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021B1 - 구강장치 - Google Patents

구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021B1
KR101463021B1 KR1020130153414A KR20130153414A KR101463021B1 KR 101463021 B1 KR101463021 B1 KR 101463021B1 KR 1020130153414 A KR1020130153414 A KR 1020130153414A KR 20130153414 A KR20130153414 A KR 20130153414A KR 101463021 B1 KR101463021 B1 KR 10146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groove
mandible
jaw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현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최현진
박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진, 박영현 filed Critical 최현진
Priority to KR102013015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021B1/ko
Priority to CA2899055A priority patent/CA2899055C/en
Priority to CN201480005822.7A priority patent/CN104981223B/zh
Priority to BR112015017600A priority patent/BR112015017600A8/pt
Priority to PCT/KR2014/000681 priority patent/WO2014116044A1/en
Priority to JP2015555102A priority patent/JP6218857B2/ja
Priority to US14/762,600 priority patent/US20150366700A1/en
Priority to EP14742749.6A priority patent/EP294811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021B1/ko
Priority to US14/949,016 priority patent/US201600742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use in the oral cavity, larynx, bronchial passages or nose; Tongue scrapers
    • A61B2017/248Operations for treatment of snoring, e.g. uvulopalatoplas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구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장치는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 상악의 치열에 포함되는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홈; 하악의 치열에 포함되는 치아가 삽입되어 상기 하악이 소정 거리 전진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홈; 및 상기 몸체로부터 아래와 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어 상기 하악 또는 상악의 치아가 상기 하부홈 또는 상부홈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악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또는 상부홈은 상기 하악의 치아나 상악의 치아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치아 중 어금니들의 잇몸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안쪽에서 연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장치{ORAL APPLIANCE}
본 발명은 구강 내 상,하악의 치열에 장착하여 하악이 소정 거리 전방전진되도록 함으로써 기도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장치에 형성된 상부홈과 하부홈 중 적어도 하나가 이에 삽입되는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치아가 상부홈 또는 하부홈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수면 중에 구강 내에서 혀가 뒤로 쳐지면서 기도를 압박하면 기도가 좁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흡입된 공기가 모두 기도로 들어가지 못하고 남게 되며 주변 연조직을 진동시켜서 소음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이 코골이이다.
또한, 코골이는 잠시 호흡이 중단되는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면 중 강제로 공기를 기도에 공급해주는 양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압장치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에 효과는 있으나, 사용하기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인두부의 연조직을 잘라내는 수술적 방법이 있으나, 재발이 흔하고 수술에 따른 부작용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지양되고 있다.
이외에, 구강 내 상,하악 치열에 장착하여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장치가 있다. 이러한 구강장치는 하악이 전방전진되는 것에 의해서 혀가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당겨져 나오도록 함으로써 혀에 의해서 기도에 작용하는 압박이 해소되도록 한다.
구강장치는 상악의 치열에 포함되는 치아가 삽입되는 부분인 상악치아 삽입와 하악의 치열에 포함되는 치아가 삽입되는 부분인 하악치아 삽입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상하악 일체형 구강장치와, 분리되어 있는 상하악 분리형 구강장치가 있다.
상하악 일체형 구강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치아 삽입부와 하악치아 삽입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하악 일체형 구강장치를 사용하면 하악이 전진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못하며 수면 중에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하악관절이나 주변근육 또는 인대가 경직되거나 동통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상하악 분리형 구강장치에서는 수면 중에 하악이 움직일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치아 삽입부와 하악치아 삽입부가 분리되어 있다.
또한, 상악치아 삽입부와 하악치아 삽입부가 하악이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하학 분리형 구강장치에서도 연결부재에 의해서 하악의 이동이 구속되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33537호 (2012.04.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01525호 (2013.09.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구강장치를 착용하여도 하악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하악이 전방전진되는 것에 의해서 발생되는 관련 근육과 인대의 경직이 하악의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이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구강장치를 착용하여도 동통이나 부정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구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구강장치는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 상악의 치열에 포함되는 치아가 삽입되도록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홈; 하악의 치열에 포함되는 치아가 삽입되어 하악이 소정 거리 전진되도록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홈; 및 몸체로부터 아래와 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어 하악 또는 상악의 치아가 하부홈 또는 상부홈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하악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홈 또는 상부홈은 하악의 치아나 상악의 치아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가이드부는 치아 중 어금니들의 잇몸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몸체의 안쪽에서 연장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상부홈에는 상악의 치아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되며, 하부홈은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홈이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5mm 내지 2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홈이 하악의 치아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홈에는 하악의 치아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부홈은 상악의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홈이 상악의 치아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5mm 내지 2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홈이 상악의 치아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홈은 상악의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하부홈은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홈이 상악의 치아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하부홈이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5mm 내지 2mm이며, 상부홈이 상악의 치아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하부홈이 하악의 치아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가 삽입되는 상부홈 또는 하부홈에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을 형성하여 구강장치를 착용하여도 하악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악이 전방전진되는 것에 의해서 발생되는 관련 근육과 인대의 경직이 하악의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이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장치를 착용하여도 종래의 구강장치와 달리 동통이나 부정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도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여 비염이나 부비동염이 나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로, (a)는 상면사시도이고 (b)는 배면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1실시예를 구강에 착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b)의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2실시예와 이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3실시예와 이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구강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로, (a)는 상면사시도이고 (b)는 배면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1실시예를 구강에 착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b)의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 상부홈(300), 하부홈(400) 및, 가이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US, LS)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는 말굽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윗턱'을 나타내는 상악(UJ)의 치열(US)과 '아래턱'을 나타내는 하악(LJ)의 치열(LS)이 몸체(200)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UJ)의 치열(US)에 포함되는 치아(UT)는 몸체(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후술할 상부홈(300)에 삽입되고, 하악(LJ)의 치열(LS)에 포함되는 치아(LT)는 몸체(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후술할 하부홈(400)에 삽입될 수 있다.
몸체(200)를 이루는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구강에 착용되더라도 문제가 없는 소재라면 주지의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또한, 몸체(200)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를 만드는 방법은, 먼저 사용자의 치아(UT,LT) 모형을 만든 후 이에 대응되도록 성형하거나,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등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상부홈(300)은 몸체(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부홈(300)에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UJ)의 치열(US)에 포함되는 치아(UT)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부홈(300)은 전체적으로는 상악(UJ)의 치열(US)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말굽 형상이면서 상악(UJ)의 치열(US)에 포함되는 각각의 치아(UT)에도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상부홈(300)을 몸체(200)의 상부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먼저 사용자의 치아(UT) 모형을 만든 후 이에 대응되도록 성형하거나,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등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상부홈(300)에는 상악(UJ)의 치아(UT)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부홈(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UJ)의 치아(UT)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악(UJ)의 치아(UT)와 간격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홈(300)에 밀착되게 끼워져서, 상부홈(300)에 상악(UJ)의 치아(UT)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홈(300)과 상악(UJ)의 치아(UT)와의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상악(UJ)의 치아(UT)는 상부홈(3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하부홈(400)은 몸체(2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홈(400)에는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LJ)의 치열(LS)에 포함되는 치아(LT)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부홈(400)은 전체적으로는 하악(LJ)의 치열(LS)에 대응되는 형상,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말굽 형상이면서 하악(LJ)의 치열(LS)에 포함되는 각각의 치아(LT)에도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하부홈(400)을 몸체(200)의 하부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먼저 사용자의 치아(LT) 모형을 만든 후 이에 대응되도록 성형하거나, 3차원 프린터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등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에 삽입되면 하악(LJ)이 소정 거리 전방전진될 수 있다.
즉,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LJ)의 앞니가 상악(UJ)의 앞니보다 소정 거리 앞에 위치하도록 하악(LJ)이 소정 거리 전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하악(LJ)에 부착된 혀(TO)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LJ)과 함께 전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TO)가 기도(TH)를 막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도(TH)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의 수면 중에 혀(TO)가 기도(TH)를 막아서 발생하는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코골이와 함께 발생하는 수면무호흡증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염이나 부비동염이 나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하부홈(400)은 하악(LJ)의 치아(LT)가 삽입되면, 하악(LJ)의 치아(LT)가 자연스러운 위치보다 전진될 수 있도록,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하악(LJ)의 앞니가 상악(UJ)의 앞니보다 소정 거리 앞에 위치하도록 몸체(20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홈(4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LJ)의 치아(LT)가 삽입되었을 때,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홈(400)과 하악(LJ)의 치아(LT)와의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의 간격(D1,D2)에 의해서, 하악(LJ)의 치아(LT)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에 하부홈(400) 내에서 이탈되면서 아래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하악(LJ)도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하악(LJ)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하악(LJ)이 전방전진되고 이러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주변근육과 인대가 경직된 것이 해소되어 이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하악(LJ)의 아래로의 이동은 후술할 가이드부(500)가 하악(LJ)의 설(舌)측 점막에 닿으면서 멈출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면 다시 주변의 다른 근육과 인대가 경직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하악(LJ)은 이동전 위치인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에 삽입되어 하악(LJ)이 전방전진되는 위치로 자연스럽게 위로 이동할 수 있다.
관련근육과 인대의 경직을 해소하기 위한 이러한 하악(LJ)의 왕복운동은,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면 중에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를 장시간 착용한다고 하더라도, 구강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경직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구강주변의 근육과 인대의 경직에 의해서 발생하는 동통이나 부정교합 또는 턱관절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기도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좋아지기 때문에, 비염이나 부비동염 등도 나을 수 있다.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1)은 0.5mm 내지 2mm일 수 있다.
자연스러운 상악(UJ)의 치아(UT)와 하악(LJ)의 치아(LT) 사이의 간격, 예컨대 수면 중의 이러한 간격은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약 2mm 내지 4mm일 수 있다.
한편, 상부홈(300)과 하부홈(400) 사이의 간격은 약 1.5mm 이다. 따라서,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1)이 0.5mm 미만이면, 상악(UJ)의 치아(UT)와 하악(LJ)의 치아(LT) 사이의 간격이 자연스러운 간격인 2mm 내지 4mm보다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뇌는 상악(UJ)의 치아(UT)와 하악(LJ)의 치아(LT) 사이에 끼어 있는 몸체(200)를 음식물로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련 근육과 인대에 의한 저작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저작운동에 의한 힘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를 통해 상,하악(UJ,LJ)의 치아(UT,LT)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치아(UT,LT)에 전달된 힘은 치아(UT,LT)를 부수거나 잇몸의 경계부에서 잇몸을 보호하는 부분인 치주막을 찢어 치조골을 파괴할 수 있다. 그리고, 치아(UT,LT)가 소실되거나 치주염으로 전이될 수 있다. 즉, 치아(UT,LT)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저작운동에 의한 힘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가 장착된 구강 주변의 근육과 인대 및 턱관절로 파급되면서 근육과 인대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동통뿐만 아니라 부정교합이나 턱관절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1)이 2mm를 초과하면, 상악(UJ)의 치아(UT)와 하악(LJ)의 치아(LT) 사이의 간격이 자연스러운 간격인 4mm보다 더 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관련 근육과 인대에 부담을 주게 되어 관련 근육과 인대가 경직될 수 있다. 그리고, 동통이나 부정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2)은 0.5mm 내지 2mm가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2)은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일측의 간격(D2)이 0.3mm 내지 0.5mm 이므로, 양측으로는 0.6mm 내지 1.0mm 이격될 수 있다.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2)이 0.3mm 미만이면,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에 때때로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 내에서 이탈되어 아래로 이동되어야만 할 때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하악(LJ)의 전진으로 인해서 경직된 관련 근육과 인대가 이완될 수 없게 되어, 동통이나 불편감, 부정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2)이 0.5mm를 초과하면,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는 있으나,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악(LJ)이 소정 거리 전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어,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의 방지가 불가능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2)은 0.3mm 내지 0.5mm가 바람직하다.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1,D2)의 범위는, 사용자에 따른 전체 교합면의 기울기각이나, 치아의 돌출도, 치아가 전후 안팍으로 기울어진 상태 또는 치아가 전체 치열에서 벗어난 위치에 따라 기준값에서 가감함으로써 변경시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홈(4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LJ)의 치아(LT)와 전후의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도 있지만 좌우의 수평방향으로도 이격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5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500)는 몸체(200)로부터 3mm 내지 5mm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500)가 몸체(200)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개인의 구강상태에 따라 어떠한 길이라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악(LJ)이 소정 거리 전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관련 근육과 인대가 경직된 것을 이완하기 위해서, 하악(LJ)의 치아(LT)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홈(400)으로부터 아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에 의해서, 하악(LJ)이 소정 거리 아래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하악(LJ)의 이동은 가이드부(500)가 하악(LJ)의 설측 점막에 닿으면 멈추고 하악(LJ)은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직된 근육과 인대의 이완을 위해서 하악(LJ)이 이동되거나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경직되지 않은 다른 근육과 인대가 경직될 수 있다. 그리고, 경직된 다른 근육과 인대를 이완시키기 위해서 하악(LJ)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500)는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에 용이하고 바르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부(5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안쪽에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500)는 하악(LJ)의 치아(LT) 중 어금니들의 잇몸부의 일부를 덮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부(5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기능을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2실시예와 이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의 제2실시예는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구강장치(100)와 하부홈(400)에 하악(LJ)의 치아(LT)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부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되고, 가이드부(500)가 몸체(200)로부터 위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의 제2실시예에서는 하부홈(400)에 하악(LJ)의 치아(UT)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즉, 하부홈(400)은 하악(LJ)의 치아(LT)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악(LJ)의 치아(LT)와 간격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에 밀착되게 끼워져서, 하부홈(400)에 하악(LJ)의 치아(LT)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홈(400)과 하악(LJ)의 치아(LT)와의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한, 하악(LJ)의 치아(LT)는 하부홈(4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부홈(300)은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500)는 몸체(200)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하악(LJ)의 전진에 의해서 경직된 관련 근육과 인대를 이완하기 위해서,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홈(300)에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에 의해서, 하악(LJ)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와 함께 아래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악(LJ)이 구강장치(100)와 함께 아래로 이동되는 중에, 가이드부(500)가 상부홈(300) 내에서 이탈된 상악(UJ)의 치아(UT) 중 어금니들에 닿게 되면, 하악(LJ)은 이동을 멈추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경직된 다른 근육과 인대의 이완을 위해서 하악(LJ)은 이탈전 위치인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홈(300)에 삽입되어 하악(LJ)이 전방전진되는 위치로 자연스럽게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500)는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홈(300)에 용이하고 바르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하악(LJ)의 왕복운동은,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면 중에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하악이 전방전진되는 것과 하악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생된 관련 근육과 인대의 경직이 이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구강장치를 착용하여도 동통이나 부정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기도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으므로 비염이나 부비동염이 나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 상부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1)은 0.5mm 내지 2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2)은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3실시예와 이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3실시예는 도1 내지 도5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구강장치(100)와, 상부홈(300)은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되며, 하부홈(400)은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되고, 가이드부(500)가 몸체(200)로부터 아래와 위로 소정 거리 연장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 내지 도5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3실시예는 상부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되며, 하부홈(400)도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D1,D2) 이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500)는 몸체(200)로부터 아래와 위로 모두 소정 거리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의 제3실시예는 상,하악(UJ,LJ)의 치열(US,LS)이나 이에 포함되는 치아(UT,LT)의 상태가 부실하여 상부홈(300)이나 하부홈(400)에 마찰에 의해서 고정될 경우, 치아가 소실될 염려가 있거나 상,하악의 치관(齒冠)길이가 짧아서 충분한 마찰력을 얻기 어려운 경우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수면 중의 자세 등에 따라 상악(UJ)의 치아(UT)나 하악(LJ)의 치아(LT) 중 어느 하나가 상부홈(300) 또는 하부홈(400)에 더 밀착되면, 덜 밀착되는 측이 상부홈(300) 또는 하부홈(40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직된 근육과 인대를 이완하기 위해서 하악(LJ)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상악(UJ)의 치아(UT)가 상부홈(300)에 더 밀착되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의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하악(LJ)이 왕복운동할 수 있고, 하악(LJ)의 치아(LT)가 하부홈(400)에 더 밀착되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의 제2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하악(LJ)이 왕복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하악(LJ)의 왕복운동은,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수면 중에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하악이 전방전진되는 것과 하악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생된 관련 근육과 인대의 경직이 이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구강장치를 착용하여도 동통이나 부정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또한 기도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할 수 있으므로 비염이나 부비동염이 나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부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1)과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1)은 0.5mm 내지 2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부홈(300)이 상악(UJ)의 치아(UT)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2)과 하부홈(400)이 하악(LJ)의 치아(LT)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D2)은 0.3mm 내지 0.5mm일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의 제4실시예는 도1 내지 도5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구강장치(100)와 몸체(200)에 통기구(21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의 제4실시예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에 통기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통기구(210)는 몸체(200)의 중앙부에 상부홈(300)과 하부홈(4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100)를 구강에 착용한 상태에서 몸체(200)의 통기구(210)를 통해 입으로 숨을 쉴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장치를 사용하면, 구강장치를 착용하여도 하악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으며, 하악이 전방전진되는 것에 의해서 발생되는 관련 근육과 인대의 경직이 하악의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이완될 수 있고, 구강장치를 착용하여도 동통이나 부정교합 또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기도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여 비염이나 부비동염이 나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구강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구강장치 200 : 몸체
210 : 통기구 300 : 상부홈
400 : 하부홈 500 : 가이드부
US, LS : 치열 UJ : 상악
LJ : 하악 UT, LT : 치아
D1, D2 : 간격 TO : 혀
TH : 기도

Claims (11)

  1.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의 몸체;
    상악의 치열에 포함되는 치아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홈;
    하악의 치열에 포함되는 치아가 삽입되어 상기 하악이 소정 거리 전진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홈; 및
    상기 몸체로부터 아래와 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되어 상기 하악 또는 상악의 치아가 상기 하부홈 또는 상부홈에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악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또는 상부홈은 상기 하악의 치아나 상악의 치아와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치아 중 어금니들의 잇몸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몸체의 안쪽에서 연장되는 구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에는 상기 상악의 치아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하부홈은 상기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구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홈이 상기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5mm 내지 2mm인 구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홈이 상기 하악의 치아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3mm 내지 0.5mm인 구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홈에는 상기 하악의 치아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되며,
    상기 상부홈은 상기 상악의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구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이 상기 상악의 치아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5mm 내지 2mm인 구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이 상기 상악의 치아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3mm 내지 0.5mm인 구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은 상기 상악의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하부홈은 상기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구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홈이 상기 상악의 치아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상기 하부홈이 상기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5mm 내지 2mm이며,
    상기 상부홈이 상기 상악의 치아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과 상기 하부홈이 상기 하악의 치아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0.3mm 내지 0.5mm인 구강장치.
KR1020130153414A 2013-01-23 2013-12-10 구강장치 KR10146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14A KR101463021B1 (ko) 2013-12-10 2013-12-10 구강장치
CA2899055A CA2899055C (en) 2013-01-23 2014-01-23 Oral appliance
CN201480005822.7A CN104981223B (zh) 2013-01-23 2014-01-23 口腔矫治器
BR112015017600A BR112015017600A8 (pt) 2013-01-23 2014-01-23 aparelho bucal
PCT/KR2014/000681 WO2014116044A1 (en) 2013-01-23 2014-01-23 Oral appliance
JP2015555102A JP6218857B2 (ja) 2013-01-23 2014-01-23 口腔装置
US14/762,600 US20150366700A1 (en) 2013-01-23 2014-01-23 Oral appliance
EP14742749.6A EP2948110B1 (en) 2013-01-23 2014-01-23 Oral appliance
US14/949,016 US20160074207A1 (en) 2013-01-23 2015-11-23 Oral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3414A KR101463021B1 (ko) 2013-12-10 2013-12-10 구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021B1 true KR101463021B1 (ko) 2014-11-18

Family

ID=5229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3414A KR101463021B1 (ko) 2013-01-23 2013-12-10 구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02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599A1 (ko) * 2015-10-22 2017-04-27 최현진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WO2017125799A1 (en) * 2016-01-19 2017-07-27 Lucera Investments SAGL Occlusal splint
KR20190027509A (ko) 2017-09-07 2019-03-15 박영현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KR20190047323A (ko) 2017-10-27 2019-05-08 파사메디 주식회사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WO2019112105A1 (ko) * 2017-12-07 2019-06-13 박영현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75132A (ko) * 2018-12-12 2020-06-26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코골이 방지 기구 제조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코골이 방지 기구
WO2022270662A1 (ko) 2021-06-25 2022-12-29 파사메디 주식회사 구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615A (ja) * 2008-07-29 2010-02-12 New Wave Medical:Kk 睡眠時無呼吸等の防止用マウスピース
US20120060848A1 (en) * 2010-09-13 2012-03-15 Bao Chien Chen Antisnoring device
KR101133537B1 (ko) * 2011-11-24 2012-04-09 김희윤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KR101301525B1 (ko) * 2013-01-23 2013-09-02 최현진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9615A (ja) * 2008-07-29 2010-02-12 New Wave Medical:Kk 睡眠時無呼吸等の防止用マウスピース
US20120060848A1 (en) * 2010-09-13 2012-03-15 Bao Chien Chen Antisnoring device
KR101133537B1 (ko) * 2011-11-24 2012-04-09 김희윤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KR101301525B1 (ko) * 2013-01-23 2013-09-02 최현진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9599A1 (ko) * 2015-10-22 2017-04-27 최현진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WO2017125799A1 (en) * 2016-01-19 2017-07-27 Lucera Investments SAGL Occlusal splint
KR20190027509A (ko) 2017-09-07 2019-03-15 박영현 구강 호흡 방지용 기구
KR20190047323A (ko) 2017-10-27 2019-05-08 파사메디 주식회사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KR102058104B1 (ko) 2017-10-27 2019-12-20 파사메디 주식회사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WO2019112105A1 (ko) * 2017-12-07 2019-06-13 박영현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69653A (ko) 2017-12-07 2019-06-20 박영현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912670B2 (en) 2017-12-07 2021-02-09 Young Hyon PARK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75132A (ko) * 2018-12-12 2020-06-26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코골이 방지 기구 제조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코골이 방지 기구
KR102303619B1 (ko) * 2018-12-12 2021-09-17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코골이 방지 기구 제조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코골이 방지 기구
WO2022270662A1 (ko) 2021-06-25 2022-12-29 파사메디 주식회사 구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021B1 (ko) 구강장치
KR20190067743A (ko)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EP2948110B1 (en) Oral appliance
KR101235888B1 (ko) 코골이 방지부재
CN105982743B (zh) 用于齿颚矫正治疗的牙用线材支持器以及矫正器
JP2006513738A (ja) 上顎シェルと下顎シェルを取り付けるヒンジ機構とともに、上顎シェルと下顎シェルとの間に変更された縦厚さを有する歯科器具、不正咬合を治療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936061B2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360688B2 (ja) 舌筋強化具
CN217828109U (zh) 牙科器械及牙科器械套组
US20230065574A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
US20190125573A1 (en) Oral appliance
CN107865705B (zh) 一种口腔正畸用的多功能矫正器
KR102159365B1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JP4009659B1 (ja) 顎位矯正装置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JP6557637B2 (ja) 歯科用矯正器具
KR101597669B1 (ko) 호흡유도장치
JP6996054B2 (ja) バイトブロック
JP7299452B1 (ja) マウスピース
JP3210257U (ja) 食いしばり防止装置
CN219846873U (zh) 牙科器械
KR102564598B1 (ko) 구개전방 개방형 구강장치
US11974941B2 (en) Intraoral device
CN212261657U (zh) 一种呼吸睡眠科用口腔位置维持器
KR20220089955A (ko) 코골이 방지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