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369B1 - 턱관절 밸런싱 장치 - Google Patents

턱관절 밸런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369B1
KR102006369B1 KR1020170116705A KR20170116705A KR102006369B1 KR 102006369 B1 KR102006369 B1 KR 102006369B1 KR 1020170116705 A KR1020170116705 A KR 1020170116705A KR 20170116705 A KR20170116705 A KR 20170116705A KR 102006369 B1 KR102006369 B1 KR 10200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muscles
energy generating
horizontal support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308A (ko
Inventor
정수창
Original Assignee
정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창 filed Critical 정수창
Priority to KR1020170116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36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 밸런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악치아와 하악치아의 교합 시, 좌우 압력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턱관절의 비대칭(불균형)을 해소하고, 치아 교합이 이루어질 때마다 완충작용을 함과 동시에 상악치아와 하악치아 사이에 상호 부정적 교감에너지(교감신호) 전달을 차단하여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신경계의 압박을 차단시켜 치통 발생을 억제시킴은 물론, 구강에 착용하였을 때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가 유격지도록 하여, 그 유격에 따라 수평 선상에 위치하는 경추 부근의 근육이 확장 내지 이완되도록 하는 한편, 치아와 접하는 면에서 치아와 접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압착 또는 흡착 또는 마찰에 의한 기구적 에너지 또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인체 활성 에너지가 치아를 통해 인체에 전달되어 작용하도록 하여, 치아와 관련된 턱관절 내지 경추의 근육 및 경추 근육 주변의 근육 내지 연관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턱관절 밸런싱 장치{Temporomandibular balancing appliance}
본 발명은 턱관절 밸런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악치아와 하악치아의 교합 시, 좌우 압력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턱관절의 비대칭(불균형)을 해소하고, 치아 교합이 이루어질 때마다 완충작용을 함과 동시에 상악치아와 하악치아 사이에 상호 부정적 교감에너지(교감신호) 전달을 차단하여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신경계의 압박을 차단시켜 치통 발생을 억제시킴은 물론, 구강에 착용하였을 때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가 유격지도록 하여, 그 유격에 따라 수평 선상에 위치하는 경추 부근의 근육이 확장 내지 이완되도록 하는 한편, 치아와 접하는 면에서 치아와 접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압착 또는 흡착 또는 마찰에 의한 기구적 에너지 또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인체 활성 에너지가 치아를 통해 인체에 전달되어 작용하도록 하여, 치아와 관련된 턱관절 내지 경추의 근육 및 경추 근육 주변의 근육 내지 연관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저작운동시에는 하악골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 회전운동이 일어나며 입을 벌리거나 닫는 활주 운동이 발음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
턱관절은 12개의 뇌신경 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신경 등이 분포하여 두뇌를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이며, 턱관절에 연결된 여러 근육들이 직간접적으로 얼굴 근육과 자세를 유지해 주는 척추 근육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턱관절의 균형이 무너지면 전신증상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턱관절의 불균형은 1번 경추와 2번 경추의 아탈구를 유발하여 경항부 주위의 근육 밸런스를 깨트림으로써,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뿐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증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턱관절의 불균형은 쉴새 없이 움직이며, 씹고, 삼키고, 말하기와 같은 동작 및 스트레스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치과 전문의들은 턱관절 불균형을 포함한 이상 증상에 대한 치료로 수술 내지 시술을 지양하고 인위적인 밸런싱 과정을 통해 바로 잡는 노력을 하고 있다. 참고로, 에너지 과학 내지 의학이나 양자의학 그리고 동양의학에서는 인체를 우주에 비유하여 소우주라고 한다. 우주에는 양과 음이 조화를 이루어 복잡하고 무질서한 상태에서도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 인체도 양과 음이 조화를 이룰때 건강하게 되며, 그러한 음과 양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 중 하나가 턱관절이다. 그래서 21세기 들어 의학 전문의나 학자들이 턱관절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턱관절의 중용성을 언급하자면 해부학적 물질적 요소보다 양자의학적(퀀텀)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턱관절의 비수술 치료의 일환으로 턱관절 교정패드나 마우스피스, 교합균형장치, 교정용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연구 개발되어 소개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10-0926483호로 턱관절 균형장치는 착용시 앞니가 충진되는 제1 받침부와 어금니가 닿는 제2 받침부 및 제3 받침부가 분리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고, 착용시 치아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특징은 있으나, 앞니와 어금니 부분이 분리되어 교합시 이음부가 흔들릴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치아에 고정되기 어려워 오랜 시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여 턱관절 불균형을 해소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불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200982호 윗니 잇몸에 착용하기 위한 턱관절 교정패드와 제10-200983호로 아랫니 잇몸에 착용하기 위한 턱관절 교정패드 등은 턱관절의 디스크를 교정하기 위하여 유동액을 사용하고, 아랫니 또는 윗니의 잇몸에 장착하는 특징이 있으나, 아랫니 또는 윗니에 착용 됨으로써 교정패드의 착용시 잇몸에 고정되기 어려워 치아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치아가 모아 질 때 유동액의 이동으로 인하여 착용감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인은 2013년06월20일자로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4394호)'를 선출원한 바 있다.
상기 본원인의 선출원 특허는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진보성을 인정받았으나, 본원인의 선출원 특허의 구조를 개선하여 턱관절의 밸런스는 물론, 치아 내지 턱관절과 관련된 경추와 신경 내지 근육에 대해 더욱 향상된 작용과 효과를 나타내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 개발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구조 개선을 위한 연구 개발의 결과로 창출된 것으로, 상악치아와 하악치아의 교합 시, 좌우 압력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턱관절의 비대칭(불균형)을 해소하고, 치아 교합이 이루어질 때마다 완충작용을 함과 동시에 상악치아와 하악치아 사이에 상호 부정적 교감에너지(교감신호) 전달을 차단하여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신경계의 압박을 차단시켜 치통 발생을 억제시킴은 물론, 구강에 착용하였을 때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가 수평방향으로 유격지도록 하여, 그 유격진 수평 선상에 위치하는 경추 부근의 근육이 확장 내지 이완되도록 하는 한편, 치아와 접하는 면에서 치아와 접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압착 또는 흡착 또는 마찰에 의한 기구적 에너지 또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인체 활성 에너지가 치아를 통해 인체에 전달되어 작용하도록 하여, 치아와 관련된 턱관절 내지 경추의 근육 및 경추 근육 주변의 근육 내지 연관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치아배열 형태로 이루어진 수평지지부(11)를 기준으로 상악치아와 하악치아 부위를 분할하여 감싸서 착용하도록 된 마우스피스 형태의 턱관절 밸런싱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11) 외곽 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부 외측벽(12)(1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내측 면을 따라 배열되어, 치아와 접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압착 또는 흡착 또는 마찰에 의한 기구적 에너지 또는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인체 활성 에너지를 치아로 전달하는 에너지발생부(16)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상악치아지지부(11a)와 하악치아지지부(11b)로 분리되고, 그 사이에 두께조절부(11c)가 착탈 가능하게 적층되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너지발생부(16)는 치아에 대해 기구적 에너지 또는 인체 활성 에너지를 전달하도록, 문양이 음각 형성되거나 음각 형성된 문양에 에너지발생수단이 수용되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에너지발생부(16)의 음각 형성되는 문양은 별모양 또는 눈꽃을 형상화한 모양 또는 육각과 오각형이 결합 모양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에너지발생수단 원적외선 발생물질 또는 은나노 물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중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진동력을 발생시켜 치아와 턱관절 및 경추 부분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통해, 진동이 경유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 부위에 대한 자극과 이완을 유도하는 진동발생부(17)를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기 수평지지부(11)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치아열의 변형 또는 턱관절의 비대칭 상태에서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가 교합하는 과정에서, 좌우 치아에 가해지는 불균일한 압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가해지는 치아 부위를 보호하면서 비대칭적인 턱관절의 밸런스를 잡아주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에 착용하고 교합을 시도하였을 때, 수평지지부(11)이 두께만큼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가 수평방향으로 유격지도록 하고, 그로 인해 상악과 하악이 턱관절 부위를 중심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상악과 하악이 연결되는 턱관절 부위의 디스크와 인대를 비롯한 근육이 교합 상태에 따라 확장 또는 확장과 수축의 반복에 의한 이완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확장 또는 확장과 수축의 반복에 의한 이완 작용을 통해, 턱관절 부위의 디스크와 인대를 비롯한 근육을 자극함은 물론, 턱관절과 연결된 주변의 뼈와 근육 내지 신경의 자극을 유도함으로써, 이들과 연결된 주변 신체 부위에 대한 간접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악과 하악이 벌어짐으로 인해, 하악과 경추 부위를 연결하는 근육이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경추 간 협착에 의해 디스크 내지 신경이 눌리는 증상을 치유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지지부(11) 외곽 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부 외측벽(12)(1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내측 면을 따라 배열되는 에너지발생부(16)가 치아에 대해 압착 또는 흡착 또는 마찰에 의한 기구적 에너지 또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인체 활성 에너지를 치아로 전달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치아를 자극하거나 영향을 주는 한편, 간접적으로 상악과 하악 및 턱관절 부위의 디스크와 인대를 비롯한 근육을 자극함은 물론, 턱관절과 연결된 주변의 뼈와 근육 내지 신경의 자극을 유도함으로써, 이들과 연결된 주변 신체 부위에 대한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너지발생수단으로 에너지발생부(16)에 수용되는 원적외선 발생물질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착용한 구강 내 또는 상악과 하악 및 턱관절을 비롯한 주분 신체조직에 대해 통증완화와 탈취 및 항균 작용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으며, 에너지발생수단으로 에너지발생부(16)에 수용되는 은나노 물질이 구강 내에 대해 항균 및 살균 작용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지지부(11)가 상악치아지지부(11a)와 하악치아지지부(11b)로 분리되고, 그 사이에 두께조절부(11c)가 착탈 가능하게 적층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구강 구조 예컨대, 상악과 하악의 벌어진 정도에 따라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성 내지 적용성 향상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평지지부(11)에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7)를 수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진동이 치아와 턱관절 및 경추 부분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 경유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 부위에 대한 자극과 이완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수평지지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리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중 에너지발생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에너지발생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에너지발생부의 작용을 도시한 측 단면도.
도 7은 치아배열의 수평선상과 인체의 수직 방향 무게 중심이 교차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경추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이 도 7에 도시된 경추 부분에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 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턱관절 밸러싱 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며 치아배열 형태로 이루어진 수평지지부(11)를 기준으로 상악치아와 하악치아 부위를 분할하여 감싸서 착용하도록 된 마우스피스 형태의 턱관절 밸런싱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11) 외곽 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부 외측벽(12)(1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내측 면을 따라 배열되어, 치아와 접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압착 또는 흡착 또는 마찰에 의한 기구적 에너지 또는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인체 활성 에너지를 치아로 전달하는 에너지발생부(16)를 포함하여서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치아의 배열 형태로 이루어진 두께를 갖는 평면체로서, 평면체 상부면 외곽과 내측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부 외측벽(12)과 상부 내측벽(13)이 상향 연장되고, 평면체 하부면 외곽과 내측 테두리로부터 각각 하부 외측벽(14)과 하부 내측벽(15)이 하향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실시예적으로 1.6mm ~ 2mm 두께를 갖는 평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치아지지부(11a)와 하악치아지지부(11b)로 분리되고, 그 사이에 두께조절부(11c)가 착탈 가능하게 적층되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두께 조절과 관련하여 어금니 위치에 착탈 가능한 두께조절패드가 단일 또는 복수개가 적층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전방(입 방향)과 후방(혀 방향)을 관통하여 호흡경로(11d)가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상부 외측벽(12)은 상악치아열 전방 또는 상악치아열과 잇몸 일부의 전방을 감싸는 보호벽일 수 있으며, 상기 상부 내측벽(13)은 상악치아열 후방 또는 상악치아열과 잇몸 일부의 후방을 감싸는 보호벽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내측벽(13)의 치아와 접하는 면에 치아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동방지돌기(13a)가 배열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하부 외측벽(14)은 하악치아열 전방 또는 하악치아열과 잇몸 일부의 전방을 감싸는 보호벽일 수 있으며, 상기 하부 내측벽(15)은 하악치아열 후방 또는 하악치아열과 잇몸 일부의 후방을 감싸는 보호벽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내측벽(13)의 치아와 접하는 면에 치아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동방지돌기(13a)가 배열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에너지발생부(16)는 발생되는 기구적 에너지 또는 인체 활성 에너지를 치아에 전달하는 문양이 음각 형성되거나 음각 형성된 문양에 에너지발생수단이 수용되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음각 형성되는 문양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되었던 것과 같이 별모양일 수도 있고,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꽃을 형상화한 모양일 수도 있으며,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과 오각형이 결합된 모양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방사상으로 확산되는 형태 내지 다수의 꼭지점(정점)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모양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너지발생부(16)에 수용되는 에너지발생수단은 원적외선 발생물질 또는 은나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에 인체에 유용하거나 적어도 치아 내지 턱관절에 유용한 자극적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너지발생부(16)의 배열은 치아 각각의 면에 대응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고, 치아와 치아 사이의 골 부분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열될 수도 있고, 치아의 면과 치아의 골에 복합적으로 대응 배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실시예로 전방 2개의 치아 사이에 1개를 배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대칭으로 간격을 두고 3개씩 배치하였다. 이는 경추가 7개로 이루어져 이에 각각 대응되는 치아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치아배열 형태로 이루어진 수평지지부(11)를 기준으로 상악치아와 하악치아 부위를 분할하여 감싸서 착용하도록 된 마우스피스 형태의 턱관절 밸런싱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11) 외곽 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부 외측벽(12)(1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내측 면을 따라 배열되어, 치아와 접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압착 또는 흡착 또는 마찰에 의한 기구적 에너지 또는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인체 활성 에너지를 치아로 전달하는 에너지발생부(16)를 포함하여서 된 턱관절 밸런싱 장치(10)이다.
참고로, 본 발명인 턱관절 밸런스 장치(1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면 만족하며, 반듯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악치아와 하악치아의 교합 과정에서 수평지지부(11)가 크게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형체 유지력과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탄력적으로 완충시키는 재질이면 모두 만족한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치아의 배열 형태 예컨대, 평면에서보았을 때 'U'자 형태로 이루어진 두께를 갖는 평면체로서, 평면체 상부면 외곽과 내측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향 연장되는 상부 외측벽(12)과 상부 내측벽(13)이 상악치아열을 감싸서 보호하고, 평면체 하부면 외곽과 내측 테두리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되는 하부 외측벽(14)과 하부 내측벽(15)이 하악치아열을 감싸서 보호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악치아 부분과 하악치아 부분이 수평지지부(11)를 기준으로 분할 격리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부(11)는 1.6mm ~ 2mm 두께를 갖는 평면체인것이 실시예적으로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임계적 의의를 살펴보면, 상기 범위에 미달하게 될 경우 턱관절 부분을 확장 자극시키기에 부족하여 턱관절 밸런싱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턱관절 부분의 무리한 확장으로 인해 통증 내지는 심한 경우 턱관절의 탈골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치아지지부(11a)와 하악치아지지부(11b)로 분리되고, 그 사이에 두께조절부(11c)가 착탈 가능하게 적층되어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되면, 사용자의 구강 구조 예컨대, 상악과 하악의 벌어진 정도에 따라 두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부(11)는 전방(입 방향)과 후방(혀 방향)을 관통하여 호흡경로(11d)가 관통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 하며, 이와 같이 되면, 턱관절 밸런싱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코로 들이쉰 숨을 입으로 내 쉬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호흡경로(11d)에는 숨을 내쉴수는 있어도 숨을 들이 마쉴 수 없도록 제한하는 일방 밸브 구조가 더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그 예로는 호흡경로(11d) 전면에 내쉬는 숨에 의해서 오픈되고 들이마시는 숨에 의해서 차단되는 막 형태의 개폐부재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호흡경로(11d) 상에 숨을 내쉴수는 있어도 숨을 들이 마쉴 수 없도록 제한하는 개폐부재를 마련하게 되면, 공기를 입으로 들이 마시는 것을 방지하여, 구강 건조를 예방하고 공기 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이 걸러지지 않고 폐속으로 들어와 이차적 질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상부 외측벽(12)은 상악치아열 전방 또는 상악치아열과 잇몸 일부의 전방을 감싸는 보호벽이고, 상기 상부 내측벽(13)은 상악치아열 후방 또는 상악치아열과 잇몸 일부의 후방을 감싸는 보호벽이다.
이때, 상기 상부 내측벽(13)의 치아와 접하는 면에 치아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동방지돌기(13a)가 배열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는 구강내에 턱관절 밸러싱 장치(10)를 착용하였을 때, 상악과 하악의 움직임 내지 혀의 움직임에 의해 유동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하부 외측벽(14)은 하악치아열 전방 또는 하악치아열과 잇몸 일부의 전방을 감싸는 보호벽이고, 상기 하부 내측벽(15)은 하악치아열 후방 또는 하악치아열과 잇몸 일부의 후방을 감싸는 보호벽이다.
이때, 상기 하부 내측벽(13)의 치아와 접하는 면에 치아에 대한 탄성 가압력을 제공하는 유동방지돌기(13a)가 배열되는 것도 역시 바람직하나, 각 치아마다 이질감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하부 내측벽(13)에 대한 유동방지돌기(13a)의 적용은 본 발명에서 선택적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에너지발생부(16)는 발생되는 기구적 에너지 또는 인체 활성 에너지를 치아에 전달하는 문양이 음각 형성되거나 음각 형성된 문양에 에너지발생수단이 수용되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음각 형성되는 문양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되었던 것과 같이 별모양 또는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꽃을 형상화한 모양 또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과 오각형이 결합된 모양을 실시예로 하나, 반듯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음각 형성되는 문양은 에너지의 고른 확산을 고려하여 방사상으로 확산되는 형태 내지 다수의 꼭지점(정점)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너지발생부(16)의 배열에 대한 실시예로 전방 2개의 치아 사이에 1개를 배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대칭으로 간격을 두고 3개씩 배치하였는데, 이는 경추가 7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에 각각 대응되는 치아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과 같이 되는 본 발명을 구강 내에 착용하게 되면,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부(11)를 기준으로 상악치아열은 상부 외측벽(12)과 상부 내측벽(13) 사이에 수용되고, 하악치아열은 하부 외측벽(14)과 하부 내측벽(15) 사이에 수용되며, 이때, 상악치아와 하악치아를 교합하기 위해 수평지지부(11)를 가압하더라도, 수평지지부(11)에 의해 완전 교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벌어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부(11)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치아열의 변형 또는 턱관절의 비대칭 상태에서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가 교합하는 과정에서, 좌우 치아에 가해지는 불균일한 압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큰 압력이 가해지는 치아 부위를 보호하면서 비대칭적인 턱관절의 밸런스를 잡아주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강 내에 착용하고 교합을 시도하였을 때, 상기 수평지지부(11)이 두께만큼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가 수평방향을 따라 유격지게 되고 즉, 벌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악과 하악이 턱관절 부위를 중심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상악과 하악이 연결되는 턱관절 부위의 디스크와 인대를 비롯한 근육이 확장되게 되고, 상악치아와 하악치아로 수평지지부(11)를 간헐적으로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턱관절의 확장과 수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해당 부위에 이완 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확장 또는 확장과 수축의 반복에 의한 이완 작용을 통해, 턱관절 부위의 디스크와 인대를 비롯한 근육을 자극함은 물론, 턱관절과 연결된 주변의 뼈와 근육 내지 신경의 자극을 유도함으로써, 이들과 연결된 주변 신체 부위에 대한 간접적인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참고로,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악치아와 하악치아가 접하는 선상 즉, 상기 수평지지부(11)의 수평 선상에서 연장된 수평축(X축)과 귀에서부터 어깨가지 내려가는 신체의 무게중심선(중력선 ; Y축)이 교차하는 부분에 2번과 3번 경추의 경계부위가 위치하는데, 상기 수평지지부(11)의 두께만큼 상악과 하악이 벌어지게 되면,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과 2번과 3번 경추 부위를 연결하는 근육이 확장되거나 이완됨으로써, 경추 간 협착에 의해 디스크 내지 신경이 눌리는 증상을 치유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경추와 연결된 사각근을 이완시킴으로써, 사각근과 연결되거나 사각근의 긴장으로 압박되는 상완신경총과 쇄골하 동맥을 풀어주고 이를 통해 어깨와 팔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외측벽(12)에 배열된 에너지발생부(16)가 치아에 대해 압착 또는 흡착 또는 마찰에 의한 기구적 에너지 또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인체 활성 에너지를 치아로 전달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치아를 자극하거나 영향을 주는 한편, 간접적으로 상악과 하악 및 턱관절 부위의 디스크와 인대를 비롯한 근육을 자극함은 물론, 턱관절과 연결된 주변의 뼈와 근육 내지 신경의 자극을 유도함으로써, 이들과 연결된 주변 신체 부위에 대한 자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너지발생수단으로 에너지발생부(16)에 수용되는 원적외선 발생물질이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출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착용한 구강 내 또는 상악과 하악 및 턱관절을 비롯한 주분 신체조직에 대해 통증완화와 탈취 및 항균 작용이 일어나도록 하고, 상기 에너지발생수단으로 에너지발생부(16)에 수용되는 은나노 물질이 구강 내에 대해 항균 및 살균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로 들자면,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부(11) 내에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7)를 수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진동이 치아와 턱관절 및 경추 부분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 경유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 부위에 대한 자극과 이완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발생부(17)는 전원이 공급되면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압전진동자를 포함한 액츄에이터 모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발생부(17)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구동 전원이 인가되면, 진동발생 주체가 동작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은 수평지지부(11)와 접한 상악치아와 하악치아로 전달되고, 이는 상악과 하악을 통해 턱관절 부위와 경추로 전달되어, 상기와 같은 자극과 인완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끝으로, 본 발명은 턱관절 밸런싱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는 것은 물론이고,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숨길을 확장시키는 효과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통상, 치아 교정 내지 턱관절의 밸런싱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 숨길이 확보되지 않으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재발하곤 하는데,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첫 번째 중요 요소가 산소이고 그 산소를 통과시키는 통로가 숨길이며, 상기 숨길의 첫 번째 통로가 입안의 구조물이므로, 상기 입안의 구조물이 완벽한 상태를 유지할 때 숨길이 유지되고, 특히 32개의 치아와 턱관절 밸런싱이 잘 유지될 때 숨길 통로란 구조물이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턱관절 밸런싱 장치 11 : 수평지지부
11a : 상악치아지지부 11b : 하악치아지지부
11c : 두께조절부 11d : 호흡경로
12 : 상부 외측벽 13 : 상부 내측벽
14 : 하부 외측벽 15 : 하부 내측벽
16 : 에너지발생부 17 : 진동발생부

Claims (9)

  1. 두께를 가지며 치아배열 형태로 이루어진 수평지지부를 기준으로 상악치아와 하악치아 부위를 분할하여 감싸서 착용하도록 된 마우스피스 형태의 턱관절 밸런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 외곽 테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부 외측벽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내측 면을 따라 배열되어, 치아와 접하는 것에 의해 발생되는 압착 또는 흡착 또는 마찰에 의한 기구적 에너지를 치아로 전달하도록, 별모양 또는 눈꽃 형상화 모양 또는 육각과 오각형이 결합된 모양 또는 방사상으로 확산되는 형태의 음각으로 이루어진 에너지발생부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치아의 배열 형태로 이루어진 두께를 갖는 평면체로서, 평면체 상부면 외곽과 내측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부 외측벽과 상부 내측벽이 상향 연장되고, 평면체 하부면 외곽과 내측 테두리로부터 각각 하부 외측벽과 하부 내측벽이 하향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1.6mm ~ 2mm 두께를 갖는 탄성 평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는 상악치아지지부와 하악치아지지부로 분리되고, 그 사이에 두께조절부가 착탈 가능하게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생부는 발생되는 기구적 에너지를 치아에 전달하는 문양이 음각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
  6. 삭제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생부에 수용되는 에너지발생수단은 원적외선 발생물질 또는 은나노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발생부는 전면 중앙에 1개가 배치되고, 이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대칭으로 간격을 두고 3개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부 내에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를 수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밸런싱 장치.
KR1020170116705A 2017-09-12 2017-09-12 턱관절 밸런싱 장치 KR10200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05A KR102006369B1 (ko) 2017-09-12 2017-09-12 턱관절 밸런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05A KR102006369B1 (ko) 2017-09-12 2017-09-12 턱관절 밸런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308A KR20190029308A (ko) 2019-03-20
KR102006369B1 true KR102006369B1 (ko) 2019-08-01

Family

ID=66036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705A KR102006369B1 (ko) 2017-09-12 2017-09-12 턱관절 밸런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4786B (zh) * 2020-03-27 2021-03-30 四川大学 一种口腔科防止气溶胶播散的负压开口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13979B2 (ja) * 2010-08-26 2013-10-09 嘉則 佐藤 口腔周辺筋強化用マウスピース
KR101344394B1 (ko) * 2013-05-14 2013-12-23 정수창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US20150173856A1 (en) * 2007-03-14 2015-06-25 Orthoaccel Technologies Inc. Intra-oral vibrating othodontic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614A (ko) * 2008-03-13 2009-09-17 김경희 구취제거 및 감소기능을 가지는 마우스피스 또는치아보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3856A1 (en) * 2007-03-14 2015-06-25 Orthoaccel Technologies Inc. Intra-oral vibrating othodontic devices
JP5313979B2 (ja) * 2010-08-26 2013-10-09 嘉則 佐藤 口腔周辺筋強化用マウスピース
KR101344394B1 (ko) * 2013-05-14 2013-12-23 정수창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308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qutaibi et al. Types of occlusal splint in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Srivastava et al. Oral splint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with revolutionary fluid system
US10206760B2 (en) Orthodontic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US20060110698A1 (en) Dental orthotic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impaired oral functions and resultant indications
Yadav et al. The essentials of occlusal splint therapy
JP6941601B2 (ja) 歯−頭蓋骨−顔面機器のための歯列矯正用弾性調整装置
JP2004113625A (ja) 超音波治療装置
Gelb et al. The relationship of tinnitus to craniocervical mandibular disorders
US20190117442A1 (en) Bruxism treatment apparatus
US2023038101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mouth and jaw disorders
KR200443404Y1 (ko)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101649416B1 (ko) 머리 이완용 베개
KR102006369B1 (ko) 턱관절 밸런싱 장치
Colquitt The sleep-wear syndrome
Sims et al. Spasmodic torticollis: the dental connection
Al-Rafah et al. The efficacy of bilateral balanced and canine guidance occlusal splints in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DuPont et al. Occlusal splints from the beginning to the present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CN106344188A (zh) 一种基于牙合学理论制作的牙合垫
KR20160079302A (ko) 턱관절 교정 장치
Sirbu et al. 3D Printed Splints an Innovative Method to Treat Temporomandibular Joint Pathology
US10322027B2 (en) Dental bite plate
KR102382847B1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Yankova et al. ADVANTAGES OF PRE-PROSTHETIC MASTICA-TORY SYSTEM PREPARATION WITH OCCLUSAL APPLIANCE
Oliver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An open and shut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