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478B1 -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478B1
KR102529478B1 KR1020210089957A KR20210089957A KR102529478B1 KR 102529478 B1 KR102529478 B1 KR 102529478B1 KR 1020210089957 A KR1020210089957 A KR 1020210089957A KR 20210089957 A KR20210089957 A KR 20210089957A KR 102529478 B1 KR102529478 B1 KR 102529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i
plate
push rod
sleep apnea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9215A (ko
Inventor
명재준
Original Assignee
명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재준 filed Critical 명재준
Priority to KR1020210089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47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9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9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는, 상악골에 식립되는 제 1 골스크류(15)에 의해 상기 상악골에 고정되는 제 1 미니 플레이트(10); 하악골에 식립되는 제 2 골스크류(25)에 의해 상기 하악골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고정되는 제 2 미니 플레이트(20); 수면시에는 일단이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에 장착되며, 비수면시에는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되는 푸시로드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의 길이는,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이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에 장착될 때, 하악을 안면 전방으로 밀어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Relieving Appliance of Sleep Apnea Using Skeletal Anchorage}
본 발명은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로서, 특히 미니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수면중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완화하는 구강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은 간헐적인 기도폐쇄를 가져오므로 혈액내 산소 부족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혈압상승, 관상동맥 기능저하 및 심장기능 저하등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산소증, 신경/호르몬 체계 변화 및 대사성 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현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비외과적 완화 장치로는 지속적 기도 양압기(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가 선호되는데, 양압으로 반작용을 주어 기도를 벌어지게 하고 공기부목(Pneumatic Splint) 효과를 부여하여 좁은 기도로 인한 호흡장애를 억제하고 이차적으로는 폐용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기도 한다. 그러나, 지속적 기도 양압기는 마스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서 환자가 불편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피부발적, 피부손상 또는 폐쇄공포증을 야기하기도 하며, 펌프 작동 소음이 수면을 방해하는 문제도 있다.
한편 구강내 장치(OA: Oral Appliance)는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하는 등의 작용으로 기도를 확보하는 장치인데, 수면시 마우스피스 형태의 Mono Block 또는 Twin Block을 착용하여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한다.
CPAP가 OA에 비하여 객관적 효과는 높으나, 환자의 순응도는 OA가 더 높아서 실질적인 효과는 높을 수 있으며, 불편감, 피부발적, 피부손상 또는 폐쇄공포증으로 CPAP의 사용이 불가능할 때에도 OA가 유용할 수 있다.
그런데, OA는 마우스피스 형태의 Mono Block 또는 Twin Block으로 인해 이물감이 있어서 적응이 필요하며, 치아에 원치 않는 교정력이 직접 가해지므로 아침에 일어나면 밤새 치아가 받은 힘 때문에 치아가 움직여진 느낌이 들고, 장기적 사용시에는 마치 치아교정시와 유사하게 치아가 움직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보 10-2085779, 2020년 03월 02일 등록 2. 대한민국 특허공보 10-1996181, 2019년 06월 27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감을 저감하는 구강내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에 교정력이 가해지지 않는 구강내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는, 상악골에 식립되는 제 1 골스크류(15)에 의해 상기 상악골에 고정되는 제 1 미니 플레이트(10); 하악골에 식립되는 제 2 골스크류(25)에 의해 상기 하악골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고정되는 제 2 미니 플레이트(20); 수면시에는 일단이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에 장착되며, 비수면시에는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되는 푸시로드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의 길이는,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이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에 장착될 때, 하악을 안면 전방으로 밀어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는, 제 1 프레임(11); 상기 제 1 프레임(11)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 1 골스크류(15)가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를 고정하기 위한 2 이상의 제 1 스크류홀(12); 상기 제 1 프레임(11)에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의 일단과 결합가능한 제 1 장착링(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는, 제 2 프레임(21); 상기 제 2 프레임(11)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 2 골스크류(25)가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를 고정하기 위한 2 이상의 제 2 스크류홀(22); 상기 제 2 프레임(21)에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의 타단과 결합가능한 제 2 장착링(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1)은 T자형이되, 상기 제 1 프레임(11)에 구비된 제 1 일자형 브랜치(11a)의 양단에 상기 제 1 스크류홀(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일자형 브랜치(11a)의 중앙에서 연장하는 제 1 연장 브랜치(11b)의 끝에 상기 제 1 장착링(13)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프레임(21)은 T자형이되, 상기 제 2 프레임(21)에 구비된 제 2 일자형 브랜치(21a)의 양단에 상기 제 2 스크류홀(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일자형 브랜치(21a)의 중앙에서 연장하는 제 2 연장 브랜치(21b)의 끝에 상기 제 2 장착링(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 브랜치(11b)의 중간에 단차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장착링(13)이 상악골의 표면과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연장 브랜치(21b)의 중간에 단차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 2 장착링(23)이 하학골의 표면과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은, 막대형의 푸시로드(33); 상기 푸시로드(33)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 1 장착링(13)에 끼워지는 제 1 탄성 플러그(31); 상기 푸시로드(33)의 타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 2 장착링(23)에 끼워지는 제 2 탄성 플러그(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탄성 플러그(31)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볼트(34a)의 나사봉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이 겹쳐져 있는 제 1 장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탄성 플러그(32)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볼트(34b)의 나사봉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이 겹쳐져 있는 제 2 장공(33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무호흡 완화 장치에 따르면 마우스피스와 같이 치아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치아에 끼워지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미니 플레이트 및 푸시로드 모듈과 같이 보다 작은 사이즈의 구조물만이 구강내에 위치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이물감이 현저히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면무호흡 완화 장치에 따르면 안면의 뼈에 직접 힘이 걸이고 치아에는 전혀 힘이 걸리지 않으므로, 원치 않는 치아 교정력으로 인한 치아 이동 등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의 미니 플레이트가 안면의 상악골 및 하악골에 각각 부착된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수면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가 사용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미니 플레이트 및 골스크류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푸시로드 모듈(3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의 푸시로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인체 안면의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의 미니 플레이트가 안면의 상악골 및 하악골에 각각 부착된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수면중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가 사용되는 상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미니 플레이트 및 골스크류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푸시로드 모듈(3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는,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복수의 제 1 골스크류(15), 제 2 미니 플레이트(20), 복수의 제 2 골스크류(25) 및 푸시로드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격성 고정원인 제 1 미니 플레이트(10)는 상악골에 식립되는 제 1 골스크류(15)에 의해 상악골에 고정되는데, 예를 들면 상악골에서 어금니가 있는 부분의 상방에서 복수의 제 1 골스크류(15)에 의하여 고정된다.
골격성 고정원인 제 2 미니 플레이트(20)는 하악골에 식립되는 제 2 골스크류(25)에 의해 하악골에 고정된다. 제 2 미니 플레이트(20)는 제 1 미니 플레이트(10)보다 안면의 전방에서 고정되는데, 예를 들어 하악골에서 송곳니가 있는 부분의 하방에서 복수의 제 2 골스크류(25)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해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잇몸 및 피부조직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제 2 미니 플레이트(20)에 대한 임플란트 시술시에는 잇몸의 일정부분을 절개하여 상악골 및 하악골을 노출한 상태로 수행하며 임플란트 시술후에는 해당 부분을 봉합함으로써,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제 2 미니 플레이트(20)의 장착링(13,23) 정도가 잇몸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제 2 미니 플레이트(20)의 구조가 동일하며, 이하 한꺼번에 설명한다. 미니 플레이트(10, 20)는 프레임(11,21), 2이상의 스크류홀(12,22) 및 장착링(1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크류홀(12,22)은 2개 이상, 예를 들면 3개가 프레임(11,21)에 형성되며, 각 스크류홀에는 골스크류(15,25)의 나사봉이 각각 관통되어 미니 플레이트(10, 20)를 상악골 및 하악곡에 각각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스크류홀은 프레임(11,21)의 일자형 브랜치(11a,21a)의 양단과 중앙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총 3개의 골스크류를 이용하여 안면 골격에 미니 플레이트를 고정한다.
장착링(13,23)은 프레임(11)의 연장 브랜치(11b,21b) 끝에 형성되며, 푸시로드 모듈(30)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탈장착 방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후, 미니 플레이트의 일자형 브랜치(11a,21a) 및 골스크류(15,25)와 연장 브랜치(11b,21b)의 대부분은 잇몸속에 가려지나, 장착링(13,23)은 외부로 노출되어 수면에 들어가기전 사용자가 푸시로드 모듈(30)을 스스로 장착할 수 있게 한다.
프레임(11,21)은 일자형 브랜치(11a,21a)와 이의 중앙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 브랜치(11b,21b)로 구성되는 대략 T자형의 모양을 가진다. 일자형 브랜치(11a,21a)의 양단에 스크류홀(12,22)이 각각 형성되며, 그 중앙, 즉 연장 브랜치(11a,21a)와 연결된 지점에도 스크류홀(12,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일자형 브랜치(11a,21a)의 중앙에서 연장하는 연장 브랜치(11b,21b)의 끝에 장착링(13,23)이 형성된다. 연장 브랜치(11b,21b)의 중간에는 단차를 가지는 데, 구체적으로는 상악골(하악골)의 외측 방향으로 한번 꺽이고 상악골(하악골)과 평행한 방향이 되게 다시 꺽여 있다. 이와 같이 연장 브랜치에 형성된 단차는 장착링(13,23)이 상악골(하악골)의 표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격되게 함으로써, 푸시로드 모듈(30)에서 탄성 플러그(31,32; 도 5 참조)의 일정 부분이 들어갈 이격 공간을 제공한다.
푸시로드 모듈(30)은 수면시에 그 일단은 상악골에 고정된 제 1 미니 플레이트(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하악골에 고정된 제 2 미니 플레이트(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도 2 참조), 비수면시에는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제 2 미니 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되어 있다(도 1 참조).
푸시로드 모듈(30)은 수면시 상악보다 하악이 안면 전방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기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므로, 푸시로드 모듈(30)이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제 2 미니 플레이트(20)에 장착될 때, 하악을 안면 전방으로 밀어서 하악이 상악보다 안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진다.
사용자에 따라, 또한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제 2 미니 플레이트(20)의 고정후 양자 사이의 정확한 거리에 따라, 구비된 다양한 길이의 푸시로드 모듈(30) 중에서 적절한 길이의 푸시로드 모듈(30)이 선정될 수 있다.
푸시로드 모듈(30)은 푸시로드(33), 제 1 탄성 플러그(31), 제 2 탄성 플러그(32), 제 1 고정볼트(34) 및 제 2 고정볼트(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푸시로드(33)는 막대형으로서 예를 들면 금속이고 그 단면이 사각이며, 제 1 미니 플레이트 및 제 2 미니 플레이트가 고정된 두 지점 사이의 안면 굴곡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거나 중간에 한번 이상 꺽인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 1 탄성 플러그(31)는 푸시로드(33)의 일단에서 제 1 고정볼트(34)를 이용하여 푸시로드(33)와 결합되며, 그 선단으로부터 제 1 장착링(13)에 끼워질 수 있다. 푸시로드 모듈의 장착시 제 1 탄성 플러그(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 안착트렌치(31a)에 제 1 장착링(13)이 안착된다.
제 2 탄성 플러그(32)는 푸시로드(33)의 타단에서 제 2 고정볼트(35)를 이용하여 푸시로드(33)와 결합되며, 그 선단으로부터 제 2 장착링(23)에 끼워질 수 있다. 푸시로드 모듈의 장착시 제 2 탄성 플러그(3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 안착트렌치(32a)에 제 2 장착링(23)이 안착된다.
제 1 탄성 플러그(31) 및 제 2 탄성 플러그(32)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높은 경도의 실리콘 등과 같은 재료로 구성되며, 제 1 고정볼트(34) 및 제 2 고정볼트(35)의 나사봉과 나사결합하는 너트홈을 가지며, 탄성을 가지지만 나사결합시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정도의 강성을 가진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의 푸시로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푸시로드(33)의 일단에는, 제 1 탄성 플러그(31)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고정볼트(34)의 나사봉(34a)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a,b,c)이 겹쳐져 있는 제 1 장공(33a)이 형성되는데, 제 1 장공(33a)의 두 장변은 물결모양을 이루게 된다.
푸시로드(33)의 타단에는, 제 2 탄성 플러그(32)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고정볼트(35)의 나사봉(35a)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d,e,f)이 겹쳐져 있는 제 2 장공(33b)이 형성되는데, 제 2 장공(33b)의 두 장변은 물결모양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각 장공마다 3개씩의 관통공이 겹쳐져 있는 경우에는, 겹쳐진 관통공 사이의 간격 설계예에 따라, 제 1 탄성 플러그와 제 2 탄성 플러그의 사이는 4가지 ~ 9가지 선택 거리를 가질 수 있다. 고정볼트에 있어서 장공을 덮는 볼트머리부분의 반경(S1)은, 겹쳐진 복수의 관통공 중에서 외측 어느 한 관통공의 중심으로부터 반대쪽 외측 관통공의 외곽까지의 거리(S2)보다 크게 하면, 고정볼트가 장공을 항상 덮을 수 있다. 또한, 탄성 플러그에 있어서 장공을 덮는 부분의 반경(S3)은, 겹쳐진 복수의 관통공 중에서 외측 어느 한 관통공의 중심으로부터 반대쪽 외측 관통공의 외곽까지의 거리(S2)보다 크게 하면, 탄성 플러그가 장공을 항상 덮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인체 안면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비수면시(평상시) 사용자는 상악골에 제 1 미니 플레이트(10)가 고정되고 하악골에 제 2 미니 플레이트(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생활하게 된다(도 1 참조). 그리고 수면에 들어가기전 사용자는 따로 보관중이던 푸시로드 모듈(30)의 일단(구체적으로, 제 1 탄성플러그(31))을 제 1 미니 플레이트(10)의 제 1 장착링(13)에 삽입하여 장착하고, 푸시로드 모듈(30)의 타단(구체적으로, 제 2 탄성플러그(32))을 제 2 미니 플레이트(20)의 제 2 장착링(23)에 장착한다(도 2 참조).
푸시로드 모듈(30)의 일단은 제 1 미니 플레이트(10)를 통해 상악골에 고정된 상태이고 푸시로드 모듈(30)의 타단은 제 2 미니 플레이트(20)를 통해 하악골에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의 수면무호흡 완화장치에 의해 수면시 천장을 보고 있는 안면의 하악이 아래로 처지려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길이 만큼(A; 도 2 참조) 더 밀어 올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수면호호흡증을 가진 사용자의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완화하거나 방지하고 일정 수준이상의 기도를 확보한다(도 7의 B 참조).
10,20 : 미니 플레이트 11,21 : 프레임
12,22 : 스크류홀 13,23 : 장착링
15, 25 : 골스크류 30 : 푸시로드 모듈
31, 32 : 탄성 플러그 33 : 푸시로드
34,35 : 고정볼트

Claims (6)

  1. 상악골에 식립되는 제 1 골스크류(15)에 의해 상기 상악골에 고정되는 제 1 미니 플레이트(10);
    하악골에 식립되는 제 2 골스크류(25)에 의해 상기 하악골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보다 안면의 전방으로 고정되는 제 2 미니 플레이트(20);
    수면시에는 일단이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에 장착되며, 비수면시에는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로부터 분리되는 푸시로드 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의 길이는,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이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 및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에 장착될 때, 하악을 안면 전방으로 밀어서 하악이 상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는,
    제 1 프레임(11);
    상기 제 1 프레임(11)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 1 골스크류(15)가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 1 미니 플레이트(10)를 고정하기 위한 2 이상의 제 1 스크류홀(12);
    상기 제 1 프레임(11)에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의 일단과 결합가능한 제 1 장착링(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는,
    제 2 프레임(21);
    상기 제 2 프레임(21)에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제 2 골스크류(25)가 각각 관통되어 상기 제 2 미니 플레이트(20)를 고정하기 위한 2 이상의 제 2 스크류홀(22);
    상기 제 2 프레임(21)에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의 타단과 결합가능한 제 2 장착링(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11)은 T자형이되, 상기 제 1 프레임(11)에 구비된 제 1 일자형 브랜치(11a)의 양단에 상기 제 1 스크류홀(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일자형 브랜치(11a)의 중앙에서 연장하는 제 1 연장 브랜치(11b)의 끝에 상기 제 1 장착링(13)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프레임(21)은 T자형이되, 상기 제 2 프레임(21)에 구비된 제 2 일자형 브랜치(21a)의 양단에 상기 제 2 스크류홀(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2 일자형 브랜치(21a)의 중앙에서 연장하는 제 2 연장 브랜치(21b)의 끝에 상기 제 2 장착링(23)이 형성되는,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 브랜치(11b)의 중간에 단차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장착링(13)이 상악골의 표면과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연장 브랜치(21b)의 중간에 단차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 2 장착링(23)이 하학골의 표면과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 모듈(30)은,
    막대형의 푸시로드(33);
    상기 푸시로드(33)의 일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 1 장착링(13)에 끼워지는 제 1 탄성 플러그(31);
    상기 푸시로드(33)의 타단에 결합하고 상기 제 2 장착링(23)에 끼워지는 제 2 탄성 플러그(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탄성 플러그(31)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볼트(34a)의 나사봉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이 겹쳐져 있는 제 1 장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제 2 탄성 플러그(32)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볼트(34b)의 나사봉이 관통할 수 있는 복수의 관통공이 겹쳐져 있는 제 2 장공(33b)이 형성되는,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KR1020210089957A 2021-07-08 2021-07-08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KR102529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957A KR102529478B1 (ko) 2021-07-08 2021-07-08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9957A KR102529478B1 (ko) 2021-07-08 2021-07-08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215A KR20230009215A (ko) 2023-01-17
KR102529478B1 true KR102529478B1 (ko) 2023-05-04

Family

ID=85111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9957A KR102529478B1 (ko) 2021-07-08 2021-07-08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4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566069U (zh) 2016-08-31 2017-10-20 深圳绵福健康科技有限公司 定向外调止鼾器
CN107789113A (zh) 2016-08-31 2018-03-13 深圳绵福健康科技有限公司 滑动内调止鼾器
JP6726741B2 (ja) 2016-06-28 2020-07-22 三井化学株式会社 マウスピー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235B1 (ko) * 2018-02-12 2020-01-10 최현성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KR101996181B1 (ko) 2018-09-17 2019-07-03 송상섭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KR102085779B1 (ko) 2019-11-11 2020-03-06 정다이 맞춤형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 장치의 제작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6741B2 (ja) 2016-06-28 2020-07-22 三井化学株式会社 マウスピース
CN206566069U (zh) 2016-08-31 2017-10-20 深圳绵福健康科技有限公司 定向外调止鼾器
CN107789113A (zh) 2016-08-31 2018-03-13 深圳绵福健康科技有限公司 滑动内调止鼾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9215A (ko)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35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вижения вперед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способ и комплек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100413069B1 (ko) 수면시의 일시호흡곤란 및 코골이 치료기구
KR101129075B1 (ko) 구강 장치
JP5758396B2 (ja) 鼾及び睡眠時無呼吸を防止するための調節可能な口内下顎前進装置
AU2016236827B2 (en) Mandibular reposition device and coupling therefor
KR101080463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 장치
US4637796A (en) Office fabricated, adjustable function regulator
MX2011004086A (es) Metodos y aparatos para tratar apnea del sueño.
US20170290643A1 (en) Intraoral expander device
US20120040301A1 (en) Mandibular advancement
TWM615022U (zh) 齒列矯正牙套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KR20200103004A (ko) 개선된 상악골 확장기 및 전인장치
CN215458810U (zh) 齿列矫正牙套
CN112006793B (zh) 一种球囊水压型牙齿矫正装置
KR102529478B1 (ko)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한 수면무호흡 완화장치
CN208756205U (zh) 可调式的牙弓发育塑形器
KR200226262Y1 (ko) 코골기와 무호흡증 방지구
US20150290025A1 (en) Oral System
KR101954017B1 (ko) 구강 인상재 트레이 폭 조절장치
JP6120780B2 (ja) 口腔装置
KR102122089B1 (ko) 마우스 프롭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CN219332008U (zh) 一种可调节的口腔矫治器
CN219846874U (zh) 牙科器械及牙科器械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