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340A -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340A
KR20110102340A KR1020117013884A KR20117013884A KR20110102340A KR 20110102340 A KR20110102340 A KR 20110102340A KR 1020117013884 A KR1020117013884 A KR 1020117013884A KR 20117013884 A KR20117013884 A KR 20117013884A KR 20110102340 A KR20110102340 A KR 20110102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oft palate
palate
palatal
adjus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037B1 (ko
Inventor
시앙민 창
싱 초우
Original Assignee
시앙민 창
싱 초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0810219169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1732108B/zh
Priority claimed from CN 200910192688 external-priority patent/CN102028559B/zh
Application filed by 시앙민 창, 싱 초우 filed Critical 시앙민 창
Publication of KR20110102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0Epiglottis; Larynxes; Tracheae combined with larynxes or for use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은 인체에 장기 이식 가능한 자재로 제작된 편형이식물로 경구개 연결부와 지지물로 구성된다. 지지물은 연구개 내에 삽입할 수 있는 편형이식물이고 지지물은 경구개 연결부에 연결되고, 경구개 연결부에는 경구개와 연결되는 연결구조와 조절기구가 설치되고, 경구개 연결부에 설치된 연결구조는 지지물을 경구개에 고정하는데 사용되고, 경구개 연결부에 설치된 조절기구는 지지물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 또는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제어하게 된다. 경구개 연결부는 경구개에 고정되기 때문에 지지물은 연구개 근육층에 이식되고 경구개 지지점에 의해 이완, 함몰된 연구개와 일부 설후근을 받쳐주게 된다. 비수면 상태에서 삼키는 동작이 비교적 빈번해지는데 조절기구가 열림 상태가 되면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은 연구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되어 삼키는 동작에 대한 간섭을 줄여주고, 수면상태에 진입하기 전에 손가락이나 혀끝을 통해 경구개에 이식된 조절기구의 제어키를 조절하여 조절기구가 닫힘 상태가 되면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이 연구개를 받칠 수 있게 되고 설근방향으로 연구개를 받쳐서 연구개의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의 중축선을 바꾸어 인두부 호흡 시의 기도를 확장시켜 코골이와 OSAHS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 {ADJUSTABLE SUPPORT FOR SOFT PALATE AND IMPLAN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특히 성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 hypopnea syndrome, OSAHS)과 코골이 치료에 이용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성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OSAHS)은 수면 시 상기도의 함몰폐쇄로 야기되는 일종의 코골이와 호흡 중단을 임상특징으로 하는 수면호흡 장애성 질병이다. 가장 낮은 진단기준에 의해도 OSAHS 환자율은 성인 남성의 약 4%, 여성의 2%이며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OSAHS의 발명원리에 있어서 일반적인 주 원인으로는 수면 시 상기도 개방을 유지하는 근육의 이완으로 인한 연부조직 함몰폐쇄로 인해 평면의 연구개, 편도와 설근이 폐쇄되기 때문이라 여겨지고 있다. OSAHS의 치료법은 매우 다양하며 비수술치료와 수술치료의 두 가지 종류로 나눠진다.
비수술치료법의 주요내용:
1. 양압기(CPAP)는 지속적으로 양압을 발생시키는 일종의 호흡기를 인공호흡기용 마스크와 환자 코 부위를 연결시켜 수면 시 기도의 연부조직 함몰폐쇄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해당 방법은 효과가 뛰어나긴 하나 약 2/3의 환자들이 적응에 어려움이 있고 인공호흡기를 착용한 상태로 수면을 취하기는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2. 구강 내 기구. 구강 내에 일종의 장치를 장착하여 하악을 앞으로 이동시키거나 혀를 앞으로 당겨 인두부를 확대시켜 수면 시 기도폐쇄를 제거하게 된다. 해당 방법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많은 환자들이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구강 내 기구는 어느 정도 자극성과 이물감이 있어 수면을 어렵게 하고 장기간 사용할 경우 턱 관절의 손상을 야기하게 된다.
국제 특허PCT/US2005/00139에서 일종의 상기도 폐쇄 완화에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고 있는데 해당 장치는 사람의 입 안에 밀폐구강을 형성하는 기구에 적합하며 수면 시 해당 장치를 물고 자게 되면 구강이 밀폐상태가 되는데 음압발생기를 해당 장치에 연결시켜 환자의 혀 또는 상기도의 연부조직을 당기거나 인두부 아래 부분을 당겨서 기도를 확장하여 OSAHS발생을 줄이게 된다.
중국 특허ZL200620110299.7에서는 일종의 설측전위기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OSAHS와 코골이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설측전위기는 하나의 반월형 기판을 포함하며 기판의 상부에는 전후 돌출면이 있는 반월형 상부 치아교정기가 있고 기판의 하부는 아크형 후면판이 있으며 기판의 정중앙에는 전후를 관통하는 앵커홀이 있고 기판의 하부에는 아크형 전면판이 있고 전후판 사이는 아래 치아열 브래킷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설측전위기는 환자의 상하 치아열에 교합기구를 제공하여 상하 근육이 수면 시 의식적으로 상대적으로 긴장된 상태에 있게 하여 하악과 설측전위기가 안정적인 하나의 지지점을 형성하게 한다. 앵커홀은 혀끝에 편안한 고정위치를 제공하고 혀를 앵커홀과 혀 뼈 사이에 위치시켜 구인부 기도를 원활하게 하여 OSAHS와 코골이 치료라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국제 특허PCT/US2005/001392005.1.3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치와 중국 특허ZL200620110299.7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측전위기의 특허와 비슷한 특허는 그 수가 많으며 이러한 특허는 모두 구강에서 치아를 지지점으로 하여 각종 기구를 설계하여 수면 시 혀나 연구개의 긴장정도나 위치를 변화시켜 OSAHS와 코골이 치료라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이러한 기구는 수면 전에 구강에 넣고 꽉 물어 고정하여야 하지만 사람은 수면 시 끊임없이 자세를 바꾸고 입 모양을 바꾸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구가 항상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는 없고 이외에도 환자가 사용 시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수술치료의 치료방법의 주요내용:
1. 고주파 열 치료법, 또는 저온 플라즈마 고주파 치료법이라고도 하며 일종의 최소침습수술법이다. 주로 기도폐쇄가 발생한 연부조직에 전기자극을 주는 것인데 예를 들어 연구개, 편도선과 설근 등 부위에 전기를 통하여 뜨겁게 하여 조직을 응고, 괴사, 섬유화, 수축한다. 어느 정도의 치료효과가 있으며 가벼운 증상에 효과적이지만 장기간의 치료효과는 미흡하고 중증환자에게는 효과가 없다.
2. 연인두부 성형. 1981년 Fujita는 일본학자 Ikematus의 연인두부 성형술을 구개수구개인두부성형술(uvulopalatopharyngoplasty,UPPP)로 개선하여 미국에 도입한 후 여러 문서에서 UPPP를 기초로 하는 개량된 수술법을 계속 보고하였는데 Simmons법, Fairbank-s법, Dickson법, Woodson법, Z형 구개성형수술, 목젖구개인두부수술, 목젖을 제거하지 않는 구개인두부성형수술(H-UPPP)등으로 OSAHS환자의 증상의 개선과 예후증상에 있어 큰 공헌을 하였다. 외과치료법이 많은 환자들에게 효과가 있긴 하나 장기적 효과 면에서 봤을 때에는 점막, 연구개 조직구조를 과도하게 절제하여 기능성 근육을 손상시키게 되어 음식을 삼킬 때 비강역류, 개방성 비음, 비인강협착 등의 합병증을 야기한다. 어떻게 상처를 최소화하거나 최소침습법에 따른 수술치료와 맞는 수술기구를 고안해낼 수 있을까 하는 것이 현재 OSAHS치료의 기술연구에 있어서 그 발전의 중점이 된다.
3. 연구개 이식술. 국제 특허PCT/US2002/0079662002.3.14에서는 일종의 코골이를 치료하는 연구개 이식 조직물을 제시하고 있는데 해당 발명은 연구개에 조직물을 삽입하여 연구개가 기류의 변화에 따라 중심을 바꾸고 연구개의 공기 동력학의 특징을 변화시켜 연구개와 인후부의 임계공기속도를 높여 코골이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OSAHS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으며 OSAHS는 연구개 함몰로 인한 상기도의 폐쇄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과 이용되는 이식기구는 OSAHS치료에 사용할 수 없다. 중증 코골이 환자의 경우 연구개가 움직이는 부위의 중량이 증가하여 OSAHS발생의 위험이 오히려 더 가중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해 보면 OSAHS와 코골이를 치료하는 기존의 기술방법은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지만 여전히 많은 단점이 존재하며 장기적인 효과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고 새로운 기구를 설계하여 OSAHS와 코골이를 치료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방법은 상처를 최소화해야 하며 새로운 기구는 안전적, 효과적, 간단하고 믿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연구보고와 임상경험 결과에 의하면, 연구개 부분의 이완함몰이 코골이와 OSAHS를 야기하는 주요원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개 부분의 이완, 함몰로 인한 코골이와 OSAHS의 발명원인에 대해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개 부분의 이완, 함몰로 인한 코골이와 OSAHS의 발명원인에 대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일종의 이식물을 설계하여 한쪽은 경구개에 고정하고 한쪽은 연구개 내에 삽입하고 경구개를 지지점으로 하여 이완, 함몰된 연구개와 일부 설후근을 받치게 된다. 설근방향으로 연구개를 받쳐서 연구개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의 중축선을 바꾸어 인두부 호흡 시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낮에 비수면 상태에서, 특히 음식물을 섭취할 때 삼키는 동작이 비교적 빈번하나 연구개 부분의 이완, 함몰로 야기된 코골이와 OSAHS는 수면 시에 발생하는데 수면 시에는 삼키는 동작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설계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기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은 인체에 장기 이식 가능한 자재로 제작된 편형이식물로 연구개 내에 삽입하는 편형이식물인 지지물, 상기 지지물을 경구개로 연결하는 경구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구개 연결부는 상기 경구개 연결부를 경구개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연결구조,상기 지지물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를 제어하거나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제어하도록 설치된 조절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물은 인체 연구개 이완 시의 자연스러운 완곡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를 갖고 있다.
상기 경구개 연결부의 연결구조는 적어도 구멍형 구조, U자 클램프 구조, 버클형 구조, 리벳형 구조 및 자체 팽창형 로크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경구개 연결부의 조절기구는 열림 또는 닫힘 두 상태를 포함하는 스위치구조이고 조절기구가 개방상태에 있으면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은 연구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조절기구가 닫힘 상태에 있으면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은 연구개를 받칠 수 있어 설근방향으로 연구개를 받쳐주어 연구개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의 중축선을 바꾸어 인두부 호흡 시 기도를 확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기구의 스위치구조는 적어도 단일키 구조, 이중키 스위치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경구개 연결부의 조절기구는 지지물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 또는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기구이다.
또한 상기 경구개 연결부의 조절기구는 1단, 2단 또는 2단 이상의 단계식 조절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경구개 연결부의 조절기구는 지지물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 또는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구이다.
상기 경구개 연결부의 조절기구는 회전운동이나 직선운동을 통해 지지물의 연구개 지탱정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하는 연속 조절기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구개 연결부는 케이스도 포함하며, 상기 조절기구는 케이스 내에 설치된다.
상기 경구개 연결부의 조절기구는 조절 제어키를 포함하는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 제어키는 인체에 이식 가능한 유연성 고분자자재 막으로 덮여 있다.
상기 케이스에 인체에 이식 가능한 유연성 고분자자재 막이 있고 상기 조절 제어키는 상기 유연성 고분자자재 막에 덮여 있다.
상기 지지물은 구멍이 있거나 구멍이 없는 편형물이다.
또한 상기 지지물은 적어도 횡단면이 아크형인 편형물, 횡단면이 골판형인 편형물 및 강화립이 있는 구조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 지지물 적어도 하나의 탄성모듈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탄성모듈은 외부 힘의 작용 하에 변형이 가능하고 외부 힘이 해제된 후에 다시 변형 전의 상태로 회복 가능한 기구이다.
상기 탄성모듈은 적어도 탄성 고분자자재 박판이나 벨트 또는 막, 스프링구조, 유연성 고분자자재로 감싼 스프링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물은 적어도 하나의 강성모듈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강성모듈은 일정한 지탱력이 있으나 과도한 외부 힘의 작용 하에 소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외부 힘이 해제된 후 변형 전의 모양으로 회복할 수 없는 기구나 물체이다.
상기 지지물은 경구개 연결부와 조립 또는 분해할수 있게 연결한다.
상기 지지물을 연구개에 삽입하는 길이는 연구개 총 길이의 1/5내지 4/5사이이고 그 최적 삽입길이는 2/3내지 3/4사이이다.
상기 이식방법은 경구개 연결부를 경구개에 고정하여 지지물을 연구개 내에 삽입한다.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은 경구개에 고정되기 때문에 지지물은 연구개 근육층에 이식되고 경구개를 지지점으로 하여 이완, 함몰된 연구개와 일부 설후근을 받쳐주게 된다. 설근방향으로 연구개를 받쳐서 연구개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의 중축선을 바꾸어 인두부 호흡 시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낮에 수면 상태에서, 특히 음식물을 섭취할 때 삼키는 동작이 비교적 빈번하며 조절기구가 열림 상태가 되게 하여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이 연구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도록 하여 삼키는 동작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고 수면 상태 진입 시 조절기구가 닫힘 상태가 되어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이 연구개를 받칠 수 있게 된다. 설근방향으로 연구개를 받쳐서 연구개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의 중축선을 바꾸어 인두부 호흡 시의 기도를 확장시킨다. 이렇게 하여 코골이와 OSAHS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계별로 조절 가능하고 연속 조절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도 설계하였으므로 손가락이나 혀끝 또는 리모콘을 통해 경구개에 이식된 제어키를 조절하여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을 적당한 위치로 조절하여 비수면 상태에서의 삼키는 동작을 정상상태로 유지시킬 뿐 아니라 수면 상태에서 연구개를 효과적으로 지탱하여 수면 시 상기도를 원활하게 유지하여 코골이와 OSAHS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은 설계가 정교하여 국부마취하에서 수술 가능할 뿐만아니라, 전신마취하에서도 수술 가능하다. 수술 시 코골이 증상과 OSAHS의 심각한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의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선택하고 구강 경구개 쪽에 2mm 내지 20mm의 작은 절개만으로도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지지물의 경구개 지지물을 경구개에 고정할 수 있고 지지물을 연구개에 삽입하고 상처를 봉합하면 바로 수술을 완료하게 된다. 최소 침습수술로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을 실현하였다. 임상응용 결과 본 발명의 방법과 이식된 기구를 이용하면 상처가 작고, 회복이 빠르고 효과가 빠르며 치료효과가 신뢰할 만하다는 장점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특히 수술 후 환자가 자신의 감각에 따라 연구개 지지물의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치료효과와 편안함을 느낄 수 있어 환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도1은 코로 호흡 시 인체 두부의 측면 단면도,
도2는 음식을 삼킬 때의 인체 두부 측면 단면도,
도3은 OSAHS환자의 발병 시의 원리도,
도4는 본 발명이 제공한 OSAHS 치료법 원리 및 본 발명의 이식형 연구개 지지물의 원리도,
도5는 단일나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경구개와 연구개에 고정한 구조 예시도,
도6은 이중나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경구개와 연구개에 고정한 구조 예시도,
도7은 삼중 나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경구개와 연구개에 고정한 구조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의 푸시로드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이 “열림”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스프링 푸시로드식 스위치구조를 사용하여 푸시로드(50)를 앞니방향으로 밀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은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9는 본 발명의 푸시로드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이 “닫힘”상태 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스프링 푸시로드식 스위치구조를 사용하여 푸시로드(50)를 설근방향으로 밀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제약을 받게 되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을 통해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서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변화시킨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지만 움직임은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한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이중버튼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이 “열림”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이중버튼식 스위치구조를 사용하여 앞니방향의 버튼(53)을 누르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은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이중버튼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이 “닫힘”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이중버튼식 스위치구조를 사용하여 설근방향의 버튼(54)을 눌러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제약을 받게 되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을 통해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지만 움직임은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한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서 인두부 기도를 확장시켜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도12는 본 발명의 회전 단계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이 “열림”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회전 스위치 단계식구조를 사용한다. 회전 스위치를 돌려 지지물(2)이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은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13은 본 발명의 회전 단계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이 “닫힘”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회전 단계식 포지셔닝 구조를 사용한다. 회전 스위치를 돌려 지지물(2)의 움직임이 비교적 작은 범위에 제한시키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각 단계에 대응하여 지지물(2)의 연구개에 대한 지탱정도가 달라진다. 지지물(2)이 제약을 받기 때문에 회전축(51)을 맴돌아 넓은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을 통해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지만 움직임이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한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서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도14는 본 발명의 이중버튼3단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이 “열림”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이중버튼식 3단 구조를 사용하여 앞니방향의 버튼(53)을 누르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은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15는 본 발명의 이중버튼3단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이 “닫힘”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이중버튼식3단 스위치구조를 사용하여 설근방향의 버튼(54)을 누르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순서대로 “닫힘”상태가 되고 각 단계에 대응하여 지지물(2)의 연구개에 대한 지탱정도가 달라진다. 지지물(2)이 제약을 받아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지만 움직임이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한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서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도16은 본 발명의 직선운동식 연속 조절 연구개 지지물이 “열림”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슬라이더식 연속 포지셔닝 기구를 사용한다. 앞니방향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더(59)를 밀어 지지물(2)이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은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17은 본 발명의 직선운동식 연속 조절 연구개 지지물이 “닫힘”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슬라이더식 연속 포지셔닝 기구를 사용한다. 설근방향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더(59)를 밀어 지지물(2)의 운동을 비교적 작은 범위에 제한시키는데 즉 경구개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각 단계에 대응하여 지지물(2)의 연구개에 대한 지탱정도가 달라진다. 지지물(2)이 제약을 받아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지만 움직임이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한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서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도18은 본 발명의 너트무늬형 연속 조절 연구개 지지물이 “열림”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너트무늬형 포지셔닝 기구를 사용한다. 바깥쪽으로 조절나사(61)를 회전시켜 지지물(2)이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이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19는 본 발명의 너트무늬형 연속 조절 연구개 지지물이 “닫힘”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너트무늬형 포지셔닝 기구를 사용한다. 안쪽으로 조절나사(61)를 회전시켜 지지물(2)의 운동이 비교적 작은 범위에 제한시키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각 단계에 대응하여 지지물(2)의 연구개에 대한 지탱정도가 달라진다. 지지물(2)이 제약을 받게 되어 회전축(51)을 맴돌아 큰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을 통해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서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지만 움직임이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한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서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도20은 본 발명의 전동 조절 연구개 지지물이 “열림”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전동 포지셔닝기구를 사용한다. 전동 조절 제어스위치(64)를 눌러 내장전원(65)의 구동 하에 전동 장치(63)는 동력 전달 기구(66)를 통해 지지물(2)을 비교적 넓은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은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21은 본 발명의 너트무늬형 연속 조절 연구개 지지물이 “닫힘”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전동 포지셔닝기구를 사용한다. 전동 조절 제어스위치(64)를 눌러 내장전원(65)의 구동 하에 전동 장치(63)는 동력 전달 기구(66)를 통해 지지물(2)을 비교적 작은 범위에서 움직이도록 하는데 즉 경구개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연구개를 지탱한다. 지지물(2)이 제약을 받아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지만 움직임이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한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서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도22는 본 발명의 전동 조절 연구개 지지물이 “열림”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20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차이점으로는 내장된 전동 조절 제어스위치(64)를 리모콘(67)으로 대체한다는 것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너트무늬형 조절 연구개 지지물이 “닫힘”상태일 때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실시예20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차이점으로는 내장된 전동 조절 제어스위치(64)를 리모콘(67)으로 대체한다는 것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구조(11)는 체결부품용 스루홀(69)과 로크 에지(70)의 조합이다. 설치 시 경구개(101)에 경구개 연결부(1)에 맞는 홈을 파고 조절기구(12)의 케이스(124)를 그 안에 설치될수 있게 한다. 로크 에지(70)를 경구개(101)의 비강 쪽에 가까운 측의 끼워 체결나사(116)로 체결부품용 스루홀(69)을 통해 경구개 연결부(1)를 경구개(101)에 고정할 수 있다.
도25는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구조(11)는 스루홀 구조를 사용하여 경구개에 경구개 연결부(1)를 고정하기 위한 3개의 체결부품용 스루홀(69)은 경구개 연결부(1)의 저부에서 삼각형 배치를 이루어 연결구조(11)를 구성한다. 체결나사(116)를 사용하여 체결부품용 스루홀(69)을 통해 경구개 연결부(1)를 경구개(101)에 고정할 수 있다.
도26은 본 발명의 요철 로크 매칭형 조합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미조립 시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요철 로크 매칭형 조합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조립 후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너트무늬형 조합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미조립 시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너트무늬형 조합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조립 후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물(2)의 횡단면은 아크형이고 지지물(2)은 비교적 양호한 강도를 갖고 있다.
도31은 도30의 A-A 단면도이다.
도32는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물(2)의 뒷면에는 강화립이 있고 그 횡단면에는 2개의 강화립이 있고 지지물(2)은 비교적 양호한 강도를 갖고 있다.
도33은 도32의 B-B 단면도이다.
도34는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물(2)의 횡단면은 골판형이고 지지물(2)은 비교적 양호한 강도를 갖고 있다.
도35는 도34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편리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3과 결부하여 OSAHS 의 발병 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코로 호흡 시 인체 두부의 측면 단면도이다. 사람이 호흡할 때 연구개(102)는 자연스럽게 아래로 처지고 후두개(105)가 열려 공기가 비강(110) 또는 입을 벌리고 호흡할 때 구강(111)을 통해 기관(107)으로 들어오게 된다.
도2는 음식을 삼킬 때의 인체 두부 측면 단면도이다. 사람이 음식을 삼킬 때 연구개(102)는 뒤로 향해 비인두부(103)를 닫게 되고, 동시에 후두개(105)는 기관(107)을 닫아 음식이 목젖을 거쳐 식도(106)로 들어오게 된다.
도3은 OSAHS환자의 발병 시의 원리도이다. OSAHS환자는 수면 발병 시 상기도 연부조직이 함몰되어 상기도를 폐쇄시켜 공기량이 부족하게 되고 심할 경우 질식을 일으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OSAHS발병 시 환자의 연구개(102)가 뒤로 함몰되어 연구개(102)와 비인두부(103)간의 통로협착이나 해당 통로를 폐쇄시키고 설근 연부조직이 함몰되어 설근(114)과 연구개(102)간의 통로 협착이나 해당 통로를 막게 되어 호흡 시 공기량이 부족하게 되거나 질식을 일으키게 된다. 일부 OSAHS환자는 연구개(102)함몰로 연구개(102)와 비인두부(103)간의 통로협착이나 해당 통로의 폐쇄를 야기시키고 동시에 연구개(102)함몰로 바로 설근(114)과 연구개(102)간의 통로협착을 야기하거나 해당 통로를 폐쇄하여 호흡 시 공기량이 부족하거나 질식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연구개부분의 이완, 함몰로 코골이와 OSAHS의 발병원인에 대해 본 발명의 해당 질병의 치료원리는 일종의 이식물을 설계하여 한쪽은 경구개에 고정되고 한쪽은 연구개 안에 삽입되고 경구개를 지지점으로 하여 이완, 함몰된 연구개와 일부 설후근을 받치게 된다. 설근방향으로 연구개를 받쳐서 연구개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 중축선을 바꾸어 인두부 호흡 시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비수면 상태, 특히 음식물 섭취 시 삼키는 동작이 비교적 빈번하나 수면 시에는 삼키는 동작이 비교적 적어 본 발명에서 일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은 인체에 장기 이식 가능한 자재로 제작된 편형이식물로 경구개 연결부(1)와 지지물(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물(2)은 연구개 내에 삽입할 수 있는 편형이식물이고, 상기 경구개 연결부(1)에는 본 발명의 지지물(115)을 경구개에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연결구조(11)를 설치되여 있고 지지물(2)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 또는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제어하는 조절기구(12)가 설치되여 있으며, 지지물(2)은 경구개 연결부(1)에 연결되고 경구개 연결부(1)에 설치된 조절기구(12)는 지지물(2)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 또는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제어한다.
도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은 경구개 연결부(1)가 경구개(101)에 고정되여 있기 때문에 지지물(2)은 연구개의 근육층에 이식되고 경구개(101)를 지지점으로 하여 이완, 함몰된 연구개(102)와 설근부의 일부 연부조직을 지탱하게 된다. 설근방향으로 연구개를 받쳐서 연구개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의 중축선을 바꾸어 인두부 호흡 시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비수면 상태, 특히 음식물 섭취 시에는 삼키는 동작이 비교적 빈번하고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면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2)은 연구개(102)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따라 움직일 수 있어 삼키는 동작에 대한 간섭을 줄여주고 수면 상태에 진입하기 전에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조절기구(12)가 닫힘 상태가 되면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2)이 연구개를 받치게 되어 설근방향으로 연구개를 받쳐 연구개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의 중축선을 바꾸어 인두부 호흡 시의 기도를 확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코골이와 OSAHS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계별로 조절 가능하고 연속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도 설계하였음으로써 손가락이나 혀끝 또는 리모콘을 통해 경구개에 이식된 조절제어키(125)를 조절하여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2)을 적당한 위치로 조절하여 비수면 상태에서의 삼키는 동작을 정상상태를 유지시킬 뿐 아니라 수면 상태에서 연구개를 효과적으로 지탱하여 수면 시 상기도를 원활하게 유지하여 코골이와 OSAHS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은 설계가 정교하여 국부마취하에서 수술 가능할 뿐만아니라, 전신마취하에서도 수술 가능하다. 수술 시 코골이 증상과 OSAHS의 심각한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의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선택하고 구강 경구개 쪽에 2mm 내지 20mm의 작은 절개만으로도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경구개 연결부(1)를 경구개(101)에 고정하고 지지물(2)을 연구개(102)의 근육층에 삽입하고 상처를 봉합하면 바로 수술을 완료하게 된다. 최소침습수술로 코골이와 OSAHS를 치료하는 목적을 실현하였다. 도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임상단계에서 단일나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경구개와 연구개에 삽입할 수 있으며, 도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이중 나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경구개와 연구개 내에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도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삼중 나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을 경구개와 연구개에 이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과 이식기구를 사용하면 상처가 작고 회복이 빠르고효과가 빠르며 치료효과가 신뢰할 만하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수술 후 환자가 자신의 감각에 따라 연구개 지지물의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치료효과와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실시예1 :본 발명의 푸시로드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인체에 장기 이식할 수 있는 의료용 티타늄 및 의료용 티타늄합금을 선택하여 티타늄금속제품의 통용 가공공법에 따라 본 발명의 제품을 제작한다.
도8과 도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로드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지물2 : 두께가 0.6mm 내지 1mm인 티타늄금속판을 이용하여 티타늄금속판을 구부려 인체 연구개 이완 시의 자연스러운 완곡각도에 맞는 각도를 갖도록 하고 티타늄금속판에 미세한 스루홀(21)을 가공하는데 스루홀(21)의 직경은 0.5mm 내지 2mm사이로 조직의 생장, 삼투가 쉽도록 한다.
경구개 연결부(1):티타늄금속으로 경구개 연결부(1)를 제작한다.
연결구조(11):본 실시예에서 경구개 연결부(1)에 직경이 4mm인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스루홀을 가공하여 연결구조(11)로 삼는다. 연결구조(11)를 통해 티타늄제 체결나사(116)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115)을 경구개(101)에 고정할 수 있다.
조절기구(12):본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의 조절기구(12)는 스프링 푸시로드식 스위치구조를 사용한다. 푸시로드(50), 회전축(51), 리셋스프링(52), 레버(60), 포지셔닝 블록(58), 케이스(124), 의료용 유연성 자재 막(126)등으로 조절기구(12)를 구성한다. 그중 푸시로드(50)는 리셋스프링(52), 레버(60)등과 스위치구조(21)를 구성할뿐만 아니라 조절제어키(125)가 되기도 한다.
도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비수면 상태 시 푸시로드(50)를 앞니방향으로 밀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은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수면 전 손가락이나 혀끝으로 푸시로드(50)를 설근방향으로 밀어 경구개(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제약을 받아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서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도9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지만 움직임은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약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서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이외에도 지지물(2)의 자재는 티타늄금속, 티타늄합금, Nitinol합금, 의료용 스테인리스, 기타 의료용 금속자재와 의료용 고분자자재 등 인체에 장기 이식할 수 있는 자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경구개 연결부(1)의 제작에 사용할 수 있는 자재는 티타늄금속, 티타늄합금, Nitinol합금, 의료용 스테인리스, 기타 의료용 금속자재와 의료용 고분자자재 등 인체에 장기간 이식할 수 있는 자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의료용 유연성 자재 막(126)의 제작에 사용되는 유연성 고분자자재는 의료용 실리카겔, 의료용 폴리우레탄 등 인체에 장기 이식할 수 있는 자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체결부품(116)의 제작에 사용되는 자재는 티타늄금속, 티타늄합금, Nitinol합금, 의료용 스테인리스, 기타 의료용 금속자재와 의료용 고분자자재 등 인체에 장기 이식할 수 있는 자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2 :본 발명의 이중버튼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인체에 장기 이식할 수 있는 의료용 금속자재를 선택하고 의료용 금속제품의 통용 가공공법에 따라 본 발명의 제품을 제작한다.
도10 내지 도1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버튼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지물2 : 두께가 0.6mm 내지 1mm인 티타늄니켈형상기억합금판을 사용하여 성형열처리를 통해 티타늄니켈형상기억합금판이 인체 연구개 이완 시의 자연스러운 완곡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를 갖게 하고 그 표면에 요철무늬나 굴곡표면(22)을 제작하여 조직의 생장, 부착이 쉽도록 한다.
경구개 연결부1 티타늄금속으로 경구개 연결부(1)를 제작한다.
연결구조11 본 실시예에서 경구개 연결부(1)에 직경이 4mm인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스루홀을 가공하여 연결구조(11)로 삼는다. 연결구조(11)를 통해 티타늄제 체결나사(116)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115)을 경구개(101)에 고정할 수 있다.
조절기구12 본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의 조절기구(12)는 이중버튼식 스위치구조를 사용한다. 앞니방향에 접근하는 버튼(53), 설근방향에 접근하는 버튼(54), 단계식 포지셔닝 블록(55), 회전축(51), 리셋스프링(52), 레버(60), 포지셔닝 블록(58), 케이스(124), 의료용 유연성 자재 막(126)등으로 조절기구(12)를 구성한다. 그중 앞니방향에 접근하는 버튼(53), 설근방향에 접근하는 버튼(54)은 리셋스프링(52), 레버(60), 단계식 포지셔닝 블록(55)등과 스위치구조(121)를 구성할뿐만 아니라 조절 제어키(125)가 되기도 한다.
도10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비수면 상태 시 앞니방향에 접근하는 버튼(53)을 누르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수면 전 설근방향에 접근하는 버튼(54)을 누르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지지물(2)은 제약을 받아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을 통해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도1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지만 움직임은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약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실시예3 :본 발명의 회전단계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본 발명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인체에 장기 이식할 수 있는 의료용 금속자재를 선택하여 의료용 금속제품의 통용 가공공법에 따라 본 발명의 제품을 제작한다.
도10과 도1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버튼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의 기본구조는 다음과 같다.
지지물2 : 두께가 0.6mm 내지 1mm인 티타늄니켈형상기억합금판을 사용하고 금속판에 미세한 스루홀(21)을 가공하는데 미세한 스루홀(21)의 직경은 0.5mm 내지 2mm사이로 조직의 생장,삼투가 쉽도록 한다. 성형열처리를 통해 티타늄니켈형상기억합금판이 인체 연구개 이완 시의 자연스러운 완곡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를 갖게 한다.
경구개 연결부1 티타늄금속으로 경구개 연결부(1)를 제작한다.
연결구조11 본 실시예에서 경구개 연결부(1)에 직경이 4mm인 나사가 통과할 수 있는 스루홀을 가공하여 연결구조(11)로 삼는다. 연결구조(11)를 통해 티타늄제 체결나사(116)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115)을 경구개(101)에 고정할 수 있다.
조절기구12 본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의 조절기구(12)는 회전스위치단계식구조를 사용한다. 회전조절스위치(56), 단계식 포지셔닝 블록(55), 회전축(51), 리셋스프링(52), 레버(60), 포지셔닝 블록(58), 케이스(124), 의료용 유연성 자재막(126)등으로 조절기구(12)를 구성한다. 그중 회전 조절 스위치(56)는 단계식 포지셔닝 블록(55), 리셋스프링(52), 레버(60)등과 스위치구조(121)를 구성할뿐만 아니라 조절제어키(125)가 되기도 한다.
비수면 상태 시, 도1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회전 조절 스위치(56)를 돌려 지지물(2)이 비교적 큰 범위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여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면 지지물(2)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이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수면 전, 도1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회전조절스위치(56)를 돌려 지지물(2)의 운동을 비교적 작은 범위에 제한시키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각 단계에 대용하여 지지물(2)의 연구개에 대한 지탱정도가 달라진다. 지지물(2)은 제약을 받기 때문에 회전축(51)을 맴돌아 비교적 큰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서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지만 움직임은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약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서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목적에 이르게 된다.
실시예4 :본 발명의 이중버튼 3단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본 실시예의 조절기구(12)는 이중버튼3단식구조를 사용하는데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실시예2와 같으며 다른 점으로는 다음이 있다.
첫째, 지지물(2)의 끝부분은 탄성모듈(20) 강성모듈(40)이 교차하는 방식으로 지지물(2)의 끝부분의 유순성을 개선한다.
둘째, 조절기구(12)는 이중버튼식3단구조를 사용하여 단계식 조절 포지셔닝 홈(57)과 단계식 포지셔닝 블록(55)은 하나의 부품에 제작하여 3개 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 각 단계에 대응하여 지지물(2)의 운동범위와 연구개 지탱정도가 달라진다.
비수면 상태 시, 도1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앞니방향에 접근하는 버튼(53)을 누르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수면 전, 설근방향에 접근하는 버튼(54)을 누르면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순서대로 각 단계의 “닫힘”상태가 되고 각 단계에 대응하여 지지물(2)의 연구개에 대한 지탱정도가 달라진다. 지지물(2)이 제약을 받게 되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서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지만 움직임은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약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서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실시예5 :본 발명의 직선평면이동식 연속조절 연구개 지지물
본 실시예의 특징은 조절기구(12)는 슬라이더식 연속조절기구(123)를 사용하여 슬라이더(59)의 평행이동을 통해 지지물(2)의 연구개 지탱정도를 연속 조절한다.
이외에도 지지물(2)의 끝부분의 탄성모듈(20)은 조밀나선스프링구조를 사용하였다.
비수면 상태 시, 도1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앞니방향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더(59)를 밀어 지지물(2)이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운동하도록 하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이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수면상태 시, 도1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설근방향으로 직선으로 슬라이더(59)를 밀어 지지물(2)의 운동이 비교적 작은 범위에 제한시키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각 단계에 대응하여 지지물(2)의 연구개에 대한 지탱정도가 달라진다. 지지물(2)이 제약을 받아 회전축(51)이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을 통해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지만 움직임은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약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목적에 이르게 된다.
실시예6 :본 발명의 너트무늬형 연속조절 연구개 지지물
본 실시예의 다른 점은 조절기구(12)는 너트무늬형 포지셔닝 기구를 사용하여 조절나사(61)를 돌리는 것을 통해 상기 지지물(2)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 또는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지지물(2)의 끝부분의 탄성모듈(20)은 의료용 유연성 고분자자재로 감싼 조밀 너트무늬형 스프링구조를 사용하였다.
도1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절기구(12)는 조절나사(61), 가이드 바62, 포지셔닝 슬라이더(59), 포지셔닝 블록(58), 회전축(51), 레버(60), 케이스(124), 의료용 유연성 자재 막(126)등으로 조절기구(12)를 구성한다. 그중 조절나사(61)는 가이드 바(62), 포지셔닝 슬라이더(59), 포지셔닝 블록(58), 레버(60)등과 연속조절기구(123)를 구성할뿐만 아니라 조절제어키(125)가 되기도 한다.
비수면 상태 시, 도1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조절나사(61)를 돌려 지지물(2)이 비교적 넓은 범위 안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이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수면 전, 도1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 조절나사(61)를 돌려 지지물(2)의 운동을 비교적 작은 범위에 제한시키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각 단계에 대응하여 지지물(2)의 연구개에 대한 지탱정도가 달라진다. 지지물(2)은 제약을 받기 때문에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을 통해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에서 움직이지만 움직임은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약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목적에 이르게 된다.
실시예7 :본 발명의 전동 조절 연구개 지지물
본 실시예에서 조절기구(12)는 전동 포지셔닝 기구를 사용하는데 전원(65), 회로(68), 전동 장치(63), 동력 전달 기구(66), 전동 조절 제어스위치(64)로 구성되며 전원(65), 회로(68), 전동 장치(63)와 동력 전달 기구(66)는 조절기구의 케이스(124)안에 내장된다. 전동 조절 제어스위치(64)는 케이스(124)에 설치되고 의료용 유연성 자재막(126)으로 감싼다.
비수면 상태 시, 도20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전동조절 제어스위치(64)를 눌러 내장전원(65)과 회로(68)의 구동 하에 전동 장치(63)는 동력 전달 기구(66)를 통해 지지물(2)을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움직이도록 하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열림”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지지물(2)은 연구개의 움직임에 따라 아무런 제약없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수면 전, 도2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전동 조절 제어스위치(64)를 눌러 내장전원(65)과 회로(68)의 제어와 구동 하에 전동 장치(63)가 동력 전달 기구(66)를 통해 지지물(2)을 비교적 작은 범위에서 움직이도록 하는데 즉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닫힘”상태가 되고 지지물(2)이 연구개를 받치게 된다. 지지물(2)은 제약을 받기 때문에 회전축(51)을 맴돌아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지지물(2)을 통해 연구개를 설근방향으로 받쳐 연구개 움직임의 중축선을 바꾸게 된다. 연구개의 연부조직은 여전히 일정한 범위 내에서 움직이지만 움직임은 지지물(2)을 지지면으로 하는 양측에 제약되어 연구개와 일부 설근부를 받쳐 인두부의 기도를 확장하여 코골이와 OSAHS의 치료 목적에 이르게 된다.
도22와 도2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이외에도 본 실시예는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도 있으며 회로(68)와 전동 조절 제어스위치(64)를 무선 리모콘방식으로 개조하면 리모콘(67)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8 본 발명의 조합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도26 내지 도29, 도5 내지 도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이점으로는 경구개 연결부(1)와 지지물(2)은 임상단계에서 기간을 나누어 이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경구개 연결부(1)를 체결부품(116)을 통해 경구개(101)에 고정한다. 경구개 연결부(1)에 3개월 내지 6개월 간 이식한 후 경구개 연결부(1)와 경구개(101)간의 고정이 견고해지고 재수술을 통해 지지물(2)을 연구개(102)에 삽입하는 한편 지지물(2)의 가까운 곳과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는 요철 로크 매칭하거나 체결부품으로 연결한다. 이렇게 하는 장점은 경구개 연결부(1)와 경구개(101)간의 연결이 견고해진다는 것이고 단점은 2회의 수술을 실시해야 하므로 환자의 의료비용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분기별로 이식하는 조합식의 본 발명의 지지물의 설계에는 요철 로크 매칭형(도26 내지 도27 참고) 또는 체결부품 연결형(도28, 도29 참고)이 있다.
도26 내지 도2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합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은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에 지지물(2)의 가까운 곳과 로크 매칭을 형성할 수 있는 연결구조가 설치되여 있고 지지물(2)은 경구개 연결부(1)에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28, 도2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이외에도 본 발명의 조합식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은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에 지지물(2)의 가까운 곳과 체결부품을 통해 연결할 수 있는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되는 체결부품은 대부분 티타늄나사나 리벳, 포지셔닝 블록이다.
또한 지지물(2)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편형형태의 지지물(2)의 횡단면은 아크형, 골판형, 또는 강화립 등 편형물체의 강도를 높이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실시예9 본 발명의 지지물의 횡단면이 아크형인 연구개 지지물
도30, 도3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이점으로는 상기 지지물(2)의 횡단면이 아크형이라는 것이다. 아크형 횡단면의 지지물(2)은 비교적 양호한 강도를 갖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지물(2)의 금속 티타늄판을 제작하는 자재, 공법 및 판의 두께가 같은 경우에는 지지물(2)은 아크형 횡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직사각형 횡단면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양호한 강성을 갖게 된다.
도32, 도3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이외에도 편형물체의 강도를 높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예를 들어 지지물(2)의 뒷면에 강화립을 설치하여 지지물(2)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또는 도34, 도3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지지물(2)을 골판형 또는 물결형으로 프레스 성형하여도 지지물(2)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본문에서 제시 설명한 구조는 기타 효과가 동일한 구조로 대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유일한 구조가 아니라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에서는 우선적인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상기 분야의 기술자들은 모두 이러한 실시예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분명히 알고 있으며 본 발명에 대한 수정, 개선, 대체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에 첨부한 특허청구서의 정신과 범위에 따라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해야 할 것이다.
1:경구개 연결부 2:지지물
11:경구개 연결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지지물을 경구개에 고정하는 연결구조
12:경구개 연결부에 설치되는 지지물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 또는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조절기구
121:스위치구조 122:단계식 조절 기구
123:연속 조절 기구 124:조절 기구의 케이스
125:조절 제어 키 126:의료용 유연성 자재막
20:탄성 모듈 21:스루홀
22:요철무늬 또는 굴곡표면 40:강성 모듈
50:푸시로드 51:회전축
52:리셋스프링 53:앞니방향에 접근한는 버튼
54:설근방향에 접근하는 버튼 55:단계식 포지셔닝 블록
56:회전조절스위치 57:단계식 포지셔닝 홈
58:포지셔닝 블록 59:포지셔닝 슬라이더
60:레버 61:조절나사
62:가이드 바 63:전동 장치
64:전동 조절 제어스위치 65:전원
66:동력 전달 기구 67:리모콘
68:회로 69:체결나사용 스루홀
70:로크 에지 101:경구개
102:연구개 103:비인두부
104:연구개의 후면 105:후두개
106:식도 107:기관
108:연구개의 앞면 109:지지뼈
110:비강 111:구강
112:혀 113:경구개-연구개 경계선
114:설근 115:본 발명의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16:체결부품

Claims (21)

  1. 인체에 장기 이식 가능한 자재로 제작된 편형이식물로서,
    연구개 내에 삽입할 수 있는 편형이식물인 지지물(2);
    상기 지지물(2)을 경구개로 연결하는 경구개 연결부(1)를 포함하며, 상기 경구개 연결부(1)는 상기 경구개 연결부(1)를 경구개에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연결구조(11);
    상기 지지물(2)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를 제어하거나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조절기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2)은 인체 연구개 이완 시의 자연적인 완곡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 연결부(1)의 연결구조(11)는 적어도 구멍형 구조, U자 클램프 구조, 버클형 구조, 리벳형 구조 및 자체 팽창형 로크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는 열림 또는 닫힘 두 상태를 포함하는 스위치구조이고, 조절기구(12)가 열림 상태하에서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2)이 연구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 따라 움직일수 있게 되고, 조절기구(12)가 닫힘 상태하에서 연구개 내에 이식된 지지물(2)이 연구개를 받칠수 있게 되고 설근방향으로 연구개를 받쳐주어 연구개가 자연스럽게 움직일 때의 중축선을 바꾸어 인두부 호흡 시의 기도를 확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구(12)의 스위치구조(121)는 적어도 단일키 스위치구조, 이중키 스위치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지지물(2)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 또는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1단, 2단 또는 2단 이상의 단계식 조절기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가 지지물(2)의 운동상태나 완곡각도 또는 연구개의 지탱정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 지지물(1)의 조절기구(12)는 회전운동이나 직선운동을 통해 지지물(2)의 연구개 지탱정도를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연속 조절기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 연결부(1)는 케이스(124)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기구(12)는 케이스(124)내에 설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구개 연결부(1)의 조절기구(12)는 조절 제어키(125)를 포함하며 케이스(124)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 제어키(125)에는 인체에 이식 가능한 유연성 고분자자재 막(126)을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24)에 인체에 이식 가능한 유연성 고분자자재 막(126)이 있고 상기 조절제어키(125)는 상기 유연성 고분자자재 막(126)에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2)은 구멍이 있거나 구멍이 없는 편형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2)이 적어도 횡단면이 아크형인 편형물, 횡단면이 골판형인 편형물 및 강화립이 있는 편형물 구조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2)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모듈(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20)이 외부 힘의 작용 하에 변형이 가능하고 외부 힘이 해제된 후에 다시 변형 전의 상태로 회복 가능한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모듈(20)은 적어도 탄성 고분자자재 박판이나 벨트 또는 막, 스프링구조, 유연성 고분자자재로 감싼 스프링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2)은 적어도 하나의 강성모듈(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모듈(40)은 일정한 지탱력이 있으나 과도한 외부 힘의 작용 하에 소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외부 힘이 해제된 후 변형 전의 모양으로 회복할 수 없는 기구나 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2)은 경구개 연결부(1)와 조립 또는 분해할수 있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물(2)을 연구개(102)에 삽입하는 길이는 연구개 총 길이의 1/5내지 4/5사이로 그 최적 삽입길이는 2/3내지 3/4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KR1020117013884A 2008-11-17 2009-11-16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 KR101623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2191690A CN101732108B (zh) 2008-11-17 2008-11-17 高柔顺性软腭支撑体
CN200810219169.0 2008-11-17
CN200910192688.7 2009-09-27
CN 200910192688 CN102028559B (zh) 2009-09-27 2009-09-27 可调节的软腭支撑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340A true KR20110102340A (ko) 2011-09-16
KR101623037B1 KR101623037B1 (ko) 2016-05-20

Family

ID=4216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884A KR101623037B1 (ko) 2008-11-17 2009-11-16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56921B2 (ko)
EP (1) EP2356954B1 (ko)
JP (1) JP5481487B2 (ko)
KR (1) KR101623037B1 (ko)
AU (1) AU2009316097B2 (ko)
CA (1) CA2747842C (ko)
MY (1) MY155254A (ko)
SG (1) SG171732A1 (ko)
WO (1) WO20100546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176A (ko) * 2012-08-03 2015-05-28 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오랄 인터페이스 및 오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0026A1 (en) * 2008-10-02 2010-04-08 Lumen Devices Llc A palate retainer with attached nasopharyngeal airway extender for use in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EP3045154B1 (en) 2008-11-25 2022-01-05 Lumen Devices LLC Medical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ATE551035T1 (de) * 2008-12-30 2012-04-15 Medartis Ag Implantat zur behandlung des obstruktiven schlafapnoesyndroms
CN102198010B (zh) * 2010-09-29 2015-11-25 张湘民 植入型舌牵拉装置、牵引板、牵引线、牵拉器及方法
CN102836017B (zh) 2011-06-22 2017-08-11 张湘民 层状结构的软腭支撑体及植入方法
EP2695589A1 (en) * 2012-08-10 2014-02-12 Michèle Hervy Intraoral functional device for relie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 snoring and/or other airway disorders
US10314736B2 (en) 2012-10-16 2019-06-11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OSA)
JP6364078B2 (ja) 2013-08-05 2018-07-25 クック・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解放可能なチューブ状部材を有する医療機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9974563B2 (en) 2014-05-28 2018-05-22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Medical devices having a releasable memb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16022454A1 (en) 2014-08-04 2016-02-11 Darin Schaeffer Medical devices having a releasable tubular memb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033421B1 (en) * 2014-08-27 2021-06-15 Paul M. Davis Device to prevent snoring
FR3058313A1 (fr) * 2016-11-07 2018-05-11 Christophe Bou Obturateur velaire/ velo-palatin a membrane souple amovible
US10333293B2 (en) * 2016-12-20 2019-06-25 Witricity Corporation Method for increasing pad efficiency and robustness
CN112022466B (zh) * 2020-09-15 2022-10-18 中国康复研究中心 一种压膜式升腭赝复体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0307B1 (en) * 1999-09-17 2001-06-26 Pi Medical, Inc. Snoring treatment
DE60029111T2 (de) * 1999-09-17 2007-01-11 Restore Medical, Inc., St. Paul Implantate zur anti-schnarch behandlung
US6570102B2 (en) 2000-02-01 2003-05-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ucture for high speed printed wiring boards with multiple differential impedance-controlled layer
DE10136287B4 (de) 2001-07-25 2009-06-18 Heckler & Koch Gmbh Vor unberechtigtem Gebrauch geschützte Handfeuerwaffe
EP1549267B1 (en) * 2002-09-06 2009-04-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s for moving and/or restraining tissue in the upper respiratory system
US20070256693A1 (en) * 2002-09-06 2007-11-08 Apneon,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orce systems in or on soft palate tissue
US7721740B2 (en) 2002-09-06 2010-05-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orce systems in or on tissue
US6955172B2 (en) * 2002-09-06 2005-10-18 Apne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ving and/or restraining the tongue in the oral cavity
US7836888B2 (en) * 2004-09-21 2010-11-23 Pavad Medical, Incorporated Airway implan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WO2007098375A2 (en) * 2006-02-16 2007-08-30 Pavad Medical, Inc. Self charging airway impl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201005813Y (zh) 2006-12-13 2008-01-16 江继平 治疗阻塞性睡眠呼吸暂停综合征的软腭支架
CN201058137Y (zh) 2007-07-17 2008-05-14 许雷 空气净化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8176A (ko) * 2012-08-03 2015-05-28 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오랄 인터페이스 및 오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14678A1 (en) 2011-09-08
AU2009316097A1 (en) 2011-06-23
EP2356954A1 (en) 2011-08-17
WO2010054603A1 (zh) 2010-05-20
KR101623037B1 (ko) 2016-05-20
JP5481487B2 (ja) 2014-04-23
EP2356954A4 (en) 2017-08-09
MY155254A (en) 2015-09-30
AU2009316097B2 (en) 2015-01-22
SG171732A1 (en) 2011-07-28
US8656921B2 (en) 2014-02-25
EP2356954B1 (en) 2019-10-30
CA2747842C (en) 2017-03-07
CA2747842A1 (en) 2010-05-20
JP2012508600A (ja)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2340A (ko) 조절 가능한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
US11980568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US8695607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aining and/or supporting tissue structures along an airway
US76581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KR20110054033A (ko) 이식형 연구개 지지물 및 이식방법
US20110259346A1 (en) Tongue position controller
US10369040B2 (en) Layered soft palate support and implantation method
CN201542776U (zh) 可调节的软腭支撑体
CN102028559B (zh) 可调节的软腭支撑体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20090062087A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를 위한 구개 이식편과 설이식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