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473B1 -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473B1
KR100931473B1 KR1020080024758A KR20080024758A KR100931473B1 KR 100931473 B1 KR100931473 B1 KR 100931473B1 KR 1020080024758 A KR1020080024758 A KR 1020080024758A KR 20080024758 A KR20080024758 A KR 20080024758A KR 100931473 B1 KR100931473 B1 KR 10093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snoring
palate
main body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969A (ko
Inventor
이부일
Original Assignee
이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일 filed Critical 이부일
Publication of KR2009009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체를 구강 내에 삽입하여 본체의 구조적 특성에 의하여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여 턱관절을 벌어지게 하고 혀와 경구개 및 구개편도의 밀착을 방지하며, 본체 상부 내면에 혀가 밀착함으로 생기는 음압과 설단을 본체 내부에 위치시킬 때 발생되는 음압에 의하여 혀를 전방으로 당겨주어 설근이 인두부 쪽으로 말려 내려가지 않게 해줌으로써 수면 시 호흡하기에 충분한 구강 내의 공간과 상기도를 확보하여 코골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갈이 방지판에 의하여 윗니와 아랫니의 접촉을 방지하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연질 합성수지(또는 실리콘)로 제작된 단일 구조체가 설단이 삽입되어 머물게 되는 본체 내부, 경구개와 혀의 밀착을 방지하고 상악을 지지하는 본체의 상부, 혀 밑의 하악 위에 위치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지지하는 본체의 하부, 아랫니와 윗니 사이에 위치하여 이갈이를 방지하게 되는 이갈이 방지판,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임의로 선택하여 본체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상부 제1,2지지턱 ,설근 부분과 연구개 및 구개편도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로 구성되어 호흡하기에 충분한 구강 내의 공간과 기도를 확보함으로써 코골이와 이갈이가 방지되도록 고안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체 내부, 본체 상부, 본체 하부, 이갈이 방지판, 상부 제1,2 지지턱 밀착방지부,

Description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omitted}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체를 구강 내에 삽입하여 본체의 구조적 특성에 의하여 상악과 하악을 지지하여 턱관절을 벌어지게 하고 혀와 경구개 및 구개편도의 밀착을 방지하며, 상악 내면에 혀가 밀착함으로 생기는 음압과 설단을 본체 내부에 위치시킬 때 발생되는 음압에 의하여 혀를 전방으로 당겨주어 설근이 인두부 쪽으로 말려 내려가지 않게 해줌으로써 수면 시 호흡하기에 충분한 구강 내의 공간과 상기도를 확보하여 코골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갈이 방지판에 의하여 윗니와 아랫니의 접촉을 방지하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수면 중 좁아진 기도를 통해 호흡할 때 연구개를 비롯한 구강 및 인두부의 조직들이 진동함에 따라 발생한다. 기도가 좁아지는 이유는 주로 소하악증, 아데노이드나 편도 비대, 연구개의 형태 이상, 비만에 따른 상기도 연조직의 지방 침착, 악관절 이상이나 하악골의 후방 편위 등인데, 수면 중에는 공기가 들어가는 비인두, 구인두, 후두인두 등의 근육들이 이완되기 때문에 공기의 통로인 기도가 부분적으로 더욱 좁아지게 된다. 특히 수면 시 앙와위를 취하게 되 면 혀뿌리가 후방으로 말려 들어가 상기도가 더욱더 좁아지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호흡하게 되면 공기가 기도를 통과할 때 구개편도나 인두편도 등 주위 조직들이 진동하여 코골이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기도의 폭이 심하게 좁아지게 되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도의 일부가 폐쇄되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에 폐쇄성 수면무호흡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심한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두통이나 피로감의 증가,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을 악화시켜 전신 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업무나 운전 중의 졸음으로 인해 안전사고나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등 가정이나 사회에서 여러 가지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이갈이는 보통 음식물을 씹을 때보다 2-10배 이상 강한 힘으로 이를 갈게 되므로 환자가 잠에서 깨어날 때 두통이나 저작근, 악관절, 치아의 통증과 교모, 보철물의 손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현재까지 코골이와 이갈이를 치료하는 방법들은 크게 수술적 요법, 약물 요법, 구강장치의 사용 등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수술 요법은 수술 시 출혈과 통증 등의 문제점이 있어 환자들이 기피하는 실정이며 약물 요법은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최근에는 착용하기 쉽고 치료과정이 고통스럽지 않으며 부작용 및 후유증이 적고 비용이 저렴한 구강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1) 이 중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공개 번호 20-2008-0000017 출원일 07.04.23 공개일 08.01.04)로 제안된 호흡저해요인제거기,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등록 번호 10-0787188. 출원일 06.11.17 공고일 07.12.21.), (등록번호 10- 0624141 출원일 04.12.21 공고일 06. 09. 18)로 제안된 코골이 방지기구들은 치아가 부실하거나 치아가 없는 환자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고, 수면 시 위를 향해 눕게 되면 혀뿌리가 후방으로 말려 들어가 상기도가 좁아지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한다.
(2)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등록 번호 20-0428746 출원일 06.07.14. 공고일 06. 10. 16.)로 제안된 코골이 방지구와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5-0067632 출원일 03.12.29. 공개일 05. 07. 05)로 제안된 코골이 완화용구는 구강호흡으로 인한 구강 건조에 따른 부작용과 연구개, 구개편도 등이 늘어져 생기는 코골이 현상을 방지할 수 없으며, 공기유동관에 침이 고일 경우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어 불편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3)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089860 출원일 05.02.04 공개일 06. 08. 09), (등록번호 10-0596129 출원일 04.08.02. 공고일 06. 07. 03)로 제안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는 수면 시 위를 향해 눕게 되면 혀뿌리가 후방으로 말려 들어가 상기도가 좁아지게 되는데 본 기구는 이러한 현상을 막을 수 없어 코골이를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제안들은 별도의 교합안전장치를 치아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물질감을 많이 느끼거나 구강호흡으로 인해 구강 건조 등의 부작용이 따르고 치아가 부실하거나 치아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수면 시 앙와위를 취할 때 혀뿌리가 후방으로 말려들어가 상기도가 좁아지는 현상을 막을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강 내에 간편하게 삽입하여 치아 등의 구강 내의 구조에 고정시키지 않으므로 이물질감이 적고 유연성이 있어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착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비강호흡을 함으로써 구강호흡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고, 치아가 없더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면 시 앙와위를 취할 때에도 혀뿌리가 후방으로 말려들어가 상기도가 좁아지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연질 합성수지(또는 실리콘)로 제작된 구강내 삽입이 용이하고 치아에 고정시키지 않는 유연성이 있는 단일구조체로, 설단이 삽입되어 머물게 되는 본체 내부, 경구개와 혀의 밀착을 방지하고 상악을 지지하는 본체의 상부, 혀 밑의 하악 위에 위치하여 하악을 지지하는 본체의 하부, 아랫니와 윗니 사이에 위치하여 이갈이를 방지하게 되는 이갈이 방지판,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임의로 선택하여 본체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상부 제1,2 지지턱, 설근 부분과 연구개 및 구개편도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로 구성되어 호흡하기에 충분한 구강 내의 공간과 기도를 확보함으로써 코골이와 이갈이가 방지되도록 고안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구강 내에 간편하게 삽입하여 치아 등의 구강 내의 구조에 고정시 키지 않으므로 이물질감을 줄이고, 유연성이 있어 사용자의 구강 구조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착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비강호흡을 함으로 구강호흡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고 치아가 없더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면 시 앙와위를 취할 때에도 설근이 후방으로 말려들어가 상기도가 좁아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호흡하기에 충분한 구강 내의 공간과 기도를 확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코골이와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 (A-A')이다. 도 1,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연질합성수지(실리콘)로 제작된 유연성의 단일구조체는 본체 내부(1), 본체 상부(2), 본체 하부(3), 이갈이 방지판(4), 상부제 1,2 지지턱(5), 밀착방지부(6)로 구성된다.
본체 내부(1)는 비어있기 때문에 혀나 치아로 공기의 양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설단을 삽입하면 내부의 음압에 의하여 혀가 전방으로 지속적으로 당겨져 설근이 후방의 인두부 쪽으로 말려 내려가지 않으므로 수면 시 혀뿌리가 내려가 구인두, 비인두 등 상기도가 좁아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체 상부(2) 외면은 경구개에 밀착되어 상악을 지지하여 본체 하부 및 이갈이 방지판과 함께 턱관절을 벌어지게 하여 구강 내의 공간을 확보하게 되고, 내면은 혀가 밀착하면 음압이 형성되어 혀가 상부 내면에 흡착됨으로써 혀와 경구개의 밀착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본체 내부에 생기는 음압과 함께 혀가 지속적으로 전방으로 당겨지는 효과를 갖게 해주어 설근이 후방의 인두부 쪽으로 말려 내려가지 않 게 함으로써 호흡하기에 충분한 구강 내의 공간과 상기도를 확보하게 된다.
본체 하부(3)는 혀 밑 하악 위에 위치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지지하고 본체 상부 및 이갈이 방지판과 함께 턱관절을 벌어지게 하여 구강내의 공간과 상기도를 충분하게 확보하게 된다.
이갈이 방지판(4)은 공기는 유입되지 않는 부분으로 이갈이를 견딜 수 있는 적당한 두께를 갖는 본체의 전방 돌출 부분으로서, 구강 내에 본체 삽입 시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위치하여 이갈이를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구강 내에서의 본체의 위치를 안정시키며, 본체 상, 하부와 함께 턱관절을 벌리게 하여 구강 내의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게 된다.
상부 제1,2 지지턱(5)은 본체 상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치아로 물어, 본체 내부로 설단이 출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거나 혀나 턱의 근육이 긴장되었을 때 본체의 위치를 변경시켜 근육의 긴장을 이완시키게 된다.
밀착방지부(6) : 본체 상부의 경사면 보다는 수직 경사를 약간 더 가한 부분으로, 설근 부분이 연구개, 구개편도 및 인두부와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호흡 시 기도 주변의 조직에 의한 떨림 현상을 방지하여 코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설근 부분을 전방으로 밀어 올리듯이 감싸면서 흡착함으로써 설근 부분이 인두부 쪽으로 말려 내려가지 않게 하여 호흡하기에 충분한 기도를 확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구조체 형태의 특성에 따른 기능으로 인해 삽입이 간편하고 착용감이 좋으며, 구강 내의 공간과 상기도를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갈이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코골이 방지기구의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코골이 방지기구의 단면도(A-A')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코골이 방지기구의 착용 시 측면도
도4는 도3(B)의 확대도면
* 도면 부호 설명
1. 본체 내부 2. 본체 상부
3. 본체 하부 4. 이갈이 방지판
5. 상부 제 1, 2 지지턱 6. 밀착방지부
10. 연구개 11. 경구개
12. 구개편도 13. 구개인두
14. 설단 15. 설근
16. 윗니 17. 아랫니

Claims (1)

  1. 본체의 전반부가 계란을 반쪽으로 자른 형태로서 내부가 비어있고, 후반부는 반구형태로 구성된 단일 구조체인 본체:
    상기 구조체의 전반부에 형성된, 설단을 삽입시키기 위한 공간인 본체 내부:
    상기 구조체의 상부로서 외면은 경구개를 따라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악을 지지하고 내면은 음압이 형성되어 혀가 밀착되는 본체 상부:
    상기 구조체의 하부로서 하악을 전방으로 지지하게 되는 본체 하부:
    상기 본체 상부와 하부 사이에 위치하며 전방으로 돌출된 윗니와 아랫니에 의해 물리는 이갈이 방지판:
    본체 상부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부 제1,2 지지턱:
    본체 상부의 꼬리부분으로 구개편도 및 구개인두가 설근부와 밀착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밀착방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1020080024758A 2008-02-22 2008-03-18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100931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153 2008-02-22
KR20080016153 2008-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69A KR20090090969A (ko) 2009-08-26
KR100931473B1 true KR100931473B1 (ko) 2009-12-11

Family

ID=41208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758A KR100931473B1 (ko) 2008-02-22 2008-03-18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4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47B1 (ko) 2015-06-29 2016-12-09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KR20170016057A (ko) 2015-08-03 2017-02-13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6904B1 (fr) * 2017-06-01 2021-12-17 Crystal Tech Appareil orthodon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appareil
KR101894679B1 (ko) * 2017-12-29 2018-10-04 김동환 기도확장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227A (en) 1978-03-03 1981-12-08 Samelson Charles F Device for treatment of snoring, bruxism or for avoidance of sleep apnea
JPH03103878U (ko) * 1990-02-09 1991-10-29
US5154184A (en) 1991-09-16 1992-10-13 Alvarez Ramiro M Adjustable anti-snoring apparatus
US5316020A (en) 1990-10-03 1994-05-31 Ernest Truffer Snoring preven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4227A (en) 1978-03-03 1981-12-08 Samelson Charles F Device for treatment of snoring, bruxism or for avoidance of sleep apnea
JPH03103878U (ko) * 1990-02-09 1991-10-29
US5316020A (en) 1990-10-03 1994-05-31 Ernest Truffer Snoring prevention device
US5154184A (en) 1991-09-16 1992-10-13 Alvarez Ramiro M Adjustable anti-snor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47B1 (ko) 2015-06-29 2016-12-09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KR20170016057A (ko) 2015-08-03 2017-02-13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KR101752966B1 (ko) * 2015-08-03 2017-07-03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969A (ko)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5360C (en) Oral appliance
US10543119B2 (en)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7730891B2 (en)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US5915385A (en) Snore and stress relieving device
US20070079833A1 (en)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including snoring, obstructive sleep apnea,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and method for delivering the same
JP5052353B2 (ja) 下顎を前方移動させる方法及び装置
KR101133537B1 (ko)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US20130112210A1 (en) Oral Sleep Apnea Device
US20140352700A1 (en)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20110114100A1 (en) P3 Personal Power and Performance Mouthpiece
US20150272773A1 (en)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20080190437A1 (en) Dental Orthosis
WO2010050246A1 (ja) 舌位置制御装置
AU2012255625A1 (en) Breathing assist device
KR101542349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US20120255561A1 (en) Devise for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treatment
JPH10508762A (ja) 顎の位置を調節する口内装置
US10105256B2 (en) Intraoral functional device for relie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 snoring and/or other airway disorders
GB2264868A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20110006263U (ko)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KR10093147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20230070711A (ko) 수면무호흡 방지용 하악전진장치
KR20060089860A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구
US20120031410A1 (en)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TWM585604U (zh) 口內止鼾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