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463B1 -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463B1
KR101080463B1 KR1020080122606A KR20080122606A KR101080463B1 KR 101080463 B1 KR101080463 B1 KR 101080463B1 KR 1020080122606 A KR1020080122606 A KR 1020080122606A KR 20080122606 A KR20080122606 A KR 20080122606A KR 101080463 B1 KR101080463 B1 KR 10108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sleep apnea
snoring
oral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166A (ko
Inventor
정진우
고홍섭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정진우
이정윤
고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이정윤, 고홍섭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102008012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46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악을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줌으로써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 간의 공간을 확보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치료하기 위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협소한 구강내에 설치하는 하악 전방 위치 장치이며,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이러한 구조가 환자의 구강 내점막을 자극하지 않도록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의 양측 바깥면을 신축수단으로 연결하고, 신축수단의 탄력으로 하부 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맞닿는 접면 부위의 양측 각각에 형성된 단턱의 위치에 의하여 하부 몸체의 후퇴 최대 위치가 결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 하, 좌, 우로 턱관절을 움직일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 내점막에 가하여 지는 자극이 최소화되어 구강이 작은 환자의 경우에도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게 되므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효과를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구강

Description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Oral Appliance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악을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켜 줌으로써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 간의 공간을 확보하여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치료하기 위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수면 중의 호흡장애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수면호흡장애(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증상으로 코골이와 수면후호흡증이 있다.
이러한 코골이는 흡기시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흡기시 이러한 좁아진 부위가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며,
아울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인두벽과 기도 주위 연조직이 지나치게 이완되어 연조직이 인두벽과 밀접되어 상기도가 좁아짐 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일부 차단되면서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힘에 따라 공기가 폐에 일시적으로 흐르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자주 깨는 것에 의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반복적인 저산소증에 의하여 낮에 만성적인 피로 증상과 만성 두통 증상을 보이며, 신경 인지적인 기능 장애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면무호흡증과 동맥성 고혈압, 관상 동맥 질환 사이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으며, 수면 무호흡 상태를 반복하다보면 혈액속에 저산소증을 초래하여 부정맥 및 심한 경우에는 심부전으로 돌연사에 이르는 불행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소아의 코골이의 경우에는 성장 장애와 학습 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면 중의 호흡장애 증상인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완화, 치료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호흡장치나 수술법에 의한 개선도 시도되고 있으나, 호흡장치는 그 장치의 설치 및 착용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고 수술법은 고통이 따르며 항구적인 치료 결과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1900년대 초기부터 호흡장애의 치료에 구강내 장치를 이용하기 시작하였으며 미국 식품의약안전청(FDA)로부터 코골이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승인된 장치만 하더라도 30여종이 있는 것이며,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에 모두 효과가 있다고 승인된 장치만하더라도 10여종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구강내 장치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하악을 전방으로 위치시켜 주는 하 악 전방 위치 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혀만을 전방으로 당겨주는 혀 유지 장치(tongue retaining device; TRD), 그리고 연구개 거상 장치(soft palatal lifter)의 세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모두 충분한 공기 통로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로 된 것이다.
이러한 구강내 장치 중에 근래에 가장 널리 사용되며,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모두에 효과가 있다고 인정된 구강내 장치는 하악 전방 위치 장치이며, 이는 1982년부터 2002년 까지 보고된 40여편의 하악전방위치 장치의 효과에 관련된 논문을 종합하여 보면 하악 전방 위치 장치 착용 시 코골이는 87.5%,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는 55.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 효과면에서 호흡장치에 버금가는 것이다.
이러한 하악 전방 위치 장치의 일예를 도 1에 도시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56672호(발명의 명칭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교정구; 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볼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입안에 설치되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교정구로서, 상기 사용자의 윗니가 안착되는 상부 몸체(110)와,
상기 사용자의 아랫니가 안착되는 하부 몸체(120)와,
상기 상부 몸체(110)와 상기 하부 몸체(1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120)를 상기 상부 몸체(1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상부 몸체(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몸체(110)는 전측에 윗니의 노출을 위한 상부 노출홈(112)이 형성 되어 있고, 상기 윗니와 접하는 내측면에 탄력을 가지는 재질의 쿠션재(111)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입안 천정에 지지됨으로써 가이드 되는 상부지지부(113)가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120)는 전측에 아랫니의 노출을 위한 하부 노출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랫니와 접하는 내측면에 탄력을 가지는 재질의 쿠션재(121)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입안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가이드 되는 하부지지부가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아랫니가 상기 윗니에 평상시 상하로 정렬된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최대한 돌출되는 범위의 70% ∼ 100% 내에서 상기 상부 몸체(110)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부 몸체(110)와 상기 하부 몸체(120)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호흡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용발명 1은 고정부(130)에 의하여 수면시간 동안 사용자의 윗턱과 아래턱이 고정되어 턱관절의 관절염이나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래턱이 돌출되는 범위가 고정되어 있어서 전문의의 처방에 따른 위치 조정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상부 몸체(110)와 하부 몸체(120) 사이가 벌어져 있는 것이므로 입술을 계속 벌리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다른 형태의 하악 전방 위치 장치로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IST Appliance(Scheu Dental, Iserlohn, Germany; 이하 '인용발명 2'라 함)는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200)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210) 사이에 스트로크를 규정하기 위한 돌출 너트(201)를 설치하여서 된 가이드(202)의 양단을 고정하되, 상부와 하부에 가이드(202) 양단의 체결부(203, 204)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205, 206)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돌출 너트(201)를 회동시킴에 따라 돌출 위치가 조정되는 것이며, 체결부(203, 204)와 고정된 힌지(205, 206)가 구비되고, 체결부(203, 204)의 통공이 힌지(205, 206)의 축봉보다 크므로 이들 사이에 유격이 있어서, 상, 하는 물론 좌, 우로도 의 유격이 확보되는 것이어서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200)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210)가 상, 하, 좌, 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수면 중 장시간 동안 착용하였을 시 악관절을 움직일 수 있으므로 고정된 형태의 인용발명 1과는 달리 턱관절에 무리를 주거나 염증 및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이는 힌지 및 가이드가 구강 내점막과 접찰되면서 움직이는 방식이므로 구강 내점막에 힌지 및 가이드가 심한 자극을 주게 되며, 특히 구강이 작은 동양인들에게는 착용 시 고통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형태의 하악 전방 위치 장치로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TAP 3(Airway Management Inc., Dallas, Texas, USA;이하 '인용발명 3'이라 함)가 보급되어 있으며, 이는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300)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310)의 전방에 하부 몸체(310)의 돌출 상태를 확보하기 위한 상, 하 결합구(301, 302)를 각각 설치하고, 상, 하 결합구(301, 302)의 체결구(303, 304)를 이용하여 하부 몸체(310)의 돌출 위치를 조정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하악의 돌출 위치는 조정할 수 있으나 상, 하 또는 좌우로의 움직임이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수면 중 장시간 동안 착용하였을 시 턱관절을 움직일 수 있으므로 턱관절에 무리를 주거나 염증 및 통증을 유발시킬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형태의 하악 전방 위치 장치로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SomnoMed(SomnoMed, Denton, Texas, USA; 이하 '인용발명 4'라 함)가 보급된 바 있으며, 이는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400)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410)의 양 측방에 핀-커플링 기구(401)를 설치하여, 하부 몸체(410)의 돌출 상태를 확보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이는 아래턱이 돌출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수직으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기는 하나 수평으로는 전혀 움직일 수 없어서 이 역시 장시간의 수면 중 악관절의 통증이나 염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구강 내점막과 핀-커플링기구가 접찰되어 착용감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협소한 구강내에 설치하는 하악 전방 위치 장치이며,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이러한 구조가 환자의 구강 내점막을 자극하지 않도록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를 연결하고, 전방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제작이 용이한 간단한 구조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의 양측 바깥면에 고정핀을 복수개 고정하여 고정핀의 일측이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고정핀의 일측에 가이드롤러를 고정하며, 고정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에 신축수단을 연결하되, 신축수단의 탄력으로 하부 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맞닿는 접면 부위의 양측 각각에 형성된 단턱의 위치에 의하여 하부 몸체의 후퇴 최대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여서 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상, 하, 좌, 우로 악관절을 움직일 수 있으므로 악관절의 염증이나 통증 등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면서도,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양측 바깥면에 고정된 가이드롤러나 신축수단이 바깥면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돌출 높이가 매우 낮아서 환자의 구강 내점막에 가하여 지는 자극이 최소화되어 구강이 작은 환자의 경우에도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게 되므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효과를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단턱 이동수단의 스크류를 조작함으로써 하부 몸체의 단턱을 이동시켜 줌으로써, 환자의 상황에 따른 하악의 후퇴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되므로 최적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적용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를 도 5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의 윗니에 교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윗니를 수용하도록 제작된 상부 몸체(1)와 환자의 아랫니에 교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2)를 별도로 성형한다.
이때,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의 재질은 경성 또는 반경성 레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 또는 유색 및 반투명 등 다양한 색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는 입을 다물었을 때 서로 맞닿는 접면 부위에 단턱(11, 22)을 형성한다.
이때, 인체의 구강 구조상 상악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하부 몸체(2)가 후퇴되려고 하는 위치가 제한되도록 하부 몸체(2)의 단턱(22)이 상부 몸체(1)의 단턱(11)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하부 몸체(2)의 단 턱(22)에 후방 후퇴 단턱(23)을 추가로 설치하고, 이러한 후퇴 단턱(23)이 하부 몸체(2)의 단턱(22)과 2개의 가이드(3)에 의하여 연결되어 밀착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7로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부 몸체(2)의 단턱(22)에 형성된 나사홈(5)에 통공(6)이 구비된 조정 스크류(7)의 일단이 끼워지고 조정 스크류(7)의 타단이 후퇴 단턱(23)에 매설되어 회전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조정 스크류(7) 양측에는 후퇴 단턱(23)에 고정된 가이드(3)가 배치 고정되고, 하부 몸체(2)의 단턱(22)에 형성된 안내공(8)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조정 스크류(7)의 통공(6)에 통공(6) 이하의 직경으로 된 작은 레버를 끼우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조정스크류(7)가 회전하게 되고, 조정 스크류(7)의 타단이 후퇴 단턱(23)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조정 스크류(7)의 일단은 하부 몸체(2)의 단턱(22)에 형성된 나사홈(5)에 끼워져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조정 스크류(7)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3)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후퇴 단턱(23)이 하부 몸체(2)의 단턱(22)에 밀접되거나 이격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안내공(8)에서 가이드(3)가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습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후퇴 단턱(23)이 하부 몸체(2)의 단턱(22)에 밀접 된 상태를 보인 것이 도 7b이고, 후퇴 단턱(23)이 하부 몸체(2)의 단턱(22)에서 이격된 상태를 보인 것이 도 7c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악의 후퇴가 제한되며, 조정 스크류(7)를 조정함으로써 하악의 최대 후퇴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환자의 상태 에 따른 최적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는 환자에게 착용시키기 전에 하부 몸체(2)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한 탄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상, 하악을 상, 하, 좌, 우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면서도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의 유동 위치가 제한되어 단턱(22)들이 맞물림 상태가 유지되는 안정적 구조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신축 수단(9)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축수단(9)의 신축력이 적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의 양측 바깥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핀(13)을 돌설하였다. 이러한 고정핀(13)에는 신축수단(9)에 의한 신축력이 하부 몸체(2)를 바깥 방향으로 밀어 냄에 있어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정핀(13)의 일측에 가이드롤러(4)를 끼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고정된 가이드롤러(4)의 그루브(41)에 신축수단(9)이 걸려 지도록 한 상태에서 신축수단(9)의 양단이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의 가이드롤러(4)에 고정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구현된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 8a로 보였으며,
도 8b에서 그 측면도를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축수단(9)으로 고무 밴드(91)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무 밴드(91)의 양단을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의 가이드롤러(4)에 걸어 끼우고 고무 밴드(91)의 중간부분이 상부 몸체(1)의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롤러(4)를 통과하도록 걸어 둠으로써 고무 밴드(91)의 신축력이 하부 몸체(2)를 바깥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을 환자가 착용하기 전에 수면 다원 검사(polysomnography)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하면 수면 중의 무호흡증의 정도를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로 평가될 수 있으며 호흡 장애 지수는 한 시간의 수면 시간 동안 나타나는 무호흡이나 저호흡의 횟수로 정의된다.
참고로 미국 수면 의학 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에서는 수면 무호흡증의 심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경도(RDI 5 ~ 15); 1시간의 수면 동안 5 ~ 15회의 무호흡이나 저호흡이 관측되는 경우
- 중등도(RDI 16 ~ 30); 1시간의 수면 동안 16 ~ 30회의 무호흡이나 저호흡이 관측되는 경우
- 심도(RDI 30 이상); 1시간의 수면 동안 30회 이상의 무호흡이나 저호흡이 관측되는 경우
이와 같이 하여 수면 다원 검사 결과 환자가 경도 이상의 RDI 인 경우이면서 주간 졸음 현상을 호소한다면 이는 치료가 필요한 경우이며, 본 발명에 의한 구강내 장치는 경도에서 중등도 까지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게 시술하게 되는 것이고, 만일, 중추성 수면무호흡증으로 판정되거나 턱관절장애 환자인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치아와 그 주위 조직 그리고 턱관절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 를 시행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강내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적응증인지를 판정하여야 한 후 환자에게 본 발명에 의한 구강내 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정된 본 발명의 장치를 착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환자의 윗니 배열과 아랫니 배열에 따라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를 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후퇴 단턱(23)의 위치를 조정하여 줌으로써 하악이 최대로 후퇴 가능한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를 전술한 도 8로 보인 바와 같이 고무 밴드(91)를 이용하여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의 가이드롤러(4)에 끼워 준 후 구강내에 삽입하여 윗니와 아랫니에 상, 하부 몸체(2)가 물려지도록 하면 착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착용한 상태에서 하악 전방 위치는 대개 최대 하악 전방 운동 거리의 50% ~ 70%가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때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의 수직 거리는 구호흡을 할 수 있도록 4 ~ 7mm가 적합하며, 최적의 하악 전방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도 7로 보인 바와 같은 조정 스크류(7)의 조작에 의하여 여러 번의 시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을 착용한 환자의 경우 사용 후 1주일을 경과한 시점에서 전체적인 증상 호전 정도 및 악관절 및 교합 검사 그리고 이에 따른 조정 스크류(7)의 조정으로 후퇴 단턱(23)의 위치 조정이 필요하며,
1개월 경과한 시점에서 재차 전체적인 증상 호전 정도 및 악관절 및 교합 검사 그리고 이에 따른 조정 스크류(7)의 조정으로 후퇴 단턱(23)의 위치 조정이 필 요하다.
또한, 3개월 및 6개월이 경과한 시점에서 전체적인 증상 호전 정도 및 턱관절 및 교합 검사 그리고 이에 따른 조정 스크류(7)의 조정으로 후퇴 단턱(23)의 위치 조정과 함께 수면 다원 검사를 실시하여 RDI의 감소가 관측되는 지의 여부를 점검하고 이후에는 매 2 ~ 3개월 마다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함으로써 장치 장착을 유지시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이상적으로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구강내 장치는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가 신축수단(9)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축수단(9)은 그 자체가 인용발명들에서와 같은 경직된 재질이 아니어서 상, 하, 좌, 우 어느 방향으로든지 구강내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유연성이 제공되어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이나 구속감이 최소화된다. 그 결과 턱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됨에 따라 발생하는 통증, 염증 발생등의 우려가 해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본 발명에 의한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의 상, 하 움직임을 도 9의 사진으로 도시하였으며,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의 좌, 후 비틀림 움직임을 도 10의 사진으로 보였다. 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유로운 턱관절의 움직임을 보장함으로써 환자의 적응이 용이하여 장기간 계속 착용이 가능하므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조정 스크류(7)의 중간 부위에 통공(6)이 형성되어 이에 레버를 끼워 회동시키도록 함으로써 후퇴 단턱(23)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고 있으나, 도 11로 보인 바와 같이 하부 몸체(2)의 단턱(22) 내부에 나사 공(24)을 형성하고, 이에 조정 스크류(7)를 끼우며, 조정 스트류의 선단에 조정스크류(7)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후퇴 단턱(23)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조정 스크류(7)를 정밀 드라이버(71)를 사용하여 쉽고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조정이 더욱 편리하게 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조정 스크류(7)의 중간에 통공(6)이 형성되어 구조적인 취약성이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2로 보인 바와 같이 신축수단(9)으로 고무밴드(91)를 사용하지 않고 폴리우레탄 합성 섬유로 된 합성섬유밴드(92)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고무밴드(91)와 비슷한 탄성을 지닌 것으로 쉽게 파단되지 않고 지속적인 탄성을 유지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1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신축수단(9)으로 체온을 마르텐사이트 변태 온도로 하여 제조된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 (SMA)) 스프링(93)을 사용하여 상온에서는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를 연결하는 정도의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청소를 하거나 후퇴 단턱(23)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이를 착용 시에는 체온에 의하여 마르텐사이트 변태를 일으켜 도 12와 같은 형태로 하부 몸체(2)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탄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도 1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양단을 상부 몸체(1)와 하부 몸체(2)에 매립 고정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고, 도 15로 보인 바와 같이 중간의 링부분(10)은 그 중심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부 몸체(1)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14)에 의하여 지지되고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고정핀(14)의 단부에 걸림턱(12)을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구강내의 타액 등에 의하여 신축수단(9)의 수명이 단축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이고 충분한 탄력으로 하부 몸체(2)를 전방으로 돌출시킬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교정구를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종래의 하악 전방 위치 장치를 보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의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맞물린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하부 몸체에 형성된 단턱과 후퇴 단턱의 결합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하부 몸체에 형성된 단턱과 후퇴 단턱이 밀접된 결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c는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하부 몸체에 형성된 단턱과 후퇴 단턱이 이격된 결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에 의한 구강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상, 하로 벌어진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좌, 우로 틀어진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후퇴 단턱과 하부 몸체의 단턱 연결 상태의 다른 실 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수단을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형상기억합금으로 된 신축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형상기억합금을 신축수단으로 사용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형상기억합금의 링부를 고정한 상태를 보인 상부 몸체 일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상부 몸체 2:하부 몸체 3:가이드
4:가이드롤러 5:나사홈 6:통공
7:조정 스크류 8:안내공 9:신축수단
10:링부분 11, 22:단턱 12:걸림턱
13, 14:고정핀 23:후퇴단턱 24:나사공
41:그루브 71:드라이버 91:고무밴드
92:합성섬유밴드 93:형상 기억 합금

Claims (6)

  1. 윗니를 수용하는 상부 몸체와 아랫니를 수용하는 하부 몸체의 양측 바깥면에 고정핀을 복수개 고정하여 고정핀의 일측이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고정핀의 일측에 가이드롤러를 고정하며, 고정된 복수개의 가이드롤러에 신축수단을 연결하되, 신축수단의 탄력으로 하부 몸체가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가 맞닿는 접면 부위의 양측 각각에 형성된 단턱의 위치에 의하여 하부 몸체의 후퇴 최대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되,
    상기 하부 몸체의 단턱에 후퇴 단턱을 추가로 설치하고, 이러한 후퇴 단턱이 하부 몸체의 단턱과 2개의 가이드에 의하여 연결, 안내되어 습동될 수 있도록 하며, 하부 몸체의 단턱에 형성된 나사홈에 통공이 구비된 조정 스크류의 일단이 끼워지고 조정 스크류의 타단이 후퇴 단턱에 매설되어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체온을 마르텐사이트 변태 온도로 하여 제조된 형상 기억 합금으로 되고, 그 양단이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에 매립 고정되며, 중간의 링부분이 상부 몸체에 형성된 하나의 고정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KR1020080122606A 2008-12-04 2008-12-04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KR10108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06A KR101080463B1 (ko) 2008-12-04 2008-12-04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606A KR101080463B1 (ko) 2008-12-04 2008-12-04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166A KR20100064166A (ko) 2010-06-14
KR101080463B1 true KR101080463B1 (ko) 2011-11-04

Family

ID=42363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606A KR101080463B1 (ko) 2008-12-04 2008-12-04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4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410A1 (ko) * 2015-10-13 2017-04-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KR20210027149A (ko) 2019-08-29 2021-03-10 (주)큐라움 구강 장치
KR20230070711A (ko) 2021-11-15 2023-05-23 추혜란 수면무호흡 방지용 하악전진장치
US11679023B2 (en) * 2017-07-11 2023-06-20 Stewart Cullen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95B1 (ko) * 2011-02-08 2013-02-21 전미숙 개량된 하악 전진 장치
KR101271576B1 (ko) * 2011-09-14 2013-06-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KR101374011B1 (ko) * 2012-08-27 2014-03-12 이상재 코골이 방지기구
US20140076332A1 (en) * 2012-09-15 2014-03-20 Kenneth Luco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SA) and Sleep Bruxism
KR101482728B1 (ko) * 2013-09-06 2015-01-14 주식회사 수면과건강 좌우균형이 자동으로 유지되며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 치료를 위해 견인이 일정한 하악견인기
KR101481801B1 (ko) * 2014-08-21 2015-01-12 심소희 턱관절 교정 장치 및 윙 스페이서
KR101685048B1 (ko) * 2015-04-28 2016-12-09 장영진 하악 전방 이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4279B1 (ko) * 2015-06-12 2016-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CN107789113A (zh) * 2016-08-31 2018-03-13 深圳绵福健康科技有限公司 滑动内调止鼾器
KR102065235B1 (ko) 2018-02-12 2020-01-10 최현성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KR102111397B1 (ko) * 2018-04-06 2020-05-19 이노범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WO2020154709A1 (en) * 2019-01-25 2020-07-30 Sharma Virender K Devices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KR200493828Y1 (ko) * 2019-01-30 2021-06-10 주식회사 수면과 건강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KR102302467B1 (ko) * 2019-06-07 2021-09-15 장영진 코골이 방지장치
KR102066677B1 (ko) 2019-07-02 2020-01-15 이창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장치
KR102377844B1 (ko) * 2021-07-26 2022-03-22 이일욱 수면 호흡 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1976A1 (en) * 2000-03-22 2003-02-13 Clark William J. Mandibular advanc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JP2004073473A (ja) 2002-08-19 2004-03-11 Yuichiro Kawahara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US20070074729A1 (en) * 2004-06-04 2007-04-05 Georges Magnin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1976A1 (en) * 2000-03-22 2003-02-13 Clark William J. Mandibular advancer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JP2004073473A (ja) 2002-08-19 2004-03-11 Yuichiro Kawahara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US20070074729A1 (en) * 2004-06-04 2007-04-05 Georges Magnin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410A1 (ko) * 2015-10-13 2017-04-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악 전진 장치
US11246744B2 (en) 2015-10-13 2022-02-15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Device for moving lower jaw forward
US11679023B2 (en) * 2017-07-11 2023-06-20 Stewart Cullen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
KR20210027149A (ko) 2019-08-29 2021-03-10 (주)큐라움 구강 장치
KR20230070711A (ko) 2021-11-15 2023-05-23 추혜란 수면무호흡 방지용 하악전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166A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463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RU27035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вижения вперед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способ и комплек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6899380B2 (ja) 口腔器具
RU2536706C2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внутриро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выдвижения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вперед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храпа и апноэ сна
AU2016236827B2 (en) Mandibular reposition device and coupling therefor
ES2409280T3 (es) Dispositivo para avance mandibular
US20070224567A1 (en) Dental orthotic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361583B1 (ko)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
US20130112210A1 (en) Oral Sleep Apnea Device
US20150272773A1 (en)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20200222227A1 (en)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MX2011004086A (es) Metodos y aparatos para tratar apnea del sueño.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US9675494B2 (en) Elastic tongue-dorsum retraction device, clamping pliers, installation pliers, line guide and implantation method
KR20110102340A (ko)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
KR101301525B1 (ko)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KR20190117864A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10206523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US20150290025A1 (en) Oral System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101959537B1 (ko)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WO2019075540A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dispositivo intraoral para tratamento de transtornos do sono
Santander et al.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and dentistry: What is the relationship?
KR102159393B1 (ko) 치아 인상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