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664Y1 - 하악 전진 장치 - Google Patents

하악 전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664Y1
KR200464664Y1 KR2020100013586U KR20100013586U KR200464664Y1 KR 200464664 Y1 KR200464664 Y1 KR 200464664Y1 KR 2020100013586 U KR2020100013586 U KR 2020100013586U KR 20100013586 U KR20100013586 U KR 20100013586U KR 200464664 Y1 KR200464664 Y1 KR 200464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mandible
guide line
rear shaft
upp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984U (ko
Inventor
한승찬
Original Assignee
한승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찬 filed Critical 한승찬
Priority to KR2020100013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6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9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Abstract

윗니에 끼우는 상부 착용구와, 아랫니에 끼우는 하부 착용구를 포함하며 하악을 앞으로 돌출하도록 전진시키는 종래의 하악 전진 장치에 있어서, 하악이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하악의 돌출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된 하악 전진장치에 관한 고안임. 본 고안은 종래 하악 전진 장치의 상부 착용구에 상부 지지판을 설치하고, 하부 착용구에 하부 지지판을 설치하되, 상기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설치 위치는, 하부 착용구가 하악을 원래 위치보다 더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는 위치로 결정된다. 상기 상부 지지판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세로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부 착용구와 하부 착용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하로 입을 벌리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은 좌우로 가로폭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악을 상악에 대해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하악 전진 장치 {Apparatus for Protruding Lower Jaw}
본 고안은 하악(아래턱)을 구강 앞쪽으로 전진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하악을 원래 위치보다 더 얼굴 앞쪽으로 전진시키며, 이렇게 하악이 전진된 상태에서도 하악을 좌우로 또는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전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하악 전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면 중의 심한 코골이나 무호흡증은 누워 있는 상태에서 기도가 좁아지기 때문에 일어난다. 인체의 상악(윗턱)과 하악(아랫턱)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치로 교합되어 있는데, 하악을 얼굴 앞쪽으로 전진시키면 기도가 확장되기 때문에 수면중 코골이나 무호흡증이 감소한다.
이러한 수면중 코골이나 무호흡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하악을 앞으로 전진시키는 장치가 다수 공지되어 있다. 기도를 확장하기 위한 수술 요법으로 시술하기도 하지만, 하악 전진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고 편하게 기도를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하악 전진 장치의 일례를 들면, 하악 전진 장치는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끼우는 상부 착용구와 하부 착용구로 구성된다. 물리적 구조상, 하부 착용구는 상부 착용구보다, 하악이 앞으로(즉, 착용 후의 얼굴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착용구와 하부 착용구를 각각 윗니와 아랫니에 착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하악이 앞으로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하악 전진 장치에서는 하부 착용구와 상부 착용구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시 상악과 하악을 좌우로 또는 상하로 움직일 수 없어서 수면 중 착용에 따른 위화감이 크고, 말을 하거나 하품 등을 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하악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제품도 있지만, 그 움직임 메커니즘은 본질적으로 강체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악을 움직일 때 강체간의 부딪힘에 의한 물리적 충격이 하악에 가해지게 되어 사용상 불편한 감이 있다.
또한 하악의 전진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번거롭다. 사람마다 코골이나 무호흡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도의 하악 전진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하악의 전진 거리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종래의 하악 전진 장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악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하악 전진 거리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개량된 하악 전진 장치에 관한 고안을 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윗니에 끼우는 상부 착용구와, 아랫니에 끼우는 하부 착용구를 포함하며 하악을 앞으로 돌출하도록 전진시키는 종래의 하악 전진 장치에 있어서, 하악이 상악에 대해서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하악의 전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된 하악 전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종래 하악 전진 장치의 상부 착용구(상악의 윗니에 착용)에 상부 지지판을 설치하고, 하부 착용구(하악의 아랫니에 착용)에 하부 지지판을 설치한다. 상기 하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설치 위치는, 하부 착용구가 하악을 원래 위치보다 더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는 위치로 결정된다. 상기 상부 지지판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세로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부 착용구와 하부 착용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하로 입을 벌리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은 좌우로 가로폭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악을 상악에 대해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지지판에는 전방을 향하여 두 개의 전방축이 설치되고, 이들 전방축 사이에는 안내줄이 느슨하게 연결되며, 상기 하부 지지판에는 후방을 향하도록 후방축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후방축은 안내줄을 아래로 당겨지도록 걸쳐서 결합되는데, 후방축에는 착용자가 하악을 아래로 내리는 힘 및 하악에 작용하는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후방축이 안내줄을 위에서 아래로 팽팽하게 장력이 발생하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안내줄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줄과 상기 후방축의 결합 방식의 예를 들자면, 첫째, 상기 후방축의 둘레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안내줄을 아래쪽에 접촉하도록 걸쳐서 하부 착용구의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여기에는 착용자가 하악을 아래로 내리는 힘 및 하악에 작용하는 중력이 포함됨)에 의해서 후방축이 아래로 내려가는 힘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홈의 아래에 위치하는 안내줄이 팽팽하게 힘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후방축의 상부에 고리를 형성하고 이 고리에 안내줄을 끼워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후방축을 스크루 형태로 형성하여, 이 후방축의 끝부분이 상부 지지판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 지지판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여기에 후방축을 나사 결합하면, 후방축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부 지지판과 하부 지지판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을 경감하기 위하여 윗니와 아랫니에 착용하여 하악을 전지시키는 종래의 하악 전진 장치를 개선하여, 이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입을 상하로 벌릴 수 있고, 좌우로도 움직일 수 있어서 착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하악의 전진 거리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하악의 전진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직접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상의 효과에 의해서, 또한, 윗니에 끼우는 상부 착용구와 아랫니에 끼우는 하부 착용구를 환자의 실제 치아로부터 본을 떠서 상하악 관계를 채득할 경우에, 하악을 전진해 놓은 상태에서 바이트(bite)를 채득할 필요가 없어진다. 바이트 채득을 해서 상부 착용구와 하부 착용구를 제작해 놓은 후에도 하악의 전진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바이트 채득시에 하악을 앞으로 전진시켜 놓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종래의 경우에는 환자의 하악을 전진시켜 놓은 상태에서 바이트 채득을 해야 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안내줄에 따라서 하악이 좌우로 움직이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하악이 안내줄을 당기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하악이 좌우로 움직일 때 안내줄의 장력(텐션)이 발생하게 되어, 기존의 강체를 사용한 메커니즘의 경우에서는 느낄 수 없는 완충감 내지는 쿠션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하악을 움직일 때에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받을 수 있어서, 착용감이 한층 개선된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각각 측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a, b를 보다 구체화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a)와 측면도(b)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좌우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후방축(22)에 안내줄(14)이 결합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실시예에 다른 기능이 추가된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a, 1b는 본 고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앞" 또는 "전방" 구강의 앞쪽, 즉, 얼굴쪽을 지칭하고, "뒤" 또는 "후방"은 구강의 뒤쪽, 즉, 목구멍 쪽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 1b를 참조하면, 윗니(1)와 아랫니(2)에 각각 끼우는 상부 착용구(100)와 하부 착용구(200)가 있다. 상부 착용구(100)의 아랫면에는 상부 지지판(10)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 착용구(200)의 윗면에는 하부 지지판(20)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지지판(20)의 설치 위치와 상부 지지판(10)의 설치 위치는, 하부 착용구(200)가 하악을 원래 위치보다 더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는 위치로 결정된다. 일단 하악이 앞으로 전진 내지 돌출되면, 구강의 구조상 하악이 뒤로 당겨져 원위치로 돌아가려는 복원력 F를 받기 때문에 상부 지지판(10)이 하부 지지판(20)의 복원력 F에 대항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b의 정면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부 지지판(10)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세로 길이(L)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부 착용구(100)와 하부 착용구(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하로 입을 벌리는 것이 가능하다. 최대로 입을 벌릴 수 있는 길이는 상부 지지판(10)의 세로 길이(L)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또한, 상부 지지판(10)은 좌우로 넓은 가로폭(W)을 갖는 판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악을 상악에 대해서 좌우로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2와 도 3은 하악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1b의 개념도에서 상부 지지판(10)의 가로폭(W)이 충분히 넓으면, 이 가로폭(W) 내에서 하부 지지판(20) 및 하부 착용구(200)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고 언급하였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개념 설명을 위한 것이고, 실제로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도 2의 (a), (b)와 같은 실시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용도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지는 보호범위는 첨부한 등록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이하에서 제시하는 모든 실시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2의 (a)는 이러한 실시예 구조의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며, 도 3은 하악(즉, 하부 지지판(20))의 좌우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지지판(10)에는 전방을 향하여 두 개의 전방축(12)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전방축(12) 사이에는 안내줄(14)이 느슨하게 연결된다. 또한, 하부 지지판(20)에는 후방을 향하도록 후방축(22)이 설치된다. 이 후방축(22)은 안내줄(14)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3에서, 전방축(12) 사이에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 안내줄(14)에 후방축(22)이 걸쳐있기 때문에, 후방축(22)은 안내줄(14)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안내줄(14)이 다소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축(22)은 이 안내줄(14)이 팽팽해지도록 위에서 아래로 힘을 가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즉, 착용자가 하악을 아래로 내리는 힘 및 하악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서 후방축(22)은 안내줄(14)에 텐션을 가하는 상태로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안내줄에 의해 안내되어(가이드되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방축(22)은 안내줄(14)에 고정되어 결합되어서는 안되고 단지 안내줄(14)을 아래 방향으로는 장력이 가해지도록 안내줄을 당기면서 좌우로는 안내줄(14)에 가이드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되어야 하는데, 그 방법은 여러가지가 가능하다. 몇가지 예를 들자면, 도 4a에서와 같이 후방축(22)에 홈(24)을 파고 이 홈에 안내줄(14)이 아래쪽으로 걸치도록 한 것이다. 하부 착용구(200) 및 후방축(22)이 아래로 내려가는 힘에 의해서 홈(24)의 아래에 위치하는 안내줄(14)이 팽팽하게 되고, 이 상태로 후방축(22)은 안내줄(14)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b에서는 후방축(22)의 상부에 고리(26)를 형성하고 이 고리에 안내줄(14)을 끼운 구성을 나타낸다. 이 밖에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은 도 2의 구조에 하악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는 후방축(22')이 스크루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후방축(22')의 끝부분이 상부 지지판(10')에 접촉된다. 하부 지지판(20')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에 후방축(22')을 나사 결합하여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지지판(10)과 하부 지지판(20') 사이의 거리(d)가 조절될 수 있다. 상부 지지판(10')과 드라이버, 손가락, 기타 기구 등을 사용하여 스크루 형태의 후방축(22')을 돌림으로써 상부 지지판(10')과 하부 지지판(20') 사이의 간격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 장치를 착용한 하악의 전진 거리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하악의 돌출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착용자가 스스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하악 전진 장치에 대해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지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한 등록실용신안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윗니(1) 아랫니(2) 상부 착용구(100) 하부 착용구(200) 상부 지지판(10) 하부 지지판(20) 복원력(F) 전방축(12) 안내줄(14) 후방축(22) 홈(24) 고리(26) 후방축(22') 상부 지지판(10') 하부 지지판(20')

Claims (5)

  1. 삭제
  2. 상악의 윗니에 끼우는 상부 착용구(100)와, 하악의 아랫니에 끼우는 하부 착용구(200)를 포함하며 하악을 앞으로 돌출하도록 전진시키는 하악 전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착용구(100)에는, 전방을 향하는 두 개의 전방축(12)이 포함되고 이들 전방축(12) 사이에 안내줄(14)이 연결되는 상부 지지판(1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 착용구(200)에는, 후방을 향하는 후방축(22)이 포함되어 있는 하부 지지판(20)이 설치되는데, 이 후방축(22)은 상기 하부 착용구(200)가 아래로 내려가는 힘에 의해서 상기 안내줄(14)에 장력이 가해지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안내줄(14)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하부 지지판(20)과 상기 상부 지지판(10)의 설치 위치는, 하부 착용구(200)가 하악을 원래 위치보다 더 앞으로 전진시킬 수 있는 위치로 결정되며,
    상기 상부 지지판(10)은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세로 길이(L)를 갖고 있어서 상부 착용구(100)와 하부 착용구(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하로 입을 벌리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상부 지지판(10)은 좌우로 가로폭(W)을 갖고 있어서 하악을 상악에 대해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축(22)의 둘레 방향으로 홈(24)이 형성되고 이 홈(24)에 안내줄(14)이 아래쪽으로 당겨지도록, 즉, 하악의 아랫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후방축(22)이 아래로 내려가는 힘을 받으므로써, 홈(24)의 아래에 위치하는 안내줄(14)이 팽팽하게 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축(22)의 상부에 고리(26)를 형성하고 이 고리(26)에 안내줄(14)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진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축(22')은 스크루 형태로 형성되어, 이 후방축(22')의 끝부분(28)이 상부 지지판(10)에 접촉되며,
    하부 지지판(20')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후방축(22')을 나사 결합하여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 지지판(10)과 하부 지지판(20')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 전진장치.
KR2020100013586U 2010-12-30 2010-12-30 하악 전진 장치 KR200464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86U KR200464664Y1 (ko) 2010-12-30 2010-12-30 하악 전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586U KR200464664Y1 (ko) 2010-12-30 2010-12-30 하악 전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84U KR20120004984U (ko) 2012-07-10
KR200464664Y1 true KR200464664Y1 (ko) 2013-01-11

Family

ID=4685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586U KR200464664Y1 (ko) 2010-12-30 2010-12-30 하악 전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9742A1 (en) * 2015-03-20 2016-09-29 LAMBERT, Leanne Joy Mandibular reposition device and coupling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910A (ja) * 1993-09-29 1997-03-25 スォーントン,ダブルュー、キース 睡眠中のいびき防止用及び改善された呼吸用の装置
KR100787188B1 (ko) * 2006-11-17 2007-12-21 이승규 코골이 방지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2910A (ja) * 1993-09-29 1997-03-25 スォーントン,ダブルュー、キース 睡眠中のいびき防止用及び改善された呼吸用の装置
KR100787188B1 (ko) * 2006-11-17 2007-12-21 이승규 코골이 방지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9742A1 (en) * 2015-03-20 2016-09-29 LAMBERT, Leanne Joy Mandibular reposition device and coupling therefor
US11051910B2 (en) 2015-03-20 2021-07-06 Geoffrey James Lambert Mandibular reposition device and coupling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84U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502B1 (en) Anti-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device
US8312884B2 (en) Intra-oral apnea and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CA2535112C (en) Device for treating nighttime breathing problems
EP3103420A1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said device
US20080115791A1 (en) Mandibular Advancement Mouthpiece, An Intraoccusal Removable Improved Device For Eliminating Or Reducing Snoring
US20140072927A1 (en)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JPH09502910A (ja) 睡眠中のいびき防止用及び改善された呼吸用の装置
KR101218036B1 (ko) 환자의 코골이 경중에 따른 맞춤 코골이 방지장치
US20150216715A1 (en) Snoring prevention device
KR102015801B1 (ko) 혀를 내밀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KR20170030015A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CA2899055A1 (en) Oral appliance
CN110179560A (zh) 一种前牵引上颌骨同时实现正畸牙三维移动的复合装置
KR200464664Y1 (ko) 하악 전진 장치
KR101934849B1 (ko) 윗니와 아랫니의 앞뒤 간격을 조절 가능한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CN204863317U (zh) 一种单侧颞下颌关节手术扩张器
KR101990318B1 (ko) 이탈방지 및 턱관절 운동이 가능한 이갈이 및 코골이 완화 기구
CN204542525U (zh) 一种缓解打鼾的装置
KR101201991B1 (ko) 코골이 방지 장치
AU2015306735B2 (en) Oral appliance
CA3001615A1 (en) Oral appliance
KR101352200B1 (ko) 하악 전진 장치
CN112043412B (zh) 一种口腔颌面急诊外科手术用遮盖装置
CA2827760A1 (en) Apparatus for the prevention of sleep apnea
US20160331575A1 (en) Device for facilitating nasal breathing for snor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