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507B1 -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 Google Patents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507B1
KR102597507B1 KR1020210051481A KR20210051481A KR102597507B1 KR 102597507 B1 KR102597507 B1 KR 102597507B1 KR 1020210051481 A KR1020210051481 A KR 1020210051481A KR 20210051481 A KR20210051481 A KR 20210051481A KR 102597507 B1 KR102597507 B1 KR 10259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oral device
anterior
oral
brux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954A (ko
Inventor
박영현
박준영
박준혁
Original Assignee
파사메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사메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사메디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1/00504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2225081A1/ko
Priority to KR1020210051481A priority patent/KR10259750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는 치아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후방 구치가 서로 닿지 않도록 견치유도함으로써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ORAL APPLIANCE FOR PREVENTING BRUXISM}
본 발명은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갈이에 의한 치아와 턱관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면 중 이를 갈거나 이를 꽉 깨무는 이 악물기는 주변에서 흔하게 겪게 되는 일상사 중의 하나였고 조상대대로 오랜 시간 역사를 두고 겪어 왔기에 대수롭지 않은 일로 여겨왔다. 그러나 최근 의학이 발전하고 삶의 목적이 건강하고 편안, 행복한 것을 점점 추구하다 보니 이갈이 또는 이악물기는 주변의 동반자에게 시끄러운 소음으로 불편함을 끼치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체에 수면 중 불필요한 강제적인 힘을 강하게 가하게 되어 수면장애의 큰 원인이 될 수 있고, 직접적으로 치아의 마모나 동통을 야기하며 치주조직에 해로운 힘이 전이되어 치아가 흔들리거나 치주조직이 파괴되어 치주병으로 이행되는 구강질환의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그리고 이때 가해지는 불필요한 힘은 주간처럼 대뇌가 힘이 가해졌을 때 해당 근육이 긴장하는 정도를 피드 백하여 조절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밤에는 그 힘이 전신으로 파급되면서 원인 모를 2차 질환의 배경이 될 수도 있는 심각성을 지닌다.
이갈이는 수면 중 하악이 움직이면서 하악치아가 상악치아와 닿으면서 소음을 발생하는 수평성분의 힘이 과도한 것을 지칭하고, 이악물기는 수직성분의 힘이 과도한 것을 지칭한다. 통칭 이갈이라 함은 이악물기를 포함하는 의미로 쓰인다.
이갈이 또는 이악물기의 원인은 구강내 교합간섭 또는 교합장애 같은 구강내 원인과 반대로 정신적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어 대뇌의 이상기전이 발생된다는 전신 원인론으로 대별되나 현재는 양자가 모두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이 주류적 흐름이다. 그리고 또 다른 원인론이 있는데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이 발현하기 전후 모자란 산소를 보충하기 위한 일련의 생리적 보상 과정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한편 일견 서로 대척점에 선 원인의 선후나 비중이 명확하지 아니함으로 인해 이갈이 치료는 그 원인을 제거하는 쪽보다는 이갈이나 이악물기로 파생되는 불요한 힘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과도한 힘을 우선 물리적으로 제어하거나 분산하고 완충시키는 구강장치를 제작하여 수면 시 장착하고 나타나는 증상에 따라 타진료과(정신과)의 도움을 받는 것이 일반적 치료이다.
구강 내 이갈이 방지 장치는 이갈이 발생시 완충력을 부여하기 위해 예전에는 실리콘같은 소프트 한 것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실리콘 사용시 교합력 분산이 랜덤하게 되어 턱관절이상이나 교합이상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고 실리콘이 쉽게 마모되기도 하므로 이를 경질의 레진으로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구강 내 이갈이 방지 장치는 구치부의 교합면에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치아 보호체를 위치시켜 수면 시 이갈이에 의한 치아 및 치주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여전히 후방 구치가 교합하게 되고, 교합에 의하여 저작근이 긴장하여 힘을 가하게 되어 강한 힘이 발생하면서 치아나 치주 조직, 턱관절에 영향을 주는 한계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4234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아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후방 구치가 서로 닿지 않도록 견치유도함으로써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삽입되어 탈거 가능하게 착용되는 구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강장치는 구강 내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악 내지 하악의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악 내지 하악의 치열을 수용하는 치열 수용부; 및
상기 치열 수용부 중 전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전치부 홈;을 포함하는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강장치는 구강 내 하악의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치열 수용부는 하악의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악의 치열을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열 수용부는 구강 내 상악 내지 하악의 치열 중 전치부 및 소구치를 수용하되 대구치부는 수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강장치는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대구치부 치열이 서로 닿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강장치는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제2소구치 및 대구치부 치열이 서로 닿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치부 홈은 전치부 치열 중 앞니의 교합면에 대응하는 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열 수용부 및 전치부 홈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강장치는 상악의 치열과 하악의 치열이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치열 수용부의 치열(구강)측 내벽은 사용자의 치아가 마찰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열 수용부는 상악 내지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는 치아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후방 구치가 서로 닿지 않도록 견치유도함으로써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와 사용자의 구강 내 치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교합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사용자의 치아교합 시의 치악력 또는 사용자의 치아의 교합에 따른 치악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윗니와 아랫니가 맞물리는 경우에 사용자의 치아 및 악관절에 발생하는 힘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구강 내 이갈이 방지 장치는 구치부의 교합면에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치아 보호체를 위치시켜 피갑에 의한 완충효과에 의하여 수면 시 이갈이에 의한 치아 및 치주 손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여전히 후방 구치가 강하게 교합하게 되고, 교합에 의하여 저작근이 긴장하여 힘을 가하게 되어 강한 힘이 발생하면서 치아나 치주 조직에 영향을 주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구강 내에 삽입되어 탈거 가능하게 착용되는 구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강장치는 구강 내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악 내지 하악의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악 내지 하악의 치열을 수용하는 치열 수용부; 및 상기 치열 수용부 중 전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전치부 홈;을 포함하는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를 제공하여 상술한 한계점의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본 발명은 수면 중 이를 갈거나 깨물어 강한 교합력이 발생하더라도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전치부 중에서 견치 부위(송곳니)는 상하악이 서로 닿고 소구치 부위는 아주 약하게만 닿도록 하고, 대구치 부위는 전혀 닿지 않게 하였다.
이 때, 전치부 중에서 견치부위의 상하악이 서로 닿는다는 것은 본 발명의 구강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강장치와 상악 내지 하악의 견치부위 치아가 닿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소구치 부위가 아주 약하게 닿는다는 것은 본 발명의 구강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강장치와 상악 내지 하악의 소구치부가 약한 교합력에 의해서만 닿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구치 부위는 전혀 닿지 않는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대구치부는 본 발명의 구강장치의 치열 수용부에 수용되지 않기 때문에 상악과 하악의 대구치부가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떠 있어 전혀 닿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전치부중에서 제1소구치 부위는 아주 약하게만 닿고, 제2소구치 및 대구치 부위는 전혀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수면 중 이를 강하게 깨물거나(이악물기) 이를 갈려고 해도(이갈이) 상악 및 하악의 대구치; 또는 제2소구치 및 대구치;가 전혀 닿지 않게 되므로 저작력 자체를 미약하게 하거나 아예 발생시키지 않게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가 닿을 때 구치부에 포진된 주변 저작근들 예를 들어 측두근이나 교근등이 수축되면 강한 교합력이 발생하는데, 주간의 저작시에는 보통은 짧게 간헐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때도 전방유도현상이 겹치면서 실제 치아나 치주조직에 가해지는 힘은 통제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대개의 경우 치아나 치주조직은 건강한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그러나, 수면 중 이갈이가 발생하면 저작근의 활성시간이 주간의 정상적 저작행위때 보다 훨씬 길며 대개의 경우 주간처럼 대뇌에 의해 정교하게 통제되지 않아 치아나 치주조직을 파괴시키며 2차적으로 주변 근육에 전이되어 전신으로 퍼져 나가 원인모를 근골격계 질환이나 내과질환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악 및 하악의 대구치; 또는 제2소구치 및 대구치;가 전혀 닿지 않게 함으로써 저작력 자체를 미약하게 하거나 아예 발생하지 않도록 원천적으로 차단한 것이다. 또한, 자연 치열에서 교합 시 전치부는 구치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아주 약한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상악 및 하악의 견치부위는 서로 닿도록 하되 대구치; 또는 제2소구치 및 대구치;는 전혀 닿지 않도록 견치유도함으로써 구치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이갈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이갈이에 의한 치아와 근육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수면 중 이갈이가 발생하는 경우 대구치부의 치악력이 소구치부 및 전치부의 치악력보다 현저히 크다. 대구치부에서 발생하는 치악력에 의하여 치아 및 턱관절이 손상을 입게 되고, 여러 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의 구강장치(10)를 착용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대구치; 또는 제2소구치 및 대구치;가 전혀 닿지 않도록 견치유도함으로써 대구치부에서 발생하는 치악력을 현저히 감소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원천적으로 이갈이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사 이갈이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대구치부(또는 제2소구치 및 대구치)에서 발생하는 치악력이 현저히 적도록 하여 치아 및 턱관절의 손상을 현저히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와 사용자의 구강 내 치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장치(10)는 구강 내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구강장치(10)는 구강 내 하악 치열(LT)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강장치(10)는 전치부(X) 및 소구치부(Y)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치열 중 전치부(X) 및 소구치부(Y)는 수용하되 대구치부(Z)는 수용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치아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후방 구치가 서로 닿지 않도록 견치유도함으로써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장치(10)는 구강 내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악 내지 하악의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악 내지 하악의 치열을 수용하는 치열 수용부(100) 및 상기 치열 수용부 중 전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전치부 홈(200)을 포함한다.
먼저, 구강장치(10)는 구강 내에 삽입되어 탈거 가능하게 착용되며, 구강 내의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강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내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이다. 구체적으로, 구강장치(10)는 구강 내 상악 내지 하악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이며, 상악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치열 수용부(100)는 '윗턱'인 상악(UJ; Upper Jaw)의 치열(UT; Upper set of Teeth)과 대응하고, 하악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치열 수용부(100)는 '아래턱'인 하악(LJ; Lower Jaw)의 치열(LT; Lower set of Teeth)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장치(10)는 경우에 따라 상악 내지 하악 중 어디에나 장착할 수 있으나, 하악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악 치열(LT)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강장치(10)는 구강 내 하악(LJ)의 치열(LT)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치열 수용부(100)는 하악의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악 치열(LT)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구강장치(10)일 수 있다. 즉, 상술한 치열 수용부(100) 및 전치부 홈(200)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강장치(10)를 만드는 소재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재로, 사용자가 구강에 착용 시 인체에 해롭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성을 형성할 수 있는 소재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용 수지(예컨대, 의료용 레진)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구강장치(10)의 성형방법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소재에 적합한 방법이면 제한이 없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치아 및 주변 조직에 대한 실제 또는 가상의 모형을 만든 후 이에 대응되도록 성형하거나, 3D 설계 후 3차원 프린터 또는 CAD/CAM 밀링머신에 의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악 내지 하악의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악 내지 하악의 치열을 수용하는 치열 수용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 수용부(100)는 구강 내 상악(UJ)의 치열(UT) 중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악(UJ)의 치아를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하악(LJ)의 치열(LT) 중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악(LJ)의 치아를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치열 수용부(100)는 전체적으로 각각 상악(UJ)의 치열(UT) 내지 하악(LJ)의 치열(LT)에 대응하는 형상이되 말굽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치열 수용부(100)의 구강측 내벽은 사용자의 치아가 마찰력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치열 수용부(100)는 상악(UJ) 내지 하악(LJ)의 치아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치열 수용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악(UJ) 내지 하악(LJ)의 치열(UT, LT) 중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전치부 및 소구치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이 치열 수용부(100)에 밀착되게 끼워져 치아가 장치에 마찰력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치열 수용부(100)와 수용된 치열과의 마찰력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악(UJ) 내지 하악(LJ)의 치열(UT, LT) 중 전치부 및 소구치부는 치열 수용부(1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수면 시간 동안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에도 장치가 치아를 옥죄는 느낌없이 편안하게 효과적으로 이갈이 및 이악물기(또는 이갈이)에 의한 치아와 턱관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치열 수용부(100)와 상악(UJ) 내지 하악(LJ)의 치아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격의 범위는 사용자에 따른 전체 교합면의 기울기각이나, 치아의 돌출도, 치아가 전후 안팍으로 기울어진 상태 또는 치아가 전체 치열에서 벗어난 위치에 따라 기준값에서 가감함으로써 변경시켜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열 수용부(100)가 상악(UJ) 내지 하악(LJ)의 치아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간격은 사용자의 치열, 치아 상태 등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치열 수용부(100)를 구강장치(10)에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먼저 사용자의 치아 모형을 만든 후 이에 대응되도록 성형하거나, 치아모형 파일을 설계가공하여 3차원 프린터 또는 CAD/CAM 밀링머신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등 주지의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치열 수용부(100)는 구강 내 상악(UJ) 내지 하악(LJ)의 치열 중 전치부 및 소구치를 수용하되 대구치부는 수용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대구치부를 수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면 중 이를 강하게 깨물거나(이악물기) 이를 갈려고 해도(이갈이) 상악 및 하악의 대구치; 또는 대구치 및 제2소구치가 전혀 닿지 않게 되므로 저작력 자체를 미약하게 하거나 아예 발생시키지 않게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치열 수용부(100) 중 전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형성되는 전치부 홈(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때, '전치부 대응하는 면 중 적어도 일부'란 치열 수용부(100) 중 전치부에 대응하여 전치부를 수용하는 부분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치부 홈(200)은 전치부 치열의 교합면에 대응하는 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치부 홈(200)은 전치부 치열 중 앞니의 교합면에 대응하는 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장치(10)는 치열 수용부(100) 중 전치부 치열의 교합면에 대응하는 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전치부 홈(200)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치부 홈(200)이 전치부(X) 치열 중 앞니의 교합면에 대응하는 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이갈이 시의 전방 내지 측방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상악 및 하악의 앞니가 닿지 않게 되어 견치유도 현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하악 전치부 6개 치아 중 앞니 4개 부위의 교합면이 개방되도록 뚫어 전치부 홈(200)을 형성하는 경우, 전치부 홈(200) 부분은 인접한 하악 견치나 제1소구치 보다 교합면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상악 전치부 교합면과 닿지 않고, 하악 견치만 상악 전치부 교합면과 닿게 되어 교합 조절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만일 전치부 홈(200)이 형성되지 않아 해당 부분이 개방되지 않고 덮여 있게 되면, 하악이 전방 내지 측방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하악 전치부 6개 치아에 해당하는 부위에서 동일한 방향성을 취하도록 조정이 필요한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장치(10)를 착용하는 경우에 전치부(X) 및 소구치부(Y)의 치열이 치열 수용부(100)에 수용된다. 또한, 치열 수용부(100) 중 전치부 치열의 교합면에 대응하는 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전치부 홈(200)이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대구치부(Z) 치열은 구강장치(10)에 수용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치아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후방 구치가 서로 닿지 않도록 견치유도함으로써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구강장치(10)는 상악의 치열과 하악의 치열이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때, 구강장치(10)의 '두께'란 사용자가 구강장치(10)를 착용하는 경우 구강장치(10)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착용되는 방향 및 각도를 기준으로,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의 두께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강장치(10)의 치열 수용부(100)에 수용되는 치아들의 교합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의 두께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취침 중에 이갈이하는 경우, 사용자의 상악과 하악의 아주 강한 교합력에 의해 구강장치(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와 같은 소정의 두께를 부여함으로써 상악과 하악의 대구치부끼리 닿을 수 없게 하여 통제할 수 없는 강한 교합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함이고, 이에 따라, 구강장치(10)는 사용자의 교합력에 대한 충분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두께는 개인들의 상하악의 치열과 교합의 상황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참조하면, 구강장치(10) 중 견치부(XC) 치열에 대응하는 부분의 경우 상악의 견치(XC)가 하악 치열(LT)에 장착된 구강장치(10)와 서로 닿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을 참조하면, 치아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후방 구치가 소정의 간격(S)으로 이격되어 서로 닿지 않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소구치부 및 견치부(송곳니) 부위의 교합면이 대구치부의 교합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악 및 하악의 대구치부가 서로 닿지 않게 함으로써 견치유도를 통해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구강장치(10)를 사용하면, 이갈이 및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치부 및 소구치부는 수용하되 구치부는 수용하지 않고, 소구치부 및 송곳니 부위의 교합면이 구치부의 교합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악 및 하악의 대구치부가 서로 닿지 않게 함으로써 전치유도를 통해 이갈이에 의한 치아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구강장치(1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구강 내에 삽입되어 탈거 가능하게 착용되는 구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강장치는 구강 내 상악 또는 하악의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악 또는 하악의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악 또는 하악의 치열을 수용하는 치열 수용부;및
    상기 치열 수용부의 전치부 치열에 대응하는 면 중 설측면 및 순측면에 대응하는 면은 폐쇄되되, 앞니의 교합면에 대응하는 면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전치부 홈;을 포함하며,
    상기 치열 수용부는 구강 내 상악 내지 하악의 치열 중 전치부 및 소구치부는 수용하되 대구치부는 수용하지 않으며,
    상기 구강장치는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대구치부 치열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전치부 홈에 수용되는 앞니는 인접한 견치 또는 제1 소구치 보다 교합면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교합 시 상악 및 하악의 앞니 간 교합면이 서로 닿지 않게 되어 견치유도 되는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장치는 교합 시 사용자의 상악 및 하악의 제2소구치 및 대구치부 치열이 서로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 수용부 및 전치부 홈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장치는 상악의 치열과 하악의 치열이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 수용부의 치열(구강)측 내벽은 사용자의 치아가 마찰력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열 수용부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KR1020210051481A 2021-04-21 2021-04-21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KR10259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5041 WO2022225081A1 (ko) 2021-04-21 2021-04-21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KR1020210051481A KR102597507B1 (ko) 2021-04-21 2021-04-21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481A KR102597507B1 (ko) 2021-04-21 2021-04-21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954A KR20220144954A (ko) 2022-10-28
KR102597507B1 true KR102597507B1 (ko) 2023-11-02

Family

ID=8372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481A KR102597507B1 (ko) 2021-04-21 2021-04-21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97507B1 (ko)
WO (1) WO202222508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8916A1 (en) * 2010-06-23 2013-11-14 Ramiro Michael Alvarez Method and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 Intake and Reducing Bruxism
US20180078343A1 (en) * 2016-09-21 2018-03-22 Michael I. Falkel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airway development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93834A1 (en) * 2012-09-28 2014-04-03 Joseph Youssif Andary Repositioning Appliance
KR101542349B1 (ko) 2013-07-30 2015-08-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WO2017184847A1 (en) * 2016-04-20 2017-10-26 Advanced Facialdontic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KR102088942B1 (ko) * 2017-04-14 2020-03-13 조용문 이갈이 방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98916A1 (en) * 2010-06-23 2013-11-14 Ramiro Michael Alvarez Method and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 Intake and Reducing Bruxism
US20180078343A1 (en) * 2016-09-21 2018-03-22 Michael I. Falkel Combined orthodontic movement of teeth with airway development 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954A (ko) 2022-10-28
WO2022225081A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3049B1 (en) Improved occlusal splint
US11504213B2 (en)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US8201560B2 (en) Flexible dental appliance
EP3388018B1 (e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JP4936061B2 (ja) 口腔内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508131A (ja) 下顎前進装置
US20220347005A1 (en) Dental appliance
KR102597507B1 (ko)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WO2003051244A1 (en) Oral appliance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JP7299452B1 (ja) マウスピース
KR102566018B1 (ko) 치아 교정용 고정장치
KR102432950B1 (ko)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KR20180016900A (ko) 턱관절 장애 균형 장치
JP3775637B2 (ja) 義歯及び人工歯
AU2004260549B2 (en) Improved occlusal splint
JP3193717U (ja) Tch防止具
JP2023542568A (ja) 口腔装置
BR202020015937U2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placas duplas independentes para maxila e mandíbul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