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841B1 -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841B1
KR101828841B1 KR1020160156359A KR20160156359A KR101828841B1 KR 101828841 B1 KR101828841 B1 KR 101828841B1 KR 1020160156359 A KR1020160156359 A KR 1020160156359A KR 20160156359 A KR20160156359 A KR 20160156359A KR 101828841 B1 KR101828841 B1 KR 10182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oth
snoring
teeth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지영
Original Assignee
곽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지영 filed Critical 곽지영
Priority to KR102016015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착용만으로 원활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본체 상부에 상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상악치아홈이 형성되고, 본체 하부에 하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하악치아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악치아홈과 하악치아홈의 중심간 거리가 수평방향으로 2~10㎜ 간격을 유지하되, 하악치아홈이 상악치아홈보다 외측방향에 위치되도록 하는 치아밀착부; 상악치아홈과 하악치아홈 사이에 본체 중앙부분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Apparatus for general snoring prevention}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착용만으로 원활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방지가 이루어지도록 한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Snoring)는 수면 중의 호흡 기류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좁아진 기도를 지나면서 일으키는 호흡 잡음을 말한다.
도 1은 인간의 구강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인간의 구강 구조 중 혀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인간의 구강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코골이는 수면 중의 호흡 기류가 기도를 지나면서 연구개(10, 입 천장에서 비교적 연한 뒤쪽 부분)와 구개수(20, 목젖,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모양으로 현옹수라고도 함) 등의 주위 조직에 진동을 일으킴으로 인해 발생되는 호흡 잡음이다.
그리고 수면 무호흡(Sleep Apnea)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으로써, 심한 코골이와 주간졸음증 등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수면 무호흡으로 인해 수면 중 유발되는 저산소증은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까지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의 발생 과정과 원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그에 따른 여러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 환자의 대부분이 비강으로부터 후두개(40)에 의해 덮인 후두(50)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Upper Airway)가 수면 중에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 증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만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T)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상기도가 좁아져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턱이 비정상적으로 작거나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 상술한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이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인두(30) 주변 근육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인두(30)의 기도 확장근의 힘이 횡격막에 의한 흉곽 내 음압을 이겨내지 못할 때에도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발생한다. 한편, 소아의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의 가장 큰 원인은 편도 비대와 아데노이드 비대이다.
수면 무호흡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부정맥,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 좌심실부전, 폐 질환(폐성 고혈압, 폐성심, 호흡부전) 등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코골이는 당뇨병이나 녹내장을 악화시키거나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발기부전 등의 성 관련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골이가 심한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을 동반하게 되고 충분한 수면을 방해하여 만성 피로와 기억력/집중력 감퇴를 야기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가 있으며, 더 나아가 요란한 소음으로 인해 동침자의 수면도 방해하는 문제가 있다.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의 치료 방법은 크게 비수술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옆으로 잠을 자도록 하거나, 체중 감량, 금주, 금연 등을 통해 위험 인자를 줄이는 방법, 약물 치료, 구강 내 장치를 통해 혀(T)가 목 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그리고 양압을 지속적으로 기도로 공급하여 인두부 연조직의 허탈을 방지하는 방법 등이 있다.
수술적인 치료 방법은 코골이의 원인 부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비강수술(비중격 만곡 및 하비갑개 비후에 대한 교정술), 인두부 수술(편도 및 구인두의 점막을 절제하는 구개인두 성형술, 고주파 온열 구개술), 설부 축소수술, 두경부 골격수술(이설근전진술과 설골근절개술, 양측 상악전진술) 등이 있다.
현재까지 상술한 비수술적 치료 방법을 위해, 구강 내 장치에 해당되는 코골이 방지기구/장치와 코골이 방지 베개가 개발되어 있으나, 구강 내에 설치되는 장치의 경우 수면 중에 장치를 아랫니와 윗니로 물고 수면을 취할시 치아 전체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른 제작의 어려움 및 비용 증대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치아가 고르지 못할 경우 착용하기가 불편하고, 이물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수면 무호흡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강제로 코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는 강제적 공기주입장치(continous positive airway pressure)가 사용되나, 고가일 뿐만 아니라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전기기구의 몸체가 필요하고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구강과 코를 커버하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수면을 유도해야 하므로 그 사용시 번거로움과 타인에 대한 거부감, 공간적 사용의 제한이 있다.
또한, 현재 제공되는 코골이 방지기구는 개인의 치아구조에 맞추어서 개인별 맞춤형으로 제공되므로 그 비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사용상 제한이 뒤따른다. 따라서 일상적으로 간단히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렴한 코골이 방지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즉 항공기, 기차 등 대중성이 있는 장소에서 잠시 잠이 들 경우 옆 사람에게 매우 피해를 주게 되므로, 코골이가 심한 사람들은 간단히 소지하였다가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적으로 표시가 나지 않은 범용적인 제품의 필요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코골이 방지기구는 이러한 보편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품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8746호, 2006년 10월 16일 공고.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09-542377호, 2009년 12월 3일 공개. 미국 공개특허공보 US 2012/0247485 A1, 2012년 8월 4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채용하여 전체 치아 중 앞니의 몇 개만으로 맞물리도록 하고, 공기유입공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증상을 개선하는 한편, 수면시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의 크기 및 형태가 다른 사람이라도 범용적으로 즉시 착용 가능하도록 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상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상악치아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부에 하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하악치아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악치아홈과 상기 하악치아홈의 중심간 거리가 수평방향으로 2~10㎜ 간격을 유지하되, 상기 하악치아홈이 상기 상악치아홈보다 외측방향에 위치되도록 하는 치아밀착부; 및 상기 상악치아홈과 상기 하악치아홈 사이에 상기 본체 중앙부분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상악치아홈과 상기 하악치아홈의 가로길이는 20~60㎜의 범위이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는, 착용시 윗입술이 자연스럽게 덮히도록 30~50°의 각도 범위로 볼록하고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유입부는, 다수 개의 공기유입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유입공은, 공기가 유입되는 외표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다가, 일정 지점에서 최단폭을 가지는 목이 형성된 후, 내측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의 벤튜리관 형태이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통공과, 상기 연결통공에 연결된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단부에 연결되어 옷에 고정 가능한 집게로 이루어진 분실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혀가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반원 형상의 혀밀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혀밀착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개인이 복잡하게 치과 등에서 인상채득(본뜸)의 복잡한 제작상의 절차와 고비용을 부담하지 않아도 되는 마스크처럼 일용품으로 누구나 지닐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둘째, 몇 개의 전치(前齒)만 이용하므로 크기가 작아질 뿐 아니라 착용자의 이물감을 느끼는 정도를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착용 및 제거가 용이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셋째, 공기주입공의 구조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자연스럽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의 방지가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호흡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다른 효과도 있다.
도 1은 인간의 구강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인간의 구강 구조 중 혀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인간의 구강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기구를 위에서 아래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도 5는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기구를 아래에서 위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착용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착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코골이 방지기구를 실제 착용한 상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핵심은 하악(b)이 상악(a)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고, 상악(a)과 하악(b)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도록 하여 혀가 목 뒤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며, 기도가 일부 막히는 것을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하는데에 있다.
즉 하악(b)이 상악(a)보다 외측 방향으로 인위적으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도록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하는 것인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코골이 방지기구의 구성을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치아구조 중에서 앞니 부분의 상악(a)과 하악(b)의 몇 개(예컨대 4~6개) 부분만 이용하여 착용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앞서, 코골이 방지기구는 수면 중에 착용하는 것으로, 필연적으로 치아 및 잇몸 등에 걸치게 되나, 이는 이물감으로 작용되어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불편함을 최소한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조의 편안함 및 치아와 잇몸에 최소한의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최소한의 접촉을 위해 상악(a)과 하악(b)의 몇 개 치아 부분만 이용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착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상악(a) 및 하악(b)이 닿는 부분을 최소화하며, 그 재질을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소프트한 소재로 이루어지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본체(100)는 코골이 방지기구의 형상을 이루는 구성이다.
즉 본체(100)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코골이 방지기구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내용인즉 코골이 방지기구는 치아에 의해 고정되어 이물감을 느끼게 되므로,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착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고무, 실리콘 등 시중에 나와있는 소프트한 재질이라면 어느 소재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치아밀착부(110)는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중심축(p)을 중심으로 상악(a)은 내측방향에서, 하악(b)은 외측방향에서 걸쳐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치아밀착부(110)는 본체(100) 상부에 상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상악치아홈(112)과, 본체(100) 하부에 하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하악치아홈(11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악치아홈(112) 및 하악치아홈(114)은 표면에서 내측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라운드진 홈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는 착용자마다 치아의 크기가 다르고, 그 배열상태가 약간씩 다른 치아의 구조에 기인한 것이다.
그리고 각 개별 치아의 배열상태 역시 동일한 평면 상이 아닌 약간 돌출 또는 내측방향으로 뒤틀어져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착용 및 탈착의 편의를 위하여 표면은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실질적인 고정역할을 담당하는 내측은 좁게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악치아홈(112)과 하악치아홈(114)의 표면에서 심층 최저까지의 깊이(D)는 3~15㎜가 되도록 한다. 즉 상악치아홈(112)과 하악치아홈(114)의 깊이(D)가 3㎜ 미만일 경우 치아로부터 코골이 방지기구가 쉽게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고, 15㎜를 초과하는 깊이(D)에서는 제작이 번거로워 제작 과정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세균 등 이물질이 침입되었을 때 세척을 하더라도 이물질이 잔존할 개연성이 있어 치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악치아홈(112)과 하악치아홈(114)의 깊이(D)는 3~15㎜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악치아홈(112)과 하악치아홈(114)의 중심간 거리(d)는 2~10㎜의 범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2㎜ 미만의 거리로 이루어질 경우 실질적인 상악(a) 및 하악(b)의 배열상 코골이 방지효과가 미미하고, 10㎜를 초과하여 벌어질 경우 코골이 방지에는 효과적이나, 착용자의 불편함이 야기되므로 2~10㎜의 거리를 유지하여야만 적당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상악치아홈(112) 및 하악치아홈(114)이 접면하는 치아의 갯수가 최소가 되도록 하고, 착용 후 탈락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야 하므로, 상악(a) 및 하악(b) 중 가장 큰 정면 두 개의 치아는 최소한 고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악치아홈(112)과 하악치아홈(114)의 가로크기는 최소한 앞니 두 개가 고정되는 길이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하고, 이물감 방지를 위해 4개 이하의 치아가 걸치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이를 위해 상악치아홈(112)과 하악치아홈(114)의 가로길이는 20~60㎜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서 서술했다시피, 20㎜ 미만이면 최소한의 앞니 두 개를 밀착시키기에 부족한 길이이며, 60㎜를 초과하면 착용시 이물감이 많이 느껴져 착용감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유입부(120)는 상악치아홈(112)과 하악치아홈(114) 사이의 본체(100) 중앙부분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코골이 방지기구에는 외부의 공기를 입 속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공기유입공이 상악(a)과 하악(b)의 중앙부분을 가로질러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는 공기유입공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입 속 내부로 전달되므로 한층 호흡이 편안해져 코골이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공기유입공은 세 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중앙에 제1공기유입공(122)과, 제1공기유입공(122)을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 간격을 이루는 제2공기유입공(124)이 본체(100) 전방과 후방의 중앙부분을 수평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공기유입공(122)이 제2공기유입공(124)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것이 특징일 수 있는데, 실험 결과, 제1공기유입공(122)의 직경이 제2공기유입공(124)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클 때 수면 중 호흡이 더욱 원활히 행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공기유입부(120)는 원활한 공기 유입이 주목적이므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도면들에서는 원형의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와는 달리 베르누이의 원리를 차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표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좁아지도록 하고, 일정 지점에 최단폭을 가지는 목이 형성되도록 한 후, 그 내측으로 다시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를 이루는 벤튜리관 형태를 이룸으로써, 외부의 공기 유입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코골이 방지기구를 이루는 본체(100) 전체의 재질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제1공기유입공(122)과 제2공기유입공(124)을 이루는 관만을 상대적으로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러한 관으로 이루어진 공기유입공을 본체(100)의 중앙부분을 관통하도록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관을 별도로 제작 후 공기유입공이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라운드부(130)는 착용시 윗입술이 자연스럽게 덮히도록 본체(100)의 전방에 볼록하고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성이다.
즉 도 4 내지 6에 도시된 것처럼, 코골이 방지기구를 착용하면 본체(100)의 전방이 윗입술의 내면과 접촉되는데,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체의 전방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만약 본체(100)의 전방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지 않는다면, 수면 중 코골이 방지기구를 장시간 착용시 윗입술의 내면이 손상되어 염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본체(100)의 전방이 볼록하고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은 중요하다.
실험 결과, 본체(100)의 전방이 30~50°의 각도 범위를 가질 때에 윗입술의 내면이 자연스럽게 밀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 미만이면 착용시 윗입술이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어 착용감이 좋지 않으며, 50°를 초과하면 착용 후 탈락의 문제점이 빈빈히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혀밀착부(140)는 본체(100)의 후방에 혀가 닿여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즉 혀밀착부(140)는 본체(100)의 후방에 함몰 형성된 공간으로써,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혀 구조의 특성상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더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야만 혀에 무리를 주지않고 안전하게 안착시키기 위함이다.
단, 혀밀착부(140) 전체면에 혀가 완전히 밀착되면 공기유입부(120)가 완전히 막히게 되므로, 혀의 일부분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착용된 코골이 방지기구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해 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00)에 분실방지부(150)가 추가로 더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우선 본체(100)의 일측(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전방과 하악치아홈(114)과의 사이)에 연결통공(152)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통공(152)에는 끝단에 집게(156)를 고정하는 연결끈(154)이 연결되어 코골이 방지기구 착용 후 수면을 취하더라도 분실되지 않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즉 코골이 방지기구를 착용한 후 항공기, 기차 등 대중성이 있는 장소에서 잠시 잠이 들 경우, 대중성이 있는 장소 특성상 분실의 우려가 높다. 이러한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본체(100)에 연결통공(152), 연결끈(154) 및 집게(156)로 이루어진 분실방지부(150)를 구비함으로써, 분실의 우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을 가지는 일반인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의료 및 건강용품 관련 분야에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치아밀착부
112: 상악치아홈
114: 하악치아홈
120: 공기유입부
122: 제1공기유입공
124: 제2공기유입공
130: 라운드부
140: 혀밀착부
150: 분실방지부
152: 연결통공
154: 연결끈
156: 집게
a: 상악
b: 하악
d: 상악치아홈과 하악치아홈의 중심간 거리
D: 치아홈 깊이
p: 중심축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 상부에 상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상악치아홈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하부에 하악의 앞니가 위치되도록 하악치아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악치아홈과 상기 하악치아홈의 중심간 거리가 수평방향으로 2~10㎜ 간격을 유지하되, 상기 하악치아홈이 상기 상악치아홈보다 외측방향에 위치되도록 하는 치아밀착부; 및
    상기 상악치아홈과 상기 하악치아홈 사이에 상기 본체 중앙부분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기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상악치아홈과 상기 하악치아홈의 가로길이는 20~60㎜의 범위이고,
    상기 본체의 전방에는,
    착용시 윗입술이 자연스럽게 덮히도록 30~50°의 각도 범위로 볼록하고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공기유입부는,
    다수 개의 공기유입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유입공은,
    공기가 유입되는 외표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다가, 일정 지점에서 최단폭을 가지는 목이 형성된 후, 내측으로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의 벤튜리관 형태이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연결통공과, 상기 연결통공에 연결된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의 단부에 연결되어 옷에 고정 가능한 집게로 이루어진 분실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후방에는,
    혀가 밀착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반원 형상의 혀밀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혀밀착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56359A 2016-11-23 2016-11-23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KR10182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359A KR101828841B1 (ko) 2016-11-23 2016-11-23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359A KR101828841B1 (ko) 2016-11-23 2016-11-23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841B1 true KR101828841B1 (ko) 2018-02-13

Family

ID=6123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359A KR101828841B1 (ko) 2016-11-23 2016-11-23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8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97A (ko) * 2021-02-18 2022-08-25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CN115300215A (zh) * 2021-05-08 2022-11-08 车永吉 打鼾及睡眠呼吸暂停防止具
WO2022270662A1 (ko) * 2021-06-25 2022-12-29 파사메디 주식회사 구강장치
KR102495982B1 (ko) * 2021-11-24 2023-02-06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2497A (ja) 2008-12-19 2010-07-01 Taiichiro Motomura 睡眠時呼吸補助・改善、鼾抑制用のマウスピース
KR101133537B1 (ko) * 2011-11-24 2012-04-09 김희윤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CN102614041B (zh) 2011-01-27 2013-11-20 陈宝鑑 止鼾器
JP2014133016A (ja) * 2013-01-11 2014-07-24 Kotaro Marumoto マウスピース型いびき又は睡眠時無呼吸症防止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2497A (ja) 2008-12-19 2010-07-01 Taiichiro Motomura 睡眠時呼吸補助・改善、鼾抑制用のマウスピース
CN102614041B (zh) 2011-01-27 2013-11-20 陈宝鑑 止鼾器
KR101133537B1 (ko) * 2011-11-24 2012-04-09 김희윤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JP2014133016A (ja) * 2013-01-11 2014-07-24 Kotaro Marumoto マウスピース型いびき又は睡眠時無呼吸症防止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197A (ko) * 2021-02-18 2022-08-25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KR102495979B1 (ko) * 2021-02-18 2023-02-06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CN115300215A (zh) * 2021-05-08 2022-11-08 车永吉 打鼾及睡眠呼吸暂停防止具
WO2022270662A1 (ko) * 2021-06-25 2022-12-29 파사메디 주식회사 구강장치
KR102495982B1 (ko) * 2021-11-24 2023-02-06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WO2023096333A1 (ko) * 2021-11-24 2023-06-01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9380B2 (ja) 口腔器具
KR101133537B1 (ko)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KR101828841B1 (ko)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US20140216469A1 (en) Mandibular appliance with oxygen
JP5361991B2 (ja) いびき防止装置
KR101542349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JP6126575B2 (ja) 顎角部サポート用補助器具
JP2010104593A (ja) 舌位置制御装置
KR101686747B1 (ko) 개구부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구
JP2014133016A (ja) マウスピース型いびき又は睡眠時無呼吸症防止具
KR101713971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WO2005027806A1 (ja) いびき及び睡眠時無呼吸症候群治療装置
EP0794749B1 (en) A jaw position-regulating 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KR102010191B1 (ko) 코골이 방지용 비강 확장구
US20100175726A1 (en) Human interface cleaning device
TWM585604U (zh) 口內止鼾裝置
KR101996181B1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US11607336B2 (en)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KR10093147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20060089860A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구
KR102125948B1 (ko) 필터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구
CN211797157U (zh) 一种止鼾器
US20100175721A1 (en) Method of cleaning a human-interface cleaning device
CN204147156U (zh) 一种喉部支撑托架
CN204839891U (zh) 一种伸缩式喉部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