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8104B1 -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 Google Patents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8104B1
KR102058104B1 KR1020170141057A KR20170141057A KR102058104B1 KR 102058104 B1 KR102058104 B1 KR 102058104B1 KR 1020170141057 A KR1020170141057 A KR 1020170141057A KR 20170141057 A KR20170141057 A KR 20170141057A KR 102058104 B1 KR102058104 B1 KR 10205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mandible
groove
maxillar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323A (ko
Inventor
박영현
최현진
박준영
박준원
Original Assignee
파사메디 주식회사
박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사메디 주식회사, 박영현 filed Critical 파사메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8104B1/ko
Priority to PCT/KR2017/014503 priority patent/WO2019083088A1/ko
Priority to US15/838,446 priority patent/US20190125573A1/en
Priority to CN201711324079.3A priority patent/CN109718001A/zh
Publication of KR2019004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금니 부분에 대한 고정부와 보조적인 고정 수단을 병행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결합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구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에 의하면, 어금니 부분과 마찰력에 의한 결합을 제공하는 제1 고정부와 고정용 돌기를 이용한 결합을 제공하는 제2 고정부를 병행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마찰력에 의한 결합력이 감소하더라도 사용자의 치아에 대한 지속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2 고정부를 원형의 돌기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착용 중에도 미세 운동이 가능하고 착용시 편안감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ORAL APPLIANCE IMPROVED FOR FLEXIBILITY OF LOWER JAW AND ADHESIVENESS TO TOOTH}
본 발명은 구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금니 부분에 대한 고정부와 보조적인 고정부를 병행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결합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보조적인 고정부를 원형의 돌기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착용 중에도 운동 기능이 허용되어 편안감이 증대되도록 하는 구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수면 상태에 들어가면 신체의 근육이 이완되는데, 특히 구강 내의 혀(Tongue)나 목젖(Uvula), 연구개(Soft palate), 편도(Tonsil) 등이 이완되면서 기도를 압박하는 경우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좁아진 기도를 통과하면서 흐름이 빨라지게 되고 그 결과 주변의 연조직(Soft tissue)을 진동시켜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코골이(Snoring)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코골이 현상이 심해지면 수면 중에 기도가 폐쇄되어 일시적으로 호흡을 하지 못하는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ing Apnea; OSA)을 수반하게 된다. 수면 무호흡증은 단위 시간당 수면 무호흡(Apnea: 10초 이상 입과 코에서 공기의 흐름이 멈춘 경우)과 저호흡(Hypopnea)을 합친 회수(Apnea Hypopnea Index; AHI)가 시간당 5회 이상일 경우를 말하는데, 저산소혈증(Hypoxaemia), 혈액 중 이산화탄소 증가, 뇌졸중, 고혈압, 심박동이상, 돌연사 등의 원인이 되며 당뇨병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뿐만 아니라,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숙면을 방해하여 낮 시간에 만성적인 졸음 상태를 유발하며 만성피로를 야기하여 사람의 업무 능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치료 방법이 예전부터 연구되어 오고 있는데, 치료 방법은 크게 외과적 치료와 비외과적 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외과적 치료 방법은 수술을 통하여 기도의 폐쇄 부위를 넓혀 주는 방법인데, 수술에 따른 위험부담이 있고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가능성 및 재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수술을 하고 나면 되돌릴 수 없는 비가역적 치료라는 단점이 있다. 비외과적 치료 방법으로서는 약물 요법과 같은 화학적 방법과 지속적 기도 양압기(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또는 하악 전방 이동 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와 같은 구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지속적 기도 양압기는 일종의 산소 호흡기와 같은 장비로서, 기도 안으로 강제로 공기를 불어넣어 폐쇄된 기도를 확장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지속적 기도 양압기는 효능 면에서 탁월하지만 초기 구입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는 과정에 심한 불편감을 야기하며 이동 중에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하악 전방 이동 장치는 구강 내에 착용하는 기구로서, 사용자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악에 부착된 혀가 전방으로 당겨 나오게 하고, 그 결과 혀 뒤쪽 주변의 늘어진 연조직이 펴지면서 기도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하악 전방 이동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기도가 확보되면 흡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기도 내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주변 연조직이 진동되지 않게 되어 코고는 소리가 줄어들거나 소멸된다. 따라서, 기도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증가되어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강 장치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074536 호 (하악 전진장치), 등록특허공보 제 10-1154618 호 (교정용 하악 유도 악기능 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 10-1706648 호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등록특허공보 제 10-1074536 호 (하악 전진장치)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아랫니 고정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고, 등록특허공보 제 10-1154618 호 (교정용 하악 유도 악기능 장치)는 장치 내에 마이크로 액튜에이터를 장착하여 하악에 결합되는 블록을 직선으로 왕복 운동을 강제하는 구조인데, 전기적 또는 기구적 이동 장치를 사람의 구강 내에 장착하는 경우에 누전이나 장치의 기계적 요소에 의하여 인체에 손상을 야기할 위험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1706648 호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는 상악(Upper Jaw)과 하악(Lower Jaw)을 분리하는 구조로서(Twinbloc), 탄성체 등을 이용하여 윗니 고정부와 아랫니 고정부를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악 및 하악 분리형 구조는 독립된 상악 장치와 하악 장치가 상호 연결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연결장치가 필요하고, 그 결과 구강 장치의 전체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정교한 연결 상태를 확보해야 하므로 제작의 어려움이 있고, 연결장치 등의 유지 보수가 까다롭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또한, 상악과 하악 전체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상악 장치와 하악 장치가 접촉하게 될 때 정확한 교합이 이뤄지지 않아 교합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강 장치는 하악을 전방으로 전진시킴으로써 혀가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당겨져 나와 혀에 의해서 기도에 작용하는 압박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수면 도중에 사용자가 부족한 산소공급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릴 경우, 강압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던 하악이 원래 상태로 후퇴하여 코골이 방지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치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장착된 이후에는 말하기, 입 벌리기, 하품 등이 어려워 불편하며 턱관절 디스크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면서 측두근을 포함하여 흉쇄 유돌근, 승모근, 저작근 같은 인접 근육계에 통증을 유발하고 턱관절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상악 및 하악 분리형 구조(Twinbloc) 뿐만 아니라 상악 및 하악 일체형 구조(Monobloc)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치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악에 고정하되 하악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구장 장치를 등록특허공보 제 10-1301525 호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 일체형 하악 전진 코골이 방지 구강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 10-1463021 호 (구강장치)로 등록받은 바가 있다. 그런데, 하악의 유동성 또는 운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금니와 구강장치 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구강 장치를 고정하는 경우, 어금니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강 장치의 정밀한 제작이 요구된다. 또한, 수 주 내지 수 개월 경과 후, 치열이 교정되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구강 장치와의 결합력이 약화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치아에 대한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강 장치를 수정하여야 하고, 이를 위하여 치과병원에 내원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074536 호 (2011.10.17) 등록특허공보 제 10-1154618 호 (2012.06.08) 등록특허공보 제 10-1706648 호 (2017.02.14) 등록특허공보 제 10-1301525 호 (2013.09.02) 등록특허공보 제 10-1463021 호 (2014.11.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금니와 구강 장치 간의 마찰에 의한 결합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화되는 경우에도, 치아와의 결합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적 고정부를 병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구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보조적 고정부를 원형의 돌기 형태의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써 미세 운동이 가능하여 착용 상태에서도 움직임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는 구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강 장치는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와, 상악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홈과, 하악 치아가 삽입되어 상기 하악이 소정 거리 전방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홈과, 상기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치아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치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홈은, 상기 하악 치아 중 좌우 어금니들의 적어도 일부가 마찰력을 통하여 강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하악의 치아 중 적어도 일부의 홈에 고정용 부재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의료용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홈은, 상기 상악 치아와 강하게 맞물리지 않도록 상기 상악 치아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홈은 상기 하악 치아 중 좌우 어금니들을 제외한 나머지 하악 치아를 거치하도록 형성된 하악 전치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하악 전치 홈의 경계는 송곳니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악 전치 홈은 하악의 앞니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하악의 앞니들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하악 전치 홈이 상기 하악의 앞니들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수직방향으로 0.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상기 하악 전치 홈이 상기 하악의 앞니들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수평 방향으로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상기 치아 가이드부는 상악 또는 하악의 어금니 영역에서 연장된 길이가 상악 또는 하악의 앞니 영역에서 연장된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부재는 상악 또는 하악 또는 상하악 모두의 치아와 치아 사이의 치간에 결착될 수 있는 핀 형상의 치과용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용 부재는 금속,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영역에 중첩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고정부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용 부재가 위치하는 곳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용 부재를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는 조절용 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는 사용자의 혀가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부에 형성된 혀끝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는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와, 상악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홈과, 하악 치아가 삽입되어 상기 하악이 소정 거리 전방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홈과, 상기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치아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치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홈은, 상기 상악 치아 중 좌우 어금니들의 적어도 일부가 마찰력을 통하여 강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상악의 치아 중 적어도 일부의 홈에 고정용 부재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에 의하면, 어금니 부분과의 마찰력에 의한 제1 고정부와과 고정용 돌기를 이용한 제2 고정부를을 병행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마찰력에 의한 결합력이 감소하더라도 사용자의 치아에 대한 지속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적 고정부를 원형의 돌기 형태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써 미세운동이 가능하여 착용 상태에서도 움직임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부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구강에 착용한 경우의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황에서 하악(LJ)의 치아(LT)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격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구강에 착용한 상황에서 하악(LJ)의 치아(LT)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격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구강에 착용한 상황에서 하악(LJ)의 치아(LT)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격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상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구치 영역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한 성격,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그 밖의 다른 특정한 성격이나,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부", "위", "아래", "하부", "좌측" 및 "우측"의 방위는 도면에 예시된 각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뜻은 없다. 더욱이,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을 기술하기 위해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지만, 이들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이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하나의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을 다른 요소, 영역 또는 섹션과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1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내용에서 벗어나는 일 없이 제2 요소, 영역 또는 섹션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는 사용자의 상악에 고정시키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악에 고정시키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로 제작될 수 있다. 상악 고정형 또는 하악 고정형에 대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구분하여 기술하지만, 상악 고정형이나 하악 고정형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구강 장치로 통칭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는 사용자의 상악(UJ)에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몸체(200a), 상부 홈(300a), 및, 가이드부(500a)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0a)는 상부 치열(Upper Dentition; UD) 및 하부 치열(Lower Dentition: LD)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a)는 말굽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윗턱을 나타내는 상악(UJ)의 치열(UD)과 아랫턱을 나타내는 하악(LJ)의 치열(LD)이 몸체(200a)에 대응될 수 있다.
상악(UJ)의 치열(UD)에 포함되는 치아(Upper Teeth; UT)는 몸체(200a)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홈(300a)에 삽입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악(LJ)의 치열(LD)에 포함되는 치아(Lower Teeth; LT)는 몸체(200a)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부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에 삽입되기는 하지만 고정되지는 않는다. 몸체(200a)를 이루는 소재는 의료용 레진(Dental Resin)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강에 착용되더라도 문제가 없는 소재라면 실리콘이나 주지의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할 것이다.
몸체(200a)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를 만드는 방법은 사용자의 치아(UT, LT)에 대한 모형을 만든 후 이에 대응되도록 성형하거나,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등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상부 홈(300a)은 몸체(200a)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홈(300a)에는 상악(UJ)의 치열(UD)에 포함되는 치아(UT)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 홈(300a)은 전체적으로 상악(UJ)의 치열(UD)에 대응되는 형상, 즉 말굽 형상이면서 상악(UJ)의 치열(UD)에 포함되는 각각의 치아(UT)에도 대응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부 홈(300a) 중에서 어금니가 위치하는 부분은 상악(UJ)의 치아(UT)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구치, molar)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제1 고정부(110a)가 형성된다. 제1 고정부(110a)는 상악(UJ)의 치아(UT) 중에서 사용자의 어금니 구조와 간격이 없도록 형성함으로써,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a)의 제1 고정부(110a)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1 고정부(110a)에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는 상악(UJ)의 치아(UT) 중에서 어금니 부분의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홈(300a)과 상악(UJ)의 치아(UT) 사이에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제1 고정부(110a)에 삽입된 어금니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의 상부 홈(300a)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제1 고정부(110a) 내에는 제1 고정부(110a)의 결합력보다 적거나 동일한 수준의 결합력을 가지는 제2 고정부(1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122a)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를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해, 제1 고정부(110a)가 마모되거나 이완되어 상악(UJ)의 어금니 부분에 대한 마찰력이 줄어들더라도,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가 상악(UJ)의 어금니 부분에 대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제2 고정부(122a)와 상악(UJ)의 어금니 사이의 결합력은 제1 고정부(110a)의 결합력보다 낮은 결합력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 고정부(110a)의 결합력과 동일한 수준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고정부(122a)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악(UJ)의 어금니 부분에 결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악(UJ)의 어금니에 대한 마찰력 이외에 다른 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예를 들어, 상부 홈(300a)에 상악(UJ)의 치아(UT)가 삽입되는 경우, 상악(UJ)의 치아(UT) 중에서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의 잇몸 부위인 치간에 결착될 수 있도록 핀 형상의 고정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핀 형상의 고정용 돌기는 금속 재질 또는 높은 강도를 가지는 세라믹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치과용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2 고정부(122a)를 치과용 와이어를 이용한 고정용 돌기로 형성하는 경우, 치간 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끝 부분은 치간의 홈에 해당하는 크기를 가지는 원형 돌기로 형성될 것이다. 또한, 원형 돌기에서 연장된 와이어 일부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의 몸체(200a) 내부에 매몰되어 제2 고정부(122a)가 구강 장치(100a)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의 착용자는 제2 고정부(122a)의 원형 돌기 부분을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의 치간에 결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122a)의 외측면에 조절용 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고정부(122a)의 원형 돌기 부분이 어금니의 치간에 제대로 결착되지 않은 경우에, 착용자가 그 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착용자는 조절용 홈(120a)을 통해 제2 고정부(122a)의 위치 또는 결착 상태를 수정하거나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용 홈(120a)은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의 결합 상태를 고려하여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와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하악(LJ)에 고정될 수 있도록 몸체(200b), 하부 홈(400b), 및, 가이드부(500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0b)와 가이드부(500b)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와 대칭이 되면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 홈(400b)은 몸체(200b)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홈(400b)에는 하악(LJ)의 치열(LD)에 포함되는 치아(LT)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부 홈(400b)은 전체적으로 하악(LJ)의 치열(LD)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말굽 형상이면서 하악(LJ)의 치열(LD)에 포함되는 각각의 치아(LT)에도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홈(400b)을 몸체(200b)의 하부에 형성하는 방법은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의 상부 홈(300a)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하악 치아(LT) 모형을 만든 후 이에 대응되도록 성형하거나,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등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의 하부 홈(400b)에도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고정부(110b)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홈(400b)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110b)는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사용자의 어금니 구조와 간격이 없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악(LJ)의 치아(LT) 중 어금니 부분을 하부 홈(400b)의 제1 고정부(110b)에 밀착되게 끼우면 마찰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10b)가 하악(LJ)의 어금니 부분에 결합된 이후에는, 하부 홈(400b)과 하악(LJ)의 어금니가 형성하는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하악(LJ)의 어금니 부분이 하부 홈(400b)으로부터 분리되지는 않을 것이다.
제1 고정부(110b) 내에는 제1 고정부(110b)의 결합력보다 적거나 동일한 수준의 결합력을 가지는 제2 고정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홈(400b)에 형성되는 제2 고정부(122b)는 제1 고정부(110b)가 마모되거나 이완되어 하악(LJ)의 어금니 부분에 대한 마찰력이 줄어들더라도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와 하악(LJ)의 어금니 부분에 대한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결합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2 고정부(122b)와 하악(LJ)의 어금니 사이의 결합력은 제1 고정부(110b)의 결합력보다 낮은 결합력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제1 고정부(110b)의 결합력과 동일한 수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고정부(122b)는 하악(LJ)의 어금니와 어금니 사이의 잇몸과 만나는 부위인 치간에 결착될 수 있는 핀 형상의 고정용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핀 형상의 고정용 돌기는 금속 재질 또는 높은 강도를 가지는 세라믹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치과용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의 경우, 하악(LJ)의 어금니 부분이 하부 홈(400b)의 제1 고정부(110b)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반면, 상부 홈(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은 상악(UJ)의 치아(UT)가 삽입될 수는 있지만 상악(UJ)의 치아(UT)를 고정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의 착용자는 제2 고정부(122b)의 원형 돌기 부분을 어금니의 치간에 결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122b)의 외측면에 조절용 홈(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을 형성할 수도 있고 아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조절용 홈을 통해 제2 고정부(122b)의 위치 또는 결착 상태를 수정하거나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조절용 홈은 반드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의 결합 상태를 고려하여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에 있어서, 제1 고정부(110b)에 대한 단면(도 2에서 B-B'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하부 홈(400b)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110b)는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 부분과 마찰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홈(400b)과 마찰력으로 결합되는 부분은 어금니의 치관 부분이 될 것이다. 또한, 제1 고정부(110b)는 제2 고정부(122b)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2 고정부(122b)는 하악(LJ)의 어금니 중에서 치간(121) 부분에 결착될 수 있는 고정용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용 돌기는 몸체(200b)에 매몰되어 고정되는 와이어 부분과 하악(LJ)의 어금니와 잇몸 사이의 치간(121) 부분에 고정되는 원형 돌기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는 하부 홈(400b)에 고정용 돌기를 구비하지만,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는 상부 홈(300a)에 고정용 돌기를 구비하게 될 것이다. 제2 고정부(122b)가 핀 형상의 고정용 돌기로 이루어져서, 원형 돌기 부분이 하악(LJ) 어금니의 치간(121) 부분에 결합되는 경우, 마찰에 의한 제1 고정부(110b)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1 고정부(110b)의 마찰력이 약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b)는 안정적으로 착용자의 치아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구강에 착용한 경우의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여기에서, 구강 장치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일 수도 있고,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일 수도 있다(구강 장치를 통칭하여 도면 부호 10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 중에서, 한 가지 형태의 구강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방향만 달리 하여 다른 형태의 구강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의 경우,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b)에 삽입되면 하악(LJ)이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하악(LJ)의 앞니가 상악(UJ)의 앞니보다 소정 거리만큼 앞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 결과, 하악(LJ)에 부착된 혀(TO)도 하악(LJ)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혀(TO)가 기도(Air Way; AW)를 막지 않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혀(TO)가 기도(AW)를 막지 않는 상태에서는 기도(AW)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면 중에 혀(TO)가 기도(AW)를 막아서 발생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의 하부 홈(400b)에 하악(LJ)의 어금니 부분이 마찰력으로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로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황에서 하악(LJ)의 치아(LT)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격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를 착용하는 경우, 상부 홈(300a)의 제1 고정부(110a)에 상악(UJ)의 치아(UT) 중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가 고정되고, 하부 홈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D1, D2) 이격되며, 가이드부가 몸체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반면,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를 착용하는 경우, 하부 홈(400b)의 제1 고정부(110b)에 하악(LJ)의 치아(LT) 중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가 고정되고, 상부 홈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D1, D2) 이격되며, 가이드부가 몸체로부터 상악(UJ)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 또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는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에도 하악(LJ)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앞니 방향의 일부 치아(LT)가 하부 홈(400)으로부터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D1, D2)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 홈(400)과 하악(LJ)의 치아(LT)와의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간격(D1,D2)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 내에서 이탈되어 아래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하악(LJ)도 아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하악(LJ)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도 하악(LJ)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주변 근육과 인대의 경직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부(500)가 하악(LJ)의 치아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고 다시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부 홈(400)에 삽입되는 자연스러운 상하 운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악(LJ)의 왕복운동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를 착용한 수면 중에 반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관련된 근육과 인대의 경직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는 사용자가 이를 장시간 착용한다고 하더라도 구강 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경직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통증이나 부정 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기도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좋아지기 때문에,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 등을 치료할 수 있다.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1)은 0.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자연스러운 상악(UJ)의 치아(UT)와 하악(LJ)의 치아(LT) 사이의 수면 중 간격과 관련하여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약 2mm 내지 4mm일 수 있다. 한편, 상부 홈(300)과 하부 홈(400) 사이의 간격은 약 1.5mm 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1)이 0.5mm 미만이면, 상악(UJ)의 치아(UT)와 하악(LJ)의 치아(LT) 사이의 간격이 자연스러운 간격인 2mm 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뇌는 상악(UJ)의 치아(UT)와 하악(LJ)의 치아(LT) 사이에 끼어 있는 몸체(200)를 음식물로 판단하여 음식물을 치아로 씹어 잘게 부수는 저작운동(masticatory movement)을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1)은 0.5mm 내지 2.5mm가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2)은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하부 홈이 하악(LJ)의 치아(LT)와 양쪽의 수평 방향 중에서 일측의 간격(D2)이 0.3mm 내지 0.5mm 이므로, 양측으로는 0.6mm 내지 1.0mm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2)이 0.3mm 미만이면,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의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고,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 내에서 이탈되어 아래로 이동되어야 할 때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2)이 0.5mm를 초과하면,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는 있으나,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2)은 0.3mm 내지 0.5mm가 바람직하다.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1, D2)의 범위는, 사용자에 따라 전체 교합면의 기울기 각도나, 치아의 돌출 정도, 치아가 전후 안팍으로 기울어진 상태 또는 치아가 전체 치열에서 벗어난 위치에 따라 상기 기준이 되는 값에서 그 범위를 변경시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홈(400)은 하악(LJ)의 치아(LT)와 전후의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도 있지만 좌우의 수평 방향으로도 이격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500)는 몸체(200)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500)는 몸체(200)로부터 3mm 내지 5mm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500)가 몸체(20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개인의 구강상태에 따라 어떠한 길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 또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를 착용하는 경우, 하악(LJ)의 치아(LT)가 소정 거리를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하악(LJ)의 치아(LT)가 자연스럽게 하부 홈(400)으로부터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악(LJ)의 이동은 가이드부(500)가 하악(LJ)의 치아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아래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고 다시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부 홈(400)에 삽입되는 자연스러운 상하 운동이 이루어진다. 이 때, 가이드부(500)는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에 용이하고 바르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부(500)는 몸체(200)의 안쪽에서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어금니 잇몸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5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기능을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구강에 착용한 상황에서 하악(LJ)의 치아(LT)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격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의 실시예는 하부 홈(400)에 하악(LJ)의 치아(LT)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부 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D1, D2) 이격되며, 가이드부(500)가 몸체(200)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를 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에도 동일한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는 하부 홈(400)의 제1 고정부(110)에 하악(LJ)의 치아(UT) 중에서 어금니 부분이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부(110b) 내에 형성된 고정용 돌기가 제2 고정부(122b)로서 추가적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하부 홈(400)은 하악(LJ)의 치아(LT)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하악(LJ)의 치아(LT)와 어금니의 일부 구간에서 간격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110b)에 의해 하악(LJ)의 치아(LT) 중 어금니 부분이 하부 홈(400)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고, 제1 고정부(110b)가 마모되거나 느슨해지는 경우에도 제2 고정부(122b)에 의해 추가적인 결합력을 제공한다. 그 결과, 하부 홈(400)의 제1 고정부(110b)와 하악(LJ)의 어금니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력 및 제2 고정부(122b)의 고정용 돌기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하악(LJ)의 치아(LT)는 하부 홈(4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상부 홈(300)은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500)는 몸체(200)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의 경우, 상악(UJ)의 치아(UT)는 상부 홈(300)에 삽입될 수 있지만,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에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와 함께 하악(LJ)이 아래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하악(LJ)이 구강 장치(100)와 함께 아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부(500)가 상부 홈(300) 내에서 이탈된 상악(UJ)의 치아(UT) 중 일부의 어금니에 닿게 되면, 하악(LJ)은 이동을 멈추게 된다. 이후, 상악(UJ)은 경직된 다른 근육과 인대의 이완을 위해서 이탈 전의 위치인 상부 홈(300)에 삽입되고, 하악(LJ)은 자연스럽게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500)는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에 용이하고 바르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하악(LJ)의 왕복 운동은,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면 중에 반복될 수 있으므로, 하악(LJ)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발생된 근육과 인대의 경직을 이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 상부 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1)은 0.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2)은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구강에 착용한 상황에서 하악(LJ)의 치아(LT)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이격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는 상부 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되고,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되며, 가이드부(500)가 몸체(200)로부터 아래와 위로 소정 거리 연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구강 장치(100)는 상악(UJ)의 치열(UD) 또는 하악(LJ)의 치열(LD)이나 이에 포함되는 치아(UT, LT)의 상태가 부실하여 상부 홈(300)이나 하부 홈(400)에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경우, 치아가 소실될 염려가 있거나 상악이나 하악의 치관 길이가 짧아서, 제1 고정부(110)에 의해 충분한 마찰력을 얻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고정부(110)의 약한 마찰력을 보완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122)에 의한 결합력을 충분히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면 중의 자세 등에 따라 상악(UJ)의 치아(UT) 또는 하악(LJ)의 치아(LT) 중 어느 하나가 상부 홈(300)이나 하부 홈(400)에 더 밀착될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적게 밀착되는 측이 상부 홈(300) 또는 하부 홈(40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직된 근육과 인대를 이완하기 위해서 하악(LJ)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a)에 의해 상악(UJ)의 치아(UT) 중 어금니 부분이 제1 고정부(110a) 및 제2 고정부(122a)에 의해 상부 홈(300)에 상대적으로 강한 결합력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 5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하악(LJ)이 왕복 운동을 할 수 있고, 반대로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에 의해 하악(LJ)의 치아(LT) 중 어금니 부분이 제1 고정부(110b) 및 제2 고정부(122b)에 의해 하부 홈(400)에 상대적으로 강한 결합력을 가지는 경우에는, 도 7의 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하악(LJ)이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하악(LJ)의 왕복운동은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면 중에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악(LJ)의 전방 이동과 하악(LJ)의 움직임에 의해서 관련 근육과 인대의 경직이 이완될 수 있으며, 구강 장치(100)를 착용하더라도 통증이나 부정 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도(AW)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 등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부 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1)과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1)은 0.5mm 내지 2.5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2) 및 하부 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D2)은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이 경우의 상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는 의료용 레진과 기타 인체에 안전한 재질 등으로 몸체(200b)를 형성할 수 있다. 몸체(200b)는 상부 홈(300b), 치아 가이드부(311b, 312b), 하부 홈(400b), 혀끝 거치부(6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홈(400b)은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구치(어금니)가 마찰력으로 결합되는 하악 구치 고정 홈(411b, 412b) 및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전치(앞니)가 거치되는 하악 전치 홈(42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악 구치 고정 홈(411b, 412b)은 전술한 제1 고정부(110b)에 포함되는 부분이다.
하악 구치 고정 홈(411b, 412b)에는 하악(LJ)의 좌우 어금니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마찰력을 통하여 강하게 맞물린다. 반면, 하악 전치 홈(420b)에는 하악(LJ)의 앞니 부분이 거치되지만, 앞니가 하악 전치 홈(420b)의 내측에 맞물리지는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악 구치 고정 홈(411b, 412b)과 하악 전치 홈(420b)의 경계는 좌측 송곳니와 우측 송곳니가 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부(122b)를 구성하는 핀 형상의 고정용 돌기는 제1 고정부(110b)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하악 구치 고정 홈(411b, 412b)과 하악 전치 홈(420b)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는 하악(LJ)의 어금니 부분에 대한 마찰력과 제2 고정부(122b)를 이용한 보조 결합력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부 홈(300b)과 하부 홈(400b)은 각각 상악(UJ)의 치아(UT)와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전치 영역을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를 착용한 사용자는 이를 착용하기 이전보다 하악(LJ)의 치아(LT)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부 홈(400b)을 사용자의 정상적인 교합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이에 따라,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를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하악(LJ)의 치아(LT)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 사용자의 기도(AW)가 넓어지게 되어 수면 호흡시에도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수면 중 코골이 방지 및 완화에 도움이 된다.
치아 가이드부(311b, 312b)는 상악(UJ)의 치열(UD) 또는 하악(LJ)의 치열(LD)이 이동하더라도 몸체(200b)의 상부 홈(300b)이나 하부 홈(400b) 내에서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에서 상악(UJ)의 치열(UD)은 상부 홈(300b)에 강하게 맞물리거나 상부 홈(300b) 내측면에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악(UJ)의 치열(UD)이 상부 홈(300b)을 벗어나 일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를 장시간 착용한다고 하더라도, 구강 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경직되지 않을 수 있으며, 구강 주변의 근육과 인대의 경직에 의해서 발생하는 통증이나 부정 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악(UJ)의 치열(UD)이나 하악(LJ)의 치열(LD)이 상부 홈(300b)이나 하부 홈(400b) 내에서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치아 가이드부(311b, 312b)는 상악(UJ)의 치아(UT) 또는 하악(LJ)의 치아(LT)의 측면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몸체(200b)로부터 연장되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치아 가이드부(311b, 312b)는 상악(UJ) 또는 하악(LJ)의 어금니(구치) 연장 길이가 앞니(전치)의 연장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혀끝 거치부(600b)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 내에서 사용자의 혀끝이 안정적으로 구강의 전방에 안착할 수 있도록 공동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구강 장치 등 각종 구강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혀가 수납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지 않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혀를 안정적으로 거치하지 못함으로써 혀가 원래 뒤쪽의 후방 위치로 이동하거나, 구강장치에 대한 적응력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b)에서는 사용자의 혀끝이 안정적으로 전방에 안착될 수 있는 혀끝 거치부(600b)를 두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구치 영역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도 10에서 사용자의 좌측 어금니 부분과(A' 지점)과 우측 어금니 부분(A 지점)을 잇는 직선을 포함하는 평면 중 사용자의 정면과 법선 방향인 평면으로써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악(LJ)의 좌측 어금니는 좌측의 하악 구치 고정 홈(411b)의 내측면에, 하악(LJ)의 우측 어금니는 우측의 하악 구치 고정 홈(412b)의 내측면에 각각 거치된다. 또한, 하악(LJ)의 어금니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악 구치 고정 홈(411b, 412b)의 내측면에 마찰력을 통하여 강하게 맞물림으로써, 구강 장치(100b)가 지나치게 용이하게 사용자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하악 구치 고정 홈(411b, 412b), 즉, 제1 고정부(110b)와 함께 추가로 핀 형상의 고정용 돌기를 제2 고정부(122b)로 이용함으로써,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100b)와 하악(LJ)의 치아(LT)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악(UJ)의 어금니들은 상부 홈(300b)에 거치되기는 하지만, 하악(LJ)의 어금니들과 달리 상부 홈(300b)의 내측면에 강하게 맞물리지는 않는다. 또한, 상악(UJ)의 어금니들이 상부 홈(300b)에서 벗어났다가 다시 상부 홈(300b) 내의 제자리로 안착할 수 있도록, 몸체(200b)의 상부 홈(300b) 좌우로 각각 상악 치아 가이드부(311b, 312b)가 형성된다. 상악 치아 가이드부(311b, 312b)는 도 12와 같이, 구강 장치(100b)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내측면에 형성하거나, 외측면과 내측면 모두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하악(LJ)의 전방 이동으로 인해 수면 중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하악(LJ)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악(LJ)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근육과 인대의 경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어금니 부분과의 마찰력에 의한 제1 고정부와 고정용 돌기를 이용한 제2 고정부를 병행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마찰력에 의한 결합력이 감소하더라도 사용자의 치아에 대한 지속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구강 장치를 장기간 착용하더라도 통증이나 부정 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도(AW)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구강 장치
100a: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
100b: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
110, 110a,110b: 제1 고정부
122, 122a, 122b: 제2 고정부
200, 200a, 200b: 몸체 300, 300a, 300b: 상부 홈
311b, 312b: 치아 가이드부
400, 400a, 400b: 하부 홈 411, 411b, 412b: 하악 구치 고정 홈
420b: 하악 전치 홈 500: 가이드부
600b: 혀끝 거치부

Claims (15)

  1.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
    상악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홈;
    하악 치아가 삽입되어 상기 하악이 소정 거리 전방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홈; 및
    상기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치아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치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홈은, 상기 하악 치아 중 좌우 어금니들의 적어도 일부가 마찰력을 통하여 강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하악의 치아 중 적어도 일부 치아들의 치간에 고정용 부재가 결착되도록 형성된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진 구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의료용 소재, 또는 의료용 레진으로 이루어진 구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홈은, 상기 상악 치아와 강하게 맞물리지 않도록 상기 상악 치아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구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홈은 상기 하악 치아 중 좌우 어금니들을 제외한 나머지 하악 치아를 거치하도록 형성된 하악 전치 홈을 더 포함하는 구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하악 전치 홈의 경계는 송곳니를 기준으로 하는 구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전치 홈은 하악의 앞니들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하악의 앞니들로부터 이격되는 구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전치 홈이 상기 하악의 앞니들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수직방향으로 0.5mm 내지 2.5mm인 구강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 전치 홈이 상기 하악의 앞니들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수평 방향으로 0.3mm 내지 0.5mm인 구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가이드부는 상악 또는 하악의 어금니 영역에서 연장된 길이가 상악 또는 하악의 앞니 영역에서 연장된 길이보다 길도록 형성되는 구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부재는 상기 몸체 내부에 매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서 연장되어, 하악 치아들의 치간에 결착될 수 있는 원형 돌기로 이루어진 핀 형상의 치과용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구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부재는 금속,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구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영역에 중첩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고정부와 인접한 영역에 형성되는 구강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고정용 부재가 위치하는 곳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용 부재를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는 조절용 홈을 구비하는 구강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혀가 안착되도록 상기 몸체의 일부에 형성된 혀끝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장치.
  15.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
    상악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홈;
    하악 치아가 삽입되어 상기 하악이 소정 거리 전방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홈; 및
    상기 상악 치아 또는 하악 치아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치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홈은, 상기 상악 치아 중 좌우 어금니들의 적어도 일부가 마찰력을 통하여 강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1 고정부, 및 상기 상악의 치아 중 적어도 일부 치아들의 치간에 고정용 부재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진 구강 장치.
KR1020170141057A 2017-10-27 2017-10-27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KR102058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057A KR102058104B1 (ko) 2017-10-27 2017-10-27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PCT/KR2017/014503 WO2019083088A1 (ko) 2017-10-27 2017-12-12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US15/838,446 US20190125573A1 (en) 2017-10-27 2017-12-12 Oral appliance
CN201711324079.3A CN109718001A (zh) 2017-10-27 2017-12-13 改善下颚的流动性和牙齿固定性的口腔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057A KR102058104B1 (ko) 2017-10-27 2017-10-27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323A KR20190047323A (ko) 2019-05-08
KR102058104B1 true KR102058104B1 (ko) 2019-12-20

Family

ID=66245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1057A KR102058104B1 (ko) 2017-10-27 2017-10-27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125573A1 (ko)
KR (1) KR102058104B1 (ko)
CN (1) CN109718001A (ko)
WO (1) WO20190830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62A1 (ko) * 2021-06-25 2022-12-29 파사메디 주식회사 구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1248A (zh) * 2019-05-31 2019-09-20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种具有咬合导向的牙齿矫治器
FR3098393B1 (fr) * 2019-07-10 2021-06-04 Philippe Coat Orthèse linguale de type gouttière à dégagement arrière.
TWI782312B (zh) * 2020-08-19 2022-11-01 林易岳 包覆上顎齒的口腔內吞嚥輔具及其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8969A1 (en) 1993-09-29 1995-04-06 Thornton W Keith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and improving breathing
US5683244A (en) 1995-07-10 1997-11-04 Truax; Lloyd H. Dental appliance to correct malocclusion
US20110284011A1 (en) 2008-08-06 2011-11-24 Claude Mauclaire Dental appliance for constraining the tongue
KR101463021B1 (ko) 2013-12-10 2014-11-18 최현진 구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P450598A0 (en) * 1998-07-06 1998-07-30 Palmisano, Richard George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1074536B1 (ko) 2008-12-16 2011-10-17 황청풍 하악 전진장치
KR101154618B1 (ko) 2011-03-16 2012-06-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용 하악 유도 악기능 장치
KR101350568B1 (ko) * 2012-02-22 2014-01-13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AU2013315822A1 (en) * 2012-09-12 2015-02-19 Eduardo Diaz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1301525B1 (ko) 2013-01-23 2013-09-02 최현진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EP3388018B1 (en) * 2015-10-22 2020-09-09 Choi, Hyun-Ji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KR101706648B1 (ko) 2016-08-26 2017-02-14 조용문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8969A1 (en) 1993-09-29 1995-04-06 Thornton W Keith Apparatus for preventing snoring and improving breathing
US5683244A (en) 1995-07-10 1997-11-04 Truax; Lloyd H. Dental appliance to correct malocclusion
US20110284011A1 (en) 2008-08-06 2011-11-24 Claude Mauclaire Dental appliance for constraining the tongue
KR101463021B1 (ko) 2013-12-10 2014-11-18 최현진 구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62A1 (ko) * 2021-06-25 2022-12-29 파사메디 주식회사 구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323A (ko) 2019-05-08
US20190125573A1 (en) 2019-05-02
CN109718001A (zh) 2019-05-07
WO2019083088A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35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вижения вперед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способ и комплек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US8646455B2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positive positioning hinge
JP4936061B2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EP3388018B1 (e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US20070224567A1 (en) Dental orthotic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20099402A (ko) 코골기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구강내 하악 전진 장치
US200300151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ing sleep apnea and related breathing disorders
JP2018519132A (ja) 口腔器具
US20110277774A1 (en) Combination intra oral and extra oral sleep apnea appliance
KR20110073548A (ko) 포지티브 포지셔닝 힌지를 갖는 하악 전방이동 장치
US200501505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dressing sleep apnea and related breathing disorders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US20230065574A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
KR101301525B1 (ko)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KR101990318B1 (ko)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20190027509A (ko)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KR20190069653A (ko)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TWI726787B (zh) 下頜骨調整裝置
JP2005312853A (ja) 閉塞性睡眠時無呼吸症候群や習慣性いびき症の予防と改善の口腔内装置
US20230233360A1 (en) Mandible displacement adjustment device
JP3027299U (ja) 鼾防止装置
JP2023536575A (ja) 下顎骨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