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188B1 - 코골이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188B1
KR100787188B1 KR1020060113891A KR20060113891A KR100787188B1 KR 100787188 B1 KR100787188 B1 KR 100787188B1 KR 1020060113891 A KR1020060113891 A KR 1020060113891A KR 20060113891 A KR20060113891 A KR 20060113891A KR 100787188 B1 KR100787188 B1 KR 10078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cking jaw
teeth
jaw
sn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102006011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188B1/ko
Priority to US12/513,366 priority patent/US8156940B2/en
Priority to PCT/KR2007/005784 priority patent/WO2008060122A1/en
Priority to JP2009537087A priority patent/JP2010509980A/ja
Priority to EP07834090.8A priority patent/EP2091476B1/en
Priority to CN2007800424929A priority patent/CN10153475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윗니들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
상기 상부지지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에 설치되는 상부걸림턱;
아랫니들에 지지되는 하부지지체; 및
상기 하부지지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지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걸림턱의 앞면에 걸릴 수 있는 하부걸림턱;을 구비한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부지지체, 상부걸림턱, 하부지지체, 하부걸림턱

Description

코골이 방지기구{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코골이 방지기구가 사용자에게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코골이 방지기구가 사용자의 윗니들 및 아랫니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코골이 방지기구의 상부지지체 및 상부걸림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Ⅶ-Ⅶ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가 사용자의 윗니들 및 아랫니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코골이 방지기구의 상부지지체 및 상부걸림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Ⅹ-Ⅹ단면도.
도 11은 도 9의 ⅩI-ⅩI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코골이 방지기구 10... 상부지지체
11... 홈부 12... 몸체부
13... 고정부 14... 고정턱
15... 고정구멍 16... 위치조정수단
17... 나사구멍 18... 나사부재
20... 상부걸림턱 21... 하방연장부
22... 이탈방지부 23... 위치조정구멍
30... 하부지지체 40... 하부걸림턱
41... 상방연장부 42... 이탈방지부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중 발생하는 코골이를 방지하여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우리가 숨쉬는 동안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게 되는 인후부가 좁아져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생기는 것으로써, 수면 중 호흡 곤란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하는 한 증상이다. 우리가 숨을 쉴 때는 공기가 입천장, 목젖, 편도선, 혀 등과 같이 부드러운 인체부분을 지나게 되는데, 낮에는 이 부분들이 제자리를 유지하도록 주위 근육들이 도와주어 공기 통로를 막지 않아 거의 소리가 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잠자는 동안에는 근육들이 이완되어 늘어지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공기 통로가 좁아져서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 주변의 부드러운 조직들을 진동시켜 코고는 소리를 내는 것이다.
한편 매우 심한 형태의 코골이 환자 중에는 수면 중 근육 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등의 원인으로 인해 공기 통로가 일시적으로 막힐 수 있으며, 이 때 공기가 폐로 전혀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한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폐가 신선한 공기를 얻지 못하게 되므로 이를 감지한 뇌가 명령하여 우리 몸을 깨우고 근육을 수축시켜 공기 통로를 다시 열어 준다. 이 때가 되어서야 환자는 숨을 크게 한 번 몰아 쉰 후 호흡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일이 매일 밤 되풀이되면 낮 동안 심한 졸음과 피로함을 느끼게 되며, 종종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장기간 이러한 이상이 계속될 경우 심장이나 폐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켜서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비강수술, 인두제거용 레이저 수술, 코골이 방지용 베게, 및 입에 물고 자게 하는 기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비강수술 및 인두제거용 레이저 수술은 일시적인 코골이는 호전시킬 수 있으나, 수술 후 호전된 증세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시 악화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코골이 방지용 베게는 수술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으나, 수면 중에 원위치에서 이탈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제기능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단점이 있다.
입에 물고 잠을 자게 하는 기구는 이 사이에 끼운 기구를 이용하여 아래 턱관절을 당겨 코골이를 방지하는 기구이다. 이 기구를 이용하여 턱관절을 당김에 따라 연구개 및 이와 연결된 목젖, 혀뿌리, 편도선의 사이를 더욱 멀어지게 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기도를 훨씬 넓어지게 하고, 넓어진 기도에 의해 수면 중 호흡을 위하여 흡입된 공기가 목젖, 혀뿌리, 편도선 등과 같은 부위를 회피하면서 자유롭게 통과하게 되어 공기의 통행에 의한 연구개 및 편도선 등이 진동되는 것을 사전에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입에 물고 자게 하는 기구는 별도의 수술을 요구하지 않고, 자는 동안 기도를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므로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면 중 입에 물고 자게 하는 기구와 관련된 기구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89860호가 있다.
이 코골이 방지기구(100)는 마우스피스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하나의 기구의 상하면에 윗니(50)들과 아랫니(60)들이 끼워질 수 있는 이물림판(101)을 형성하고 윗니들과 아랫니(60)들을 상기 이물림판(101)에 끼워넣으면 자연적으로 아래턱이 전방으로 당겨질 수 있게 하여 기도가 넓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윗니와 아랫니가 코골이 방지기구에 끼워 고정된 상태로 수시간 동안 수면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데, 이러한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자연스럽지 못하여 사용자들에게 거부감을 준다.
특히, 이러한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한 상태로 잠을 청한 사용자들은 수면동안에 받은 스트레스로 인하여 아침이 되어도 개운하지 못하고 항상 피곤하고 졸 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기구로서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면 도중 윗니와 아랫니가 상호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자연스러운 수면을 유도하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기구는 사용자의 윗니들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
상기 상부지지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에 설치되는 상부걸림턱;
아랫니들에 지지되는 하부지지체; 및
상기 하부지지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지지체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걸림턱의 앞면에 걸릴 수 있는 하부걸림턱;을 구비한다.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상기 상부걸림턱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연장부와, 상기 하방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걸림턱은,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연장부와, 상기 상방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상기 상부걸림턱의 이탈방지부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상기 상부걸림턱의 상기 상부지지체에 대한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상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상기 상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상부지지체에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나사구멍과,
상기 상부걸림턱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걸림턱을 상부지지체상의 원하는 위치에 결합시키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상기 하부걸림턱의 상기 하부지지체에 대한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하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상기 하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하부지지체에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나사구멍과,
상기 하부걸림턱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하부걸림턱을 하부지지체상의 원하는 위치에 결합시키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상기 상부지지체가 윗니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체가 아랫니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턱은 위쪽 앞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걸림턱은 아래쪽 앞니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상기 상부걸림턱과 하부걸림턱은 각각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지체가 윗니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체가 아랫니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걸림턱과 상기 한 쌍의 하부걸림턱은 앞니와 양측 어금니 사이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상기 상부지지체에는 상기 윗니들을 끼워서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체에는 상기 아랫니들을 끼워서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에서 상기 상부지지체의 홈부는 윗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지지체의 홈부는 아랫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코골이 방지기구가 사용자의 윗니들 및 아랫니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코골이 방지기구의 상부지지체 및 상부걸림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Ⅶ-Ⅶ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방"이라 인체의 배면으로부터 전면을 향하는 방향을 말하며, "후방"이란 상기 "전방"의 반대방향으로 인체의 전면으로부터 배면을 향하는 방향을 말하고, "상방"이란 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는 방향을 말하며, "하방"이란 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러한 "전방", "후방", "상방" 및 "하방"이란 용어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다른 정의가 없는 한 상기와 같이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는 상부지지체(10), 상부걸림턱(20), 하부지지체(30), 상부걸림턱(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10)는 사용자의 윗니(50)들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지지체(10)에는 상기 윗니(50)들을 끼워서 수용하기 위한 홈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홈부(11)는 상기 윗니(50)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지지체(10)는 윗니(50)들에 지지되는 몸체부(12)와, 상기 몸체부(12)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2)는 일면에 홈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합성소재로 만들어진다. 상기 고정부(13)는 고정턱(14), 고정구멍(15), 나사구멍(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지지체(10)는 유동상태인 아크릴 레진 등의 합성소재에 고정부(13)를 삽입시킨 후 용융된 합성소재를 굳혀서 제작한다. 이때, 굳혀진 아크릴 부분이 몸체부(12)를 구성하게 되는데, 그 몸체부(12)의 일면측에는 고정부(13)가 설치되 고, 상기 몸체부(12)에서 고정부(13)가 마련된 면의 반대쪽면 측에는 사용자의 윗니(50)들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홈부(11)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턱(14)은 고정부(13)의 하단 외주면에 윗니(50)들의 하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턱(14) 주위에 몸체부(12)가 덮혀져서 몸체부(12)로부터 고정부(13)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멍(15)은 상기 고정부(13)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고정구멍(15)의 상단의 둘레지름은 상기 고정구멍(15)의 하단의 둘레지름보다 크다. 상부지지체(10)의 몸체부(12)를 성형할 때, 용융된 합성소재를 상기 고정구멍(15)의 내부까지 침투한 후 굳혀서, 그 고정구멍(15)의 내부에서 굳어진 합성소재가 고정부(13)와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13)를 몸체부(1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턱(14)과, 고정구멍(15)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13)가 몸체부(12)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나사구멍(17)은 상부지지체(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상부걸림턱(20)은 금속소재로 만들어지며, 상부지지체(10)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10)에 마련된다. 상기 상부걸림턱(20)은 하방연장부(21)와, 이탈방지부(22)로 구성된다.
상기 하방연장부(21)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바부재로서, 그 상단부는 상기 상부지지체(10)의 고정부(13)와 접촉가능하고, 하단부는 이탈방지부(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22)는 하방연장부(21)의 하단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분이다.
상기 상부걸림턱(20)에는 하방연장부(21)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방지부(22)의 하단까지 관통하는 위치조정구멍(23)이 마련되며, 상기 위치조정구멍(23)은 이탈방지부(22)가 돌출되는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2개가 배치된다.
한편, 하기에서는 하부지지체 및 하부걸림턱에 대하여 기술하나, 그 구성요소들이 상기 상부지지체 및 상부걸림턱과 대응되는 부분이 많아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없거나, 도면설명이 필요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 및 도면부호를 생략하겠다.
상기 하부지지체(30)는 아랫니(60)에 지지되며, 상기 하부지지체(30)는 상기 상부지지체(10)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지지체(30)는 상기 상부지지체(10)의 몸체부(12) 및 고정부(13)와 대응되는 몸체부와,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걸림턱(40)은 상기 하부지지체(30)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지지체에 설치된다. 이때, 하부걸림턱(40)은 그 뒷면이 상기 상부걸림턱(20)의 앞면에 걸린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지지체(30)에 지지된 아랫니(60)들이 상기 원래 아랫니가 위치하는 위치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아랫니가 윗니보다 약간 후방으로 빼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일반적인 사용자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랫니가 윗니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으나, 전방으로 아랫니를 많이 뺄 필요가 없는 사용자 의 경우에는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로만 상기 아랫니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적인 아랫니의 위치가 윗니보다 상당히 후방에 놓여져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아랫니를 전방으로 이동시켜도 윗니보다 돌출되지 않는 경우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평소에 아랫니가 윗니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아랫니가 윗니에 비하여 종래보다 더욱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걸림턱(40)은, 상방연장부(41)와, 이탈방지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상방연장부(41)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부재이다.
상기 이탈방지부(42)는 상기 상방연장부(41)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상기 하부걸림턱(40)의 이탈방지부(42)는 상부걸림턱(20)의 이탈방지부(22) 상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부지지체(10)와 하부지지체(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걸림턱(40)에는 상방연장부(41)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방지부(42)의 하단까지 관통하는 위치조정구멍되는데, 이 위치조정구멍은 상부걸림턱에 마련된 위치조정구멍과 대응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걸림턱(20)을 상부지지체(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도록 하는 상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16)을 구비하고, 하부걸림턱에도 상기 상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과 대응되는 하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이 마련되는 데,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16)에 대해서만 하겠다.
상기 상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20)은 복수의 나사구멍(17)과, 나사부재(18)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17)에 관해서는 이미 상부지지체(10)에서 설명한 바 있으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지지체(10)에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나사구멍(17)은 좌우방향(이탈방지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대략 수평면상에서 수직인 방향)으로 2열이 서로 대칭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10) 상에 마련된다.
상기 나사부재(18)는 상부걸림턱(20)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17)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서 상기 상부걸림턱(20)을 상부지지체(10) 상의 원하는 위치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상기 나사부재(18)는 상부걸림턱(20)의 위치조정구멍(23)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구멍(17)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하부걸림턱(40)의 위치조정수단도 복수의 나사구멍과, 나사부재로 구성되며,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상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16)과 대응된다.
상술한 상부지지체(10), 상부걸림턱(20), 하부지지체(30) 및 하부걸림턱(40)은 각각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지지체(10)가 윗니(50)들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체(30)가 아랫니(60)들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걸림턱(20)과 상기 한 쌍의 하부걸림턱(40)은 앞니와 양측 어금니 사이에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의 작용효과를 기술하겠다.
상부지지체(10)와 하부지지체(30)를 사용자의 윗니(50)들 및 아랫니(60)들의 형상에 맞추어 제작한다. 이때, 상부지지체(10)와 하부지지체(30)에 마련되는 홈부(11)를 윗니들(50) 및 아랫니(60)들을 모두 수용하도록 제작한다. 제작이 완료된 상부지지체(10) 및 하부지지체(30)를 사용자의 윗니(50)들 또는 아랫니(60)들에 끼우고, 상부걸림턱(20)과 하부걸림턱(40)을 상기 상부지지체(10) 및 하부지지체(30)에 나사결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걸림턱(20)을 상부지지체(10)의 원하는 위치에 올려놓은 후에, 나사부재(18)를 상기 상부걸림턱(20)의 위치조정구멍(23)을 관통하면서 상부지지체(10)의 나사구멍(17)에 나사결합한다. 이때, 2개의 나사부재(18)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걸림턱(20)과 상기 상부지지체(10)를 결합시켜, 상기 상부걸림턱(20)이 상기 상부지지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부재(18)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하부걸림턱(40)과 하부지지체(30)의 결합도 상기 상부걸림턱(20)과 상부지지체(10)의 결합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 코골이 방지기구(1)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수면 전에 상기 상부지지체(10)의 홈부(11)를 윗니(50)들에 끼워 지지되게 하고, 하부지지체(30)의 홈부를 아랫니(60)에 끼워 지지되게 한다. 이후, 아래턱(70)을 전방으로 당겨서, 상기 하부지지체(30)의 하부걸림턱(40)의 후면이 상부지지체(10)의 상부걸림턱(20)의 전면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걸림턱(20)과 하부걸림턱(40)이 서로 끼워맞추어지면, 아랫니(60)들은 후방에 위치한 상부걸림턱(20)에 의하여 뒤로 후퇴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부걸림턱(20) 의 이탈방지부(22)에 의하여 상부지지체(10)와 하부지지체(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윗니(50)들과 아랫니(60)들 사이의 간격도 벌어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걸림턱(20)은 하부걸림턱(40)이 상부걸림턱(20)의 후방쪽으로 이동하는 만을 제한할 뿐, 상기 상부걸림턱(20)이 좌우방향(즉, 수평면상에서 상부걸림턱 또는 하부걸림턱의 이탈방지부가 돌출된 부분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여, 수면 중에 코골이 방지기구(1)를 착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를 이용하면, 코골이 방지기구(1)를 수 회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처음으로 코골이 방지기구(1)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아래턱(70)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자세에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아래턱(70)을 조금씩 전방으로 당겨서 사용자가 코골이 방지기구(1)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최적의 전방 위치까지 아래턱(70)을 이동하기 위해서는 최소 5회 이상의 교정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교정작업을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5 회이상 치과를 방문하여 각 단계별로 필요한 코골이 방지기구(1)를 제작해야 한다. 특히, 종래의 마우스 피스 형태의 코골이 방지기구(100)는 윗니(50)와 아랫니(60)의 안착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매 회마다 실리콘 등으로 코골이 방지기구(1)를 다시 제작해야 했다. 이는 제작 및 인건비의 상승을 초래하여 사용자에게 비용면에서 부담을 줄 뿐 아니라, 사용자가 매 회 치과를 방문하여 윗니 및 아랫니의 형을 떠야 하므로 번거로웠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는 단계별로 별도의 코골이 방지기구(1)를 만들 필요가 없이, 위치조정수단(16)으로 상부걸림턱(20) 또는 하부걸림턱(40)의 위치만을 변경시켜 주면 아래턱(70)을 전방으로 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이의 형상을 본떠야 하는 상부지지체(10) 및 하부지지체(30)는 최초에 한 번만 제작하면 되고, 아래턱(70)을 서서히 당기는 교정작업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상부지지체(10) 또는 하부지지체(30)에 마련된 나사구멍(17)로부터 나사부재(18)를 빼낸 후, 상기 상부걸림턱(20) 또는 하부걸림턱(40)을 원하는 위치로 위치 이동시킨 후, 다시 나사 체결하면 된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사용자가 어느 정도 사용방법에 익숙해지기만 하면, 굳이 치과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사용자 스스로 집 또는 직장에서 손쉽게 교정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1)는 수면중에 잠시 깨어나서 말을 해야하는 경우 또는 물을 마셔야 하는 경우 등 간단히 아래턱(70)을 움직여야 하는 경우 편리하다. 종래의 코골이 방지기구(100)는 이에 끼워고정되어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100)를 윗니(50)들 또는 아랫니(60)들로부터 빼낸 후에만 턱관절(70)을 움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걸림턱(20)의 후면에 걸려있는 하부걸림턱(40)을 약간 전방으로 이동시켜 각각의 이탈방지부(42)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벌려 상부걸림턱(20)과 하부걸림턱(40)의 끼워맞춤결합을 해제시킨 후에는 자유롭게 아래턱(70)을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간단한 아래턱의 이동만으로 도 쉽게 상부걸림턱(20)과 하부걸림턱(40)의 끼워걸림을 풀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1)는 다음과 같은 변형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부지지체(10)와 하부지지체(30)를 각각 앞니와 양측 어금니 사이에 배치시켰으나, 코골이 방지기구(1)를 앞니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기구가 사용자의 윗니들 및 아랫니들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코골이 방지기구의 상부지지체 및 상부걸림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Ⅹ-Ⅹ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ⅩI-ⅩI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지지체(10)는 윗니(50)에 지지되고 하부지지체(30)가 아랫니(6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턱(20)은 윗니(50) 중 앞니의 하방에 위치하고 하부걸림턱은 아랫니(60) 중 앞니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외에 상부지지체(10), 상부걸림턱(20), 하부지지체(30), 하부걸림턱(40)의 구성 및 작용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위치조정수단(16)으로, 나사구멍(17)과, 나사부재(18)를 이용하였으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장공에 나사부재 것도 고려할 수 있으며, 나사부재이외에 각종 착탈가능한 체결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부지지체(10) 또는 하부지지체(30)를 모든 윗 니(50) 또는 아랫니(60)를 덮도록 홈부(11)를 마련하고 있으나, 상기 상부지지체(10)를 와이어로 구성하여 상기 와이어가 윗니 또는 아랫니의 일부 외주면에 지지되고, 상기 상부걸림턱 또는 하부걸림턱이 상기 와이어에 고정결합되는 구성도 고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 및 다양한 변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들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기구에 의하면, 간단한 기구로서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턱의 이동을 허용하여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윗니들에 지지되는 상부지지체;
    상기 상부지지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지지체에 마련되는 상부걸림턱;
    아랫니들에 지지되는 하부지지체;
    상기 하부지지체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지지체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걸림턱의 앞면에 걸릴 수 있는 하부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걸림턱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방연장부와, 상기 하방연장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걸림턱은,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방연장부와, 상기 상방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상기 상부걸림턱의 이탈방지부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상부지지체와 하부지지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턱의 상기 상부지지체에 대한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상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상부지지체에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나사구멍과,
    상기 상부걸림턱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걸림턱을 상부지지체상의 원하는 위치에 결합시키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걸림턱의 상기 하부지지체에 대한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하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걸림턱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하부지지체에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나사구멍과,
    상기 하부걸림턱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나사구멍에 선택적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하부걸림턱을 하부지지체상의 원하는 위치에 결합시키는 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가 윗니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체가 아랫니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걸림턱은 위쪽 앞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걸림턱은 아래쪽 앞니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림턱과 하부걸림턱은 각각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지지체가 윗니에 지지되고 상기 하부지지체가 아랫니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걸림턱과 상기 한 쌍의 하부걸림턱은 앞니와 양측 어금니 사이에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에는 상기 윗니들을 끼워서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체에는 상기 아랫니들을 끼워서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체의 홈부는 윗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지지체의 홈부는 아랫니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방지기구.
KR1020060113891A 2006-11-17 2006-11-17 코골이 방지기구 KR10078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91A KR100787188B1 (ko) 2006-11-17 2006-11-17 코골이 방지기구
US12/513,366 US8156940B2 (en) 2006-11-17 2007-11-16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PCT/KR2007/005784 WO2008060122A1 (en) 2006-11-17 2007-11-16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JP2009537087A JP2010509980A (ja) 2006-11-17 2007-11-16 いびき防止器具
EP07834090.8A EP2091476B1 (en) 2006-11-17 2007-11-16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CN2007800424929A CN101534756B (zh) 2006-11-17 2007-11-16 用于防止打鼾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91A KR100787188B1 (ko) 2006-11-17 2006-11-17 코골이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188B1 true KR100787188B1 (ko) 2007-12-21

Family

ID=3914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891A KR100787188B1 (ko) 2006-11-17 2006-11-17 코골이 방지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56940B2 (ko)
EP (1) EP2091476B1 (ko)
JP (1) JP2010509980A (ko)
KR (1) KR100787188B1 (ko)
CN (1) CN101534756B (ko)
WO (1) WO2008060122A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4684A2 (en) * 2010-11-10 2012-05-18 Kent Moore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for oral appliance wear
KR200461738Y1 (ko) * 2009-12-15 2012-08-03 정수창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KR200464664Y1 (ko) * 2010-12-30 2013-01-11 한승찬 하악 전진 장치
KR101380336B1 (ko) 2012-05-02 2014-04-02 구현웅 코골이 방지용 구강 장치
KR101663896B1 (ko) 2015-04-17 2016-10-07 김운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장치
KR101713971B1 (ko) 2016-06-28 2017-03-08 김운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KR20180025676A (ko) 2016-09-01 2018-03-09 김운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TWI737347B (zh) * 2020-06-12 2021-08-21 許漢忠 下頜骨位移調整裝置
KR20220089956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전방돌출턱이 구비된 코골이 방지기구
KR20220089960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KR20220089958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코골이 방지기구용 지지베이스
KR20220089955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코골이 방지기구
KR20220118197A (ko) 2021-02-18 2022-08-25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KR102495982B1 (ko) 2021-11-24 2023-02-06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6858B2 (en) * 2006-04-06 2012-11-27 Airway Technologies, Llc System for coupling an oral appliance to a medical mask
US8316857B2 (en) * 2006-04-06 2012-11-27 Airway Technologies, Llc Oral appliance for treating a breathing condition
US7748386B2 (en) * 2006-04-06 2010-07-06 Thornton W Keith Oral appliance for treating a breathing condition
BE1018209A5 (nl) * 2008-07-07 2010-07-06 Nelissen Jozef Frans Inrichting voor het behandelen van nachtelijke ademhalingsproblemen.
US8607796B2 (en) 2009-02-27 2013-12-17 Airway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an oral appliance to a gas delivery device
EP2233115A1 (fr) * 2009-03-24 2010-09-29 Michel Valceschini Appareil dentaire pour le réglage du positionnement du maxillaire inférieur
US8573224B2 (en) * 2009-10-16 2013-11-05 Airway Technologies, Llc Custom-molded oral appliance and method of forming
US20120227749A1 (en) * 2009-10-20 2012-09-13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Okayama University Mouthpiece
WO2011063180A1 (en) * 2009-11-20 2011-05-26 Advanced Airway Design, Llc Demtal implant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EP2536367A1 (en) * 2010-02-18 2012-12-26 Boyd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temporomandibular disorders
FR2962897B1 (fr) * 2010-07-20 2013-12-13 Dominico Klein Orthese comprenant une gouttiere superieure et une gouttiere inferieure, et des moyens de liaison reglables en position
US8783261B2 (en) 2011-04-05 2014-07-22 Airway Technologies, Llc Apparatus for prevention of snoring and improved breathing
WO2012138459A1 (en) 2011-04-05 2012-10-11 Airway Technologies, Llc Oral appliance for treating particular disorders associated with sleep
US8662084B2 (en) 2011-04-05 2014-03-04 Airway Technologies, Llc Universal oral appliance with a universal coupler
US8671946B2 (en) 2011-04-05 2014-03-18 Airway Technologies, Llc Custom dental appliance and method of creating a custom dental appliance
DE202012002465U1 (de) * 2012-03-09 2013-06-11 Marlies Bartels Protrusionsschiene
SE538339C2 (sv) * 2012-06-19 2016-05-24 Dental Device Sweden Ab Anordning för behandling av sömnapné eller snarkning
US20130333707A1 (en) 2012-06-19 2013-12-19 Duane C. Keller Article For Stabilizing Jaw Joint Relationship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20140238414A1 (en) 2013-02-22 2014-08-28 Kelly Lucas AGP night guard - for a bruxism patient with or without a severe malocclusion
ITRM20130061A1 (it) * 2013-01-31 2014-08-01 Claudio Zampino Dispositivo endorale per il miglioramento dell¿equilibrio fisico.
US9526590B2 (en) * 2013-02-22 2016-12-27 Kelly Lucas AGP night guard—for a bruxism patient with or without a severe malocclusion
US9730768B2 (en) 2013-02-22 2017-08-15 Kelly Lucas CAD-CAM AGP splint—a method of automatically producing or reproducing a customized AGP (anterior guidance package) equipped splint for a patient with/without a severe malocclusion via one time dentist visit
JP6506751B2 (ja) * 2013-07-01 2019-04-24 アール・ジョセフ・マグネス ブラキシズムの治療のための歯科用装置
US9655692B2 (en) 2013-11-19 2017-05-23 Kelly Wade Lucas Pre-fabricat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for patients having bruxism/clenching habit with or without various malocclusions-II
US11426304B2 (en) 2014-08-25 2022-08-30 Airway Technologies, Llc Oral appliance
US10376408B2 (en) 2014-08-25 2019-08-13 Airway Technologies, Llc Oral appliance
US10010313B2 (en) 2015-05-18 2018-07-03 Richard L. Arden Mandibular subluxation device and method
US10258319B2 (en) 2015-05-18 2019-04-16 Richard L. Arden Airway assist device and method
US10610404B2 (en) 2015-06-24 2020-04-07 Kelly Lucas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terior guidance package (AGP) equipped splint
US10342526B2 (en) 2015-07-01 2019-07-09 Richard L. Arden Airway assist device and method
US11364098B2 (en) * 2016-09-21 2022-06-21 uLab Systems, Inc.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airway development therapy
WO2018123602A1 (ja) * 2016-12-27 2018-07-05 三井化学株式会社 マウスピース
US20190209361A1 (en) * 2017-05-26 2019-07-11 Matthew M. Rago Oral appliance device
WO2020123592A1 (en) 2018-12-11 2020-06-18 Wiele Gary B An assembly and method of treatment providing non-invasive controlled positioning and movement of a patient's jaw
US11420105B2 (en) 2020-03-04 2022-08-23 Custom Club, Inc. Oral device having wedg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185148B2 (en) 2020-03-06 2021-11-30 Custom Club, Inc. Oral device container and oral device container and bottle assembly
US11110192B1 (en) 2020-03-06 2021-09-07 Custom Club, Inc. Oral device container and oral device sanitation system
WO2021253174A1 (zh) * 2020-06-15 2021-12-23 许汉忠 下颌骨位移调整装置
US11304845B1 (en) 2020-12-31 2022-04-19 King Abdulaziz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and snoring and a dental appliance therefo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3673A1 (en) 1993-04-13 1994-10-27 Leonard Wayne Halstrom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5427117A (en) 1993-09-29 1995-06-27 Thornton; W. Keith Apparatus for prevention of snoring and improved breathing during sleep
US5884628A (en) 1997-03-17 1999-03-23 Hilsen; Kenneth Snoring device
US5941247A (en) 1998-02-17 1999-08-24 Keane; Michael Alexander Snore prevention apparatus
KR20070018643A (ko) * 2005-08-10 2007-02-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완화용구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25194A (en) * 1987-07-08 1990-07-26 David William Robert Wright Snore inhibiting device
US6055986A (en) * 1992-11-16 2000-05-02 Meade; Thomas E.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duction of snoring
US5868138A (en) * 1993-04-13 1999-02-09 Silent Knight Ventures, Inc.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5499633A (en) * 1993-12-17 1996-03-19 Fenton; Douglas F. Anti-snoring device with adjustable upper and lower relational members
US5954048A (en) * 1994-06-03 1999-09-21 Thornton; W. Keith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breathing
US5823194A (en) 1997-05-01 1998-10-20 Lampert; Barry Flexible retentive bite block and fabrication process
AUPP450598A0 (en) 1998-07-06 1998-07-30 Palmisano, Richard George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6769910B1 (en) * 1999-09-09 2004-08-03 Don A. Pantino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interocclusal mandibular repositioning with adjustable relational members
AUPQ676800A0 (en) * 2000-04-07 2000-05-11 R J & V K Bird Pty Ltd Dental device
US6675802B1 (en) * 2001-05-08 2004-01-13 W. Keith Thornton Device for improving breathing incorporating a detachable venting seal
DE10341260B4 (de) * 2003-09-04 2005-11-24 Konrad Hofmann Okklusionsschienenanordnung
US6983752B2 (en) * 2004-03-11 2006-01-10 Sleep Sound Services Zzz Dental appliance for the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JP2005312853A (ja) * 2004-04-26 2005-11-10 Yoshitaka Nagasaki 閉塞性睡眠時無呼吸症候群や習慣性いびき症の予防と改善の口腔内装置
DE202005015106U1 (de) * 2004-12-01 2006-02-09 Toussaint, Winfried, Dr. Stufenlos verstellbare Unterkieferprotusionsschiene zur Behandlung von Schnarchen und obstruktiver Schlafapnoe
KR20060089860A (ko) 2005-02-04 2006-08-09 이종고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구
US7748386B2 (en) * 2006-04-06 2010-07-06 Thornton W Keith Oral appliance for treating a breathing condition
US8931486B2 (en) * 2006-06-14 2015-01-13 Donald Lorne Halstrom Intra-or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23673A1 (en) 1993-04-13 1994-10-27 Leonard Wayne Halstrom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5427117A (en) 1993-09-29 1995-06-27 Thornton; W. Keith Apparatus for prevention of snoring and improved breathing during sleep
US5884628A (en) 1997-03-17 1999-03-23 Hilsen; Kenneth Snoring device
US5941247A (en) 1998-02-17 1999-08-24 Keane; Michael Alexander Snore prevention apparatus
KR20070018643A (ko) * 2005-08-10 2007-02-14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완화용구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738Y1 (ko) * 2009-12-15 2012-08-03 정수창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WO2012064684A2 (en) * 2010-11-10 2012-05-18 Kent Moore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for oral appliance wear
WO2012064684A3 (en) * 2010-11-10 2012-07-05 Kent Moore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for oral appliance wear
KR200464664Y1 (ko) * 2010-12-30 2013-01-11 한승찬 하악 전진 장치
KR101380336B1 (ko) 2012-05-02 2014-04-02 구현웅 코골이 방지용 구강 장치
KR101663896B1 (ko) 2015-04-17 2016-10-07 김운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장치
KR101713971B1 (ko) 2016-06-28 2017-03-08 김운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KR20180025676A (ko) 2016-09-01 2018-03-09 김운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TWI737347B (zh) * 2020-06-12 2021-08-21 許漢忠 下頜骨位移調整裝置
KR20220089956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전방돌출턱이 구비된 코골이 방지기구
KR20220089960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KR20220089958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코골이 방지기구용 지지베이스
KR20220089955A (ko)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코골이 방지기구
WO2022139378A1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전방돌출턱이 구비된 코골이 방지기구
WO2022139379A1 (ko) * 2020-12-22 2022-06-30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코골이 방지기구용 지지베이스
KR20220118197A (ko) 2021-02-18 2022-08-25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KR102495982B1 (ko) 2021-11-24 2023-02-06 차영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91476A4 (en) 2014-01-01
CN101534756B (zh) 2013-05-29
JP2010509980A (ja) 2010-04-02
EP2091476A1 (en) 2009-08-26
US20100065067A1 (en) 2010-03-18
EP2091476B1 (en) 2016-07-13
CN101534756A (zh) 2009-09-16
WO2008060122A1 (en) 2008-05-22
US8156940B2 (en)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188B1 (ko) 코골이 방지기구
RU27035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вижения вперед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способ и комплек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50272773A1 (en)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JP4936061B2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35888B1 (ko) 코골이 방지부재
KR101361583B1 (ko)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
JP5361991B2 (ja) いびき防止装置
KR101590813B1 (ko)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 가능한 교체 타입 조절자를 갖는 턱 관절 교정장치
US20080190437A1 (en) Dental Orthosis
US20120160249A1 (en) Tongue advancement device for reducing obstructive sleep apnea condition
KR102015801B1 (ko) 혀를 내밀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200461738Y1 (ko)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JP2014133016A (ja) マウスピース型いびき又は睡眠時無呼吸症防止具
KR200439343Y1 (ko) 코골이 방지기구
GB2264868A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0596129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KR20230070711A (ko) 수면무호흡 방지용 하악전진장치
KR101074536B1 (ko) 하악 전진장치
KR101990318B1 (ko)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101201991B1 (ko) 코골이 방지 장치
KR101996181B1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KR20090090969A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10206523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용 구강장치
TWM603345U (zh) 下頜骨位移調整裝置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