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365B1 -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365B1
KR102159365B1 KR1020200007620A KR20200007620A KR102159365B1 KR 102159365 B1 KR102159365 B1 KR 102159365B1 KR 1020200007620 A KR1020200007620 A KR 1020200007620A KR 20200007620 A KR20200007620 A KR 20200007620A KR 102159365 B1 KR102159365 B1 KR 10215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
guide
mouse
teeth
sleep apn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영
Original Assignee
박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영 filed Critical 박원영
Priority to KR1020200007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천장을 밀착되게 감싸서 수면 중 분리를 방지하고, 윗니에 끼우는 어퍼마우스와 아랫니에 끼우는 로워마우스를 전후로 조절하여 치열에 따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에 있어서, 윗니가 끼워지는 윗니끼움부를 형성하도록 어퍼 아웃터가이드과 어퍼 이너가이드 및 어퍼교합면이 구비되어 어퍼강성패널이 인서트된 어퍼마우스, 아랫니가 끼워지는 아랫니끼움부를 형성하도록 로워 아웃터가이드와 로워 이너가이드 및 로워교합면이 구비되어 로워강성패널이 인서트된 로워마우스를 포함하되, 상기 어퍼 이너가이드의 상단에 연결되어 입 속 경구개를 밀착되게 받치도록 형성된 경구개서포트, 상기 어퍼마우스와 로워마우스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어퍼교합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로워마우스에 형성된 슬라이딩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구개서포트가 입 속 경구개를 밀착되게 받치므로 수면 중 무의식 중에 혀의 밀어내는 힘에 의한 어퍼마우스의 분리를 방지하고, 어퍼마우스와 로워마우스가 가이드슬릿과 슬라이딩로드의 결합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어 다양한 치열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ORAL APPARATUS FOR SNORING AND SLEEP APNEA}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천장을 밀착되게 감싸서 수면 중 분리를 방지하고, 윗니에 끼우는 어퍼마우스와 아랫니에 끼우는 로워마우스를 전후로 조절하여 치열에 따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코골이는 수면 중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이완된 연구개(입 천정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구조물에 진동을 일으켜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그리고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증 등의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은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상술한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외과적 수술법과 양압공급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및 구강내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별된다.
근래에는 마취 및 수술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외과적 수술법과 산소마스크의 착용이 불편하고 고가인 양압공급장치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구강내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강내 장치를 이용하는 종래기술로서, 도 7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588호(등록일자 2013년02월15일) ‘코골이 방지부재’ 및 도 8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7238호(등록일자 2019년07월01일) ‘코골이 방지부재’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니가 끼워지는 상악삽입부(2, 100)와 아랫니가 끼워지는 하악삽입부(2, 2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악과 하악의 치열이 고르지 않거나 부정교합 등의 경우에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은 상악삽입부(2, 100)와 하악삽입부(2, 200)에 치아와 치은까지만 끼워지므로 수면 시 무의식중에 혀로 밀어내려는 힘에 의해 치아에 끼워진 상태가 틀어지거나 치아에서 분리되어 코골이 방지 및 수면 무호흡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588호(등록일자 2013년02월15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7238호(등록일자 2019년07월0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천장을 밀착되게 감싸서 수면 중 분리를 방지하고, 윗니에 끼우는 어퍼마우스와 아랫니에 끼우는 로워마우스를 전후로 조절하여 치열에 따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에 있어서, 윗니가 끼워지는 윗니끼움부를 형성하도록 어퍼 아웃터가이드과 어퍼 이너가이드 및 어퍼교합면이 구비되어 어퍼강성패널이 인서트된 어퍼마우스, 아랫니가 끼워지는 아랫니끼움부를 형성하도록 로워 아웃터가이드와 로워 이너가이드 및 로워교합면이 구비되어 로워강성패널이 인서트된 로워마우스를 포함하되, 상기 어퍼 이너가이드의 상단에 연결되어 입 속 경구개를 밀착되게 받치도록 형성된 경구개서포트, 상기 어퍼마우스와 로워마우스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어퍼교합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로워마우스에 형성된 슬라이딩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양측 가이드슬릿은 앞쪽이 상기 어퍼마우스의 중심 방향으로 2~4°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구개서포트의 외측 단부는 상기 어퍼 이너가이드의 상단 중앙에서 양측 끝 방향으로 완만히 만곡 형성되고, 상기 경구개서포트의 내면은 상기 어퍼 이너가이드의 내면부터 경구개까지 연속된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퍼 아웃터가이드의 외면 양측 하부에는 입 속의 볼 양측에 접촉되도록 수직으로 긴 복수의 어퍼 논슬립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워 아웃터가이드의 외면 양측 상부에는 입 속의 볼 양측에 접촉되도록 수직으로 긴 복수의 로워 논슬립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경구개서포트가 입 속 경구개를 밀착되게 받치므로 수면 중 무의식 중에 혀의 밀어내는 힘에 의한 어퍼마우스의 분리를 방지하고, 어퍼마우스와 로워마우스가 가이드슬릿과 슬라이딩로드의 결합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어 다양한 치열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퍼부재와 로워부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어퍼부재와 로워부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7 및 도 8은 종래기술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는, 윗니가 끼워지는 윗니끼움부(110)를 형성하도록 어퍼 아웃터가이드(120)와 어퍼 이너가이드(130) 및 어퍼교합면(140)을 갖는 어퍼마우스(100), 아랫니가 끼워지는 아랫니끼움부(210)를 형성하도록 로워 아웃터가이드(220)와 로워 이너가이드(230) 및 로워교합면(240)을 갖는 로워마우스(200)를 포함한다.
어퍼마우스(100)에는 윗니끼움부(110)가 형성되어 윗잇몸에 난 앞니와 송곳니 및 어금니를 포함하는 윗니와 치경이 끼워지는데, 이러한 어퍼마우스(100)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재질로 이루어져 위생성을 향상시키며 입 속에서 상처를 내지 않도록 도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어퍼마우스(100)에는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어퍼 아웃터가이드(120)가 구비되고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어퍼 이너가이드(130)가 구비되어 윗니가 끼워지는 윗니끼움홈이 형성된다. 이때, 어퍼 아웃터사이드와 어퍼 이너가이드(130) 사이에는 어퍼교합면(140)이 형성되어 입을 다물었을 때에 아랫니에 교합되는 윗니의 표면이 접촉되는데, 이러한 어퍼교합면(140)의 좌우 양측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가이드슬릿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슬라이딩로드(250)의 전후 슬라이딩을 안내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양측 가이드슬릿은 앞쪽이 어퍼마우스(100)의 중심 방향으로 2~4°기울기(IC)를 갖도록 형성되어 어퍼마우스(100) 또는 로워마우스(200)가 전후로 이동할 때에 슬라이딩로드(250)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가이드슬릿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어퍼마우스(100)와 로워마우스(200)의 상하 결합력을 제고시키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어퍼 아웃터가이드(120)의 전방 중앙에는 어퍼 소대수용홈(121)이 형성되어 상순소대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게 된다. 어퍼 아웃터가이드(120)의 좌우 양측 하부에는 수직으로 긴 어퍼 논슬립리브(122)가 복수로 형성되어 입 속의 볼 양측에 접촉되므로 구강 내 장착된 어퍼마우스(10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어퍼 이너가이드(130)의 상단에는 경구개서포트(150)가 일체로 연결되어 입 속 경구개를 밀착되게 받치므로, 수면 중 무의식 중에 혀끝이 어퍼 이너가이드(130)를 밀어낼 때에 어퍼마우스(100)가 윗니에서 분리되지 않고 끼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경구개서포트(150)의 외측 단부(1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이너가이드(130)의 상단 중앙에서 양측 끝 방향으로 완만히 만곡 형성되고, 그 내면(15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 이너가이드(130)의 내면부터 경구개까지 연속된 곡률로 이루어져, 윗니에 끼웠을 때에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게 된다.
도 2는 어퍼마우스(100)와 로워마우스(200)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어퍼강성패널(160)과 로워강성패널(260)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구성들은 투명으로 처리하여 나타내었다. 이러한 도 2를 참조하면, 어퍼 이너가이드(130)의 내부에는 어퍼강성패널(160)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어퍼마우스(100)의 골조를 유지는 기능과 치아 구조에 따라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어퍼강성패널(160)에는 어퍼 이너가이드(130)의 가이드슬릿에 상하로 연이어져 통하도록 동일한 형상의 연통공(161)이 형성되어 슬라이딩로드(250)가 관통된다. 이러한 어퍼강성패널(160)은 PP(polypropylene) 재질로 이루어져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간극을 5~10㎜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로워마우스(200)에는 아랫니끼움부(210)가 형성되어 아랫잇몸에 난 앞니와 송곳니 및 어금니를 포함하는 아랫니와 치경이 끼워지는데, 이러한 로워마우스(200)는 어퍼마우스(100)와 동일한 EVA 재질로 이루어져 위생성을 향상시키며 입 속에서 상처를 내지 않도록 도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로워마우스(200)에는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로워 아웃터가이드(220)가 구비되고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로워 이너가이드(230)가 구비되어 아랫니가 끼워지는 아랫니끼움홈이 형성된다. 이때, 로워 아웃터가이드(220)와 로워 이너가이드(230) 사이에는 로워교합면(240)이 형성되어 입을 다물었을 때에 윗니에 교합되는 아랫니의 표면이 접촉되는데, 이러한 로워교합면(240)의 반대쪽 상면 양측에는 슬라이딩로드(250)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어퍼마우스(100)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므로, 어퍼마우스(100)와 로워마우스(200)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로드(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가이드슬릿에 끼움결합되므로 어퍼마우스(100)와 로워마우스(200)를 분리 가능하게 상하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가이드슬릿과 슬라이딩로드(250)의 결합은, 어퍼마우스(100)와 로워마우스(200)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능과 상하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겸하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로워 아웃터가이드(220)의 전방 중앙에는 로워 소대수용홈(221)이 형성되어 하순소대를 보호하도록 수용하게 된다. 로워 아웃터가이드(220)의 좌우 양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긴 로워 논슬립리브(222)가 복수로 형성되어 입 속의 볼 양측에 접촉되므로 구강 내 장착된 로워마우스(200)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워 이너가이드(230)의 내부에는 로워강성패널(260)이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로워마우스(200)의 골조를 유지는 기능과 치아 구조에 따라 변형된 형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이러한 로워강성패널(260)은 어퍼강성패널(160)과 동일한 PP 재질로 이루어져 윗니와 아랫니 사이의 간극을 5~10㎜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강내 장치는, 어퍼마우스(100)의 가이드슬릿으로 로워마우스(200)의 슬라이딩로드(250)를 끼움결합한 후 사용자의 치열에 맞도록 어퍼마우스(100)와 로워마우스(20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조절한다.
이어서, 어퍼마우스(100)와 로워마우스(200)를 90℃ 온수에 30~50초 정도 담궜다 꺼낸 후, 어퍼마우스(100)에 대하여 로워마우스(200)가 5~6㎜ 정도 당겨지도록 사용자의 치열에 편안히 끼워서 성형하는 과정을 통해 채득하고, 이러한 과정을 2~3회에 걸쳐 완전히 편안해질때까지 수정할 수 있다.
이때, 차가운 물을 10초간 2~3회 헹구어 내면 인상채득이 완료되어 본 발명의 구강내 장치를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내 장치는 경구개서포트(150)가 입 속 경구개를 밀착되게 받치므로 수면 중 무의식 중에 혀의 밀어내는 힘에 의한 어퍼마우스(100)의 분리를 방지하고, 어퍼마우스(100)와 로워마우스(200)는 가이드슬릿과 슬라이딩로드(250)의 결합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어 다양한 치열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어퍼마우스 110 : 윗니끼움부
120 : 어퍼 아웃터가이드 130 : 어퍼 이너가이드
140 : 어퍼교합면 150 : 경구개서포트
160 : 어퍼강성패널 200 : 로워마우스
210 : 아랫니끼움부 220 : 로워 아웃터가이드
230 : 로워 이너가이드 240 : 로워교합면
250 : 슬라이딩로드 260 : 로워강성패널

Claims (5)

  1.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에 있어서,
    윗니가 끼워지는 윗니끼움부를 형성하도록 어퍼 아웃터가이드과 어퍼 이너가이드 및 어퍼교합면이 구비되어 어퍼강성패널이 인서트된 어퍼마우스, 아랫니가 끼워지는 아랫니끼움부를 형성하도록 로워 아웃터가이드와 로워 이너가이드 및 로워교합면이 구비되어 로워강성패널이 인서트된 로워마우스를 포함하되,
    상기 어퍼 이너가이드의 상단에 연결되어 입 속 경구개를 밀착되게 받치도록 형성된 경구개서포트,
    상기 어퍼마우스와 로워마우스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어퍼교합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과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로워마우스에 형성된 슬라이딩로드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릿은 앞쪽이 상기 어퍼마우스의 중심 방향으로 2~4°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서포트의 외측 단부는 상기 어퍼 이너가이드의 상단 중앙에서 양측 끝 방향으로 완만히 만곡 형성되고, 상기 경구개서포트의 내면은 상기 어퍼 이너가이드의 내면부터 경구개까지 연속된 곡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아웃터가이드의 외면 양측 하부에는 입 속의 볼 양측에 접촉되도록 수직으로 긴 복수의 어퍼 논슬립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아웃터가이드의 외면 양측 상부에는 입 속의 볼 양측에 접촉되도록 수직으로 긴 복수의 로워 논슬립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KR1020200007620A 2020-01-20 2020-01-20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KR10215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620A KR102159365B1 (ko) 2020-01-20 2020-01-20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620A KR102159365B1 (ko) 2020-01-20 2020-01-20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365B1 true KR102159365B1 (ko) 2020-09-23

Family

ID=7270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620A KR102159365B1 (ko) 2020-01-20 2020-01-20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584A (ko)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더슬립팩토리 구개전방 개방형 구강장치
WO2024048869A1 (ko) * 2022-09-02 2024-03-07 (주)메디슬립 수면용 마우스피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335A (ja) * 1994-05-13 1995-11-28 Thomas E Meade いびきを抑え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20077985A (ko) * 2010-12-31 2012-07-10 도효림 환자의 코골이 경중에 따른 맞춤 코골이 방지장치
KR101235880B1 (ko) 2011-02-25 2013-0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KR20170109439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분리형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KR20190048094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코골이 수면무호흡 치료용 구강 장치
KR101997238B1 (ko) 2019-01-14 2019-07-05 김희윤 코골이 방지부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335A (ja) * 1994-05-13 1995-11-28 Thomas E Meade いびきを抑え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20077985A (ko) * 2010-12-31 2012-07-10 도효림 환자의 코골이 경중에 따른 맞춤 코골이 방지장치
KR101235880B1 (ko) 2011-02-25 2013-0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
KR20170109439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분리형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KR20190048094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코골이 수면무호흡 치료용 구강 장치
KR101997238B1 (ko) 2019-01-14 2019-07-05 김희윤 코골이 방지부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584A (ko) 2021-06-25 2023-01-03 주식회사 더슬립팩토리 구개전방 개방형 구강장치
EP4173601A4 (en) * 2021-06-25 2024-02-21 Pasamedi Inc ORAL DEVICE
WO2024048869A1 (ko) * 2022-09-02 2024-03-07 (주)메디슬립 수면용 마우스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4628A (en) Snoring device
US20080115791A1 (en) Mandibular Advancement Mouthpiece, An Intraoccusal Removable Improved Device For Eliminating Or Reducing Snoring
KR101235888B1 (ko) 코골이 방지부재
JP4936061B2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249506B (zh) 下颌牙齿固定式口腔矫治器
JP6218857B2 (ja) 口腔装置
JPH021261A (ja) いびき防止のための歯科用矯正具
WO1992011827A1 (en) Anti-snore device
KR101463021B1 (ko) 구강장치
EP2961361B1 (en) Oral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and medial tongue constraint
KR102159365B1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용 구강내 장치
JP2005095218A (ja) いびき及び睡眠時無呼吸症候群治療装置
US9192455B1 (en) Or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oral appliances
GB2264868A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20190125573A1 (en) Oral appliance
US20220054301A1 (en) Oral Appliance
KR200439343Y1 (ko) 코골이 방지기구
KR20230070711A (ko) 수면무호흡 방지용 하악전진장치
KR101074536B1 (ko) 하악 전진장치
TWI426893B (zh) 口腔固定裝置
KR102368972B1 (ko) 턱관절 교정 및 코골이 완화기구
JP2008188448A (ja) 歯列マウスピース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EP2409672B1 (en) Oral fixation device and fixing method using the same
TWM603345U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