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828Y1 -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828Y1
KR200493828Y1 KR2020190000452U KR20190000452U KR200493828Y1 KR 200493828 Y1 KR200493828 Y1 KR 200493828Y1 KR 2020190000452 U KR2020190000452 U KR 2020190000452U KR 20190000452 U KR20190000452 U KR 20190000452U KR 200493828 Y1 KR200493828 Y1 KR 200493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olar
mandibular
maxillary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770U (ko
Inventor
황청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면과 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면과 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면과 건강
Priority to KR2020190000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82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8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안의 혀가 위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악 어금니몰딩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 이동부재는 보강을 위해 금속플레이트가 매립되는 한편, 상기 금속플레이트는 상악 어금니몰딩에 구비된 가압부재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없앨 수 있도록 이동부재의 수직면에 부분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AN AIRWAY EXTENSION DEVICE FOR ORAL INSERTION TYPE}
본 고안은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안의 혀가 위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악 어금니몰딩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 이동부재는 보강을 위해 금속플레이트가 매립되는 한편, 상기 금속플레이트는 상악 어금니몰딩에 구비된 가압부재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없앨 수 있도록 이동부재의 수직면에 부분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시에 근육들이 이완됨으로써 좁아진 구강내로 공기가 통과할 때 연구개, 목젖 및 주위 점막 등을 진동시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기도 주변의 조직들이 늘어지고, 특히 혀가 처지면서 기도를 막음으로써 일시적으로 호흡이 중단되는 것을 말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단지 나쁜 잠버릇에 의한 것으로 치부하여 있으나, 근래에는 이러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이 수면 시 체내 산소의 부족 사태를 초래하고 깊은 숙면을 방해하고 잦은 수면 분절을 야기함으로써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되거나 악화시키는 중요한 유인이 된다는 사실이 밝혀짐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법으로 여러가지 방법들이 제시되었고, 그 방법들은 크게 내과적 치료, 외과적치료, 지속적 양압공급장치의 사용에 의한 치료, 구강장치의 사용에 의한 치료 및 예방 방법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착용이 용이하고 관리가 쉬우며 부작용 및 후유증이 적으며 비용이 저렴한 구강장치의 사용에 의한 치료방법이 호평을 받으며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며 그 결과 다수의 발명이 제안되었다.
이들 구강장치의 원리는 두가지로 대별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는 하악(下顎)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기도를 확보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연구개 및 목젖을 상측으로 압박함으로서 기도를 확보하여 코골이를 방지하는 방법이다.
특히 하악(下顎)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코골이를 방지하는 장치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62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89439호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윗니 수용부 및 아랫니 수용부가 윗니 및 아랫니를 모두 감싸고 있어 하악이 전방으로 전진시 앞니에 압력이 가해서 앞니의 통증을 유발하고 나아가 혀가 확보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기도 개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620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89439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 어금니만에 부분 결합되고, 형상기어 와이어를 통해 상호 간 연결시켜 입안의 혀가 위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이동부재와 가압부재는 주 기능 이외에 하악 어금니몰딩과 상악 어금니몰딩의 측면을 보강하는 기능을 겸하고,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은 각각 바닥면에 보강 와이어가 매립되어 악력 또는 외력에 의해 상악 어금니몰딩 및 하악 어금니몰딩이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하악 어금니몰딩에 형성된 이동부재는 하악 어금니몰딩과 동일 재질로 구성하여 금속재질로 인한 이물감을 없앨 수 있고, 또한 이동부재에는 보강을 위해 금속플레이트가 이동부재의 형태로 절곡되어 매립되되, 하악 어금니몰딩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하악 어금니몰딩의 측면을 보강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이동부재의 수직면에 부분 노출되어 가압부재와의 마찰로 의한 마모를 없앨 수 있어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 4목적은, 이동부재는 인체의 하악의 개방 원호반경에 대응하지 않도록 가압부재와 맞물리는 수직면을 형성함으로써 하악이 쉽게 벌어지지 않도록 한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고안은,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앞니와 송곳니를 제외한 어금니 전체에 결합되고 외측면에는 가압부재가 부분 매립되는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 및 앞니와 송곳니를 제외한 어금니 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힘을 전달받는 이동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하악 어금니몰딩;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의 외측면에 매립되는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과 연결되어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의 측면에 매립되는 고정블럭과, "⊃"자 형상으로 상기 고정블럭에 결합되어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의 측면으로 부분 노출되는 버팀부재와, 상기 버팀부재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블럭에 스크류 결합되는 길이조절버팀부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버팀부재 또는 길이조절버팀부와 접촉하는 수직면을 갖게 상향돌출된 삼각형태를 취하고, 상기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은 각각 형상기억 와이어를 통해 상호 간 연결되어 입안 혀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호 간 정위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형상기억 와이어는 치아의 외측에 배치되어 혀에 의한 간섭을 피하고,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은 각각 바닥면에 보강 와이어가 매립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금속플레이트가 이동부재의 형태로 절곡되어 매립되되, 상기 금속플레이트는 하악 어금니몰딩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하악 어금니몰딩을 보강하고, 이동부재의 수직면에 부분 노출되어 가압부재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없앨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은 이탈방지를 위해 치아의 송곳니 외측면에 밀착되는 고리 형태의 가압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 와이어는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부분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고안은, 제 1고안에서, 상기 길이조절버팀부는 헤드가 버팀부재의 일면에 노출되어 버팀부재와 함께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회전공구를 삽입시키는 핀홀이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에 따르면,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 어금니만에 부분 결합되고, 형상기어 와이어를 통해 상호 간 연결시켜 입안의 혀가 위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악 어금니몰딩에 형성된 이동부재는 하악 어금니몰딩과 동일 재질로 구성하여 금속재질로 인한 이물감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재에는 보강을 위해 금속플레이트가 이동부재의 형태로 절곡되어 매립되되, 하악 어금니몰딩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하악 어금니몰딩의 측면을 보강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이동부재의 수직면에 부분 노출되어 가압부재와의 마찰로 의한 마모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길이조절버팀부는 회전공구를 결합시키는 핀홀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길이조절버팀부의 헤드를 매끄럽게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길이조절버팀부와 접촉하는 이동부재의 접촉면에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혀가 닿을 경우 상처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재와 가압부재는 주 기능 이외에 하악 어금니몰딩과 상악 어금니몰딩의 측면을 보강하는 기능을 겸하고,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은 각각 바닥면에 보강 와이어가 매립되어 악력 또는 외력에 의해 상악 어금니몰딩 및 하악 어금니몰딩이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의 상악 어금니몰딩을 나타내는 사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의 하악 어금니몰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의 상악 어금니몰딩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의 하악 어금니몰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입안의 혀가 위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악 어금니몰딩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된 이동부재는 보강을 위해 금속플레이트가 매립되는 한편, 상기 금속플레이트는 상악 어금니몰딩에 구비된 가압부재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없앨 수 있도록 이동부재의 수직면에 부분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앞서,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100)의 주 기능은 공개되어 있는 바, 종래의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의 차별성에 따른 특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100)는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상악 어금니몰딩(10) 및 하악 어금니몰딩(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악 어금니몰딩(10)은 외측면에는 가압부재(11)가 결합되고, 상기 하악 어금니몰딩(20)은 상기 가압부재(11)에 의해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이동부재(21)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은 한쌍으로 분리 구성되며, 형상기억 와이어(30)를 통해 상호 간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형상기억 와이어(30)는 입안 혀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온에서 상호 간 정위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형상기억 와이어(30)는 치아의 외측에 배치되게 결합되어 혀에 의한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은 앞니와 송곳니를 제외한 4개의 어금니에 결합되어 강제되는 힘과 가압력을 충분히 전달 또는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가압부재(11)에 전달되는 반력은 상악어금니로 하여금 지탱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가압부재(11)를 통해 이동부재(21)로 전달되는 가압력은 하악어금니로 전달하여 하관 턱관절을 전방으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11)는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10)의 외측면에 매립되는 보강판(111)과, 상기 보강판(111)과 연결되어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10)의 측면에 매립되는 고정블럭(112)과, "⊃"자 형상으로 상기 고정블럭(112)에 결합되어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10)의 측면으로 부분 노출되는 버팀부재(113)와, 상기 버팀부재(113)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블럭(112)에 스크류 결합되는 길이조절버팀부(114)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버팀부재(113)는 상악 어금니몰딩(10)을 성형하는데 있어 사용자에 맞게 세팅된 깊이로 부분 매립된다.
그리고 상기 버팀부재(113)를 지지하는 고정블럭(112)은 버팀부재(113)를 통해 전달되는 반력이 상악 어금니몰딩(10) 전체로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보강판(111)과 결합되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길이조절버팀부(114)는 착용자에 맞게 길이가 미리 셋팅된 버팀부재(113)의 위치가 맞아 않아 사용자의 기도가 충분히 개방되지 않을 경우 사용되어 착용자의 개인별 착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길이조절버팀부(114)는 헤드(114a)가 버팀부재(113)의 일면에 노출되어 버팀부재(113)와 함께 상기 이동부재(21)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회전공구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헤드에 (+) 또는 (-) 형태의 요홈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이동부재(21)의 접촉면에 스크레치가 발생되고 이러한 스크레치에 혀가 닿을 경우 상처가 발생될 수 있다.
본원 고안의 길이조절버팀부(114)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측면에 핀홀(114b)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핀홀(114b)은 고정블럭(112)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하악관절을 미세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핀홀(114b)은 송곳과 같은 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 형상의 고정블럭(112) 측면에 노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111)에는 눈금(111a)이 형성되어 있어 길이조절버팀부(114)의 미세조절을 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하악 어금니몰딩(20)에 형성되는 이동부재(21)는 상기 가압부재(11)의 버팀부재(113) 또는 길이조절버팀부(114)와 접촉하는 수직면(21a)을 갖게 상향돌출된 삼각형태를 취한다. 이 때 상기 이동부재(21)는 상기 하악 어금니몰딩(20)과 동일 재질로 하여 이물감을 없앨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수직면(21a)은 인체의 하악의 개방 원호반경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가압부재(11)와 맞물린 상태에서는 하악이 쉽게 벌어지지 않게 된다.
다만 상기 이동부재(21)는 보강을 위해 금속플레이트(211)가 이동부재(21)의 형태로 절곡되어 매립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금속플레이트(211)는 하악 어금니몰딩(20)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하악 어금니몰딩(20)의 측면까지 보강하면서 가압력이 하악 어금니몰딩 전체로 전달되어 하악 턱관절을 전방으로 원활히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금속플레이트(211)는 이동부재(21)의 수직면(21a)에 부분 노출되어 가압부재(11)와의 마찰로 의한 마모를 없앨 수 있어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아울러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은 각각 바닥면에 보강 와이어(40)가 매립되어 악력 또는 외력에 의해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이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은 이탈방지를 위해 치아의 송곳니 외측면에 밀착되는 고리 형태의 가압 와이어(50)가 더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가압 와이어(50)의 매립부위는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의 내측면까지 연장되어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의 측면을 보강시키는 기능을 겸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는 하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 어금니만에 부분 결합되고, 형상기어 와이어를 통해 상호 간 연결시켜 입안의 혀가 위치되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기도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둘째: 하악 어금니몰딩에 형성된 이동부재는 하악 어금니몰딩과 동일 재질로 구성하여 금속재질로 인한 이물감을 없앨 수 있고, 또한 이동부재에는 보강을 위해 금속플레이트가 이동부재의 형태로 절곡되어 매립되되, 하악 어금니몰딩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하악 어금니몰딩의 측면을 보강할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금속플레이트가 이동부재의 수직면에 부분 노출되어 가압부재와의 마찰로 의한 마모를 없앨 수 있어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셋째: 길이조절버팀부는 회전공구를 결합시키는 핀홀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길이조절버팀부의 헤드를 매끄럽게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길이조절버팀부와 접촉하는 이동부재의 접촉면에 스크레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혀가 닿을 경우 상처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넷째: 이동부재와 가압부재는 주 기능 이외에 하악 어금니몰딩과 상악 어금니몰딩의 측면을 보강하는 기능을 겸하고, 상악 어금니몰딩과 하악 어금니몰딩은 각각 바닥면에 보강 와이어가 매립되어 악력 또는 외력에 의해 상악 어금니몰딩 및 하악 어금니몰딩이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상악 어금니몰딩 11: 가압부재 111: 보강판
111a: 눈금 112: 고정블럭
113: 버팀부재 114: 길이조절버팀부
114a: 헤드 114b: 핀홀
20: 하악 어금니몰딩 21: 이동부재 21a: 수직면
211: 금속플레이트
30: 형상기억 와이어
40: 보강 와이어
50: 가압 와이어
100: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Claims (5)

  1. 앞니와 송곳니를 제외한 어금니 전체에 결합되고 외측면에는 가압부재(11)가 부분 매립되는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 및
    앞니와 송곳니를 제외한 어금니 전체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11)에 의해 힘을 전달받는 이동부재(21)가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하악 어금니몰딩(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압부재(11)는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10)의 외측면에 매립되는 보강판(111)과, 상기 보강판(111)과 연결되어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10)의 측면에 매립되는 고정블럭(112)과, "⊃"자 형상으로 상기 고정블럭(112)에 결합되어 상기 각 상악 어금니몰딩(10)의 측면으로 부분 노출되는 버팀부재(113)와, 상기 버팀부재(113)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블럭(112)에 스크류 결합되는 길이조절버팀부(114)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재(21)는 상기 가압부재(11)의 버팀부재(113) 또는 길이조절버팀부(114)와 접촉하는 수직면(21a)을 갖게 상향돌출된 삼각형태를 취하고,
    상기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은 각각 형상기억 와이어(30)를 통해 상호 간 연결되어 입안 혀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호 간 정위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형상기억 와이어(30)는 치아의 외측에 배치되어 혀에 의한 간섭을 피하고,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은 각각 바닥면에 보강 와이어(40)가 매립되어 구성되어, 악력 또는 외력에 의해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이 파손되거나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재(21)는 금속플레이트(211)가 이동부재(21)의 형태로 절곡되어 매립되되,
    상기 금속플레이트(211)는 하악 어금니몰딩(20)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하악 어금니몰딩(20)을 보강하고, 이동부재(21)의 수직면(21a)에 부분 노출되어 가압부재(11)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없앨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은 이탈방지를 위해 치아의 송곳니 외측면에 밀착되는 고리 형태의 가압 와이어(50)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 와이어(50)는 한쌍의 상악 어금니몰딩(10)과 하악 어금니몰딩(20)의 측면까지 연장되어 부분 매립되며,
    상기 길이조절버팀부(114)는 헤드(114a)가 버팀부재(113)의 일면에 노출되어 버팀부재(113)와 함께 상기 이동부재(21)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회전공구를 삽입시키는 핀홀(114b)이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0452U 2019-01-30 2019-01-30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KR200493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52U KR200493828Y1 (ko) 2019-01-30 2019-01-30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452U KR200493828Y1 (ko) 2019-01-30 2019-01-30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70U KR20200001770U (ko) 2020-08-07
KR200493828Y1 true KR200493828Y1 (ko) 2021-06-10

Family

ID=72038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452U KR200493828Y1 (ko) 2019-01-30 2019-01-30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82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2773A1 (en) 2014-03-31 2015-10-01 MAP Laboratory LLC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JP2017060740A (ja) * 2015-09-27 2017-03-30 ケネス ルコKenneth Luco 睡眠時無呼吸を治療する犬歯および第一小臼歯咬合保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439B1 (ko) 2005-01-26 2005-05-12 황청풍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KR101080463B1 (ko) * 2008-12-04 2011-11-04 정진우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KR101176203B1 (ko) 2011-05-04 2012-08-22 황청풍 형상기억와이어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KR101271576B1 (ko) * 2011-09-14 2013-06-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2773A1 (en) 2014-03-31 2015-10-01 MAP Laboratory LLC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JP2017060740A (ja) * 2015-09-27 2017-03-30 ケネス ルコKenneth Luco 睡眠時無呼吸を治療する犬歯および第一小臼歯咬合保定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간스포츠 인터넷뉴스, 제품혁신부문(코골이치료기)(2013.07.3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70U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35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вижения вперед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способ и комплек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5129246B2 (ja) いびきおよび睡眠時無呼吸の処置のための口腔装置
CN102753123B (zh) 用于防止打鼾和睡眠呼吸暂停的可调的口内下颌进动装置
KR101706648B1 (ko) 치아 교합자세 교정기구
US9204991B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8881733B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JP5466233B2 (ja) 舌拘束用歯科器具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20110073548A (ko) 포지티브 포지셔닝 힌지를 갖는 하악 전방이동 장치
CN102014814B (zh) 抗鼾装置
JP2013106811A (ja) 軟口蓋安定器
US20230065574A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
KR102088942B1 (ko) 이갈이 방지구
US20240148544A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20160354231A1 (en) Device and system for improved breathing
KR200493828Y1 (ko) 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구강 삽입형 기도 확장 유지장치
US6581603B1 (en) Oral appliance
KR100489439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JP4009659B1 (ja) 顎位矯正装置
KR102566018B1 (ko)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JP7299452B1 (ja) マウスピース
KR102309009B1 (ko) 자석식 수면 무호흡 방지 장치
US20220273484A1 (en) Intraoral ferrule with arch for preventing snoring and apnoea
JP2006020986A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の無呼吸治療用装具兼用いびき防止装具
JP3210257U (ja) 食いしばり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