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263B1 -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263B1
KR102404263B1 KR1020220033627A KR20220033627A KR102404263B1 KR 102404263 B1 KR102404263 B1 KR 102404263B1 KR 1020220033627 A KR1020220033627 A KR 1020220033627A KR 20220033627 A KR20220033627 A KR 20220033627A KR 102404263 B1 KR102404263 B1 KR 10240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axis direction
teeth
discharg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혜원
Original Assignee
강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혜원 filed Critical 강혜원
Priority to KR1020220033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05Devices for dental prophylax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가 제공된다.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는, 기재, 기재의 Z축 방향 상면에 장착되고, 상부 치아에 상부 불소를 공급하는 상부 불소 배출수단, 및 기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장착되고, 하부 치아에 하부 불소를 공급하는 하부 불소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기재는 치아의 배열 모양으로 형성된 판이고, 기재에 관통되고, 상부 불소 배출수단이 결합되는 상부 결합공과, 기재에 관통되고, 하부 불소 배출수단이 결합되는 하부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상부 불소 배출수단은, 기재의 Z축 방향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에 요입되고, 상부 불소를 저장하는 상부 불소 저장부, 및 상부 불소 저장부에 저장된 상부 불소의 배출을 안내하는 상부 불소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는, 기재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부 치아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부 바닥부재, 상부 바닥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부 치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상부 돌출부재, 및 상부 바닥부재의 내측 가장자리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부 치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상부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부 불소 저장부는, 상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 상부 치아의 X축 반대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 상부 치아의 X축 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 및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 및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되는 상부 불소를 포함하고, 상부 불소 배출부는, 상부 바닥부재에 관통되어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1 상부 불소 배출공, 및 제1 상부 돌출부재와 제2 상부 돌출부재 및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2 상부 불소 배출공을 포함하고, 하부 불소 배출수단은, 기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장착되는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에 요입되고, 하부 불소를 저장하는 하부 불소 저장부, 및 하부 불소 저장부에 저장된 하부 불소의 배출을 안내하는 하부 불소 배출부를 포함하고,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는, 기재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하부 치아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 바닥부재, 하부 바닥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치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하부 돌출부재, 및 하부 바닥부재의 내측 가장자리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 치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하부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하부 불소 저장부는, 하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 하부 치아의 X축 반대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 하부 치아의 X축 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 및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와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 및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되는 하부 불소를 포함하고, 상부 불소 배출부는, 하부 바닥부재에 관통되어 각 하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1 하부 불소 배출공, 및 제1 하부 돌출부재와 제2 하부 돌출부재 및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2 하부 불소 배출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Mouthpiece to prevent tartar}
본 발명은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에 불소를 각각 도포하는 불소 배출수단을 일체로 형성하는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질환인 치아 우식증(충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 불소를 이용하며, 치아 우식증은 물론 치면 세균막에 살균 효과를 나타내어 치주질환의 치료 및 예방과 치주질환 치료 후 구강 건강 유지에도 중요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상기 치아에 불소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불소 치약의 사용, 불소 용액으로 양치, 불소 정제의 복용 및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는 것이 있다.
상기의 방법 중 불소 치약을 사용하는 방법은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불소 함유 치약을 이용하여 칫솔질을 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또한, 불소 용액 양치는 입안에 불소 용액을 넣고 가글을 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특히, 불소 도포 방법 중 하나인 불소바니시(Fluoride varnish)는 치아에 도포한 후, 얇은 막을 형성하여 치아에 오랫동안 잔류하면서 불소를 지속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제품이다.
상기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는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9416호에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기 위한 트레이가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마우스피스형의 외피 내측에는 솜을 기재로 하고 불소액, 소독액 및 표백제 등이 함침된 불화충전물이 부착되어 있고, 불화충전물의 내측에 배하여진 내피의 테두리가 외피와 접합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사용자의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에 사용하도록 트레이를 각각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2개의 트레이가 각각 제작되므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941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에 불소를 각각 도포하는 불소 배출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제작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는, 기재, 상기 기재의 Z축 방향 상면에 장착되고, 상부 치아에 상부 불소를 공급하는 상부 불소 배출수단, 및 상기 기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장착되고, 하부 치아에 하부 불소를 공급하는 하부 불소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치아의 배열 모양으로 형성된 판이고, 상기 기재에 관통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수단이 결합되는 상부 결합공과, 상기 기재에 관통되고, 상기 하부 불소 배출수단이 결합되는 하부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수단은, 상기 기재의 Z축 방향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 상기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에 요입되고, 상기 상부 불소를 저장하는 상부 불소 저장부, 및 상기 상부 불소 저장부에 저장된 상부 불소의 배출을 안내하는 상부 불소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는,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부 치아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부 바닥부재, 상기 상부 바닥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 치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상부 돌출부재, 및 상기 상부 바닥부재의 내측 가장자리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 치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상부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불소 저장부는, 상기 상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 상기 상부 치아의 X축 반대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 상기 상부 치아의 X축 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 및 상기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 및 상기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되는 상부 불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부는, 상기 상부 바닥부재에 관통되어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1 상부 불소 배출공, 및 상기 제1 상부 돌출부재와 제2 상부 돌출부재 및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2 상부 불소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불소 배출수단은, 상기 기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장착되는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 상기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에 요입되고, 상기 하부 불소를 저장하는 하부 불소 저장부, 및 상기 하부 불소 저장부에 저장된 하부 불소의 배출을 안내하는 하부 불소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는,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하부 치아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 바닥부재, 상기 하부 바닥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치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하부 돌출부재, 및 상기 하부 바닥부재의 내측 가장자리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치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하부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불소 저장부는, 상기 하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 상기 하부 치아의 X축 반대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 상기 하부 치아의 X축 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 및 상기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와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 및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되는 하부 불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부는, 상기 하부 바닥부재에 관통되어 각 하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1 하부 불소 배출공, 및 상기 제1 하부 돌출부재와 제2 하부 돌출부재 및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2 하부 불소 배출공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결합공은 기재에 X축 반대방향과 X축 방향에 각각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결합공은 상기 상부 결합공과 Y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에 의하면, 사용자의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에 불소를 각각 도포하는 불소 배출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함은 물론 제작 및 유지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100)는, 기재(110),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 하부 불소 배출수단(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110)는 치아의 배열 모양으로 형성된 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재(110)는 상부 결합공(111), 하부 결합공(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공(111)은 기재(110)에 관통되고,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과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결합공(111)은 X축 반대방향과 X축 방향의 기재(110)에 각각 편심되어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결합공(111)은 기재(110)의 Y축 방향 단부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결합공(112)은 기재(110)에 관통되고, 하부 불소 배출수단(130)이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결합공(112)은 상부 결합공(111)과 Y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 및 하부 불소 배출수단(130) 중 어느 하나의 불소 배출수단 만을 제작하여도 기재(110)의 Z축 방향 상면 및 기재(110)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각각 장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결합공(111) 및 하부 결합공(112)은 기재(110)의 내측으로 요입된 홈일 수도 있다.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은 기재(110)의 Z축 방향 상면에 장착되고, 상부 치아에 상부 불소(122d)를 공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은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121), 상부 불소 저장부(122), 상부 불소 배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121)는 기재(110)의 Z축 방향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121)는 상부 바닥부재(121a), 제1 상부 돌출부재(121b), 제2 상부 돌출부재(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닥부재(121a)는 기재(110)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부 치아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바닥부재(121a)는 상부 결합돌기(12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돌기(121a')는 상부 결합공(111)과 대응되도록 상부 바닥부재(121a)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결합돌기(121a')가 상부 결합공(111)에 결합됨으로써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121)가 기재(110)의 Z축 방향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상부 돌출부재(121b)는 상부 바닥부재(121a)의 외측 가장자리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부 돌출부재(121b)는 상부 치아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상부 돌출부재(121c)는 상부 바닥부재(121a)의 내측 가장자리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상부 돌출부재(121c)는 상부 치아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해당되는 제1 상부 돌출부재(121b)와 제2 상부 돌출부재(121c)의 간격은 상부 치아의 어금니 부분에 해당되는 제1 상부 돌출부재(121b)와 제2 상부 돌출부재(121c)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상부 불소 저장부(122)는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121)에 요입되어 상부 불소(122d)를 저장하는 공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불소 저장부(122)는 상부 바닥부재(121a)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공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불소 저장부(122)는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a),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b),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c), 상부 불소(1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a)는 상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121a)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공간일 수 있다.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b)는 상부 치아의 X축 반대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공간일 수 있다.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c)는 상부 치아의 X축 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공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a)와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b) 또는/및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a)와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c)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불소(122d)는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a)와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b) 및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c)에 저장되는 통상의 불소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불소는 불소바니시(Fluoride varnish)일 수 있다. 불소바니시는 치아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치아에 오랫동안 잔류함으로써 치아 우식증(충지) 및 치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불소바니시는 끈적한 물성으로 인해 구강 내에서 1일 내지 7일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불소바니시가 구강 내의 타액에 유리됨으로써 타액에 의한 치아의 재 광화를 촉진할 수 있다.
상부 불소 배출부(123)는 상부 불소 저장부(122)에 저장된 상부 불소(122d)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불소 배출부(123)는 제1 상부 불소 배출공(123a), 제2 상부 불소 배출공(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불소 배출공(123a)은 상부 바닥부재(121a)에 관통되어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될 수 있다. 즉,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된 상부 불소(122d)가 제1 상부 불소 배출공(123a)을 통해 상부 치아의 저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상부 불소 배출공(123b)은 제1 상부 돌출부재(121b)와 제2 상부 돌출부재(121c) 및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될 수 있다. 즉, 각 상부 저장부재에 저장된 상부 불소(122d)가 제2 상부 불소 배출공(123b)을 통해 상부 치아의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부 불소 배출공(123a)과 제2 상부 불소 배출공(123b)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상부 불소 배출공(123a)과 제2 상부 불소 배출공(123b)은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불소 배출수단(130)은 기재(110)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장착되고, 하부 치아에 하부 불소(132d)를 공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불소 배출ㅅ수단(130)은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131), 하부 불소 저장부(132), 하부 불소 배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131)는 기재(110)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131)는 하부 바닥부재(131a), 제1 하부 돌출부재(131b), 제2 하부 돌출부재(131c)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바닥부재(131a)는 기재(110)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하부 치아의 상면에 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바닥부재(131a)는 하부 결합돌기(131a')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결합돌기(131a')는 하부 결합공(112)과 대응되도록 하부 바닥부재(131a)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결합돌기(131a')가 하부 결합공(112)에 결합됨으로써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131)가 기재(110)의 Z축 방향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하부 돌출부재(131b)는 하부 바닥부재(131a)의 외측 가장자리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부 돌출부재(131b)는 하부 치아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2 하부 돌출부재(131c)는 하부 바닥부재(131a)의 내측 가장자리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부 돌출부재(131c)는 하부 치아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해당되는 제1 하부 돌출부재(131b)와 제2 하부 돌출부재(131c)의 간격은 하부 치아의 어금니 부분에 해당되는 제1 하부 돌출부재(131b)와 제2 하부 돌출부재(131c)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하부 불소 저장부(132)는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131)에 요입되어 하부 불소(132d)를 저장하는 공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불소 저장부(132)는 하부 바닥부재(131a)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공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불소 저장부(132)는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a),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b),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c), 하부 불소(13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a)는 하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131a)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공간일 수 있다.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b)는 하부 치아의 X축 반대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공간일 수 있다.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c)는 하부 치아의 X축 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공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a)와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b) 또는/및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a)와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c)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불소(132d)는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a)와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b) 및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c)에 저장되는 통상의 불소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불소(132d)는 불소바니시(Fluoride varnish)일 수 있다. 불소바니시는 치아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치아에 오랫동안 잔류함으로써 치아 우식증(충지) 및 치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불소바니시는 끈적한 물성으로 인해 구강 내에서 1일 내지 7일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불소바니시가 구강 내의 타액에 유리됨으로써 타액에 의한 치아의 재 광화를 촉진할 수 있다.
하부 불소 배출부(133)는 하부 불소 저장부(132)에 저장된 하부 불소(132d)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불소 배출부(133)는 제1 하부 불소 배출공(133a), 제2 하부 불소 배출공(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불소 배출공(133a)은 하부 바닥부재(131a)에 관통되어 각 하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될 수 있다. 즉, 각 하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된 하부 불소(132d)가 제1 하부 불소 배출공(133a)을 통해 하부 치아의 상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하부 불소 배출공(133b)은 제1 하부 돌출부재(131b)와 제2 하부 돌출부재(131c) 및 각 하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될 수 있다. 즉, 각 하부 저장부재에 저장된 하부 불소(132d)가 제2 하부 불소 배출공(133b)을 통해 하부 치아의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부 불소 배출공(133a)과 제2 하부 불소 배출공(133b)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하부 불소 배출공(133a)과 제2 하부 불소 배출공(133b)은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100)는 혀 받침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혀 받침부재(140)는 하부 불소 배출부(133) 즉, 제2 하부 돌출부재(131c)의 중앙부분에서 Y축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마우스피스 사용자의 혀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100)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을 뒤집어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121)의 상부 바닥부재(121a)의 저면이 Z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 불소 저장부(122)의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a) 내지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122c)에 상부 불소(122d)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불소(122d)는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의 공간보다 적게 저장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상부 불소(122d)가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되면, 상기 상부 바닥부재(121a)에 기재(110)를 안착시키면서 기재(110)의 상부 결합공(111)을 상부 결합돌기(121a')에 결합하여 기재(110)가 상부 바닥부재(121a)에 밀착되도록 한다. 즉,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이 기재(110)에 장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131)의 하부 바닥부재(131a)의 상면이 Z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하부 불소 저장부(132)의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a) 내지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132c)에 하부 불소(132d)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불소(132d)는 각 하부 불소 저장부재의 공간보다 적게 저장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하부 불소(132d)가 각 하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되면,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이 장착된 기재(110)의 저면을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131)의 하부 바닥부재(131a) 상부에 위치시킨 후, 하향으로 이동시켜 기재(110)의 하부 결합공(112)이 하부 바닥부재(131a)의 하부 결합돌기(131a')에 결합하여 기재(110)가 하부 바닥부재(131a)에 밀착되도록 한다. 즉,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이 장착된 기재(110)가 하부 불소 배출수단(130)에 장착되면서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100)의 사용전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상부 불소(122d) 및 하부 불소(132d)가 저장된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100)를 사용자의 입으로 물으면, 혀 받침부재(140)가 사용자의 혀 하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121)가 상부 치아에 위치하고,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131)가 하부 치아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부 치아의 저면 및 측면에 상부 바닥부재(121a)와 제1 상부 돌출부재(121b) 및 제2 상부 돌출부재(121c)가 밀착되고, 하부 치아의 상면 및 측면에 하부 바닥부재(131a)와 제1 하부 돌출부재(131b) 및 제2 하부 돌출부재(131c)가 밀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일정시간 경과하면, 사용자의 타액이 각 불소 배출부를 통해 각 불소 저장부에 저장된 불소에 공급되거나 기재(110)와 각 불소 배출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각 불소 저장부에 저장된 불소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각 불소 저장부에 공급되는 타액에 의해 불소바니시의 불소 즉, 타액의 무기질 이온과 불소바니시의 불소 이온이 각 불소 배출부를 통해 각 치아의 표면으로 이동되어 도포되고, 각 치아의 표면에 직접 작용하여 재광화 효율을 높이면서 약물의 지속시간이 보장되어 치아 우식증(충지) 및 치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각 불소 저장부에 저장된 각 불소의 사용이 완료되면, 기재(110)에서 상부 불소 배출수단(120)과 하부 불소 배출수단(130)을 분리하여 세척한 후, 상기의 과정으로 사용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110: 기재
111: 상부 결합공
112: 하부 결합공
120: 상부 불소 배출수단
121: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
121a: 상부 바닥부재
121a': 상부 결합돌기
121b: 제1 상부 돌출부재
121c: 제2 상부 돌출부재
122: 상부 불소 저장부
122a: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
122b: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
122c: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
122d: 상부 불소
123: 상부 불소 배출부
123a: 제1 상부 불소 배출공
123b: 제2 상부 불소 배출공
130: 하부 불소 배출수단
131: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
131a: 하부 바닥부재
131a': 하부 결합돌기
131b: 제1 하부 돌출부재
131c: 제2 하부 돌출부재
132: 하부 불소 저장부
132a: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
132b: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
132c: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
132d: 하부 불소
133: 하부 불소 배출부
133a: 제1 하부 불소 배출공
133b: 제2 하부 불소 배출공
140: 혀 받침부재

Claims (3)

  1. 기재;
    상기 기재의 Z축 방향 상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상부 치아에 상부 불소를 공급하는 상부 불소 배출수단; 및
    상기 기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하부 치아에 하부 불소를 공급하는 하부 불소 배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는 치아의 배열 모양으로 형성된 판이고,
    상기 기재에 관통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수단이 결합되는 상부 결합공과, 상기 기재에 관통되고, 상기 하부 불소 배출수단이 결합되는 하부 결합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공은 X축 반대방향과 X축 방향의 기재에 각각 편심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결합공은 상부 결합공과 Y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수단은,
    상기 기재의 Z축 방향 상면에 장착되는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
    상기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에 요입되고, 상기 상부 불소를 저장하는 상부 불소 저장부; 및
    상기 상부 불소 저장부에 저장된 상부 불소의 배출을 안내하는 상부 불소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안내부는,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부 치아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부 바닥부재;
    상기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결합공에 결합되는 상부 결합돌기;
    상기 상부 바닥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 치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상부 돌출부재; 및
    상기 상부 바닥부재의 내측 가장자리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부 치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상부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불소 저장부는,
    상기 상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
    상기 상부 치아의 X축 반대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
    상기 상부 치아의 X축 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부 바닥부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Z축 방향으로 요입된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 및
    상기 제1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제2 상부 불소 저장부재 및 상기 제3 상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되는 상부 불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부는,
    상기 상부 바닥부재에 관통되어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1 상부 불소 배출공; 및
    상기 제1 상부 돌출부재와 제2 상부 돌출부재 및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2 상부 불소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불소 배출수단은,
    상기 기재의 Z축 반대방향 저면에 장착되는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
    상기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에 요입되고, 상기 하부 불소를 저장하는 하부 불소 저장부; 및
    상기 하부 불소 저장부에 저장된 하부 불소의 배출을 안내하는 하부 불소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불소 배출안내부는,
    상기 기재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하부 치아의 상면에 밀착되는 하부 바닥부재;
    상기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부 결합공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돌기;
    상기 하부 바닥부재의 외측 가장자리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치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1 하부 돌출부재; 및
    상기 하부 바닥부재의 내측 가장자리에 Z축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 치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 하부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불소 저장부는,
    상기 하부 치아의 앞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
    상기 하부 치아의 X축 반대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
    상기 하부 치아의 X축 방향 어금니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부 바닥부재의 Z축 방향 상면에 Z축 반대방향으로 요입된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 및
    상기 제1 하부 불소 저장부재와 제2 하부 불소 저장부재 및 제3 하부 불소 저장부재에 저장되는 하부 불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불소 배출부는,
    상기 하부 바닥부재에 관통되어 각 하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1 하부 불소 배출공; 및
    상기 제1 하부 돌출부재와 제2 하부 돌출부재 및 각 상부 불소 저장부재와 연통되는 제2 하부 불소 배출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불소 배출부의 중앙부분에서 Y축 방향이면서 Z축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혀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2. 삭제
  3. 삭제
KR1020220033627A 2022-03-17 2022-03-17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KR102404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627A KR102404263B1 (ko) 2022-03-17 2022-03-17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627A KR102404263B1 (ko) 2022-03-17 2022-03-17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263B1 true KR102404263B1 (ko) 2022-05-30

Family

ID=8180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627A KR102404263B1 (ko) 2022-03-17 2022-03-17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2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416Y1 (ko) 2001-07-03 2001-11-16 이경환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기 위한 트레이
KR100718717B1 (ko) * 2006-03-08 2007-05-15 주식회사 닥터프리벤트 불소 이온 도입용 치아 트레이
KR20110111436A (ko) * 2008-12-29 2011-10-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교체가능한 강모 필드를 갖는 치아 세척용 마우스피스
KR101850625B1 (ko) * 2016-11-29 2018-04-19 정윤숙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KR102146885B1 (ko) * 2013-08-12 2020-08-24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치과 시술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416Y1 (ko) 2001-07-03 2001-11-16 이경환 치아에 불소를 도포하기 위한 트레이
KR100718717B1 (ko) * 2006-03-08 2007-05-15 주식회사 닥터프리벤트 불소 이온 도입용 치아 트레이
KR20110111436A (ko) * 2008-12-29 2011-10-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교체가능한 강모 필드를 갖는 치아 세척용 마우스피스
KR102146885B1 (ko) * 2013-08-12 2020-08-24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치과 시술용 장치
KR101850625B1 (ko) * 2016-11-29 2018-04-19 정윤숙 구강 건강용 마우스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8233B1 (ko) 유체 분배시스템을 갖는 구강 관리기구
US20210251374A1 (en) Oral Care Refill Head and Oral Care Kit Including the Same
CA2676400C (en) Oral care implement housing an oral care agent
US1142698A (en) Combination-brush.
ES2528478T3 (es) Utensilio para el cuidado bucal
AU2008316969B2 (en) Oral care implement with air flossing system
TW201125515A (en) Toothbrush having soft tissue cleaning elements
JPH09224962A (ja) 歯科用トレー及びその製造方法
OA11265A (en) Unitarily molded toothbrush
KR102404263B1 (ko) 치석 예방 마우스피스
KR20130006218A (ko) 구강 탈착형 양치 장치
US20050118553A1 (en) Mini-brush for interdental cleaning and care
JP3126032U (ja) 全歯周ハブラシ
US10779637B2 (en) Oral care system
KR101161925B1 (ko) 유체 분배시스템을 갖는 구강 관리기구
US20170071329A1 (en) Oral Care System
KR20130128868A (ko) 칫솔
KR20090104884A (ko) 구강 건강 관리제를 수용한 구강 관리기구
JP2003289944A (ja) 歯ブラシのヘッド
TW201536216A (zh) 牙刷(四)
RU26901U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заменяемая зубная щётка
JPH10155547A (ja) 歯ブラシハンドルおよびその射出成形金型
JP2002034661A (ja) 歯間ブラシ付き歯ブラシ
JP2014030581A (ja) 口腔内清掃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