로 어금니지지부(20)를 지긋이 물게 되면, 어금니지지부(20)는 가압력이 제공되면 변형되는 재질이므로 위아래턱 어금니(M)가 무는 힘에 따라 형상이 변형된다.
도 5는 상하치아, 즉 위턱 어금니(M)와 아래턱 어금니(M)의 부정교합 시에 어금니지지부(20)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다. 위턱 어금니(M)와 아래턱 어금니(M) 간에 부정교합이 있는 경우에 피진단자가 위아래턱 어금니(M)를 물어 어금니지지부(20)에 외력(F)을 가하게 되면, 어금니지지부(20)는 가해지는 외력(F)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면서, 위아래턱 어금니(M)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F)에 대한 반발력의 일종인 교합력이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여러 지점에 골고루 분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합력이 치아의 어느 한 곳에 집중되어 야기되는 근육과 신경의 피로를 줄일 수 있고, 부정교합에 의한 두통 등의 통증을 임시적으로 격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정교합 진단기(1)를 피진단자가 물어 두통 등의 통증 등이 격감된다면 해당 피진단자는 부정교합이 있는 것으로 진단 가능하다.
도 6은 좌우치아, 즉 좌측 어금니(M1)와 우측 어금니(M2)의 부정교합 시에 어금니지지부(20)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다. 좌측 어금니(M1)와 우측 어금니(M2) 간에 부정교합이 있는 경우에 피진단자가 좌우측 어금니(M1, M2)를 물어 어금니지지부(20)에 외력(F)을 가하게 되면, 어금니지지부(20)는 가해지는 외력(F)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면서, 좌우측 어금니(M1, M2)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F)에 대한 반발력의 일종인 교합력이 어느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여러 지점에 골고루 분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교합력이 치아의 어느 한 곳에 집중되어 야기되는 근육과 신경의 피로를 줄일 수 있고, 부정교합에 의한 두통 등의 통증을 임시적으로 격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부정교합 진단기(1)를 피진단자가 물어 두통 등의 통증 등이 격감된다면 해당 피진단자는 부정교합이 있는 것으로 진단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정교합 진단기(1)는 상하치아의 부정교합뿐만 아니라 좌우치아의 부정교합의 진단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몸체부 20 : 어금니지지부
30 : 손잡이부 31 : 상부앞니안착부
36 : 하부앞니안착부

Claims (18)

  1. 양 단부가 중앙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위아래턱 어금니에 물려지는 어금니지지부; 및
    상기 어금니지지부의 배치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지지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착탈되고,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에는 상기 어금니지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어금니지지부가 배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실리콘, 레진, 금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9.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열이 가해지면 변형 가능하여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어금니지지부 간의 간격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1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몸체부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어금니지지부 간의 간격을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11.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위아래턱 어금니에 의한 가압력이 제공되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12.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어금니지지부가 위아래턱 어금니에 물려지면 위아래턱 앞니가 삽입되는 앞니안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앞니안착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돌출부에 의해 위턱 앞니가 삽입되는 상부홈부가 구비되는 상부앞니안착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하면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돌출부에 의해 아래턱 앞니가 삽입되는 하부홈부가 구비되는 하부앞니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앞니안착부에는 3개 이상의 상기 상부돌출부에 의해 상기 상부홈부가 2개 이상 구비되거나,
    상기 하부앞니안착부에는 3개 이상의 상기 하부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부홈부가 2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앞니안착부는 상기 손잡이부 상에서 상기 하부앞니안착부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앞니안착부는 상기 손잡이부 상에서 상기 하부앞니안착부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1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반대되는 방향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1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금니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교합 진단기.
KR2020170001310U 2017-03-21 2017-03-21 부정교합 진단기 KR201800027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10U KR20180002790U (ko) 2017-03-21 2017-03-21 부정교합 진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10U KR20180002790U (ko) 2017-03-21 2017-03-21 부정교합 진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790U true KR20180002790U (ko) 2018-10-01

Family

ID=6386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310U KR20180002790U (ko) 2017-03-21 2017-03-21 부정교합 진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7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910B1 (ko) * 2020-07-08 2021-06-09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KR102267169B1 (ko) * 2020-11-27 2021-06-18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910B1 (ko) * 2020-07-08 2021-06-09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KR102363254B1 (ko) * 2020-07-08 2022-02-14 류성훈 바나나 형상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KR102267169B1 (ko) * 2020-11-27 2021-06-18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79815A (en) Dental device
US5037295A (en) Muscular expansion oral shield appliance
US4209906A (en) Orthodontic appliance (bracket and lock pin)
US3724075A (en) Universal tooth positioning and retaining appliance
JP5444219B2 (ja) 口腔内咬合矯正装置用の歯科矯正アタッチメントモジュール
KR101804990B1 (ko)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장치
KR102137655B1 (ko) 치열 교정 공간 폐쇄 디바이스
JPH0436019B2 (ko)
JP2018536489A5 (ko)
US4915630A (en) Dental splint
CN211094852U (zh) 壳状牙科器械套组、壳状牙科器械组合及矫治系统
US11083548B2 (en) Orthodontic anterior bite plate
KR20180002790U (ko) 부정교합 진단기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WO2014017645A1 (ja) 歯科矯正装置
US3686758A (en) Orthodontic appliance
KR101894039B1 (ko) 치열교정 브라켓용 와이어 체결장치
US3311977A (en) Tooth finishing appliance
CN208784949U (zh) 一种多个后牙锁牙合矫正装置
KR101869911B1 (ko) 치아교정용 디지털 브라켓
CN113648090A (zh) 一种牵引件易打开的正畸器具
JP4143572B2 (ja) 可撤式の矯正装置
JP3245148U (ja) 矯正装置
KR102101870B1 (ko) 치열 교정장치
KR102181712B1 (ko) 치열교정용 와이어 고정브라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