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537B1 -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537B1
KR101959537B1 KR1020170051768A KR20170051768A KR101959537B1 KR 101959537 B1 KR101959537 B1 KR 101959537B1 KR 1020170051768 A KR1020170051768 A KR 1020170051768A KR 20170051768 A KR20170051768 A KR 20170051768A KR 101959537 B1 KR101959537 B1 KR 101959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ible
elastic
elastic part
present
bottle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434A (ko
Inventor
남관우
남원욱
남지수
Original Assignee
남관우
남원욱
남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관우, 남원욱, 남지수 filed Critical 남관우
Priority to KR102017005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537B1/ko
Priority to PCT/KR2018/004647 priority patent/WO2018194430A1/ko
Publication of KR2018011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치아가 수용되는 상악치수용부가 함몰형성된 상악부; 상기 상악부에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하악치아가 수용되는 하악치수용부가 함몰형성된 하악부; 장력에 의해 상기 하악부를 전방으로 견인시키도록 상악부의 전방 외측과 하악부의 전방 내측을 동시에 고정하는 탄성부; 및 하악부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가 접속하는 병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Mandibular traction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턱관절을 구성하는 근육의 자연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일상적인 대화 및 침삼킴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악골을 전방으로 견인시켜 구강 내 후방 연조직의 떨림을 방지하는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면 중의 호흡장애는 뇌에 산소 공급 저하, 기억력 감퇴, 혈압 이상, 심장 질환 등을 유발하여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주간에도 항상 졸리는 만성 피로감, 구강과 기관지, 편도, 인후 등에 생기는 만성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수면호흡장애(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증상으로는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이 있다. 코골이는 흡기시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간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인두벽과 주위 연조직 부위가 진동하여 소리가 발생되는 현상이다.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인두벽과 기도 주위 연조직이 지나치게 이완되어 연조직이 인두벽과 밀접되어 상기도가 좁아짐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일부 차단되면서 기도가 일시적으로 막힘에 따라 공기가 폐에 일시적으로 흐르지 못하는 현상이다.
상기 현상들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외과적 치료와 비와과적 치료가 있고, 이때, 외과적 치료방법으로는 기관지절제술, 구개인두 성형술, 악교정수술 등이 있으며, 비외과적 치료에는 주로 구강내 삽입되는 장치물을 이용한 행동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외과적 치료는 수술에 따른 위험부담과 추후 재발의 가능성 및 합병증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비가역적인 치료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외과적 치료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비외과적 치료에 사용되는 종래의 장치물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0336호(명칭: 코볼이 방지용 구강 장치)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특허문헌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악치아와 하악치아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몸체의 양측에는 상부결합부재가, 상기 하부몸체의 양단에는 하부결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상, 하부결합부재의 결합에 의해 하악골을 전방으로 전돌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장치물은 상, 하부결합부재에 형성된 도프테일 형상의 상, 하부 고정피스간 결합에 의해 상, 하부몸체의 고정성이 보장되는데, 장치물을 구강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 하부몸체가 고정이 되면 턱관절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상, 하부결합부재의 높이에 의해 교합이 거상되어 턱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고 부가적인 장치물에 의해 심각한 이물감을 호소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8033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하악골을 전방으로 전돌시켜 이완된 구강 내측 후방의 연조직들을 안정화시키고 기도를 확보해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함과 동시에 환자의 편의를 위해 하악골의 전, 측방이동을 허용하면서도 하악골을 전방으로 견인하는 힘의 좌, 우측 균형이 맞도록 하여 턱관절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턱관절을 구성하는 근육의 자연적인 현상을 이용하여 취침 전에 착용하여 일상적인 대화 및 침삼킴 등을 가능하게 하는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악치아가 수용되는 상악치수용부가 함몰형성된 상악부; 상기 상악부에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하악치아가 수용되는 하악치수용부가 함몰형성된 하악부; 장력에 의해 상기 하악부를 전방으로 견인시키도록 상악부의 전방 외측과 하악부의 전방 내측을 동시에 고정하는 탄성부; 및 하악부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가 접속하는 병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병목장치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체; 및 상기 나사체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나사체와 동축상에 설치되고, 접속한 탄성부의 양측 경로가 병합되도록 탄성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관통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탄성부는, 일체형으로 그 경로가 상악부의 전방 외측에 고정되고 양단은 하악부의 전방 내측 양 벽면에 고정되되, 상기 병목장치를 통해 탄성부의 양측 경로가 서로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일단은 상악부의 전방 외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악부의 전방 내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악부는 탄성부가 수용되도록 내측이 관통된 삽입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턱관절을 구성하는 근육의 자연적인 현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턱관절의 무리한 회동을 제한할 수 있어 턱관절 및 주변 근육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일상적인 대화 및 침삼키기가 가능하여 환자의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하악골이 전방으로 견인될 때 대칭형성된 하걸쇠에 그 단부가 고정된 탄성부에 의해 균등한 힘으로 하악골이 견인될 수 있고 하악골이 전방으로 견인되면서 측방으로 틀어지지 않아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이로 인해, 턱관절 및 턱관절을 구성하는 관련근육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탄성부가 삽입통로에 삽입됨으로써, 혀에 감지되는 탄성부의 감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하악골이 사방으로 병진하더라도 상악부와 하악부를 상호 연결한 탄성부가 나사체에 회동가능하게 접속하는 헤드로 구성되는 병목장치에 의해 탄성부가 서로 엉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탄성부 및 병목장치를 확대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의 예시적인 설명을 위해 평면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병목장치의 사시도.
도 6는 도 4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병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병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A-A선의 단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병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삽입통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도.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탄성부 및 병목장치를 확대도시한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의 예시적인 설명을 위해 평면을 도시한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부와 하악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설명을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하악골을 전방으로 전돌시켜 이완된 구강 내측 후방의 연조직들을 안정화시키고 기도를 확보해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하고 환자의 편의를 위해 하악골의 전, 측방이동을 허용하면서도 하악골을 전방으로 견인하는 힘의 좌, 우측 균형이 맞도록 하여 턱관절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환자가 착용하였을 때 후술되는 탄성부(300)의 장력에 의해 하악골이 전방으로 견인되도록 작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착용한 상태에서 하악골의 위치를 탄력적으로 변위시킬 수 있어, 간단한 일상생활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면중에 착용하여 코골이 방지목적으로 사용됨과 더불어, 후술되는 상악부(100)와 하악부(200)의 교합면에 부가적인 장치물이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악물기방지장치, 턱관절안전장치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크게 상악부(100), 하악부(200), 탄성부(300) 및 병목장치(400)로 구성된다. 이때, 상악부(100)와 하악부(200)는 살두께가 2.5mm~3mm의 레진시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적용될 환자의 구강환경에 맞도록 맞춤 제작된다. 아울러, 상악부(100)와 하악부(200)는 각각 환자의 상악치아와 하악치아를 수용하게끔 구성하도록 상악부(100)에는 상악치아가 수용되는 상악치수용부(110)가 함몰형성되고, 하악부(200)에는 하악치아가 수용되는 하악치수용부(210)가 함몰형성된다. 상악부(100)와 하악부(200)는 서로 대칭되도록 구강내에 삽입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형의 형상으로 환자의 치열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악부(100)의 전방 외측면에는 상걸쇠(120)가 부설되어 후술하는 탄성부(300)의 일부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악부(200)의 전방 내측 양 벽면에는 탄성부(300)의 양단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걸쇠(220)가 대칭형성된다. 이때, 하걸쇠(22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환자의 정중면(MP, Median plane)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으로, 후술되는 탄성부(300)의 양단이 고정되서 하악골이 전방으로 견인될 때 균등한 힘으로 하악골이 견인될 수 있음과 동시에 하악골이 전방으로 전돌되면서 측방으로 틀어지지 않아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턱관절 및 턱관절을 구성하는 관련근육들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6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부(200)의 전방 내측에는 고정구(240)가 일정깊이 관통형성되는데, 상기 고정구(240)에는 후술되는 병목장치(400)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탄성부(300)는 일체형으로 그 경로가 상악부(100)의 전방 외측에 고정되고 양단은 하악부(200)의 전방 내측 양 벽면에 고정되되, 후술되는 병목장치(400)를 통해 탄성부(300)의 양측 경로가 서로 병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300)는 기본적으로 탄력을 가지는 고무줄이 채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합성수지나 나일론 계통의 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악골의 전돌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탄성부(300)의 탄성계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탄성부(300)의 양단에는 고정링(310)이 부설되고, 상기 고정링(310)은 하악부(200)에 부설된 하걸쇠(220)에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링(310)은 하걸쇠(220)에 걸릴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정링(310)과 하걸쇠(220)의 체결방식 또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부(300)는 장력에 의해 하악부(200)를 전방으로 견인시키도록 상악부(100)의 전방 외측과 하악부(200)의 전방 내측에 동시에 고정된다. 즉, 탄성부(300)는 고정링(310)과 하걸쇠(220)의 체결에 의해 그 양단이 하악부(200)에 고정됨과 동시에 탄성부(300)의 경로가 상악부(100)에 부설된 상걸쇠(120)에 걸림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악부(100)와 하악부(200)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300)의 장력에 의해 하악부(200)를 전방으로 유도한다. 탄성부(300)의 자세한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병목장치(400)는 탄성부(300)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악부(200)의 전방 내측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병목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중면(MP)의 경로상에 위치하며 하악부(200)에 형성된 고정구(240)에 삽입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병목장치(400)가 고정구(240)에 나사결합된 일예를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관계를 통해 구성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때, 병목장치(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병합링(410)과 상기 병합링(410)의 하부에서 수직으로 돌설되는 조절축(420)으로 구성되고, 조절축(420)에는 고정구(240)와 나사치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하악부(200)에 고정된 탄성부(300)가 병합링(410)을 통과하여 상악부(100)의 상걸쇠(120)에 걸림지지되며, 하악부(200)가 전방으로 견인될 때 전방으로 견인하려는 힘을 정중면(MP) 방향으로 수렴하여 일방향으로 작용시키게 된다. 따라서, 탄성부(300)는 하악부(200)의 3점을 지지점으로 활용할 수 있어 하악부(200)의 전방 견인시에 하악부(200)의 후방에 편심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하악골을 전방으로 견인시킬 때 턱관절이 측방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장치(400)는 고정구(240)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병합링(410)을 통과하는 탄성부(300)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일예로, 고정구(240)에 삽입되는 조절축(420)의 깊이를 최소화할 경우 탄성부(300)가 보다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기 때문에 하악부(200)를 전진시킬 수 있는 양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고정구(240)에는 조절축(420)이 나사치합 된 상태이므로 고정구(240)에 삽입되는 조절축(420)의 회전수를 조절해서 고정구(240)에 삽입되는 조절축(420)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부(200)는 탄성부(300)가 수용되도록 내측이 관통된 삽입통로(2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통로(230)는 탄성부(300)가 혀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람수단으로 탄성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 형태이다. 즉, 상기 삽입통로(230)에 삽입된 탄성부(300)를 통해 환자는 혀에 감지되는 탄성부(300)의 감촉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이물감을 덜어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 중에서 병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앞서 기술한 병목장치(400)의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겠다. 먼저, 도 7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목장치(400')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체(420')와 상기 나사체(420')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나사체(420')와 동축상에 설치되고, 접속한 탄성부(300)의 양측 경로가 병합되도록 탄성부(300)가 삽입되는 가이드홀(410'-1)이 관통형성된 헤드(41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나사체(42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평행배치된 두개의 원판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맨드릴(420'-1)과, 상기 맨드릴(420'-1)의 하부로 돌설되는 나사축(420'-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맨드릴(420'-1)과 나사축(420'-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부가적인 나사결합에 의해 분리결합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아울러, 나사축(420'-2)의 외주면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도 10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나사축(420'-2)이 하악부(200)의 고정구(240)에 나사치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헤드(410')는 대략 4각단면을 갖는 링 형상으로 중심축과 동심원상에서 맨드릴(420'-1)에 내설된다. 즉, 헤드(410')는 도 9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처럼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동작한다. 이에 더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홀(410'-1)은 중심축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통공되며 호 형상의 경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홀(410'-1)에 삽입되는 탄성부(300)가 간섭없이 왕복운동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병목장치(400')의 작용을 살펴보면, 하악골이 사방으로 운동할 때 하악부(200)가 같이 사방으로 병진하게 되는데 이때, 상악부(100)와 하악부(200)를 상호 연결한 탄성부(300)가 병목장치(400')에 의해 서로 엉키게 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300)가 끼움된 헤드(410')를 회전가능하게 구성하여 탄성부(300)가 구강내에서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적용예에 대해서 간략하게 기술하겠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상악치아와 하악치아에 각각 상악부(100)와 하악부(200)가 결합되고 상악부(100)와 하악부(200) 사이에 탄성부(300)가 설치된다. 평상시와 같이 턱근육이 긴장된 상태에서는 어느정도의 발음이 가능하며, 하악턱이 후방에 위치하게 되고 수면시와 같이 턱근육의 긴장이 풀린 상태일 경우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부(300)의 장력에 의해 하악턱을 전방으로 전돌시키게끔 작용한다. 이때, 상악턱은 사람의 두개골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악턱은, 사람의 측두골에 관절의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턱근육을 이완시켰을 경우 하악턱을 전방위 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구강의 후방 연조직들이 기도를 막는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위 연조직 부위가 진동하여 발생되는 코골이 증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상악부와 하악부가 전치부(Anterior region)만 덮을 수 있도록 그 양단을 상대적으로 짧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구치부(Posterior region)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하여 본 발명을 착용하였을 때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앞서 기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도 14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는 크게 상악부(500), 하악부(600), 탄성부(700) 및 병목장치(800)로 구성된다. 이때, 상악부(500)의 전방 외측에는 탄성부(700)의 단부가 걸림지지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절취된 형상의 상걸쇠(520)가 부설될 수 있다. 상걸쇠(520)에는 후술되는 탄성부(700)의 전방고정링(720)이 걸림지지된다.
다음으로, 탄성부(700)는 일단은 상악부(500)의 전방 외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악부(600)의 전방 내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편(710)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편(710)의 양단에는 각각 전방고정링(720)과 후방고정링(730)이 부설되고 상기 전방고정링(720)은 상악부(500)의 상걸쇠(520)에 걸림지지되고 상기 후방고정링(730)은 하악부(600)의 하걸쇠(620)에 걸림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는 탄성부(700)를 서로 대칭되게 구성되는 두 개의 탄성편(710)으로 구성하여 불측의 사유로 탄성부(700)가 파단되었을 경우에 용이하게 탄성부(700)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앞서 기술한 제2 실시예에서 탄성부(700)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700')는 일단이 상악부(500)의 전방 외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악부(600)의 전방 내측에 고정되는 대략 "Y"형상의 탄성편(710')과 상기 탄성편(710')의 일측 양단에는 각각 후방고정링(620')이, 타측에는 전방고정링(720')이 부설되고 전방고정링(720')은 상악부(500)의 상걸쇠(520)에 걸림지지되고 후방고정링(620')은 하악부(600)의 하걸쇠(620)에 각각 걸림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100, 500: 상악부
110, 510: 상악치수용부
120, 520: 상걸쇠
200, 600: 하악부
210, 610: 하악치수용부
220, 620: 하걸쇠
230: 삽입통로
240: 고정구
300, 700: 탄성부
310: 고정링
710: 탄성편
720: 전방고정링
730: 후방고정링
400, 400', 800: 병목장치
410: 병합링
420: 조절축
410': 헤드
410'-1: 가이드홀
420': 나사체
420'-1: 맨드릴
420'-2: 나사축

Claims (5)

  1. 상악치아가 수용되는 상악치수용부가 함몰형성된 상악부;
    상기 상악부에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하악치아가 수용되는 하악치수용부가 함몰형성된 하악부;
    장력에 의해 상기 하악부를 전방으로 견인시키도록 상악부의 전방 외측과 하악부의 전방 내측을 동시에 고정하는 탄성부; 및
    하악부의 전방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가 접속하는 병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목장치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체; 및
    상기 나사체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나사체와 동축상에 설치되고, 접속한 탄성부의 양측 경로가 병합되도록 탄성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관통형성된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체형으로 그 경로가 상악부의 전방 외측에 고정되고 양단은 하악부의 전방 내측 양 벽면에 고정되되,
    상기 병목장치를 통해 탄성부의 양측 경로가 서로 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일단은 상악부의 전방 외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악부의 전방 내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악부는 탄성부가 수용되도록 내측이 관통된 삽입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KR1020170051768A 2017-04-21 2017-04-21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KR10195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768A KR101959537B1 (ko) 2017-04-21 2017-04-21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PCT/KR2018/004647 WO2018194430A1 (ko) 2017-04-21 2018-04-20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768A KR101959537B1 (ko) 2017-04-21 2017-04-21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34A KR20180118434A (ko) 2018-10-31
KR101959537B1 true KR101959537B1 (ko) 2019-03-18

Family

ID=6385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768A KR101959537B1 (ko) 2017-04-21 2017-04-21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9537B1 (ko)
WO (1) WO20181944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865A (ko) 2019-10-08 2021-04-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석식 수면 무호흡 방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203B1 (ko) 2011-05-04 2012-08-22 황청풍 형상기억와이어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336B1 (ko) 2012-05-02 2014-04-02 구현웅 코골이 방지용 구강 장치
KR101374011B1 (ko) * 2012-08-27 2014-03-12 이상재 코골이 방지기구
IN2014DN10199A (ko) * 2013-02-04 2015-08-07 Xiangmin Zhang
KR101542349B1 (ko) * 2013-07-30 2015-08-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ES2542577B1 (es) * 2014-02-06 2016-09-12 Biotechnology Institute, I Mas D, S.L. Dispositivo de avance mandibular, y método y kit de preparación de dicho dispositivo
CA2942082C (en) * 2014-03-28 2022-04-19 Konrad Hofmann Occlusal splint arrangement
CN106456354B (zh) * 2014-05-29 2020-04-10 塞拉纳产品股份有限公司 用于治疗睡眠呼吸暂停症的口腔矫治器
KR20170030015A (ko) * 2015-09-08 2017-03-16 고영석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203B1 (ko) 2011-05-04 2012-08-22 황청풍 형상기억와이어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865A (ko) 2019-10-08 2021-04-1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석식 수면 무호흡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34A (ko) 2018-10-31
WO2018194430A1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35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вижения вперед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способ и комплек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6899380B2 (ja) 口腔器具
KR101080463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US20200222227A1 (en) Device for preventing sleep apnea and snoring
US20110168188A1 (en) Mandibular positioning appliance
US20110259346A1 (en) Tongue position controller
KR101590813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
MX2011004086A (es) Metodos y aparatos para tratar apnea del sueño.
US20140216469A1 (en) Mandibular appliance with oxygen
CA2764277C (en) Jaw thrust appliance
JP2012086017A (ja) 頸椎用サポーター
JP2009028084A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30015A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KR102015801B1 (ko) 혀를 내밀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20130045285A (ko)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KR20120077985A (ko) 환자의 코골이 경중에 따른 맞춤 코골이 방지장치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US10105256B2 (en) Intraoral functional device for relie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 snoring and/or other airway disorders
KR101301525B1 (ko) 하악과 턱관절의 소범위 운동을 허용하는 상하악일체형 하악전진코골이방지 구강장치
KR101959537B1 (ko) 코골이 방지용 하악골 전방 견인 장치
KR101828841B1 (ko)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KR101990318B1 (ko)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10206523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Santander et al.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and dentistry: What is the relation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