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127B1 -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 Google Patents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127B1
KR101572127B1 KR1020140045157A KR20140045157A KR101572127B1 KR 101572127 B1 KR101572127 B1 KR 101572127B1 KR 1020140045157 A KR1020140045157 A KR 1020140045157A KR 20140045157 A KR20140045157 A KR 20140045157A KR 101572127 B1 KR101572127 B1 KR 10157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elastic member
hook
lower body
oral appli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609A (ko
Inventor
이상화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4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127B1/ko
Priority to PCT/KR2015/002910 priority patent/WO2015160106A1/ko
Priority to US15/304,234 priority patent/US20170035601A1/en
Publication of KR20150119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몸체;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및 상기 상부 몸체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 중 발생할 수 있는 수면 무호흡증 등의 수면 호흡장애를 방지하고, 환자가 보다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Oral appliance for treating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본 발명은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면 중 발생할 수 있는 수면 무호흡증 등의 수면 호흡장애를 방지하고, 환자가 보다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면 호흡장애는 수면 중에 환자가 호흡장애를 일으켜 환자의 건강 상태를 악화시키는 질환으로서, 수면 중 심한 코골이와 주간기면 등의 수면장애 증상을 나타내며,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이로 인한 저산소혈증으로 다양한 심폐혈관계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이다.
이러한 수면 호흡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이 있다. 코골이는 흡기시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 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흡기시 이와 같이 좁아진 부위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현상이고,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Sleep apnea)은 인두벽과 기도 주위의 연조직이 지나치게 이완되어 연조직이 인두벽과 밀접되어 상기도가 좁아짐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일부 차단되면서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힘에 따라 공기가 폐에 일시적으로 흐르지 못하는 현상이다.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에 걸린 환자는 수면 중에 자주 깨게 되어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반복적인 저산소증에 의하여 낮에 만성적인 피로 증상과 만성 두통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수면 호흡장애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구강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구강장치는 수면 중에 기도를 열어주기 위해 하악(아래턱)을 앞쪽으로 밀어주는 교정 방식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대부분 구강장치는 착용하였을 때, 하악이 전방으로 이동되어 고정되어 있거나, 하악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가능하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환자가 구강장치를 착용한 후 수면 중에 상당한 불편함을 느껴 수면에도 방해가 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5285호(2013.05.03.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면 중 발생할 수 있는 수면 무호흡증 등의 수면 호흡장애를 방지하고, 환자가 보다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는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몸체;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및 상기 상부 몸체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상부 몸체보다 연성의 레진으로 만들어져 윗니의 전면에 밀착되는 서포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는 양측이 연결구에 의해 상기 상부 몸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이 걸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는 서로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하단이 상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상기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에 양단이 걸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몸체는 최대 전방이동거리의 60 내지 80% 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 중 발생할 수 있는 수면 무호흡증 등의 수면 호흡장애를 방지하고, 환자가 보다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의 측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의 측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의 정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몸체(10);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하부 몸체(20);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30); 및 상기 상부 몸체(10)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몸체(20)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턱(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는 레진(Resin)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는 강성의 레진(Hard resin)으로 만들어져 교합에 의해 치아 및 저작근과 턱관절 을 보호 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는 구치부 교합면의 조절이 가능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교합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윗니, 아랫니 및 어금니 부분의 레진이 맞닿아서 입을 다물었을 때 접촉하는 부분을 조절하여 균일하게 힘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구강장치는 이갈이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상부 몸체(10)는 착용자의 윗니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윗니가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몸체(20)는 착용자의 아랫니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아랫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는 착용자의 치아 구조에 따라서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상부 몸체(1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후크(12)가 구비된다. 상부 후크(12)는 탄성부재(30)가 걸어지는 부분으로서, 탄성부재(30)가 걸어지기 위해 선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부 후크(12)는 레진 재질의 상부 몸체(10)와는 달리 금속 또는 합금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부 몸체(10)에 일단부가 실장되어 상부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후크(12)는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상부 몸체(1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부 후크(12)가 복수개로 구성됨으로써 착용자의 편의에 따라 원하는 부분에 탄성부재(3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부 몸체(10)의 중앙부에는 상부 몸체(10)보다 연성의 레진으로 만들어진 서포팅부(14)가 구비된다. 서포팅부(14)는 윗니의 전면에 밀착되어 상부 몸체(10)에 후방으로 가해지는 힘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착용자가 구강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악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하부 몸체(20)와 연결된 상부 몸체(10) 또한 후방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서포팅부(14)가 윗니의 전면에 밀착되어 있어 상부 몸체(10)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완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포팅부(14)는 윗니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완충을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0)보다 부드러운 연성의 레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서포팅부(14)는 상부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소재만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포팅부(14)는 도 1에서와 같이 별도의 연결구(15)에 의해 상부 몸체(10)의 중앙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구(15)는 서포팅부(14)의 양측을 상부 몸체(10)에 연결한다.
한편, 상부 몸체(10)의 후단에는 지지턱(16)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지지턱(16)은 상부 몸체(10)의 후단에서 돌출되어 하부 몸체(20)의 후단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면 호흡장애는 수면 중에 기도가 막히는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서,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수면 중에 기도를 열어주기 위해 하악(아래턱)을 전방으로 밀어주는 것이 필요하고 하악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악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막기 위해 상부 몸체(10)의 후단에 지지턱(16)을 구비토록 한 것이다.
또한, 지지턱(16)은 하부 몸체(20)의 후단을 지지하기 위한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채용될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상부 몸체(10)의 후단을 가공하여 상부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 몸체(20)의 외면에는 상부 후크(12)에 대응되는 하부 후크(22)가 구비된다. 하부 후크(22) 또한 상부 후크(12)와 마찬가지로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하부 후크(22)는 상부 후크(12)와 서로 한 쌍을 이루게 되고 한 쌍을 이룬 상부 후크(12) 및 하부 후크(22) 유닛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후크(12) 및 하부 후크(22)에는 탄성부재(30)의 양단이 걸어진다. 탄성부재(30)는 상부 후크(12) 및 하부 후크(22)에 양단이 지지되어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탄성부재(30)를 통하여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를 연결함으로써, 착용자가 구강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을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도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다. 즉,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는 탄성부재(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제공받으면서 상대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본 도면에서는 탄성부재(30)의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을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가진 고무줄 등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32는 탄성부재(3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고리로서, 실질적으로 상부 후크(12) 및 하부 후크(22)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30)는 하단이 상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상기 후크(12,22)에 걸어질 수 있다. 수면 호흡장애 환자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하악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기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하악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제한하는 것이 필요한데, 상기와 같이 탄성부재(30)의 하단이 상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후크(12,22)에 걸게 되면 하부 몸체(20), 즉 하악이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때, 하악의 전방 이동은 당연히 허용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후크(12) 및 하부 후크(22)는 복수개가 서로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구강 구조나 편의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탄성부재(30)를 장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탄성부재(30)는 하부 몸체(20)의 최대 전방이동거리, 즉 착용자가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대거리의 60 내지 80% 만큼(70%가 가장 적절함) 하부 몸체(20)가 이동된 상태에서 상부 몸체(10)와 하부 몸체(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는 하부 몸체(20)가 충분히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하부 몸체(2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탄성부재(30)가 연결되면 최초 연결 상태에서 탄성부재(30)에 의해 하부 몸체(20)가 탄성력을 제공받아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에 의한 치료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 질환을 보이는 환자들은 수면 전에 본 구강장치를 치아에 착용하여야 한다. 이때, 구강장치는 미리 착용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제작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착용자가 하악을 최대 전방이동거리의 60 내지 80% 만큼(70%가 가장 적절함) 이동시킨 상태에서 탄성부재(30)를 장착하게 된다. 탄성부재(30)는 하단이 상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후크(12,22)에 걸어져 하부 몸체(20)가 후방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구강장치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게 되면, 상부 몸체(10) 및 하부 몸체(20)가 탄성부재(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서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착용자가 구강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하악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려 하면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1차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2차적으로 하부 몸체(20)의 후단이 지지턱(16)에 지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하악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치료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하악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려 할 때, 상부 몸체(10)에 의해 윗니에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서포팅부(14)에 의해 완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다양한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상부 몸체 12 : 상부 후크
14 : 서포팅부 15 : 연결구
16 : 지지턱 20 : 하부 몸체
22 : 하부 후크 30 : 탄성부재
32 : 연결고리

Claims (7)

  1. 윗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상부 몸체; 아랫니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하부 몸체;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및 상기 상부 몸체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몸체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이 걸어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는 서로 한 쌍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상부 몸체보다 연성의 레진으로 만들어져 윗니의 전면에 밀착되는 서포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부는 양측이 연결구에 의해 상기 상부 몸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하단이 상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상기 상부 후크 및 하부 후크에 양단이 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는 최대 전방이동거리의 60 내지 80% 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몸체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40045157A 2014-04-16 2014-04-16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KR101572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57A KR101572127B1 (ko) 2014-04-16 2014-04-16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PCT/KR2015/002910 WO2015160106A1 (ko) 2014-04-16 2015-03-25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US15/304,234 US20170035601A1 (en) 2014-04-16 2015-03-25 Oral device for treating sleep disordered breathing disord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57A KR101572127B1 (ko) 2014-04-16 2014-04-16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09A KR20150119609A (ko) 2015-10-26
KR101572127B1 true KR101572127B1 (ko) 2015-11-26

Family

ID=5432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157A KR101572127B1 (ko) 2014-04-16 2014-04-16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70035601A1 (ko)
KR (1) KR101572127B1 (ko)
WO (1) WO201516010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473A (ja) 2002-08-19 2004-03-11 Yuichiro Kawahara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7403B1 (fr) * 1995-07-31 1997-09-26 David Michel Dispositif intrabuccal, destine notamment au traitement du ronflement
US20060065277A1 (en) * 2004-09-29 2006-03-30 Scott Jacobs Dual tray athletic mouthguard
US7712468B2 (en) * 2007-02-21 2010-05-11 Hargadon Paul K Magnetic dental appliance
JP4936061B2 (ja) * 2007-07-24 2012-05-23 晃 北村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A2674656C (en) * 2009-08-14 2010-10-12 Douglas Awde Removable bite plane appliance
KR101218036B1 (ko) * 2010-12-31 2013-01-21 도효림 환자의 코골이 경중에 따른 맞춤 코골이 방지장치
KR101374011B1 (ko) * 2012-08-27 2014-03-12 이상재 코골이 방지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473A (ja) 2002-08-19 2004-03-11 Yuichiro Kawahara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35601A1 (en) 2017-02-09
WO2015160106A1 (ko) 2015-10-22
KR20150119609A (ko) 201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9879B2 (ja) 下顎前方固定デバイス、並びに、該デバイスを作るための方法及びキット
KR100856672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교정구
KR101218036B1 (ko) 환자의 코골이 경중에 따른 맞춤 코골이 방지장치
JP5361991B2 (ja) いびき防止装置
KR10205398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기구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US20170304107A1 (en) Oral appliance fixed to lower teeth
US20140216469A1 (en) Mandibular appliance with oxygen
US20100224197A1 (en) Sleep appliance
KR20130123111A (ko) 코골이 방지용 구강 장치
KR102015801B1 (ko) 혀를 내밀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20170030015A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WO2005027806A1 (ja) いびき及び睡眠時無呼吸症候群治療装置
EP2380533B1 (en) Intraoral splint
KR101990318B1 (ko)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CN104688404A (zh) 一种治疗阻塞性睡眠呼吸暂停(osa)和睡眠磨牙症的口腔矫正器
US10912670B2 (en) Oral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80608B1 (ko) 경구개접촉구를 가지는 상악스프린트장치
KR101572127B1 (ko) 수면 호흡장애 치료용 구강장치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US20160331575A1 (en) Device for facilitating nasal breathing for snorers
TWM603345U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KR10206523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TWI737347B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JP3176613U (ja) 気道の閉塞を防ぐマウス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