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960A -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 Google Patents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960A
KR20220089960A KR1020200180661A KR20200180661A KR20220089960A KR 20220089960 A KR20220089960 A KR 20220089960A KR 1020200180661 A KR1020200180661 A KR 1020200180661A KR 20200180661 A KR20200180661 A KR 20200180661A KR 20220089960 A KR20220089960 A KR 20220089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ength
gauge body
length measuring
mandible
mandibula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알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18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960A/ko
Priority to PCT/KR2021/019433 priority patent/WO2022139381A1/ko
Publication of KR20220089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2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measuring distances on the body, e.g. measuring length, height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 측정시에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정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 측정 시에 상악과 하악이 좌우로 틀어지지 않도록 상악과 하악의 센터링 여부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한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하부면에는 아랫니의 앞니측이 걸려지되 전방단부에는 전방단부벽이 하향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중앙격벽이 상기 전방단부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전후방에 후육부와 박육부가 구획되고, 상부면에는 윗니의 앞니측이 위치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게이지바디와, 상기 게이지바디의 후방에 호상으로 연장되되 윗니와 아랫니의 어금니측과 송곳니측에 물려지는 바이트부와, 상기 게이지바디의 전방단부벽의 하단 양측에 연결되는 그립핸들부를 포함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APPARATUS FOR METERING EXTRUSION LENGTH OF MANDIBLE}
개시된 내용은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악보다 하악을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유지시킴으로써 수면 중 기도를 확장시키는 코골이 방지기구의 제작에 앞서 대상자마다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호흡 시에 공기가 기도로 들어가기 전에 통과하는 인후부가 좁아져 공기가 쉽게 드나들 수 없을 때 발생되는 것으로, 수면 중 호흡 곤란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하는 증상 중 하나이다.
통상 숨을 들이마시거나 내쉬는 호흡 시에는 공기가 입천장, 혀, 목젖, 편도선 등과 같이 유연 인체기관을 지나게 된다. 비수면 시에는 전술한 인체기관이 주위 근육들의 도움 하에 제기능를 유지함에 따라 호흡 시에 공기 통로가 막히지 않아 거의 소리가 나지 않지만, 수면 중에는 전술한 유연 인체기관이 주변 근육들의 이완으로 인해 늘어짐에 따라 부분적으로 공기 통로가 좁아지게 되고 이 부분을 공기가 통과할 때 주변의 유연 인체기관을 진동시켜 코골이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매우 심한 형태의 코골이 환자 중에는 수면 중 근육 이완이 심하거나 혹은 심한 비만증 등의 원인으로 인해 공기 통로가 일시적으로 막히면서 공기가 폐로 전혀 흐르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증상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한다.
수면무호흡 상태가 지속되면 신선한 공기가 폐로 공급되지 못하게 되고 이를 감지한 뇌가 우리 몸을 깨우고 근육을 수축시켜 공기 통로를 다시 열어준다. 환자는 이 때서야 숨을 크게 한 번 몰아 쉰 후 호흡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수면무호흡 현상이 매일 반복되면 낮 동안 심한 졸음과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수면무호흡 현상이 장기간 계속될 경우에는 심장이나 폐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켜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비강수술, 인두제거용 레이저 수술과 같은 의료시술, 코골이 방지용 베게나 입에 물고 자는 마우스피스형 코골이 방지기구 등이 사용되고 있다.
우선 비강수술, 인두제거용 레이저 수술과 같은 의료시술은 일시적으로 코골이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으나, 수술 후 호전된 증세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다시 악화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코골이 방지용 베게는 의료시술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으나, 수면 중에 원위치에서 이탈되기 쉬워 제기능을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단점이 있다.
한편, 입에 물고 잠을 자는 마우스피스형 코골이 방지기구는 마우스피스와 유사하게 구강 내에 장착되어 상악보다 하악을 더 돌출되게 유지시킴에 따라 연구개 및 이와 연결된 목젖, 혀뿌리, 편도선의 사이를 더욱 멀어지게 하여 공기가 통과하는 기도를 훨씬 넓어지게 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한다.
마우스피스형 코골이 방지기구에 의해 확장된 기도로 인해 수면 중 흡입된 공기가 목젖, 혀뿌리, 편도선 등과 같은 부위를 자유롭게 통과하게 되고 공기의 통행에 의한 연구개 및 편도선 등의 진동이 차단됨에 따라 코골이 증상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에 물고 잠을 자는 마우스피스형 코골이 방지기구는 별도의 의료시술을 요하지 않고도 수면 중 기도가 확장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코골이가 완화 또는 방지됨에 따라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우스피스형 코골이 방지기구의 일 예로, 특허등록 제10-0787188호(2007.12.21. 공고)에는 대상자의 윗니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상부마우스피스와, 상기 상부마우스피스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마우스피스에 결합되는 상부후크와, 대상자의 아랫니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하부마우스피스와, 상기 하부마우스피스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부마우스피스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후크에 결려지는 하부후크를 포함하는 코골이 방지기구가 개시된다.
이러한 코골이 방지기구는 다음과 같이 제작될 수 있다.
먼저, 대상자의 상악과 하악에 대한 석고모형을 제작한 후, 이 석고모형에 기초하여 윗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가능한 상부마우스피스와 아랫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가능한 하부마우스피스를 제작한다.
그 다음에는 대상자의 증상과 특성을 고려하여 상악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를 측정 및 수치화한 후, 이 최적 돌출길이를 상기 석고모형으로 구현한다.
이후에는 사전 제작된 상부마우스피스와 하부마우스피스를 상기 석고모형에 끼워넣은 후에, 상부마우스피스와 하부마우스피스에 상부후크와 하부후크를 서로 걸려지도록 각각 결합시켜 코골이 방지기구의 제작을 완료한다.
전술한 코골이 방지기구의 제작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대상자의 증상과 특성에 맞는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를 측정하여 최적 하악위치를 결정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대상자가 상악에 비해 하악을 최대로 돌출시킬 수 있는 하악의 최대 돌출길이를 측정한 후, 그 돌출길이의 범위 내에서 대상자가 가장 편하면서도 코골이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를 찾아낸 다음, 그 하악의 돌출길이를 상기 석고모형 상에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일 예로, 본 특허출원의 발명자가 출원한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43960호(2011.04.28. 공개)에는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그 아랫니가 형성된 하악을 전방으로 돌출시켜 코골이를 방지할 수 있는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작하기 위한 하악 이동거리 측정구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에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하측에 마련되되, 상기 걸림부가 아랫니에 걸렸을 때 그 아랫니와 함께 이동될 수 있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상기 윗니와 접촉하되 상기 윗니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한 미끄럼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두께는, 상기 코골이 방지기구가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와 대응되며, 상기 미끄럼면에는 전후방향으로의 길이를 계측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되고 눈금은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동일한 상하위치에 놓여진 상태를 영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가 개시된다.
한편, 하악 돌출길이의 측정은 코골이 정도나 해부학적 구조 등과 같은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정도가 상이하게 구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경우에는 눈금이 형성된 본체부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 측정시에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정도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의 측정은 상악과 하악이 좌우로 틀어지지 않도록 상악과 하악의 중심이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중심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상자가 종래의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를 입에 문 상태에서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의 측정하게 되면 시술자가 상악과 하악의 센터링 여부를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보다 낮은 위치에서 시술자의 아랫니 측을 올려다보며 확인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87188호(2007.12.21. 공고)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43960호(2011.04.28. 공개)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 측정시에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정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한 코골이 방지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 측정 시에 상악과 하악이 좌우로 틀어지지 않도록 상악과 하악의 센터링 여부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한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하부면에는 아랫니의 앞니측이 걸려지되 전방단부에는 전방단부벽이 하향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중앙격벽이 상기 전방단부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전후방에 후육부와 박육부가 구획되고, 상부면에는 윗니의 앞니측이 위치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게이지바디와, 상기 게이지바디의 후방에 호상으로 연장되되 윗니와 아랫니의 어금니측과 송곳니측에 물려지는 바이트부와, 상기 게이지바디의 전방단부벽의 하단 양측에 연결되는 그립핸들부를 포함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게이지바디의 전방단부벽에는 제 1 센터링확인용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게이지바디의 중앙격벽에는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가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후육부는 7 mm 두께로 상기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박육부는 5 mm 두께로 상기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에 의하면, 아랫니의 앞니 측이 위치되는 게이지바디의 하부면에 전방단부벽과 중앙격벽이 하향 돌출되고 게이지바디가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후육부와 박육부로 구획형성됨에 따라,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 측정시에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아랫니를 후육부 또는 박육부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정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에 의하면, 게이지바디의 전방단부벽에 제 1 센터링확인용 개구부가 형성되고 게이지바디의 중앙격벽에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가 형성됨에 따라,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 측정 시에 상악과 하악의 센터링 여부가 제 1 또는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를 통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측면 파지가 가능한 그립핸들부의 특정 형상으로 인해 그립핸들부의 파지 시에 제 1 또는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가 가려지지 않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저면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에 있어서, 후육부와 박육부를 이용한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정도 조절상태도.
도 4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측면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저면사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는 윗니와 아랫니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악보다 하악을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유지시킴으로써 수면 중 기도를 확장시키는 코골이 방지기구의 제작에 앞서 대상자마다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크게 대상자의 윗니와 아랫니의 앞니측에 물려지는 게이지바디(10)와, 대상자의 윗니와 아랫니의 어금니측과 송곳니측에 물려지는 바이트부(20)와, 시술자의 파지를 위한 그립핸들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게이지바디(10)는 대상자의 앞니측에 물려져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를 측정하는 일종의 측정게이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부면에는 아랫니의 앞니측이 걸려져 위치고정되고 상부면에는 윗니의 앞니측이 위치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또한 게이지바디(10)의 전방단부에는 전방단부벽(11)이 하향 돌출형성된다.이 전방단부벽(11)은 중앙격벽(13)의 전방에 위치된 아랫니의 앞니측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게 지지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차후에 설멸될 그립핸들부(30)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게이지바디(10)의 중앙에는 중앙격벽(13)이 전방단부벽(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향 돌출형성된다. 중앙격벽(13)은 중앙격벽(13)의 후방에 위치된 아랫니의 앞니측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게 지지하는 역할도 하고 중앙격벽(13)의 전방에 위치된 아랫니의 앞니측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될 수 없게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전술한 게이지바디(10)는 코골이 정도나 해부학적 구조 등과 같은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정도가 선택적으로 구현 가능하도록 중앙격벽(13)을 기준으로 전후방에 후육부(10a)와 박육부(10b)가 구획형성된다. 후육부(10a)는 7 mm 두께로 중앙격벽(10)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되고, 박육부(10b)는 5 mm 두께로 중앙격벽(13)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후육부(10a)는 게이지바디(10)의 자체 두께로 형성 가능하고, 박육부(10b)는 게이지바디(10)의 하부면에 상부방향으로 함입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형성 가능하다.
도 3에는 이러한 후육부와 박육부를 이용한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정도 조절상태도가 도시된다.
도 3의 상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아랫니의 앞니측이 전방단부벽(11)과 중앙격벽(13) 사이에 위치되어 전방단부벽(11)에 지지되면서 윗니와 아랫니가 7 mm의 간격을 두고 상하이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하측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아랫니의 앞니측이 중앙격벽(13)의 후방에 위치되어 중앙격벽(13)에 지지되면서 윗니와 아랫니가 5 mm의 간격을 두고 상하이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는 아랫니의 앞니 측이 위치되는 게이지바디(10)의 하부면에 전방단부벽(11)과 중앙격벽(13)이 하향 돌출되고 게이지바디(10)가 중앙격벽(13)을 기준으로 후육부(10a)와 박육부(10b)가 구획형성됨에 따라,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 측정시에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아랫니를 후육부(10a)와 박육부(10b)에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정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를 이용하여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를 측정할 경우에는 상악과 하악이 좌우로 틀어지지 않도록 상악과 하악의 중심이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10)의 중심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게이지바디(10)의 전방단부벽(11)에 제 1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게이지바디(10)의 중앙격벽(13)에는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3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제 1 센터링확인용 개구부와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가 형성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측면도가 도시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게이지바디(10)의 전방단부벽(11)에 제 1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1a)가 형성되고 게이지바디(10)의 중앙격벽(13)에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3a)가 형성됨에 따라,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 측정 시에 상악과 하악의 중심이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10)의 중심에 위치되었는지 여부, 즉 상악과 하악의 센터링 여부가 제 1 및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1a, 13a)를 통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1a, 13a)을 통한 상악과 하악의 센터링 여부가 용이하게 판단될 수 있도록 게이지바디(10)의 중심에는 센터링확인용 슬릿(1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이지바디(10)의 상부면에는 윗니의 앞니측의 위치가 용이하게 지시될 수 있도록 눈금(17)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눈금(17)은 센터링확인용 슬릿(15)과 그 연장선 상에 양측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게이지바디(10)의 후방에는 바이트부(20)가 호 형상으로 양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바이트부(20)는 윗니와 아랫니의 어금니측과 송곳니측에 물려지는 부분으로, 치아의 본을 뜨기 위한 수지조성물의 제공을 위한 다수의 홈(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게이지바디(10)의 전방단부벽(11)의 하단 양측에는 그립핸들부(30)가 연결된다. 그립핸들부(30)는 시술자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게이지바디(10)의 전방단부벽(11)의 하단 양측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측면에 파지홈(31a)이 형성되는 측면연장부(31)와, 측면연장부(31)의 전방단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33)를 포함한다.
양 측면연장부(31)가 연결부(33)로 연결되되 양 측면연장부(31)의 외측면에 파지홈(31a)이 각각 형성되는 그립핸들부(30)의 형상으로 인해 한 손의 엄지와 검지을 파지홈(31a)에 접촉시켜 그립핸들부(30)를 파지하게 되면 그립핸들부(30)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1a, 13a)가 가려지지 않게 됨에 따라 제 1 및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1a, 13a)를 통한 상악과 하악의 센터링 여부의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윗니와 아랫니의 상하이격 간격을 7 mm와 5 mm 중 하나로 선정하고 그에 따라 대상자의 아랫니의 앞니측를 전방단부벽(11)과 중앙격벽(13) 사이의 후육부(10a) 또는 중앙격벽(13)의 후방의 박육부(10b)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하악이 돌출되지 않게 윗니의 앞니측을 게이지바디(10)의 상부면에 안착시킨 다음 해당 윗니의 위치를 눈금(17) 상에 표시한다. 이 상태의 눈금이 영점이 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1a, 13a)와 센터링확인용 슬릿을 통해 게이지바디(10)의 중심에 상,하악의 중심이 위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다음에 윗니의 앞니측을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대상자가 가장 편하면서도 코골이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를 선정하고 이를 눈금(17) 상에 표시한다. 이 때의 눈금과 영점 사이의 거리가 하악의 최적 돌출길이가 된다. 이 때에도 제 1 및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11a, 13a)와 센터링확인용 슬릿을 통해 게이지바디(10)의 중심에 상,하악의 중심이 위치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상태에서, 치아의 본을 뜨기 위한 수지조성물(3)을 바이트부(20)에 제공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상에 치아의 본을 일체화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후에는 수지조성물(3)이 일체화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를 미리 제조된 대상자의 상악과 하악에 대한 석고모형에 적용하여 상,하악의 석고모형의 위치를 고정시킨 후,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를 제거하고, 사전 제작된 상부마우스피스와 하부마우스피스를 석고모형에 끼워넣고 상부마우스피스와 하부마우스피스에 상부후크과 하부후크를 서로 결려지도록 각각 결합시키면 코골이 방지기구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 수지조성물
10 : 게이지바디
10a : 후육부
10b : 박육부
11 : 전방단부벽
11a : 제 1 센터링확인용 개구부
13 : 중앙격벽
13a :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
15 : 센터링확인용 슬릿
17 : 눈금
20 : 바이트부
21 : 홈
30 : 그립핸들부
31 : 측면연장부
31a : 파지홈
33 : 연결부

Claims (8)

  1. 하부면에는 아랫니의 앞니측이 걸려지되 전방단부에는 전방단부벽이 하향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중앙격벽이 상기 전방단부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향 돌출형성되며, 상기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전후방에 후육부와 박육부가 구획되고, 상부면에는 윗니의 앞니측이 위치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게이지바디;
    상기 게이지바디의 후방에 호상으로 연장되되 윗니와 아랫니의 어금니측과 송곳니측에 물려지는 바이트부; 및
    상기 게이지바디의 전방단부벽의 하단 양측에 연결되는 그립핸들부를 포함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는 7 mm 두께로 상기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되고, 상기 박육부는 5 mm 두께로 상기 중앙격벽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바디의 전방단부벽에는 제 1 센터링확인용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바디의 중앙격벽에는 제 2 센터링확인용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바디의 중심에는 센터링확인용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이지바디의 상부면에는 눈금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7.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바이트부에는 치아의 본을 뜨기 위한 수지조성물이 결합되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8.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그립핸들부는 상기 게이지바디의 전방단부벽의 하단 양측에 연결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며 측면에 파지홈이 형성되는 측면연장부와, 상기 측면연장부의 전방단부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KR1020200180661A 2020-12-22 2020-12-22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KR20220089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61A KR20220089960A (ko) 2020-12-22 2020-12-22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PCT/KR2021/019433 WO2022139381A1 (ko) 2020-12-22 2021-12-20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661A KR20220089960A (ko) 2020-12-22 2020-12-22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960A true KR20220089960A (ko) 2022-06-29

Family

ID=8215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661A KR20220089960A (ko) 2020-12-22 2020-12-22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89960A (ko)
WO (1) WO202213938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88B1 (ko) 2006-11-17 2007-12-21 이승규 코골이 방지기구
KR20110043960A (ko) 2009-10-22 2011-04-28 이승규 하악 이동거리 측정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567A (en) * 1994-03-25 1997-10-21 Thornton; W. Keith Apparatus for adjusting a dental device
US5794627A (en) * 1995-06-23 1998-08-18 Frantz; Don E. Disposable 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KR101042380B1 (ko) * 2009-07-16 2011-06-17 주식회사 쿠보텍 상악위치 채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모형 부착 보조기
KR101685048B1 (ko) * 2015-04-28 2016-12-09 장영진 하악 전방 이동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20640B1 (ko) * 2015-10-27 2017-03-28 심윤섭 교합 측정용 게이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188B1 (ko) 2006-11-17 2007-12-21 이승규 코골이 방지기구
KR20110043960A (ko) 2009-10-22 2011-04-28 이승규 하악 이동거리 측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9381A1 (ko) 2022-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188B1 (ko) 코골이 방지기구
Tourne The long face syndrome and impairment of the nasopharyngeal airway
KR101133537B1 (ko)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JP5129246B2 (ja) いびきおよび睡眠時無呼吸の処置のための口腔装置
US5562106A (en) Dental appliance for relief of sno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EP2088974B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1235888B1 (ko) 코골이 방지부재
KR101361583B1 (ko)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
JP5361991B2 (ja) いびき防止装置
US20080190437A1 (en) Dental Orthosis
KR200461738Y1 (ko)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US10105256B2 (en) Intraoral functional device for reliev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 snoring and/or other airway disorders
WO2010072878A1 (es) Férula intraoral
KR101720640B1 (ko) 교합 측정용 게이지
KR101136144B1 (ko) 하악 이동거리 측정구
KR20220089960A (ko) 하악 돌출길이 측정구
US11607336B2 (en)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KR20220089955A (ko) 코골이 방지기구
KR20220089956A (ko) 전방돌출턱이 구비된 코골이 방지기구
TWI820560B (zh) 用於矯正阻塞型呼吸中止症的咬合器製造方法
US20160287353A1 (en) Mandibular Advancement Positioning Bite Blocks and Positioning System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RU27519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 храпа
US20230190514A1 (en) Therapeutic Oral Device
WO2012108566A1 (ko) 하악 이동거리 측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