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235B1 -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235B1
KR102065235B1 KR1020180016720A KR20180016720A KR102065235B1 KR 102065235 B1 KR102065235 B1 KR 102065235B1 KR 1020180016720 A KR1020180016720 A KR 1020180016720A KR 20180016720 A KR20180016720 A KR 20180016720A KR 102065235 B1 KR102065235 B1 KR 102065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ortion
fastening
tray
snoring
protrus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376A (ko
Inventor
최현성
Original Assignee
최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성 filed Critical 최현성
Priority to KR102018001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2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구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상악에 장착되는 상부 트레이와 하악에 장착되는 하부 트레이를 당김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하악의 전방을 상악의 전방보다 앞쪽으로 유도시킴으로써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 간의 공간을 확보시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및 치료할 수 있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Oral devi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구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상악에 장착되는 상부 트레이와 하악에 장착되는 하부 트레이를 당김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하악의 전방을 상악의 전방보다 앞쪽으로 유도시킴으로써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 간의 공간을 확보시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및 치료할 수 있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수면 중의 호흡장애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수면호흡장애(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증상으로 코골이와 수면후호흡증이 있다.
또한 코골이는 흡기시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흡기시 이러한 좁아진 부위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인두벽과 기도 주위 연조직이 지나치게 이완되어 연조직이 인두벽과 밀접되어 상기도가 좁아짐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일부 차단되면서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힘에 따라 공기가 폐에 일시적으로 흐르지 못하는 현상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자주 깨는 것에 의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반복적인 저산소증에 의하여 낮에 만성적인 피로 증상과 만성 두통 증상을 보이며, 신경 인지적인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면무호흡증과 동맥성 고혈압, 관상 동맥 질환 사이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수면 무호흡 상태를 반복하다보면 혈액속에 저산소증을 초래하여 부정맥 및 심한 경우에는 심부전으로 돌연사에 이르는 불행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소아의 코골이의 경우에는 성장 장애와 학습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면 중의 호흡장애 증상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치료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호흡장치나 수술법에 의한 개선도 시도되고 있으나, 호흡장치는 그 장치의 설치 및 착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고 수술법은 고통이 따르며 항구적인 치료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음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9183호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윗니가 삽입되어 상악에 장착되는 상악 장착부재; 아랫니가 삽입되어 하악에 장착되는 하악 장착부재; 상기 상악 장착부재와 상기 하악 장착부재 중 한 측에 장착되며,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되어 기설정된 온도이상에서 초탄성을 가져 상기 하악 장착부재를 전방으로 유도하는 하악 전방 유도 와이어부재; 상기 상악 장착부재와 상기 하악 장착부재 중 다른 측에 장착되고, 상기 하악 전방 유도 와이어부재를 지지하는 와이어 버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하악 장착부재를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된 하악 전방 유도 와이어부재로 이동시킴으로써 턱관절에 대한 부작용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상기 하악 전방 유도 와이어부재 및 와이어 버팀부재의 부피가 커서 착용자가 입안 이물감을 크게 느끼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9183호(2013.03.2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4166호(2010.06.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88834호(2013.07.1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6570호(2017.08.24.)
본 발명은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는 하악의 전방을 상악의 전방보다 앞쪽으로 유도시키고, 상악에 대한 하악의 당김력을 형성시키는 당김장치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조절방식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이용한 조절방식을 이루기 때문에, 당김장치의 부피가 커서 착용자의 입안 이물감이 매우 큰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상기와 같은 볼트와 너트 또는 스프링을 이용한 조절방식의 구강장치는 상기 구성품들이 입안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착용자의 입안에 고인 침 또는 세균의 증식으로 인한 부식이 유발되어, 착용자의 구강건강에 유해한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하악의 전방이 상악의 전방보다 앞쪽에 위치된 상태로 수면을 취하는 착용자가 수면 중에 입을 벌리는 행동을 할 경우, 턱관절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후방이동하는 하악이 계속적으로 앞쪽으로 당겨진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턱관절에 무리가 발생하여 턱관절이 손상되거나 수면방해가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윗니를 파지하여 상악에 장착되는 상부 트레이; 아랫니를 파지하여 하악에 장착되는 하부 트레이; 길이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1체결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길이방향 후방에 위치되는 제2체결부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를 전방으로 당겨서 하악의 전방을 상악의 전방보다 앞쪽으로 유도시키는 당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당김부재는 외부가 탄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의 양쪽 외측부에 각각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당김부재의 제1체결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체결위치가 조절되도록 상부 트레이의 외측부에 고정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는 외부가 탄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당김부재에 의하여 하부 트레이의 전방이 상부 트레이의 전방보다 앞쪽으로 당겨지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당김부재의 부피가 매우 작아 착용자의 입안 이물감이 작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를 연결시켜 하악의 당김력을 형성시키는 당김부재의 외부가 방수성을 가지는 탄성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당김력 및 길이조절 기능을 가지는 제1체결부의 구성품이 침 또는 세균에 노출되지 않아, 침 고임 또는 세균 증식으로 인한 당김부재의 부식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제2체결부에 만곡부가 형성된 걸림판이 구비되는 구성을 하는 경우에는, 수면 중에 착용자가 입을 벌리면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간격이 좁아져 전방으로 당겨져 있던 하악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턱관절에 무리가 덜 발생하고, 턱관절 무리로 인한 수면방해가 덜 발생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의 당김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의 당김부재의 제1체결부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의 당김부재의 제1체결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의 당김부재의 제2체결부를 나타내는 부분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의 당김부재의 제2체결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구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윗니를 파지하여 상악에 장착되는 상부 트레이(10); 아랫니를 파지하여 하악에 장착되는 하부 트레이(20); 길이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1체결부(32)는 상기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길이방향 후방에 위치되는 제2체결부(37)는 상기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10)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0)를 전방으로 당겨서 하악의 전방을 상악의 전방보다 앞쪽으로 유도시키는 당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당김부재(30)는 외부가 탄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10)와 하부 트레이(20)의 양쪽 외측부에 각각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당김부재(30)의 제1체결부(32)는 상기 상부 트레이(10)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체결위치가 조절되도록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에 고정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이하, ‘코골이 치료용 구강장치’라 칭함.)는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 증상이 있는 착용자가 수면하는 동안 구강에 착용하여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또는 치료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상악은 턱관절을 중심으로 상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윗니가 배열되는 신체 부위이고, 하악은 턱관절을 중심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아랫니가 배열되는 신체 부위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치료용 구강장치는 일반적으로 상악의 전방이 하악의 전방보다 더 앞쪽에 위치한 상태의 착용자의 하악을 상악의 전방으로 당겨서 입안의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 간의 공간을 넓게 확보시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및 치료시키기 위한 장치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구강명칭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 및 코골이 치료의 원리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코골이 치료용 구강장치는 거시적으로 상부 트레이(10), 하부 트레이(20) 및 당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당김부재(3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체결부(32)는 상부 트레이(10)에 전후방향으로 체결위치가 조절되어, 착용자의 코골이 또는 수면무호흡증의 정도에 따라 상악 전방에 대한 하악의 전방의 돌출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트레이(10)는 윗니를 파지하여 상악에 장착되는 구성이고, 상기 하부 트레이(20)는 아랫니를 파지하여 하악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치아배열에 맞게 성형되어 만들어지는 구성을 한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상부 트레이(10)는 착용자의 상악에서 하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배열된 윗니들의 배열상태와 윗니 성형홈이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도록 인상의 떠서 성형하고, 일정의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윗니에 대한 착탈이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0)는 착용자의 하악에서 상방으로 길이를 가지며 배열된 아랫니들의 배열상태와 아랫니 성형홈이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도록 인상을 떠서 성형하고, 일정의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아랬니에 대한 착탈이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당김부재(30)는 길이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1체결부(32)는 상기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길이방향 후방에 위치되는 제2체결부(37)는 상기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10)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0)를 전방으로 당겨서 하악의 전방을 상악의 전방보다 앞쪽으로 유도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하부 트레이(20)를 전방으로 당기며 상부 트레이(10)에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당김부재(30)는 일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되, 길이방향 전방 일부분에 해당되는 제1체결부(32)는 상기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길이방향 후방 일부분에 해당되는 제2체결부(37)는 상기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을 하며, 평상 시(코골이 치료용 구강장치를 미착용한 상태), 착용자의 상악에 대한 하악의 위치보다 하악이 상악의 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가진다.
더불어 상기 당김부재(30)는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의 당김부재(30)는 상부 트레이(10)의 좌측 외측부와 하부 트레이(20)의 좌측 외측부를 연결시키고, 다른 하나의 당김부재(30)는 상부 트레이(10)의 우측 외측부와 하부 트레이(20)의 우측 외측부를 연결시키는 구성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당김부재(30)는 상부 트레이(10) 및 하부 트레이(2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된 상태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어느 하나의 당김부재(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하나의 당김부재(30)에 관한 설명은 어느 하나의 당김부재(30)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구체적으로, 상기 당김부재(30)는 외부가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또는 폴리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등과 같은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상부 트레이(10)에 대한 제1체결부(32)의 체결위치 조절에 의하여 변화되는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의 간격변화에 대하여 당김부재(30) 외부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당김부재(30)는 상기 재질에 의하여 일정의 방수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당김부재(30)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1체결부(32)와 상부 트레이(10)의 체결부분 및 제2체결부(37)와 하부 트레이(20)의 체결부분으로 침이 최소한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악에 대한 하악의 주된 길이조절 기능을 가지는 제1체결부(32)와 상부 트레이(10)의 체결부분 및 회전 기능과 보조 길이조절 기능을 가지는 제2체결부(37)와 하부 트레이(20)의 체결부분의 부식 및 세균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당김부재(30)는 상기 제1체결부(32)가 제2체결부(37)보다 전방(입안의 전방쪽)에 위치한 상태를 가지도록 상부 트레이(10)와 하부 트레이(20)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성의 당김부재(30)의 제1체결부(32)는 착용자의 입쪽에 해당하는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에 체결되고, 제2체결부(37)는 착용자의 목구멍쪽에 해당하는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악에 대한 하악의 당김력을 조절하여 제1체결부(32)와 상부 트레이(10) 간의 체결위치를 착용자 입쪽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제2체결부(37)에 하기의 만곡부(23)가 형성된 걸림판(22)이 더 구비된 경우에는 착용자가 입을 벌릴 때 턱관절에 대한 하악의 전방 돌출 정도를 후방으로 약간 이동시켜 턱관절에 가해지는 무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당김부재(30)의 제1체결부(32)는 상부 트레이(10)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체결위치가 조절되어 항상 일정한 위치를 가지는 상악에 대한 하악의 전후방향 이동 정도를 조절시킴으로써 하악의 전방이 상악의 전방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당김부재(30)는 탄성 및 방수성을 가지고, 당김부재(30)의 외형을 형성시키는 외피(31); 상기 외피(31)의 전방부에서 중간부까지 길이를 형성하며 외피(31)의 내부에 내입되는 제1체결부(32) 및; 상기 외피(31)의 중간부에서 후방부까지 길이를 형성하며 외피(31)의 내부에 내입되는 제2체결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32)의 후단과 제2체결부(37)의 전단은 외피(31)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당김부재(30)는 거시적으로 외피(31), 제1체결부(32) 및 제2체결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피(31)는 탄성 및 방수성을 가지고, 당김부재(30)의 외형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서, 당김부재(30)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피(3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어, 제1체결부(32)와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 일정부분(하기의 제1돌출핀(11)) 간의 체결위치가 조절되면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 간의 이격 간격이 외피(31)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정의 복원력으로써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10)에 대한 제1체결부(32)의 체결위치가 전방으로 조절되면 상기 제1체결부(32)의 후단과 제2체결부(37)의 전단이 더 멀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을 가지는 외피(31)는 제1체결부(32)쪽으로 제2체결부(37)를 당기는 복원력을 형성시켜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가 일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키고, 상기와 반대로 상부 트레이(10)에 대한 제1체결부(32)의 체결위치가 후방으로 조절되면 상기 제1체결부(32)의 후단과 제2체결부(37)의 전단은 가까워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을 가지는 외피(31)는 제2체결부(37)를 탄성으로써 후방으로 밀어내어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가 일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체결부(32)는 상기 외피(31)의 전방부에서 중간부까지 길이를 형성하며 외피(31)의 내부에 내입되는 구성으로서, 전방 일부분은 상기 상부 트레이(10)와 체결되며 외피(31)의 내부에 내입되고, 후방 일부분은 제2체결부(37)와 이격된 상태로 외피(31)의 내부에 내입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32)는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체결위치를 조절하며 체결되는 구성을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에는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돌출핀(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32)는 상기 제1돌출핀(11)에 체결위치 조절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 양쪽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당김부재(30) 각각의 제1체결부(32)가 체결되는 제1돌출핀(11)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32)의 전방에는 상기 제1돌출핀(11)의 외주와 이격된 상태의 내주를 가지는 체결홀(34)이 형성된 전방헤드(3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홀(34)에는 상기 제1돌출핀(11)의 말단에 일단이 회전 및 고정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외주에 제1돌출핀(11)을 중심으로 내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의 캠날개(13)를 구비하는 캠(12)이 내입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 양쪽 각각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돌출핀(11)은 상기 캠(12)을 회전 및 고정 가능하도록 체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입안쪽 면을 지나치게 가압하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돌출핀(11)의 말단은 외피(31) 전방의 내부 중앙 이내까지만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외피(31) 전방 내부의 중앙에 상기 캠(12)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헤드(33)는 제1체결부(32)의 전방 일부분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서, 체결홀(34)이 내부에 형성되는 링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방헤드(33)에 형성된 체결홀(34)은 상기 제1돌출핀(11)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제1돌출핀(11)의 말단에 체결된 캠(12)이 체결홀(34)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캠(12)은 제1돌출핀(11)에 지지된 상태로 제1체결부(32)의 전방 일부분을 형성시키는 전방헤드(33)의 체결홀(34)에 내입되어 회전 및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으로서, 치과의사 또는 착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1돌출핀(11)에서 회전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캠(12)은 제1돌출핀(11)의 말단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15)에 의하여 체결되고, 치과의사 또는 착용자가 상기 체결구(15)를 회전시키면 제1돌출핀(11)에서 회전되며, 체결구(15)를 조이면 캠(12)과 제1돌출핀(11) 간의 체결력이 형성되어 제1돌출핀(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캠(12)은 외주에 제1돌출핀(11)을 중심으로 내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의 캠날개(13)를 구비하는 구성을 하여, 제1돌출핀(11)에 대한 전방헤드(33)의 전후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시켜, 제1체결부(32)가 제1돌출핀(11)(상부 트레이(10)의 일지점)에 대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캠날개(13)는 상기 전방헤드(33)의 체결홀(34)에 내입되되, 캠날개(13)의 최외각 외주면이 전방으로 향하여 체결홀(34)의 내주면에 맞닿으면, 전방헤드(33)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1체결부(32)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된 제1체결부(32)의 후단은 외피(31)를 통하여 제2체결부(37)를 전방으로 당기는 당김력을 작용시켜 제1돌출핀(11)에 대한 제2체결부(37)의 간격을 좁히고, 그 결과 제2체결부(37)가 하부 트레이(20)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하악의 전방이 상악의 전방으로 더욱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반대로, 상기 캠(12)이 제1돌출핀(11)에서 회전되어 상기 캠날개(13)의 최외각 외주면에서 최내각 외주면이 전방으로 향하여 체결홀(34)의 내주면에 맞닿으면, 전방헤드(33)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제1체결부(32)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효과를 발휘하고, 그 결과 외피(31)의 탄성력에 의한 당김력이 해제되어 제2체결부(37)에 의한 하부 트레이(20)의 당김력이 해제됨으로써 하악의 전방이 상악의 전방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구성의 캠(12)은 체결홀(34)에 내입된 상태로 제1돌출핀(11)에 대한 전방헤드(33)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위치를 조절시켜 상부 트레이(10)에 대한 제1체결부(32)의 전후방향으로의 체결위치를 조절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제1체결부(32)의 전방헤드(33)에 상기 체결홀(34)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외피(31)가 상기 체결홀(34)의 양쪽 측방을 가로막아 입안에서 체결홀(34)로 유입되는 침과 세균의 유동을 방지시킬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12)의 양쪽 측부에는 상기 외피(31)의 전방부 양쪽 외측부를 가로막음으로써 상기 체결홀(34)의 양쪽 측방을 가로막을 수 있는 한 쌍의 가림판(14)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가림판(14)은 중앙부분이 캠(12)에 체결되는 구성을 하고, 외주가 상기 체결홀(34)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체결홀(34)이 위치되는 외피(31)의 외측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하여 체결홀(34)을 가로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판(14)은 캠(12)의 회전에 의하여 제1돌출핀(11)을 중심으로 회전하지만, 체결홀(34) 내주면에 대한 캠날개(13)의 맞닿을 부분과 무관하게 항상 체결홀(34)의 측방을 가로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체결부(37)는 상기 외피(31)의 중간부에서 후방부까지 길이를 형성하며 외피(31)의 내부에 내입되는 구성으로서, 전방 일부분은 제1체결부(32)와 이격된 상태로 외피(31)의 내부에 내입되고, 후방 일부분은 상기 하부 트레이(20)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37)는 당김부재(30)의 후방과 하부 트레이(20) 간의 회전성을 확보시켜 착용자가 입을 벌리면 하부 트레이(20)의 후방이 당김부재(30)의 후방에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37)는 당김부재(30)의 후방과 하부 트레이(20) 간의 회전성을 확보시킬 수 있으면 다양한 결합관계를 가지며 하부 트레이(20)에 체결되는 구성을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에는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돌출핀(21)이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37)는 상기 제2돌출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 양쪽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당김부재(30) 각각의 제2체결부(37)가 체결되는 제2돌출핀(21)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돌출핀(21)의 말단에는 제2돌출핀(2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판(22)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체결부(37)의 후방에는 상기 걸림판(22)을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시키는 걸림판 내입홀(39a)이 형성된 후방헤드(38)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 양쪽 각각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돌출핀(21)은 상기 걸림판(22)을 체결시키는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입안쪽 명을 지나치게 가압하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돌출핀(21)의 말단은 외피(31) 후방의 내부 중앙 이내까지만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외피(31) 후방 내부의 중앙에 상기 걸림판(22)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헤드(38)는 제2체결부(37)의 후방 일부분을 형성시키는 구성으로서, 걸림판 내입홀(39a)이 내부에 형성되는 판상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방헤드(38)에 형성된 걸림판 내입홀(39a)은 내주가 원형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제2돌출핀(21)의 말단에 구비된 걸림판(22)이 걸림판 내입홀(39a) 내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걸림판(22) 역시 원형의 걸림판 내입홀(39a)에 대응되는 외주를 가지는 원형의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돌출핀(21)은 항상 하부 트레이(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돌출핀(21)의 말단에 구비된 걸림판(22) 역시 항상 하부 트레이(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착용자가 입을 벌리거나 오무릴 경우에 상기 하부 트레이(20)는 턱관절을 중심으로 하향 또는 상향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2돌출핀(21)과 걸림판(22) 역시 하부 트레이(20)와 함께 하향 또는 상향 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걸림판(22)은 제2체결부(37)의 후방헤드(38)에 형성된 걸림판 내입홀(39a)에서 하향 또는 상향 회전 가능하여, 제2체결부(37)가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 일정지점(제2돌출핀(2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체결부(32)의 후방에는 후방 말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연결핀(36)을 구비하고, 상기 제2체결부(37)의 걸림판 내입홀(39a)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연결대(35)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22)의 후방 일부분에는 걸림판(22)의 후방 일부분의 외주에서 상기 제2돌출핀(21)을 중심쪽으로 깊어지는 깊이를 가지는 만곡부(2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35)는 상기 만곡부(23)에 접하며 만곡면에서 이동되어, 상악에 대한 하악의 벌어짐이 클수록 상기 제1체결부(32)를 제2체결부(37)쪽으로 후방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핀(36)을 구비하는 연결대(35) 및 걸림판(22)의 만곡부(23)는 착용자가 입을 벌릴 경우 상악의 전방보다 앞쪽으로 당겨진 하악의 전방을 후방으로 일정 간격 이동시켜 착용자의 턱관절에 가해지는 무리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대(35)는 제1체결부(32)의 후방에 구비되어 제2체결부(37)의 후방헤드(38)에 형성된 걸림판 내입홀(39a)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구성으로서,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를 연결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37)의 전방쪽(후방헤드(38)의 전방) 내부에는 상기 연결대(35)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내입시킬 수 있는 연결대 내입홈(39b)이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35)의 후방 말단에 구비된 연결핀(36)은 연결대(35)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걸림판(22)의 후방 일부분에 형성된 만곡부(23)와 걸림을 형성하여,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가 연결대(35)에 의하여 서로 지지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연결핀(36)과 만곡부(23)의 걸림 형성에 의하여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의 연결에 의하여 이루어진 당김부재(30)의 최대 길이가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만곡부(23)는 걸림판(22)의 후방 일부분에 형성되어 연결핀(36)을 내입시키는 구성으로서, 걸림판(22)의 후방 일부분의 외주가 제2돌출핀(21)의 중심쪽을 향하며 깊은 깊이를 가지며 절개 또는 파여진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만곡부(23)는 상부 일부분(23a)은 제2돌출핀(21)의 중심에서 가까운 위치(깊은 위치)의 만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일부분(23a)과 연결된 하부 일부분(23b)은 제2돌출핀(21)의 중심에서 먼 위치(얕은 위치)의 만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면, 착용자가 입을 다문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핀(36)은 만곡부(23)의 상부 일부분(23a)에 내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와 반대로 착용자가 입을 벌리게 되면 걸림판(22)의 전방은 하부 트레이(20)의 하향 회전에 의하여 제2돌출핀(21)과 함께 하향 회전되고, 이때 제2돌출핀(21)의 후방에 해당하는 걸림판(22)의 후방 일부분에 형성된 만곡부(23)는 제2돌출핀(21)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되어, 연결핀(36)이 위치된 만곡부(23)의 상부 일부분(23a)은 연결핀(36)의 상부로 이동되고, 연결핀(36)의 위치로는 만곡부(23)의 하부 일부분(23b)이 위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태에서 만곡부(23)의 하부 일부분(23b)은 상부 일부분(23a)보다 더 얕은 깊이를 가지기 때문에, 연결핀(36)은 제2돌출핀(21)의 중심에서 더 멀어지는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연결대(35)와 연결된 제1체결부(32)의 후단은 제2체결부(37)의 전단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의 간격이 좁아지면, 당김부재(30)의 길이가 짧아지는 변화가 생겨서 상악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던 하악의 전방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제1체결부(32)와 제2체결부(37)의 좁아진 간격만큼 이동됨.), 상악의 전방보다 전방이 더 전방이동된 상태로 착용자가 입을 벌릴 때 가해질 수 있는 턱관절의 무리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착용자의 수면방해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입을 벌렸던 착용자가 다시 입을 다물면, 상기 하악은 턱관절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하여 제2돌출핀(21)이 상향 회전하도록 하고, 제2돌출핀(21)에 구비된 걸림판(22)의 후방은 상기 제2돌출핀(21)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걸림판(22)의 전방은 제2돌출핀(21)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함.)하며, 이때, 연결핀(36)이 위치된 만곡부(23)의 하부 일부분(23b)은 하향 회전되어 만곡부(23)의 상부 일부분(23a)에 연결핀(36)이 재내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만곡부(23)의 상부 일부분(23a)에 재내입된 연결핀(36)은 제2돌출핀(2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방 이동되기 때문에 연결핀(36)과 연결된 연결대(35)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제1체결부(32)의 후단과 제2체결부(37)의 전단을 멀어지도록 이격되어 당김부재(30)의 길이가 다시 길어지도록 하여, 하악의 전방이 상악의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상부 트레이 11 : 제1돌출핀
12 : 캠 13 : 캠날개
14 : 가림판 15 : 체결구
20 : 하부 트레이 21 : 제2돌출핀
22 : 걸림판 23 : 만곡부
23a : 만곡부의 상부 일부분 23b : 만곡부의 하부 일부분
30 : 당김부재 31 : 외피
32 : 제1체결부 33 : 전방헤드
34 : 체결홀 35 : 연결대
36 : 연결핀 37 : 제2체결부
38 : 후방헤드 39a : 걸림판 내입홀
39b : 연결대 내입홈

Claims (5)

  1. 윗니를 파지하여 상악에 장착되는 상부 트레이(10);
    아랫니를 파지하여 하악에 장착되는 하부 트레이(20);
    길이방향 전방에 위치되는 제1체결부(32)는 상기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길이방향 후방에 위치되는 제2체결부(37)는 상기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10)를 기준으로 상기 하부 트레이(20)를 전방으로 당겨서 하악의 전방을 상악의 전방보다 앞쪽으로 유도시키는 당김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당김부재(30)는 외부가 탄성 및 방수성을 가지는 한 쌍의 것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10)와 하부 트레이(20)의 양쪽 외측부에 각각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당김부재(30)의 제1체결부(32)는,
    상기 상부 트레이(10)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체결위치가 조절되도록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에 고정체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당김부재(30)는,
    탄성 및 방수성을 가지고, 당김부재(30)의 외형을 형성시키는 외피(31);
    상기 외피(31)의 전방부에서 중간부까지 길이를 형성하며 외피(31)의 내부에 내입되는 제1체결부(32) 및;
    상기 외피(31)의 중간부에서 후방부까지 길이를 형성하며 외피(31)의 내부에 내입되는 제2체결부(3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32)의 후단과 제2체결부(37)의 전단은 외피(31)의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트레이(10)의 외측부 양쪽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당김부재(30) 각각의 제1체결부(32)가 체결되는 제1돌출핀(11)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32)의 전방에는,
    상기 제1돌출핀(11)의 외주와 이격된 상태의 내주를 가지는 체결홀(34)이 형성된 전방헤드(3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체결홀(34)에는 상기 제1돌출핀(11)의 말단에 일단이 회전 및 고정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외주에 제1돌출핀(11)을 중심으로 내외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의 캠날개(13)를 구비하는 캠(12)이 내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캠(12)의 양쪽 측부에는,
    상기 외피(31)의 전방부 양쪽 외측부를 가로막음으로써 상기 체결홀(34)의 양쪽 측방을 가로막을 수 있는 한 쌍의 가림판(14)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트레이(20)의 외측부 양쪽 각각에는,
    상기 한 쌍의 당김부재(30) 각각의 제2체결부(37)가 체결되는 제2돌출핀(21)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돌출핀(21)의 말단에는 제2돌출핀(21)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판(22)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체결부(37)의 후방에는,
    상기 걸림판(22)을 회전 가능하도록 내입시키는 걸림판 내입홀(39a)이 형성된 후방헤드(38)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32)의 후방에는,
    후방 말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연결핀(36)을 구비하고, 상기 제2체결부(37)의 걸림판 내입홀(39a)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연결대(35)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판(22)의 후방 일부분에는,
    걸림판(22)의 후방 일부분의 외주에서 상기 제2돌출핀(21)을 중심쪽으로 깊어지는 깊이를 가지는 만곡부(2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35)는 상기 만곡부(23)에 접하며 만곡면에서 이동되어, 상악에 대한 하악의 벌어짐이 클수록 상기 제1체결부(32)를 제2체결부(37)쪽으로 후방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KR1020180016720A 2018-02-12 2018-02-12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KR10206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20A KR102065235B1 (ko) 2018-02-12 2018-02-12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720A KR102065235B1 (ko) 2018-02-12 2018-02-12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76A KR20190097376A (ko) 2019-08-21
KR102065235B1 true KR102065235B1 (ko) 2020-01-10

Family

ID=6780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720A KR102065235B1 (ko) 2018-02-12 2018-02-12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478B1 (ko) * 2021-07-08 2023-05-04 명재준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672B1 (ko) 2007-03-16 2008-09-04 홍이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교정구
JP2009028084A (ja) * 2007-07-24 2009-02-12 Nagasaki Univ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998958B2 (ja) 2006-08-25 2012-08-15 国立大学法人 長崎大学 睡眠時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下顎前方位型口腔内装置用コネクター
US20120295211A1 (en) 2010-03-29 2012-11-22 Frantz Desig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Formed Dental Appliance
US20140020691A1 (en) 2012-07-18 2014-01-23 Rest Assured Technologies Or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medical conditions such as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noring and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and method of optimizing same
KR101722640B1 (ko) *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US20170367793A1 (en) 2014-12-16 2017-12-28 Selane Products, Inc. Adjustable sleep apnea oral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463B1 (ko) 2008-12-04 2011-11-04 정진우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KR101271576B1 (ko) 2011-09-14 2013-06-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KR20120103527A (ko) 2012-08-04 2012-09-19 정지영 코골이방지장치
KR101782093B1 (ko) 2016-10-10 2017-09-26 송영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8958B2 (ja) 2006-08-25 2012-08-15 国立大学法人 長崎大学 睡眠時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下顎前方位型口腔内装置用コネクター
KR100856672B1 (ko) 2007-03-16 2008-09-04 홍이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교정구
JP2009028084A (ja) * 2007-07-24 2009-02-12 Nagasaki Univ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295211A1 (en) 2010-03-29 2012-11-22 Frantz Desig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Formed Dental Appliance
US20140020691A1 (en) 2012-07-18 2014-01-23 Rest Assured Technologies Or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medical conditions such as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noring and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and method of optimizing same
US20170367793A1 (en) 2014-12-16 2017-12-28 Selane Products, Inc. Adjustable sleep apnea oral appliance
KR101722640B1 (ko) * 2015-10-13 2017-04-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376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802B1 (en) Sleep appliance
KR100787188B1 (ko) 코골이 방지기구
US5868138A (en)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7146982B2 (en) Intraoral orthosis for preventing snoring
EP2709572B1 (en) Breathing assist device
US20150272773A1 (en)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20200222227A1 (en)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KR20160119094A (ko) 하악 전진 이동 장치 및 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및 키트
KR101590813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
KR101361583B1 (ko)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
WO2010050246A1 (ja) 舌位置制御装置
US20140216469A1 (en) Mandibular appliance with oxygen
US20120160249A1 (en) Tongue advancement device for reducing obstructive sleep apnea condition
KR102015801B1 (ko) 혀를 내밀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JP2009028084A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KR10211139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200439343Y1 (ko) 코골이 방지기구
KR10206523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KR101074536B1 (ko) 하악 전진장치
KR101934849B1 (ko) 윗니와 아랫니의 앞뒤 간격을 조절 가능한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US20150101615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taining Oral Devices for Airway Treatment
KR200405903Y1 (ko) 수면중 개구방지를 위한 마스크
KR101990318B1 (ko)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101201991B1 (ko) 코골이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