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653A -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653A
KR20190069653A KR1020170167184A KR20170167184A KR20190069653A KR 20190069653 A KR20190069653 A KR 20190069653A KR 1020170167184 A KR1020170167184 A KR 1020170167184A KR 20170167184 A KR20170167184 A KR 20170167184A KR 20190069653 A KR20190069653 A KR 20190069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blocking
teeth
oral appliance
m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현
최현진
박준영
박준원
Original Assignee
박영현
파사메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현, 파사메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영현
Priority to KR102017016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9653A/ko
Priority to PCT/KR2017/014677 priority patent/WO2019112105A1/ko
Priority to US15/841,351 priority patent/US10912670B2/en
Publication of KR2019006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치부와 구치부의 치아 결합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결합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도 구강 운동의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전치부와 구치부의 치아 결합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착용자의 구강 움직임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AL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AT}
본 발명은 구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치부와 구치부의 치아 결합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결합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도 구강 운동의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수면 상태에 들어가면 신체의 근육이 이완되는데, 특히 구강 내의 혀(Tongue)나 목젖(Uvula), 연구개(Soft palate), 편도(Tonsil) 등이 이완되면서 기도를 압박하는 경우에는 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좁아진 기도를 통과하면서 흐름이 빨라지게 되고 그 결과 주변의 연조직(Soft tissue)을 진동시켜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코골이(Snoring)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코골이 현상이 심해지면 수면 중에 기도가 폐쇄되어 일시적으로 호흡을 하지 못하는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ing Apnea; OSA)을 수반하게 된다. 수면 무호흡증은 단위 시간당 수면 무호흡(Apnea: 10초 이상 입과 코에서 공기의 흐름이 멈춘 경우)과 저호흡(Hyponea)을 합친 회수(Apnea Hyponea Index; AHI)가 시간당 5회 이상일 경우를 말하는데, 저산소혈증(Hypoxaemia), 혈액 중 이산화탄소 증가, 뇌졸중, 고혈압, 심박동이상, 돌연사 등의 원인이 되며 당뇨병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뿐만 아니라,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은 숙면을 방해하여 낮 시간에 만성적인 졸음 상태를 유발하며 만성피로를 야기하여 사람의 업무 능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치료 방법이 예전부터 연구되어 오고 있는데, 치료 방법은 크게 외과적 치료와 비외과적 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외과적 치료 방법은 수술을 통하여 기도의 폐쇄 부위를 넓혀 주는 방법인데, 수술에 따른 위험부담이 있고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가능성 및 재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수술을 하고 나면 되돌릴 수 없는 비가역적 치료라는 단점이 있다. 비외과적 치료 방법으로서는 약물 요법과 같은 화학적 방법과 지속적 기도 양압기(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또는 하악 전방 이동 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와 같은 구강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지속적 기도 양압기는 일종의 산소 호흡기와 같은 장비로서, 기도 안으로 강제로 공기를 불어넣어 폐쇄된 기도를 확장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지속적 기도 양압기는 효능 면에서 탁월하지만 초기 구입비용이 많이 들고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는 과정에 심한 불편감을 야기하며 이동 중에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다. 하악 전방 이동 장치는 구강 내에 착용하는 기구로서, 사용자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하악에 부착된 혀가 전방으로 당겨 나오게 하고, 그 결과 혀 뒤쪽 주변의 늘어진 연조직이 펴지면서 기도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하악 전방 이동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기도가 확보되면 흡입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기도 내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주변 연조직이 진동되지 않게 되어 코고는 소리가 줄어들거나 소멸된다. 따라서, 기도로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정상적으로 원활하게 증가되어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강 장치와 관련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074536 호 (하악 전진장치), 등록특허공보 제 10-1154618 호 (교정용 하악 유도 악기능 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 10-1706648 호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등록특허공보 제 10-1074536 호 (하악 전진장치)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아랫니 고정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고, 등록특허공보 제 10-1154618 호 (교정용 하악 유도 악기능 장치)는 장치 내에 마이크로 액튜에이터를 장착하여 하악에 결합되는 블록을 직선으로 왕복 운동을 강제하는 구조인데, 전기적 또는 기구적 이동 장치를 사람의 구강 내에 장착하는 경우에 누전이나 장치의 기계적 요소에 의하여 인체에 손상을 야기할 위험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 10-1706648 호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는 상악(Upper Jaw)과 하악(Lower Jaw)을 분리하는 트윈 블록으로서, 탄성체 등을 이용하여 윗니 고정부와 아랫니 고정부를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상악 및 하악을 분리하는 트윈 블록 구조는 독립된 상악 장치와 하악 장치가 상호 연결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연결 장치가 필요하고, 그 결과 구강 장치의 전체 부피가 커질 뿐만 아니라 정교한 연결 상태를 확보해야 하므로 제작의 어려움이 있고, 연결장치 등의 유지 보수가 까다롭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또한, 상악과 하악 전체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상악 장치와 하악 장치가 접촉하게 될 때 정확한 교합이 이뤄지지 않아 교합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구강 장치는 하악을 전방으로 전진시킴으로써 혀가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당겨져 나와 혀에 의해서 기도에 작용하는 압박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수면 도중에 사용자가 부족한 산소공급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의식적으로 입을 벌릴 경우, 강압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던 하악이 원래 상태로 후퇴하여 코골이 방지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장치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장착된 이후에는 말하기, 입 벌리기, 하품 등이 어려워 불편하며 턱관절 디스크에 과도한 하중이 걸리면서 측두근을 포함하여 흉쇄 유돌근, 승모근, 저작근 같은 인접 근육계에 통증을 유발하고 턱관절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부작용은 상악 및 하악을 분리하는 트윈 블록 뿐만 아니라 상악과 하악을 하나의 몸체에 수용하는 모노 블록의 구조에도 동일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치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악에 고정하되 하악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구장 장치를 등록특허공보 제 10-1301525 호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 일체형 하악 전진 코골이 방지 구강장치), 및 등록특허공보 제 10-1463021 호 (구강장치)로 등록받은 바가 있다. 그런데, 하악의 유동성 또는 운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치(어금니)는 구강 장치에 고정되도록 밀착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전치(앞니)는 상하 운동에 의한 유동성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착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코골이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 10-1074536 호 (2011.10.17) 등록특허공보 제 10-1154618 호 (2012.06.08) 등록특허공보 제 10-1706648 호 (2017.02.14) 등록특허공보 제 10-1301525 호 (2013.09.02) 등록특허공보 제 10-1463021 호 (2014.11.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치부와 구치부의 치아 결합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결합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도 구강 운동의 편의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강 장치 제조 방법은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와, 치아 복제물에 대하여 블로킹을 형성하는 단계와, - 여기에서, 상기 블로킹 마진은 전치부와 구치부를 구분하여 다르게 적용함 -, 블로킹이 형성된 치아 복제물을 이용하여 구강 장치를 설계하는 단계와, 설계된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는 의료용 물질을 이용하여 치아 외형과 주변 조직을 복제하는 단계와, 상기 복제된 치아 외형과 주변 조직에 석고를 고형화하여 치아 석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치아 석고를 이용하여 치아 복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와 주변 조직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는 의료용 물질을 이용하여 치아 외형과 주변 조직을 복제하는 단계와, 상기 복제된 치아 외형에 석고를 고형화하여 치아 석고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치아 석고를 3차원으로 촬영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 복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아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구강을 3차원으로 스캔 또는 촬영하여 치아 구조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 복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을 형성하는 단계는 블로킹 형성 영역이 전치부인 경우, 앞니의 에지 면에 대한 수직선과 접선 사이의 공간을 블로킹 마진으로 하여 블로킹의 두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로킹 마진에 따라 전치부의 표면에 블로킹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마진은 상기 앞니의 에지 면으로부터 2.5mm 이내의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블로킹을 형성하는 단계는 블로킹 형성 영역이 구치부인 경우, 어금니의 최대폭을 블로킹 마진으로 하여 블로킹의 두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블로킹 마진에 따라 구치부의 표면에 블로킹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로킹 마진은 상기 어금니의 측면으로부터 2mm 이내의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강 장치를 설계하는 단계는 블로킹이 형성된 치아와 주변 조직의 복제물을 3차원으로 스캔 또는 촬영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블로킹이 형성된 치아 복제물의 외부에 의료용 물질을 도포 또는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설계된 데이터에 따라 3차원 프린터, 캐드, 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장치는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와, 상악의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홈과, 하악의 치아가 삽입되어 상기 하악이 소정 거리 전방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홈과, 상기 상악의 치아 또는 하악의 치아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치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홈 또는 하부 홈에서 앞니에 대응되는 전치부는 상기 앞니의 에지 면에 대한 수직선과 접선 사이의 공간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홈 또는 하부 홈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에 대응되는 구치부는 상기 어금니의 최대 폭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내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의료용 레진이나 실리콘을 포함하는 인체에 안전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치부는 상기 앞니의 에지 면으로부터 2.5 mm 이내의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치부는 상기 어금니의 측면으로부터 2 mm 이내의 이격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전치부와 구치부의 치아 결합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치아에 대한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도 착용자의 구강 움직임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황의 단면도와 전치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전치부에서 블로킹 마진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전치부에 블로킹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황의 단면도와 구치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구치부에 블로킹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 제조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치아의 인상을 복제하는 과정의 세부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치아 복제물에 블로킹을 형성하는 과정의 세부 흐름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한 성격,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그 밖의 다른 특정한 성격이나,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부", "위", "아래", "하부", "좌측" 및 "우측"의 방위는 도면에 예시된 각 요소의 상대적인 위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뜻은 없다. 더욱이, "제1", "제2", "제3", "제4" 등의 용어는 다양한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을 기술하기 위해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지만, 이들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이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는 단지 하나의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을 다른 요소, 영역 또는 섹션과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1 요소, 영역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내용에서 벗어나는 일 없이 제2 요소, 영역 또는 섹션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는 사용자의 상악에 고정시키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로 제작될 수도 있고, 하악에 고정시키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로 제작될 수 있다.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 또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를 개별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구분하여 기술하지만,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 또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구강 장치로 통칭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는 몸체(200), 상부 홈(300), 하부 홈(400) 및, 가이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0)는 상부 치열(Upper Dentition; UD) 및 하부 치열(Lower Dentition: LD)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는 말굽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위 턱을 나타내는 상악(UJ)의 치열(UD)과 아래 턱을 나타내는 하악(LJ)의 치열(LD)이 몸체(200)에 대응될 수 있다. 몸체(200)를 이루는 소재는 의료용 레진(Dental Resin)이나 실리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강에 착용되더라도 문제가 없는 소재라면 실리콘이나 주지의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할 것이다. 몸체(200)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를 만드는 방법은 사용자의 치아(UT, LT)와 주변조직에 대한 모형을 만든 후 이에 대응되도록 성형하거나,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등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상악(UJ)의 치열(UD)에 포함되는 치아(Upper Teeth; UT)는 몸체(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홈(300)에 삽입되며, 하악(LJ)의 치열(LD)에 포함되는 치아(Lower Teeth; LT)는 몸체(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홈(400)에 삽입된다.
이 때, 구강 장치(100)는 사용자의 상악(UJ)에 고정되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 또는 하악(LJ)에 고정되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는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에 삽입될 때, 어금니에 해당하는 구치(molar) 부분이 고정되도록 밀착되지만, 하악(LJ)의 치아(LT)는 하부 홈(400)에 삽입될 수는 있지만 구치(어금니) 부분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는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에 삽입될 때, 어금니에 해당하는 구치 부분이 고정되도록 밀착되지만, 상악(UJ)의 치아(UT)는 구치(어금니) 부분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 홈(300) 내에서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홈(300)은 몸체(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경우,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 홈(300)은 전체적으로 상악(UJ)의 치열(UD)에 대응되는 형상, 즉 말굽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악(UJ)의 치열(UD)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부 홈(300) 중에서 어금니가 위치하는 구치부는 상악(UJ)의 치아(UT)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어금니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부 홈(300)의 구치부는 상악(UJ)의 치아(UT) 중에서 사용자의 어금니 구조와 간격이 없도록 형성함으로써,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의 구치부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는 상악(UJ)의 치아(UT) 중에서 어금니 부분이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부 홈(300)과 상악(UJ)의 치아(UT) 사이에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구치부에 삽입된 어금니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상부 홈(3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이 때, 하악(LJ)의 치아(LT)는 하부 홈(400) 내부로 이동될 수는 있지만 밀착되거나 고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반면에,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경우에는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부 홈(400)은 전체적으로 하악(LJ)의 치열(LD)에 대응되는 말굽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하부 홈(400) 중에서 어금니가 위치하는 구치부는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하나 이상의 어금니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하부 홈(400)의 구치부는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사용자의 어금니 구조와 간격이 없도록 형성함으로써,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의 구치부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는 하악(LJ)의 치아(LT) 중에서 어금니 부분이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 홈(400)과 하악(LJ)의 치아(LT) 사이에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구치부에 삽입된 어금니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하부 홈(4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이 때, 상악(UJ)의 치아(UT)는 상부 홈(300) 내부로 이동될 수는 있지만 밀착되거나 고정되지는 않는다.
이 때, 어금니와 밀착 고정되는 구치부와 달리, 앞니가 위치하는 전치부는 앞니가 상하 운동을 비교적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앞니와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이격 거리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전치부와 구치부에 대한 치아 결합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강 장치를 착용하는 사용자는 어금니 부분이 구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앞니가 전치부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편안한 착용 및 구강 운동이 가능하다.
가이드부(500)는 몸체(200)의 안쪽이나 바깥쪽에서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에 용이하고 바르게 삽입되거나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몸체(200)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몸체(200)로부터 3mm 내지 5mm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500)가 몸체(20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개인의 구강상태에 따라 어떠한 길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5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기능을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황의 단면도와 전치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상부 홈(300)의 고정부에 상악(UJ)의 치아(UT) 중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가 고정되고, 전치부에 위치하는 하악(LJ)의 치아(LT)는 하부 홈(400) 내의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D)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하부 홈(400)에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다. 이 때, 하악(LJ)의 치아(LT)뿐만 아니라 상악(UJ)의 치아(UT)도 상부 홈(30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상부 홈(300)에 삽입되거나 상부 홈(300)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구치부는 사용자의 어금니 부분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지만, 전치부의 앞니 부분은 상부 홈(300) 또는 하부 홈(400) 내에서 일정 간격(D)의 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에, 타원형을 그리며 상하 운동을 하는 앞니가 마찰없이 구강 장치(100)에 안정적으로 착탈될 수 있다.
반면,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경우에는 하부 홈(400) 중에서 어금니가 위치하는 고정부에 하악(LJ)의 치아(LT) 중 적어도 하나의 어금니가 밀착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D)으로 이격되어 착탈되거나,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D)으로 이격되어 착탈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500)는 몸체(200)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상부로 연장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500)는 몸체(200)로부터 3mm 내지 5mm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500)가 몸체(20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개인의 구강 상태에 따라 어떠한 길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이 때,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D) 또는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D)는 상악(UJ)의 치아(UT) 또는 하악(LJ)의 치아(LT)가 움직이는 궤적 및 방향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구강 운동에 불편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효율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전치부에서 블로킹 마진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는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 홈(30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D) 또는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 홈(400) 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D)를 결정한 후 이를 구강 장치(100) 제조 과정에서 블로킹을 적용하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는 상악 고정형인 경우에는 상악의 구치부에 상악의 어금니 중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고, 하악 고정형인 경우에는 하악의 구치부에 하악의 어금니 중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면에, 전치부는 상악의 치아(UT) 중 앞니 또는 하악의 치아 중 앞니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상하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앞니의 상하 운동은 수직 운동이 아닌 완만한 포물선을 그리는 상하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악의 앞니 또는 하악의 앞니는 구강 장치(100)의 전치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앞니의 표면 구조와 포물선 궤적을 고려하여 상부 홈(300) 또는 하부 홈(400)의 구조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악(UJ)의 치아(UT)를 기준으로 살펴볼 때, 앞니가 최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는 구강 장치(100)의 상부 홈(300)에 앞니가 삽입된 경우에 앞니의 최전방 에지 면에 수직한 선분(L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최전방 수직 선분(L1)은 앞니가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경계선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부 홈(300)의 내부 마진은 앞니의 최전방 수직 선분(L1)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반면에, 앞니가 상부 홈(300)에서 이탈하는 경우에 앞니는 완만한 포물선을 그리면서 상부 방향으로 후진하기 때문에, 앞니가 이탈하는 경계면은 앞니의 최전방 에지 면이 그리는 포물선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즉, 앞니가 상부 홈(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최전방 에지 면의 접선(L2)을 그릴 때, 이러한 접선(L2)을 기준으로 그 안쪽 부분이 앞니가 존재하는 구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장치(100)의 상부 홈(300)에서 앞니와 내부면의 공간은 앞니가 구강 장치(100)의 상부 홈(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최전방 에지 면의 수직선(L1)과 접선(L2)이 이루는 사이 공간(S)을 내부 마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마진은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앞니의 표면과 상부 홈(300)의 내벽 사이의 블로킹 마진을 설계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하악의 앞니와 하부 홈(400) 사이의 내부 마진을 설계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홈(300) 또는 하부 홈(400)의 내벽과 앞니의 표면이 이격되는 간격(D)은 2.5mm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전치부에 블로킹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는 사용자의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여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여기에 블로킹(600)을 형성한 상태에서 블로킹(600) 외부 경계를 기준 수치로 하여 구강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치아 모형의 전치부 외면에 부착하는 블로킹(600)의 두께는 위에서 결정한 블로킹 마진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치아 모형의 전치부 외면에 부착하는 블로킹(600)의 두께는 앞니의 표면으로부터 최전방 에지 면의 수직선(L1)과 접선(L2)이 이루는 사이 공간(S)에 해당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블로킹(600)은 앞니의 외면으로부터 최전방 에지 면의 수직선(L1)과 접선(L2)이 이루는 사이 공간(S)까지의 두께(M1)를 가지게 될 것이다. 앞니의 외면으로부터 최전방 에지 면의 수직선(L1)과 접선(L2)이 이루는 사이 공간(S)에 블로킹(600)을 형성한 상태에서, 블로킹(600)의 외면 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구강 장치(100)를 설계한 후에 제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와 같이 제조된 구강 장치(100)를 착용하는 경우, 상악 또는 하악의 앞니가 상부 홈(300) 또는 하부 홈(400)에 삽입되더라도 상부 홈(300) 또는 하부 홈(400)의 내벽에 앞니가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앞니가 내벽에 마찰되지 않으면서 상부 홈(300) 또는 하부 홈(400)에서 이탈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앞니의 상하 운동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구강 장치(100)를 착용하는데 따른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를 착용한 상황의 단면도와 구치부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구강 장치(100)는 상악 고정형 구강 장치일 수도 있고,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일 수도 있다. 이 중에서, 한 가지 형태의 구강 장치를 기준으로 설명이 이루어지더라도 그 방향만 달리 하여 다른 형태의 구강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하악 고정형 구강 장치의 하부 홈(400)에 하악(LJ)의 어금니 부분이 마찰력으로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로 도시하였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는 어금니 부분에 해당하는 하부 홈(400)의 고정부에 하악(LJ)의 치아(UT) 중에서 어금니 중 적어도 하나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홈(400)의 고정부와 하악(LJ)의 어금니 사이에 형성되는 마찰력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하악(LJ)의 치아(LT)는 하부 홈(4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상악(UJ)의 치아(UT)는 상부 홈(300)에 삽입될 수 있지만, 고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상하 이동이 이루어질 것이다.
전치부는 앞니가 완만한 포물선을 이루는 상하 운동을 하지만, 구치부는 어금니가 별도의 운동이 없이 마찰력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앞니와 달리 어금니의 운동을 고려하지 않고 어금니의 폭에 밀착되는 형태로 블로킹 마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구치부의 블로킹 마진은 밀착되는 어금니의 폭을 기준으로 블로킹을 하지 않거나 블로킹을 하더라도 최소한의 두께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의 구치부에 블로킹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고정형 구강 장치(100)의 경우, 하부 홈(400)의 구치부가 하악(LJ)의 어금니 중 적어도 하나에 마찰력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구강 장치(100)의 하부 홈(400) 내벽은 밀착되는 어금니에서 수평 방향의 최대 폭을 기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어금니의 좌우 방향으로 최외곽면에 수직인 선분(L3, L4)을 그을 때, 이들 선분 사이의 거리가 최대일 때 어금니의 최대 폭(W)에 해당하며, 구강 장치(100)의 하부 홈(400) 중에서 구치부의 내벽 거리는 이들 선분(L3, L4)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구강 자치(100)는 사용자의 치아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야 하는데 어금니에 지나치게 밀착하는 경우에는 치아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어금니의 최대 폭(W)으로부터 최소한의 거리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어금니 부분을 복제한 치아 모형에서 어금니의 표면에 일정 두께(M2)의 블로킹(600)을 형성하고 블로킹(600)의 표면 수치를 기준으로 구강 장치(100)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어금니 부분의 블로킹(600) 두께(M2)는 하부 홈(400)에 밀착되는 어금니의 최대 폭으로부터 2mm 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가 마찰력을 이용하여 어금니 부분에 결합되는 경우를 전제로 블로킹(600) 두께(M2)를 설명하였지만, 마찰력 이외에 치과용 와이어와 같은 결합 보조 수단을 사용하여 어금니와의 결합력을 강화하는 경우에는 블로킹(600) 두께(M2)를 2mm 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어금니의 최대 폭에 대한 블로킹(600) 두께(M2)는 어금니와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 사이의 결합력 확보를 위한 이격 거리에 해당하지만, 어금니에서 최대 폭을 가지는 부분으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의 영역은 폭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대한 블로킹(600)의 두께는 어금니와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이격 거리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어금니와 구강 장치(100)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이격 거리는 어금니의 최대 폭을 기준으로 하는 이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5mm 이하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장치 제조 방법은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s100), 치아 복제물에 블로킹을 형성하는 단계(s200), 블로킹이 형성된 치아 복제물을 이용하여 구강 장치를 설계하는 단계(s300), 및 설계된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s100)는 본 발명의 구강 장치(100)를 제조하여 착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치아와 동일한 형태의 치아 복제물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사용자의 치아와 동일한 형태의 치아 복제물은 석고와 같은 틀을 이용하여 제작하거나 치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의료 기기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치아 복제물에 블로킹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s100)에서 제작된 치아 복제물의 표면에 블로킹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 때, 블로킹의 두께는 전치부와 구치부를 달리하여 결정한다. 즉, 전치부의 경우에는 앞니의 완만한 포물선 상하 이동을 고려하여 앞니가 상부 홈 또는 하부 홈의 내벽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블로킹 마진을 설정하고, 구치부의 경우에는 어금니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블로킹 마진을 설정한다.
블로킹이 형성된 치아 복제물을 이용하여 구강 장치를 설계하는 단계(s300)는 치아 복제물에 블로킹이 부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구강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설계 도면이나 제조용 틀을 작성하는 단계이다. 구강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설계 도면이나 제조용 틀은 블로킹이 부착된 치아 복제물을 3차원으로 스캔 또는 촬영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또는, 블로킹이 부착된 치아 복제물의 외부에 의료용 레진을 형성함으로써 직접 구강 장치의 제조용 틀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계된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s400)는 구강 장치를 설계하는 단계(s300)에서 작성된 도면이나 수치를 기준으로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3차원으로 스캔 또는 촬영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3차원 프린터 또는 캐드(CAD)나 캠(CAM)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의료용 레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의료용 레진을 사용자의 구강에 착용할 수 있도록 외형을 구성한 후에 내부의 치아 복제물과 블로킹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치아의 인상을 복제하는 과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치아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s100)는 치아 복제물을 물리적으로 제작하거나 3차원 스캔이나 촬영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구강 상태를 촬영한 후에 3차원 프린터 또는 캐드나 캠을 이용하여 치아 복제물을 제작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치아 복제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의료용 레진과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치아 외부에 틀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치아 외형을 복제한다(s110). 사용자의 치아 외형을 복제한 후에 석고와 같은 재료를 고형화 하면 사용자의 치아 구조와 동일한 치아 석고를 생성할 수 있으며(s120), 이렇게 생성된 치아 석고를 치아 복제물로 사용할 수 있다(s150).
반면, 사용자의 치아 구조를 반영하는 3차원 스캔이나 촬영을 통하여 치아 구조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확보할 수도 있는데(s140), 구강 상태에 대한 파노라마 또는 세팔로, CT 촬영 기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석고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치아 구조와 동일한 치아 구조를 촬영함으로써 3차원 데이터를 확보할 수도 있다(s130). 이렇게 확보된 사용자의 치아 구조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프린터 또는 캐드나 캠을 통해 사용자의 치아 복제물을 생성할 수도 있다(s15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치아 복제물에 블로킹을 형성하는 과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치아 복제물에 블로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블로킹이 형성되는 영역이 전치부인지 아니면 구치부인지를 먼저 판단한다(s210).
전치부인 경우, 상악 또는 하악의 앞니가 완만한 포물선을 그리면서 구강 장치(100)의 상부 홈(300) 또는 하부 홈(400)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과정에서 상부 홈(300) 또는 하부 홈(400)의 내벽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마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앞니의 전방 에지 면을 기준으로 수직선과 접선의 사이 공간의 범위 내에서 블로킹이 형성될 수 있도록 블로킹 마진을 설정한다(s220).
반면에, 구치부의 경우는 상악 또는 하악의 어금니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어금니 부분의 상부 홈 또는 하부 홈에 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대상이 되는 어금니의 좌우 최대폭을 기준으로 추가로 블로킹이 필요한 마진을 설정하게 된다(s230). 일반적으로 구치부의 블로킹 마진은 어금니의 표면으로부터 2mm 이내의 값을 가지게 될 것이다.
한편, 위에서는 본 발명의 구강 장치를 전치부와 구치부의 두 부분으로 구분하여 블로킹 마진을 달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전치부를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하거나 구치부를 더 구체적으로 구분하는 등 세 부분 이상으로 구분하여 블로킹 마진을 달리 결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하악(LJ)의 전방 이동으로 인해 수면 중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하악(LJ)을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구강 장치가 고정되는 어금니 부분의 구치부는 어금니의 최대 폭을 기준으로 마찰력에 의해 구강 장치가 고정될 수 있는 정도로 블로킹 마진을 설정함으로써 구강 장치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완만한 포물선을 그리면서 상하 이동을 하는 앞니의 전치부는 앞니의 이동 궤적을 고려하여 상부 홈 또는 하부 홈의 내벽이 앞니의 마찰을 최소화함으로써 구강 장치의 착용 상태에서도 상악 및 하악의 움직임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구강 장치를 장기간 착용하더라도 통증이나 부정 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도(AW)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구강 장치 200: 몸체
300: 상부 홈 400: 하부 홈
500: 가이드부 600: 블로킹

Claims (15)

  1.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
    치아 복제물에 대하여 블로킹을 형성하는 단계; - 여기에서, 상기 블로킹 마진은 전치부와 구치부를 구분하여 다르게 적용함 -,
    블로킹이 형성된 치아 복제물을 이용하여 구강 장치를 설계하는 단계; 및
    설계된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는
    의료용 물질을 이용하여 치아와 주변 조직의 외형을 복제하는 단계;
    상기 복제된 치아와 주변 조직의 외형에 석고를 고형화하여 치아 석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치아 석고를 이용하여 치아 복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는
    의료용 물질을 이용하여 치아와 주변 조직의 외형을 복제하는 단계;
    상기 복제된 치아 외형에 석고를 고형화하여 치아 석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치아 석고를 3차원으로 스캔 또는 촬영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 복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와 주변 조직의 인상을 복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구강을 3차원으로 스캔 또는 촬영하여 치아 구조에 대한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3차원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 복제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을 형성하는 단계는
    블로킹 형성 영역이 전치부인 경우, 앞니의 에지 면에 대한 수직선과 접선 사이의 공간을 블로킹 마진으로 하여 블로킹의 두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로킹 마진에 따라 전치부의 표면에 블로킹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마진은 상기 앞니의 에지 면으로부터 2.5 mm 이내의 이격 거리를 가지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을 형성하는 단계는
    블로킹 형성 영역이 구치부인 경우, 어금니의 최대폭을 블로킹 마진으로 하여 블로킹의 두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로킹 마진에 따라 구치부의 표면에 블로킹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 마진은 상기 어금니의 측면으로부터 2mm 이내의 이격 거리를 가지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장치를 설계하는 단계는
    블로킹이 형성된 치아 복제물을 3차원으로 스캔 또는 촬영하여 3차원 데이터를 획득하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블로킹이 형성된 치아 복제물의 외부에 의료용 물질을 부착 또는 도포하여 제작하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장치를 제조하는 단계는 설계된 데이터에 따라 3차원 프린터, 캐드, 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제작하는 구강 장치 제조 방법.
  12.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
    상악의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홈;
    하악의 치아가 삽입되어 상기 하악이 소정 거리 전방 이동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홈; 및
    상기 상악의 치아 또는 하악의 치아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치아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홈 또는 하부 홈에서 앞니에 대응되는 전치부는 상기 앞니의 에지 면에 대한 수직선과 접선 사이의 공간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홈 또는 하부 홈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어금니에 대응되는 구치부는 상기 어금니의 최대 폭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가 이격되도록 내벽이 형성되는 구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의료용 레진이나 실리콘을 포함하는 인체에 안전한 소재로 이루어진 구강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치부는 상기 앞니의 에지 면으로부터 2.5 mm 이내의 이격 거리를 가지는 구강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치부는 상기 어금니의 측면으로부터 2 mm 이내의 이격 거리를 가지는 구강 장치.
KR1020170167184A 2017-12-07 2017-12-07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69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84A KR20190069653A (ko) 2017-12-07 2017-12-07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17/014677 WO2019112105A1 (ko) 2017-12-07 2017-12-14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5/841,351 US10912670B2 (en) 2017-12-07 2017-12-14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184A KR20190069653A (ko) 2017-12-07 2017-12-07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653A true KR20190069653A (ko) 2019-06-20

Family

ID=6673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184A KR20190069653A (ko) 2017-12-07 2017-12-07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12670B2 (ko)
KR (1) KR20190069653A (ko)
WO (1) WO2019112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2687A (zh) * 2021-08-26 2021-11-30 中国兵器科学研究院宁波分院 一种矫治器及其制备方法
CN114035030B (zh) * 2021-11-05 2023-10-24 爱迪特(秦皇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测试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536B1 (ko) 2008-12-16 2011-10-17 황청풍 하악 전진장치
KR101154618B1 (ko) 2011-03-16 2012-06-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용 하악 유도 악기능 장치
KR101301525B1 (ko) 2013-01-23 2013-09-02 최현진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KR101463021B1 (ko) 2013-12-10 2014-11-18 최현진 구강장치
KR101706648B1 (ko) 2016-08-26 2017-02-14 조용문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2344B2 (en) * 2010-01-05 2012-12-04 Ranir, Llc Oral orthosis
KR101133537B1 (ko) * 2011-11-24 2012-04-09 김희윤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KR20160004862A (ko) * 2014-07-04 2016-01-13 주식회사 인스바이오 환자맞춤형 치아교정 모의시술과 이를 통한 시뮬레이션 및 치아 교정장치 또는 치아교정 시술유도장치 제작방법
KR101568378B1 (ko) * 2014-12-31 2015-11-12 강제훈 구강스캐너 및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한 치아 이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536B1 (ko) 2008-12-16 2011-10-17 황청풍 하악 전진장치
KR101154618B1 (ko) 2011-03-16 2012-06-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정용 하악 유도 악기능 장치
KR101301525B1 (ko) 2013-01-23 2013-09-02 최현진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KR101463021B1 (ko) 2013-12-10 2014-11-18 최현진 구강장치
KR101706648B1 (ko) 2016-08-26 2017-02-14 조용문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12670B2 (en) 2021-02-09
WO2019112105A1 (ko) 2019-06-13
US20190175387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69789B (zh) 用于下颌调节的口内装置
CA2679451C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US20120227750A1 (en) Dental implant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JP5361991B2 (ja) いびき防止装置
JP2009028084A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10840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JPH10508762A (ja) 顎の位置を調節する口内装置
CN114948287A (zh) 咬合诱导矫治器设计与制造方法及咬合诱导矫治器
KR101301525B1 (ko)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KR20190069653A (ko)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85048B1 (ko) 하악 전방 이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M603345U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KR102022370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기구
US11723791B2 (en) Dental appliances for treating sleep disorders
TWI737347B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102309009B1 (ko) 자석식 수면 무호흡 방지 장치
EP4166117A1 (en) Mandible displacement adjustment device
WO2016151510A1 (en) A device for the treatment of snoring and relative production method and kit
EP4173601A1 (en) Oral appliance
US20180338856A1 (en) Systems, methods and oral appliance devices
JP2022168579A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の症状改善用マウスピース
JP2023536575A (ja) 下顎骨調整装置
KR20200005961A (ko)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