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669B1 - 호흡유도장치 - Google Patents

호흡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669B1
KR101597669B1 KR1020140046809A KR20140046809A KR101597669B1 KR 101597669 B1 KR101597669 B1 KR 101597669B1 KR 1020140046809 A KR1020140046809 A KR 1020140046809A KR 20140046809 A KR20140046809 A KR 20140046809A KR 101597669 B1 KR101597669 B1 KR 101597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iratory
jaw
teeth
induction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752A (ko
Inventor
박종범
Original Assignee
박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범 filed Critical 박종범
Priority to KR102014004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669B1/ko
Publication of KR2015012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30Securing inlays, onlays or crow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는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 사이에 장착되는 호흡유도장치를 포함하여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가 호흡유도장치 상하면에 교합되어 악골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전면에 통로를 갖도록 하여 구강 호흡 및 구강 내 음식 반입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호흡유도장치{APPARATUS FOR INDUCING RESPIRATION}
본 발명은 호흡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위턱과 아래턱 치아의 교합을 통해 악골 교정을 행하면서 구강 호흡을 가능하도록 하는 호흡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수술은 위턱(상악) 수술과 아래턱(하악) 수술로 나뉘어진다. 상기 턱 수술은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이상(부정교합)을 개선하거나 안면 골격 구조의 이상을 개선하기 위한 수술법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안면 골격 자체의 이상을 수술로 바로잡아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얼굴 라인을 만들기 위한 성형법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상기 턱 수술은 악교정 수술이나 악 안면 수술이라고도 불리우며, 상악이나 하악이 정상에서 벗어나 과잉, 부족, 혹은 비대칭적인 성장 상태를 가지고 있을 때, 이러한 형태와 크기의 변이를 바로잡는 수술을 말한다.
상기 턱 수술이 필요한 구체적인 예로는, 음식물을 씹거나 깨물기 어렵거나 삼키기 어려운 경우, 발음에 이상이 있는 경우, 만성적으로 턱뼈주위에 통증이 있는 경우, 치아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닳아 없어진 경우, 앞니가 닿지 않는 경우 즉 앞니로 음식을 끊어먹을 수 없는 경우, 앞니만 닿고 어금니가 닿지 않는 경우, 얼굴에 비대칭이 있는 경우(얼굴이 비뚤어진 경우), 사고 등으로 얼굴에 손상을 입은 경우, 심한 주걱턱이나 턱이 없는 경우, 그리고 입술을 다물기가 힘든 경우 등이 있다.
상기 턱수술은 일반적으로 턱뼈의 절단, 이동 및 재결합을 통해 턱뼈의 위치변화를 가져다 주며, 이를 통해 보다 수려한 얼굴라인이 형성되고 부정교합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턱수술은 위턱을 수술하는 상악수술과 아래턱을 수술하는 하악수술로 구분되며, 이 두가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를 양악수술이라 칭한다.
상기 턱수술, 특히 하악 수술의 예로는 SSRO(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하악골 상행지 시상 절단술 또는 시상골절단술)이나 IVRO(Intraloral Split Vertical Ramus Osteotomy; 수직골절단술) 등이 있으며, 상기 SSRO가 양측 하악골 상행지에 모두 적용되는 것을 BSSRO(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양측 하악골 상행지 시상 절단술)라 한다.
여기서, 상기 IVRO는 하악골 상행지(Ramus)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하악 수술방법으로서, 주로 주걱턱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반면, 상기 BSSRO와 같은 SSRO는 양측 하악골 상행지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상으로 절단하는 수술법으로서 주걱턱뿐만 아니라 무턱의 개선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아래턱, 즉 하악(10)은 두개골(20)의 하측에 위치하는 뼈로서, 아랫니들이 심어진 하악골체(Mandible Body, 11)와 상기 하악골체의 양측 후방에 위치하는 하악골 상행지(12)로 구분되며, 상기 하악골 상행지(12)는 측두골의 관절와(Fossa)와 함께 악관절을 이루는 관절두(Condyle, 12a)를 갖는다.
상기 하악 수술에서는 골절단에 의해 골편의 분할이 수행되는데, 예를 들어 (B)SSRO에서의 골절단에 의해 하악골이 관절두(Condyle)가 구비되는 골편과 상기 하악골체가 구비되는 골편, 즉 전방뼈로 분할된다.
상기 골절단 후에 상기 하악골체가 구비되는 골편의 이동 및 위치 선정이 완료되면, 상기 전방뼈 특히 하악골체는 상악에 결속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데, 예를 들면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기준장치인 웨이퍼(Wafer,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상악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관절구(Condyle, 12a)가 상기 관절와(Fossa)에 대해 적절한 관계로 재 위치된 상태에서 하악골체가 구비되는 골편(전방뼈)과 하악 측골간의 골편고정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양악수술 후 초기에는 턱뼈와 치아가 틀어지는 부정교합을 유발시켜 저작력 감소 및 안면비대칭 등의 문제가 유발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약간 고정을 시술한다.
상기 약간 고정이란, 양악수술 후에 뼈가 잘 아물도록 윗니와 아랫니를 일정기간 동안 철사나 악력이 강한 밴드로 묶어 놓는 것을 말하며 약간 고정의 절차 없이 뼈를 잘 아물게 한다.
그러나, 약간 고정시술 후에는 구강 호흡이 어려우며, 음식섭취가 제대로 되지 않아 환자의 고통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3363호, 2010. 07. 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8452호, 2000. 11. 2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는 양악수술 후 약간 고정시술이 필요없이 환자의 치아와 동일한 치열궁을 갖는 호흡유도장치를 통해 위턱 및 아래턱 치아를 교합시켜 악골 교정 및 양악수술의 안정화를 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호흡유도장치에 통로를 형성시켜 위턱과 아래턱을 교합시키면서 구강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호흡유도장치에 통로를 형성시켜 위턱과 아래턱을 교합시키면서 구강 내로 음식물 반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호흡유도장치에서 통로는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과 아래턱의 전치 부위 형성되어 악골 교정 및 구강 호흡을 동시에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는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 사이에 장착되는 호흡유도장치를 포함하여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가 호흡유도장치 상하면에 교합되어 악골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전면에 통로를 갖도록 하여 구강 호흡 및 구강 내 음식 반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는,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는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 사이에 장착되는 호흡유도장치를 포함하여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가 호흡유도장치 상하면에 교합되어 악골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측면에 통로를 갖도록 하여 구강 호흡 및 구강 내 음식 반입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치열궁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 및 아래턱의 소구치와 대구치가 상하면에 맞닿아 교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악골부목과, 한 쌍의 악골부목을 이음하여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과 아래턱의 전치 부위 위치되는 호흡부목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 및 아래턱의 전치와 대구치가 상하면에 맞닿아 교합되도록 마련된 악골부목과, 한 쌍의 악골부목을 이음하여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과 아래턱의 소구치 부위 위치되는 호흡부목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부목은 위턱 또는 아래턱 중 어느 한 개소의 전치와 선택적으로 교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악골부목은 상면과 하면에 홈을 형성시켜 소구치와 대구치를 수용하면서 잇몸을 감싸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악골부목은 상면과 하면에 홈을 형성시켜 전치와 대구치를 수용하면서 잇몸을 감싸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부목은 악골부목 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 상기 통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실리콘 또는 라텍스 재질로 적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는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 사이에 장착되는 호흡유도장치를 포함하여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가 호흡유도장치 상하면에 교합되어 악골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전면에 통로를 갖도록 하여 구강 호흡 및 구강 내 음식 반입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양악수술 후 약간 고정시술이 필요없이 환자의 치아와 동일한 치열궁을 갖는 호흡유도장치를 통해 위턱 및 아래턱 치아를 교합시켜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키면서 악골 교정 및 양악수술 후의 안정화를 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는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 및 아래턱의 소구치와 대구치가 상하면에 맞닿아 교합되도록 하면서 위턱과 아래턱의 전치 부위에 통로를 형성시키거나, 위턱과 아래턱의 소구치 부위의 위치에 통로를 형성시켜 위턱과 아래턱의 교합력을 발생시켜도 원활한 구강 호흡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는 통로를 통해 위턱과 아래턱을 교합시키면서 구강 내로 유동식 음식 반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는 상면과 하면에 홈을 형성시켜 소구치와 대구치를 수용하면서 잇몸을 감싸도록 하여 악골 교정 상태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양악수술시 골절단되는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두개골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a.b,c는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를 구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위턱과 아래턱의 치아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a.b,c는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를 구강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위턱과 아래턱의 치아 배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양악수술 후에 뼈가 잘 아물도록 윗니와 아랫니를 일정기간 동안 묶어 놓는 약간 고정시술을 행하게 되나, 약간 고정시술 후에는 입을 벌리기 어렵고, 비강으로 호흡을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호흡 곤란을 유발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호흡 장애는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충분한 수면 시간에도 불구하고 심한 졸음, 만성 피로감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뇌의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기억력 및 집중력의 감퇴 등의 증상을 수반하게 된다. 특히, 수술 후 안정을 취해야할 환자에게 부담을 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 100는 상기와 같은 약간 고정시술이 필요없이 환자에게 시술의 부담감을 최소화 시키면서 악골 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2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 100는 상기에서 언급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악 수술 후 약간 고정 시술을 행하지 않고 악골 교정을 가능하게 하면서 구강 호흡을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호흡유도장치 100는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 사이에 장착하되,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가 호흡유도장치 상하면에 교합되어 악골을 고정시킨다.
동시에 상기 호흡유도장치 100는 전면 또는 측면에 통로 130를 갖도록 하여 구강 호흡 및 구강 내 음식 반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호흡유도장치 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상기 호흡유도장치 100는 치열궁 형상으로 형성된다.
치열궁이란, 치열이 그리는 곡선으로 정확하게는 앞니의 절연, 송곳니의 첨두, 어금니의 협측교두의 첨두를 지나는 곡선을 말한다.
치열궁의 길이는 동양인 평균으로 남성 위턱 131mm, 아래턱 125mm이고, 여성 위턱 128mm, 아래턱 120mm 정도이다. 일반적으로 위턱 치열궁이 아래턱 치열궁보다 길다.
상기와 같이 치열궁 형태를 갖는 호흡유도장치 100는 악골부목 110과 호흡부목 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악곡부목과 호흡부목 120의 형성 위치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8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악골부목 110의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 및 아래턱의 소구치와 대구치가 상하면에 맞닿아 교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소구치는 좌우 송곳니 뒤로 2개씩 나오며, 순서대로 제1소구치, 제2소구치로 구분된다.
그리고, 대구치는 큰어금니, 좌우 제2소구치 뒤로 3개씩 나오며, 순서대로 제1대구치, 제2대구치, 제3대구치(사랑니)로 구분된다.
상기의 악골부목 110의 상하면에는 위턱과 아래턱의 소구치 및 대구치가 맞물려 교합된다.
아울러, 호흡부목 120은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과 아래턱의 전치 부위 위치되어 한 쌍의 악골부목 110을 이음한다.
여기서, 전치는 앞니, 중앙에서 좌우 견치(송곳니)까지 6개를 말한다. 이중 정중앙 양쪽 앞니는 중철치라고 하고 그 바로 옆의 앞니는 측절치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호흡부목 120의 길이는 전치, 견치, 중철치 또는 측절치 부위의 간격만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 및 도 7 및 도 8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악골부목 110의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 및 아래턱의 전치와 대구치가 상하면에 맞닿아 교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호흡부목 120은 한 쌍의 악골부목 110을 이음하여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과 아래턱의 소구치 부위 위치된다.
이후, 상기 호흡부목 120은 악골부목 110 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 상기 통로 130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호흡부목 120의 폭과 통로 130의 폭은 동일하며, 상기 호흡부목 120의 위치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호흡부목 120은 위턱 또는 아래턱 중 어느 한 개소의 전치가 선택적으로 교합될 수 있다.
즉, 도 8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호흡부목 120은 한 쌍의 악골부목 110을 이음되는 부위가 상부 또는 하부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턱의 전치가 악골부목 110에 교합되고 아래턱의 전치 부위에 통로 130가 형성되거나, 아래턱의 전치가 악골부목 110에 교합되고 위턱의 전치 부위에 통로 130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악골부목 110은 상면과 하면에 홈 111을 형성시켜 위턱과 아래턱을 교합시 소구치와 대구치를 수용하면서 잇몸을 감싸도록 한다.
이를 통해 악골 교정 상태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호흡유도장치 100는 실리콘 또는 라텍스 재질로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호흡유도장치 100의 성형은 양악수술 전에 환자의 치아 배열과 동일하게 제작하기 위해 인상재료를 이용하여 환자 치아의 본을 뜬 후, 치하 본을 이용하여 트레이를 제작한 다음 상기 호흡유도장치 100의 재료를 기반으로 성형한다.
이를 통해 치아배열과 치조골 등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추어 호흡유도장치 100를 성형한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호흡유도장치 100는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 사이에 장착되는 호흡유도장치 100를 포함하여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가 호흡유도장치 상하면에 교합되어 악골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호흡유도장치 100는 전면 또는 측면에 통로 130를 갖도록 하여 구강 호흡 및 구강 내 음식 반입을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양악수술 후 약간 고정시술이 필요없이 환자의 치아와 동일한 치열궁을 갖는 호흡유도장치를 통해 위턱 및 아래턱 치아를 교합시켜 환자에게 수술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키면서 악골 교정 및 양악수술 후의 안정화를 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 및 아래턱의 소구치와 대구치가 상하면에 맞닿아 교합되도록 하면서 위턱과 아래턱의 전치 부위에 통로 130를 형성시키거나, 위턱과 아래턱의 소구치 부위의 위치에 통로 130를 형성시켜 위턱과 아래턱의 교합력을 발생시켜도 원활한 구강 호흡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통로 130를 통해 위턱과 아래턱을 교합에도 구강 내로 유동식 음식 반입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면과 하면에 홈 111을 형성시켜 소구치와 대구치를 수용하면서 잇몸을 감싸도록 하여 악골 교정 상태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호흡유도장치 110 : 악골부목
111 : 홈 120 : 호흡부목
130 : 통로

Claims (10)

  1. 삭제
  2.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 사이에 장착되는 호흡유도장치를 포함하여
    위턱 치아와 아래턱 치아가 호흡유도장치 상하면에 교합되어 악골을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측면에 통로를 갖도록 하여 구강 호흡 및 구강 내 음식 반입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유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치열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유도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 및 아래턱의 전치와 대구치가 상하면에 맞닿아 교합되도록 마련된 악골부목과,
    한 쌍의 악골부목을 이음하여 치열궁 위치에 따라 위턱과 아래턱의 소구치 부위 위치되는 호흡부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유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부목은 위턱 또는 아래턱 중 어느 한 개소의 전치와 선택적으로 교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유도장치.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악골부목은 상면과 하면에 홈을 형성시켜 전치와 대구치를 수용하면서 잇몸을 감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유도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부목은 악골부목 보다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 상기 통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유도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유도장치는 실리콘 또는 라텍스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유도장치.
KR1020140046809A 2014-04-18 2014-04-18 호흡유도장치 KR101597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809A KR101597669B1 (ko) 2014-04-18 2014-04-18 호흡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809A KR101597669B1 (ko) 2014-04-18 2014-04-18 호흡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752A KR20150120752A (ko) 2015-10-28
KR101597669B1 true KR101597669B1 (ko) 2016-02-25

Family

ID=5442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809A KR101597669B1 (ko) 2014-04-18 2014-04-18 호흡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83595A (zh) * 2022-06-15 2022-09-02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一体式正颌术后牙齿及颌骨稳定装置及其设计方法
CN114903622A (zh) * 2022-06-15 2022-08-16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分体式正颌术后牙齿及颌骨稳定装置及其设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821A (en) 1993-06-08 1995-02-07 Poterack; Karl A. Bite block for oral passageway
US20130213412A1 (en) 2012-02-17 2013-08-22 Allen J. Moses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13Y2 (ja) * 1990-05-08 1994-06-22 哲夫 浦部 マウスガード
FR2752725B1 (fr) 1996-09-05 1999-01-15 Grosbois Jacques Dispositif destine a eviter le ronflement et les apnees du sommeil
JPH10174697A (ja) * 1996-12-16 1998-06-30 Itaru Watanabe いびき防止具
KR101363417B1 (ko) 2011-12-23 2014-02-14 주식회사 오라픽스 하악 측골 고정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821A (en) 1993-06-08 1995-02-07 Poterack; Karl A. Bite block for oral passageway
US20130213412A1 (en) 2012-02-17 2013-08-22 Allen J. Moses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752A (ko)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5395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airway development therapy
US20210153981A1 (en)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temporomandibular joint therapy
US114910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Molina et al. Maxillary distraction: aesthetic and functional benefits in cleft lip-palate and prognathic patients during mixed dentition
US7677886B2 (en) Maxillofacial orthodontic appliance
US6227861B1 (en) Preformed mandibular splint
KR20190067743A (ko)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US201401867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xillary protraction in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TWM615022U (zh) 齒列矯正牙套
CN208017605U (zh) 一种用于矫正三类错牙合的改良式扩弓联合前牵装置
Stuani et al. Modified Thurow appliance: a clinical alternative for correcting skeletal open bite
US202002611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GB2264868A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11839568B2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97669B1 (ko) 호흡유도장치
Chakraborty et al. Tongue: Anatomy, functions and orthodontic implications
CN208784949U (zh) 一种多个后牙锁牙合矫正装置
Kumari et al. Breaking the tongue thrusting habit: When Compliance is essential-A case report
US20210267721A1 (en) Orthodontic appliance utilizing unilateral bite block and expansion screw assembly
Singh et al. Habit Breaking Appliance For Tongue Thrusting-A Modification.
Park et al.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 with severe crowding and unilateral fracture of the mandibular condyle
Parayaruthottam et al. Interception of a developing Class III malocclusion with facemask therapy
RU22564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дистальной окклюзии
Giancotti et al. The use of bonded acrylic expander in patient with open-bite and oral breathing
KR101129111B1 (ko) 악교정 수술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