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4679B1 - 기도확장장치 - Google Patents

기도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4679B1
KR101894679B1 KR1020170183882A KR20170183882A KR101894679B1 KR 101894679 B1 KR101894679 B1 KR 101894679B1 KR 1020170183882 A KR1020170183882 A KR 1020170183882A KR 20170183882 A KR20170183882 A KR 20170183882A KR 101894679 B1 KR101894679 B1 KR 101894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teeth
tooth
forming hole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170183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679B1/ko
Priority to US15/964,044 priority patent/US2019020123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679B1/ko
Priority to PCT/KR2018/013774 priority patent/WO20191322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9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sub-atmospheric pressure, e.g. during expi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도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부치아 안착부, 하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하부치아 안착부 및 착용자가 구강 내부에 장착 후 발생되는 상기 상부 치아와 상기 하부 치아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 대응되는 이격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을 포함함으로써, 착용자의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을 개선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도확장장치{AIRWAY EXTENSION DEVICE}
본 발명은 기도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 공기의 통로(기도)가 좁아져 발생하게 된다. 쉼을 쉴 때에는 공기가 입 천장, 혀, 목젖 등 인체의 부드러운 부분을 지나게 된다. 낮 동안에는 이러한 근육들이 충분히 긴장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통로가 확보됨으로써 호흡에 의한 소리가 나는 일이 드물다. 그러나 수면 중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공기 통로가 좁아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공기 통로가 좁아질 경우 들숨 또는 날숨의 공기 속도가 증가함으로써 그에 따른 진동으로 코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코골이가 심환 환자 중에는 일시적으로 공기 통로가 완전히 막힐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수면 무호흡증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체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착용 가능한 코골이 방지 구조체 중 일부는 상부 입술 및 하부 입술을 밀폐시켜 입을 차단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부는 수면 중 공기가 목젖과 연구개(soft palate)를 통과할 때 그에 반응을 일으켜 이들 조직부위가 진동하는 것을 인지하고, 입을 부득이 완전히 차단하지 않고도 입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현저히 줄임으로써 상기와 같은 공기의 이동 속도에 따른 진동을 극소화하는 기술 구성으로 개시되어 있다.
삭제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0015호 (2017.03.1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중 코골이를 방지 또는 감소시키거나 수면 무호흡증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도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에게 개인 맞춤된 기도확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에게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장착됨은 물론, 구강 내의 혀와 바깥 부분의 아랫 입술에 의한 음압 형성의 접근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기도확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는, 상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부치아 안착부, 하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하부치아 안착부, 및 착용자가 구강 내부에 장착 후 발생되는 상기 상부 치아와 상기 하부 치아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 대응되는 이격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는, 상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부치아 안착부, 하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하부치아 안착부, 상기 상부치아 안착부와 상기 하부치아 안착부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치아 구획면 및 상기 치아 구획면에 형성되되, 착용자가 구강 내부에 장착 후 발생되는 상기 상부 치아와 상기 하부 치아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 대응되는 이격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다수의 상부 치아의 하단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상부치아 치단선과 상기 다수의 하부 치아의 상단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하부치아 치단선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치아 안착부의 전단측에 구비되되, 내측면은 상기 다수의 상부 치아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외측면은 윗 입술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전방 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전방 림부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된 혀와 외측에 위치된 아랫 입술 사이에서 기 결정된 압력의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전방 림부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된 혀가 입 천장측으로 밀착되는 정도의 압력으로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 형성홀은, 상기 다수의 상부 치아 및 상기 다수의 하부 치아의 중앙부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 형성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홀 좌우 측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치아 안착부의 내측면을 형성하면서 혀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되 상기 다수의 하부 치아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혀 안착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상부치아 안착부와 인접하는 상기 혀 안착면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혀 안착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다수의 상부 치아들 중 측부에 구비된 상부 치아들의 하단부와 구획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좌우 측방 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좌우 측방 림부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혀 또는 아랫 입술의 신경반응의 성질에 의해 내측 및 외측에서 막힘되도록 구비되되, 내측에서는 상기 혀의 선단 테두리부의 하면이 상측을 덮으면서 막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착용자의 구강 내부와 접촉되는 부위 중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강 내부와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착용자의 아랫 입술이 접촉되는 테두리 단부에 구비된 제1실링부 및 상기 착용자의 혀 부위가 안착되는 혀 안착면의 테두리 부위에 구비된 제2실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에 따르면, 수면 중 착용자의 혀를 전방 측으로 압축시켜 공기 통로(기도)를 확보함으로써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이갈이, 이악물기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에 따르면, 아랫 입술과 뺨을 장치에 흡착시켜 수면 중 입이 벌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구호흡(입호흡)을 방지하고 비호흡(코호흡)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구강과 비강을 포함한 호흡기의 습도를 유지시켜 구강건조증 및 구취, 비염, 기관지염 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가 적용된 예와 종래의 다른 예의 혀의 위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의 구성 중 실링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의 방향을 구별하는 것에 불과할 뿐 실제로 그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에 한정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부치아 안착부(10), 하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하부치아 안착부(20) 및 기도확장장치작용환자(이하, '착용자'라 한다)가 구강 내부에 장착 후 발생되는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 대응되는 이격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50)을 포함한다.
상부치아 안착부(10)는, 착용자가 구강 내로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를 장착할 경우 착용자의 다수의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부치아 안착홈(30)들을 포함한다.
상부치아 안착홈(30)들은, 착용자의 상부치아에 맞도록 미리 본을 떠서 제작되는 바, 타 착용자에게는 장착이 불가능하고 오로지 단수 개로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에 한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치아 안착부(20)는, 착용자가 구강 내로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를 장착할 경우 착용자의 다수의 하부 치아의 내측면이 안착되는 부위이다.
하부치아 안착부(20) 또한 상부치아 안착부(10)에 형성된 상부치아 안착홈(30)들과 동시에 착용자 맞춤형으로 본을 떠서 제작되는 바, 착용자의 다수의 하부 치아의 내측면이 형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음압 형성홀(50)은,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를 구강 내에 장착할 경우, 착용자의 신체 부위(특히, 구강 내의 혀 및 구강 외측의 아랫 입술)에 의하여 막힘으로써 착용자가 코로 호흡을 하는 동안의 들숨 또는 날숨에 의해 구강 내부에 소정의 음압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음압 형성홀(50)에 의하여 구강 내에 음압이 형성될 때, 착용자의 혀는 전방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혀의 근육이 구비된 미도시의 설골(hyoidbore)을 상승시켜 후측의 공기 통로(기도)가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의 착용자는 정상적으로 입을 다물고 있을 경우, 다수의 상부 치아가 다수의 하부 치아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는, 제작 시에 착용자의 입에 물려 착용자의 치아 형태에 따른 본을 떠서 제작하는데, 여기서, 음압 형성홀(50)은, 착용자의 변칙적인 물림 자세로부터 생성된 틀이 아니라 정상적인 물림 자세로부터 생성된 틀을 기본으로 하여 제작될 때 다수의 상부 치아와 다수의 하부 치아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이격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압 형성홀(50)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를 착용자가 구강 내에 장착하고 수면을 취할 경우, 착용자의 혀는 구강 내에 이질적인 부위를 차단하려는 신경반응의 성질에 의하여 음압 형성홀(50)을 찾아 차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혀의 선단이 구강 내에서 전방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구강 내의 음압 형성홀(50)을 차단한다. 동시에 착용자의 아랫 입술 또한 외측으로 노출된 음압 형성홀(50)을 구강 외측에서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에서, 음압 형성홀(50)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되는 바, 착용자의 혀의 선단이 음압 형성홀(50)을 차단하기 보다는 혀의 하면 테두리 단부가 음압 형성홀(50)을 덮도록 이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착용자의 혀가 좀더 전방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논리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음압 형성홀(50)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는 상이하게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경우 단순히 착용자의 혀의 선단이 음압 형성홀(50)을 차단하도록 이동하는 경우보다는 효과적임이 분명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의 구성 중 음압 형성홀(50)은, 착용자의 혀를 수면 상태에서 구강 내 중 공기 통로(기도)가 확장되도록 하는 최적 위치에 위치되어 안착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착용자의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을 개선하는 것을 돕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부치아 안착부(10)와 하부치아 안착부(20)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치아 구획면(도면부호 미표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치아 구획면은, 상부치아 안착부(10) 및 하부치아 안착부(20)를 이루는 일체형 구성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즉, 치아 구획면의 내측면에는 상술한 상부치아 안착부(10)가 착용자의 상부 치아의 형상에 형합되게 형성되고, 치아 구획면의 외측면에는 상술한 하부치아 안착부(20)가 착용자의 하부 치아의 내측면 형상에 형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치아 구획면은, 착용자의 구강 내를 본 떠서 제작되므로 전체적인 치아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50)은, 치아 구획면에 형성되되, 착용자가 구강 내부에 장착 후 발생되는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 대응되는 이격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다수의 상부 치아의 하단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임의의 연결선을 '상부치아 치단선'이라 정의하고, 착용자의 다수의 하부 치아의 상단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임의의 연결선을 '하부치아 치단선'이라 정의할 때,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50)은, 상부치아 치단선과 하부 치아 치단선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부치아 안착부(10)의 전단측에 구비되되, 내측면은 다수의 상부 치아의 외측면을 감사면서 외측면은 윗 입술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전방 림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림부(40)에 의하여, 착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교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장착하면, 다수의 상부 치아는 상부 잇몸을 제외하고는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고 폐쇄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방 림부(40)의 외측면에는 착용자의 윗 입술이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부치아 안착부(20)의 내측면을 형성하면서 혀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되 다수의 하부 치아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혀 안착면(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혀 안착면(60)도 상술한 치아 구획면과 같이 별도로 구분되는 구성은 아니지만, 하부치아 안착부(20)가 구비된 외측부에 대향하는 내측면으로 정의할 수 있고, 혀의 테두리 부분 하면이 안착되는 부위라면 모두 혀 안착면(60)으로 정의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음압 형성홀(50)은, 상부치아 안착부(10)와 인접하는 혀 안착면(60)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혀 안착면(60)의 좌우 양측에는 다수의 상부 치아들 중 측부에 구비된 상부 치아들의 하단부와 구획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좌우 측방 림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우 측방 림부(70)는, 혀 안착면(60)과 상부치아 안착부(10)를 구획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음압 형성홀(50)은, 좌우 측방 림부(70)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50)은, 전방 림부(40)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된 혀와 외측에 위치된 아랫 입술 사이에서 기 결정된 압력의 음압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의 기 결정된 압력의 음압은, 전방 림부(40)를 사이에 두고 구강 내측에 위치된 혀가 입 천장측으로 밀착되는 정도의 압력이면 족하다. 혀의 선단부가 후술하는 혀 안착면(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입 천장측인 상측에 꽉 들어차도록 위치됨으로써 구강 내에 최적의 음압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50)은, 혀 또는 아랫 입술의 신경반응의 성질에 의해 내측 및 외측에서 막힘되도록 구비되되, 내측에서는 혀의 선단 테두리부의 하면이 상측을 덮으면서 막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가 적용된 예와 종래의 다른 예의 혀의 위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상술한 음압 형성홀(50)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경우와,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경우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음압 형성홀(50)의 외측은 착용자의 아랫 입술에 의하여 차단되고, 음압 형성홀(50)의 내측은 착용자의 혀의 선단이 접하는 동작으로 차단되면서, 착용자의 구강 내부에 음압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도 6a에 참조된 음압 형성홀(50)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착용자의 혀의 선단만이 음압 형성홀(50)의 내측을 접하는 식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착용자의 혀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임의 기준선(R)을 기준으로 대략 "A1"의 형성각도를 가지도록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힘 벡터(V1)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혀의 상부면은 구강 내 중 입 천장측으로 들뜨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도 6b에 참조된 경우와 비교하여 더 적을 수 밖에 없다.
즉,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음압 형성홀(50)의 내측은 착용자의 혀의 선단이 아니라 혀의 선단부의 하면 테두리 부위에 의하여 덮히는 동작으로 차단된다. 이때, 착용자의 혀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임의의 기준선(R)을 기준으로 상술한 "A1"보다 큰 각도인 "A2"의 형성각도를 가지도록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힘 벡터(V2)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음압 형성홀(50)이 다수의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의 이격된 이격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순히 음압 형성홀(50)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 비하여 혀의 상부면이 전체적으로 입 천장측을 향해 더 들뜨게 된다.
이와 같이 상이하게 형성된 음압 형성홀(50)을 구강 내측에서 차단하기 위한 혀의 움직임의 차이는, 상술한 설골의 전체적인 이동거리에 있어서 차이를 발생시키고, 적어도 2mm의 기도의 추가 확보가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2mm의 공기 통로(기도)의 추가 확보는,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 이갈이, 이악물기 등의 증상을 가진 착용자의 상기 증상들이 개선될 수 있는 정도의 공기의 유동 속도 감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음압 형성홀(50)은, 착용자의 코가 완전히 막힌 경우에는, 구호흡을 위한 숨 쉴수 있는 공간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음압 형성홀(50)에 의하여 형성된 착용자의 구강 내의 음압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아랫 입술과 뺨을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보장치(1)에 흡착시킬 수 있으므로 수면 중 입이 벌어지지 않게 하여 구호흡(입호흡)을 방지함은 물론, 비호흡(코호흡)을 유도하여 구강과 비강을 포함한 호흡기 전체의 습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구강건조증 및 구취, 비염, 기관지염 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참조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기도확장장치(1)에서, 음압 형성홀(50)은, 다수의 상부 치아 및 다수의 하부 치아의 중앙부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홀(50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홀(50a)은,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부 치아의 2개 내지 4개가 연접하는 좌우 길이를 가지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부 치아 1개의 좌우 폭을 넘지 않는 정도의 지름을 가진 홀로서 2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9 내지 도 10에 참조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의 기도확장장치(1)에서, 음압 형성홀(50)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앙홀(50a) 좌우 측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홀(5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에서, 측면홀(50b)은 가운데의 중앙홀(50a)을 기준으로 좌우의 소정 거리 이격된 부위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에서, 측면홀(50b)은 가운데의 중앙홀(50a)을 기준으로 좌우의 소정 거리 이격된 부위에 각각 2개가 상호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측면홀(50b)들은 본래의 중앙홀(50a)에 더하여 혀의 신경반응에 따른 착용자의 수면 상태에서의 움직임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구강 내의 음압을 형성하는데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의 구성 중 실링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일 실시예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구강 내부와 접촉되는 부위 중 일부에 구비되어 구강 내부와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는 실링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부(80)는, 착용자의 아랫 입술이 접촉되는 테두리 단부에 구비된 제1실링부(81)와, 착용자의 혀 부위가 안착되는 상술한 혀 안착면(60)의 테두리 부위에 구비된 제2실링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실링부(81)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방 림부(40)의 전면부 중 하단 테두리부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아랫 입술이 수시로 접할 때 착용자의 부드러운 피부인 아랫 입술에 스크래치 또는 상처가 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실링부(82)는, 도 1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혀 안착면(60)의 상부 테두리 및 좌우 측방 림부(70)를 점하는 테두리 부위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구강 내부의 부드러운 피부인 혀에 스크래치 또는 상처가 나는 것을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도확장장치(1)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50)에 의하여 착용자의 구강 내부에서의 혀의 움직임을 최적의 음압이 형성되는 위치(즉, 공기 통로(기도)가 확장될 수 있는 정도의 음압이 형성되는 위치)로 유도함으로써 착용자의 코골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기도확장장치 10: 상부치아 안착부
20: 하부치아 안착부 30: 상부치아 안착홈
40: 전방 림부 50: 음압 형성홀
60: 혀 안착면 70: 좌우 측방 림부
80: 실링부

Claims (13)

  1. 상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부치아 안착부;
    하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하부치아 안착부; 및
    착용자가 구강 내부에 장착 후 발생되는 상기 상부 치아와 상기 하부 치아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 대응되는 이격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 을 포함하는 기도확장장치.
  2. 상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상부 치아가 안착되는 상부치아 안착부;
    하측에 위치되고 다수의 하부 치아가 안착되는 하부치아 안착부;
    상기 상부치아 안착부와 상기 하부치아 안착부를 구획하도록 형성된 치아 구획면; 및
    상기 치아 구획면에 형성되되, 착용자가 구강 내부에 장착 후 발생되는 상기 상부 치아와 상기 하부 치아 사이의 이격된 위치에 대응되는 이격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 을 포함하는 기도확장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다수의 상부 치아의 하단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상부치아 치단선과 상기 다수의 하부 치아의 상단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하부치아 치단선 사이에 형성된 기도확장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치아 안착부의 전단측에 구비되되, 내측면은 상기 다수의 상부 치아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외측면은 윗 입술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전방 림부; 를 더 포함하는 기도확장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전방 림부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된 혀와 외측에 위치된 아랫 입술 사이에서 기 결정된 압력의 음압을 형성하는 기도확장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전방 림부를 사이에 두고 내측에 위치된 혀가 입 천장측으로 밀착되는 정도의 압력으로 음압을 형성하는 기도확장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압 형성홀은,
    상기 다수의 상부 치아 및 상기 다수의 하부 치아의 중앙부 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홀; 을 포함하는 기도확장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음압 형성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앙홀 좌우 측에 대칭되게 각각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면홀; 을 더 포함하는 기도확장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치아 안착부의 내측면을 형성하면서 혀의 테두리 부분이 안착되되 상기 다수의 하부 치아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혀 안착면;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상부치아 안착부와 인접하는 상기 혀 안착면의 경계에 형성된 기도확장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혀 안착면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다수의 상부 치아들 중 측부에 구비된 상부 치아들의 하단부와 구획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좌우 측방 림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상기 좌우 측방 림부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기도확장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음압 형성홀은, 혀 또는 아랫 입술의 신경반응의 성질에 의해 내측 및 외측에서 막힘되도록 구비되되, 내측에서는 혀의 선단 테두리부의 하면이 상측을 덮으면서 막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기도확장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착용자의 구강 내부와 접촉되는 부위 중 일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강 내부와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는 실링부; 를 더 포함하는 기도확장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착용자의 아랫 입술이 접촉되는 테두리 단부에 구비된 제1실링부; 및
    상기 착용자의 혀 부위가 안착되는 혀 안착면의 테두리 부위에 구비된 제2실링부; 를 포함하는 기도확장장치.
KR1020170183882A 2017-12-29 2017-12-29 기도확장장치 KR101894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82A KR101894679B1 (ko) 2017-12-29 2017-12-29 기도확장장치
US15/964,044 US20190201232A1 (en) 2017-12-29 2018-04-26 Airway extension device
PCT/KR2018/013774 WO2019132239A1 (ko) 2017-12-29 2018-11-13 기도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882A KR101894679B1 (ko) 2017-12-29 2017-12-29 기도확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679B1 true KR101894679B1 (ko) 2018-10-04

Family

ID=6386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882A KR101894679B1 (ko) 2017-12-29 2017-12-29 기도확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201232A1 (ko)
KR (1) KR101894679B1 (ko)
WO (1) WO201913223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239A1 (ko) * 2017-12-29 2019-07-04 김동환 기도확장장치
KR20220153335A (ko)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헬스브릿지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
KR20220167455A (ko) * 2021-06-14 2022-12-21 윤덕영 음압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6848A1 (en) * 2021-09-23 2023-03-30 Nocker Bayer Heike Occlusion orthosi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346A (en) 1987-10-13 1992-03-03 Hays & Meade, Inc. Dental orthosis for alleviation of snoring
US8684007B2 (en) 2011-03-30 2014-04-01 William R. Timmons Oral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4403B2 (en) * 1998-12-16 2008-07-29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AU2004202518A1 (en) * 2003-06-13 2005-01-06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KR200443404Y1 (ko) * 2007-05-23 2009-02-10 정수용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100931473B1 (ko) * 2008-02-22 2009-12-11 이부일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100926483B1 (ko) * 2009-05-18 2009-11-12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턱관절 균형 장치
US20110168188A1 (en) * 2010-01-11 2011-07-14 Moore Richard W Mandibular positioning appliance
KR20110122355A (ko) * 2010-05-04 2011-11-10 정상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US20120186589A1 (en) * 2011-01-26 2012-07-26 Singh Pankaj P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and snoring
KR101832856B1 (ko) * 2016-03-14 2018-02-28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단계식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KR101832858B1 (ko) * 2016-03-21 2018-02-28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분리형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KR101894679B1 (ko) * 2017-12-29 2018-10-04 김동환 기도확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2346A (en) 1987-10-13 1992-03-03 Hays & Meade, Inc. Dental orthosis for alleviation of snoring
US8684007B2 (en) 2011-03-30 2014-04-01 William R. Timmons Oral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239A1 (ko) * 2017-12-29 2019-07-04 김동환 기도확장장치
KR20220153335A (ko)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헬스브릿지 딥러닝을 이용한 기도에서의 음식물 역류 감지 시스템
KR20220167455A (ko) * 2021-06-14 2022-12-21 윤덕영 음압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KR102551228B1 (ko) * 2021-06-14 2023-07-03 윤덕영 음압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코골이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01232A1 (en) 2019-07-04
WO2019132239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679B1 (ko) 기도확장장치
JP6363694B2 (ja) 鼻プロング及びそれを含む患者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6435327B2 (ja) 患者インターフェイスのためのシーリングクッション
KR101134604B1 (ko) 개선된 얼굴 마스크
JP6290875B2 (ja) 角を成すシーリングフラップを有するシーリングクッション
JP2013540032A (ja) 関連アプリケーションとクロスリファレンスする患者インターフェイスデバイスのための排出ガスアセンブリー
JP2008136496A (ja) 構音障害改善用鼻孔栓
KR10205398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기구
CN106512174A (zh) 用于呼吸面罩的衬垫和呼吸面罩
JP2020195827A (ja) フルフェイスマスク用のマスククッション
JP2016529004A (ja) 個人用呼吸保護装置
JP2016533821A (ja) 個人用呼吸保護装置
EP3687611B1 (en) Cushion with protrusion and patient interface device including same
KR20130064189A (ko) 안경에 김서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RU2641836C2 (ru) Устройства интерфейса пациента
JP2017534403A (ja) 患者インターフェイスのためのストラップ部材
WO2015092723A1 (en) Patient interface device fabric support sleeve
KR20200114249A (ko) 청정에어 블러워형 마스크
JP3124550U (ja) お面形衛生マスク
US20220331065A1 (en) Sleep apnea and anti-snoring system
JP6007379B1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改善用補助器具
US20180169366A1 (en) Cushion cover and patient interface device using same
JP2008114025A (ja) 立体的な鼻覆いマスク
JP7442317B2 (ja) 積層造形プロセスにより形成可能な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3238363U (ja) 衛生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