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663B1 -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663B1
KR101844663B1 KR1020160086564A KR20160086564A KR101844663B1 KR 101844663 B1 KR101844663 B1 KR 101844663B1 KR 1020160086564 A KR1020160086564 A KR 1020160086564A KR 20160086564 A KR20160086564 A KR 20160086564A KR 101844663 B1 KR101844663 B1 KR 101844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portion
mouthpiece
guide
present
jaw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027A (ko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김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욱 filed Critical 김성욱
Priority to KR1020160086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663B1/ko
Priority to PCT/KR2017/007257 priority patent/WO2018009010A1/ko
Publication of KR2018000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관절을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내 상부 및 하부의 치아가 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전방측의 정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전방가이드부와, 상기 받침부의 후방측의 후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후방가이드부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 전방가이드부 및 후방가이드부는 열가소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Mouse piece for correcting a temporomandibular joint}
본 발명은 턱관절을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내 상부 및 하부의 치아가 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전방측의 정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전방가이드부와, 상기 받침부의 후방측의 후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후방가이드부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 전방가이드부 및 후방가이드부는 열가소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턱관절은 입의 개구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서, 음식물의 저작 기능과 음성의 발음 기능을 수행하는 양측성 관절이다.
이러한 턱관절은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으며, 12 개의 뇌신경 중 9개가 턱관절을 통과할 뿐만 아니라 혈관, 임파선, 신경이 분포하는 중요 부분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턱관절이 불균형하게 되면, 턱관절과 연관된 근육들의 밸런스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서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한다.
이러한 턱관절 불균형에 의한 질환은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으로 전신에 걸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턱관절 불균형에 의한 질환이 발생할 경우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턱관절 교정용 패드, 마우스피스 등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턱관절 불균형을 치료하기 위한 기구로서, 미국특허 제 5,259,762호의 구강 기구 및 미국특허 제 5,624,257 호의 구강 기구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종래 기술은 치아가 안착되는 몸체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기술들이나, 정형화된 높이를 갖도록 설계됨으로써 각 개인별로 상이하게 발생하는 턱관절 불균형을 해소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교정의 효과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 10-926483 호의 턱관절 균형장치의 기술도 공지되어 있으나, 전술한 미국 특허의 공지기술들과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정형화된 형태를 가지지 않고 개인별로 각각 상이한 형태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턱관절에 적용하기에 용이한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구성은, 구강내 상부 및 하부의 치아가 거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전방측의 정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전방가이드부와, 상기 받침부의 후방측의 후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후방가이드부가 일체화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 전방가이드부 및 후방가이드부는 열가소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는 열가소성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 시술시 열을 가하여 마우스피스의 각 부분이 열 변형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치아 형상에 맞도록 녹여서 착용되기 때문에 마우스피스가 환자의 턱에 가장 잘 맞물려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구강내에서 구강의 형상이 개개인의 환자에 따라서 모두 다르게 형성된 환자의 턱을 개인에게 맞게 가장 이상적인 위치로 유지시켜 주게 되며, 치아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편안감을 부여하는 효과를 발현한다.
또한, 종래의 마우스피스가 턱관절의 균형을 잡아주기에는 불편하고 미흡한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매우 편안하고 치아에도 불필요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장점을 가지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다른 실시예의 마우스피스의 배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의 정면도,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 마우스피스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각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1)는 전체적으로 통상의 마우스피스의 형상과 유사하다. 즉, 구강내 치아 부분으로 삽입하여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들이 거치될 수 있도록 U 자 형상의 몸체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1)는 구강내 상부 및 하부의 치아가 거치되는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의 전방측의 정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전방가이드부(20)와, 상기 받침부(10)의 후방측의 후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후방가이드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10)는 구강내 상부 치아가 거치되는 상측 받침면(11)과, 구강내 하부 치아가 거치되는 하측 받침면(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측 받침면(11)에는 상부 치아의 바닥면이 접촉되고, 하측 받침면(12)에는 하부 치아의 상면이 접촉되게 된다.
상기 전방가이드부(20)는 받침부(10)의 전방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측 전방가이드(21)와, 받침부(10)의 전방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하측 전방가이드(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측전방가이드(21)와 하측전방가이드(22)의 높이는 평균적인 치아의 높이보다 적은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방가이드부(30)는 받침부(10)의 후방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측 후방가이드(31)와, 받침부(10) 후방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하측 후방가이드(32)로 이루어진다.
치아의 구조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전방가이드부(20)는 치아의 협측이고, 상기 후방가이드부(30)는 치아의 설측이며, 상기 상측 후방가이드(31)는 상악 치아의 설측이고, 상기 하측 후방가이드(32)는 하악 치아의 설측이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측 전방가이드(21)는 중앙에 요입공(23)이 형성되며, 상기 요입공(23)은 앞니 부분이 상측 전방가이드(21)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 사용자에게 편안감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상측 전방가이드(21)의 높이(h1) 보다 상측 후방가이드(31)의 높이(h2)가 더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받침부(10)는 측면(구치부)의 두께(a1)가 정면(전치부)의 두께(a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며, 이는 치아에 의하여 눌려지는 부분만큼의 여분을 더 둠으로서 치열에 맞춤형으로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정면의 두께(a2)가 3mm 이고, 측면의 두께(a1)는 5mm 를 형성하였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전방가이드부(20)의 두께(b)는 3 mm 이고, 후방가이드부(30)의 두께(c)는 2 mm 를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받침부(10)의 양 측면의 받침부 폭(d1)은 앙 중앙의 받침부 폭(d2)보다 더 넓게 형성된다. 이는 치아에 편안감을 부여하고, 교정시의 여유폭을 갖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의 전체길이(L)은 58 mm 정도이나, 환자의 치아열의 길이에 맞게 마우스피스 후방측을 절단하여 전체길이를 조절하여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열가소성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는 구강내에서 구강의 형상이 개개인의 환자에 따라서 모두 다르므로 환자의 턱을 개인에게 가장 이상적인 위치로 유지시켜주기 위함이고, 나아가, 치아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환자에게 최적의 편안감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의 착용 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하악에 끼워서 입을 다물때 상악 치아에 물리도록 가이드를 착용하게 되는데, 최초 마우스피스의 시술 과정에서 마우스피스의 받침부(10), 전방가이드부(20) 및 후방가이드부(30)의 상하부로 열을 가하게 되면, 받침부(10), 전방가이드부(20) 및 후방가이드부(30)의 각 부분이 열 변형으로 인하여 착용자의 치아 형상에 맞도록 녹아서 착용되기 때문에 마우스피스가 환자의 턱에 가장 잘 맞물려지게 된다.
본 발명 실시예는 상기 열가소성 재질로서, EVA(Ethylene Vinyl Acetate)라는 재질을 이용하였다. 상기 EVA 재질은 섭씨 80 도 정도의 물에 녹여서 입안에서 착용자 본인의 치아 형태에 맞게 입술로 다듬어서 맞추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투명한 색상을 가지도록 하여 착용시 외관상의 시각적 거부감을 최소화하였다.
도 6 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다른 실시예의 마우스피스의 배면도로서, 받침부(10)의 양측 말단의 상측받침면(11)과 하측받침면(12) 사이에 실리콘 부재(40)를 삽입시킨 구성의 실시예이다.
상기 실리콘부재(40)는 구강내에서 환자가 마우스피스를 씹을 때 받침부(10)의 내부로 너무 깊게 치아가 파고드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마우스피스
10; 받침부
11; 상측 받침면 12; 하측 받침면
20; 전방가이드부
21; 상측 전방가이드 22; 하측 전방가이드
23; 요입공
30; 후방가이드부
31; 상측 후방가이드 32; 하측 후방가이드
40; 실리콘 부재
a1; 받침부 측면두께
a2; 받침부 정면두께
b; 전방가이드 두께
c; 후방가이드 두께
d1; 받침부 측면폭
d2; 받침부 정면폭

Claims (8)

  1.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구강내 상부 및 하부의 치아가 거치되는 받침부(10)와,
    상기 받침부(10)의 전방측의 정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전방가이드부(20)와,
    상기 받침부(10)의 후방측의 후면과 측면을 따라서 상방 및 하방으로 돌출된 테두리면으로 이루어진 후방가이드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10), 전방가이드부(20) 및 후방가이드부(30)는 열가소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10)는 구강내 상부 치아가 거치되는 상측 받침면(11)과, 구강내 하부 치아가 거치되는 하측 받침면(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가이드부(20)는 받침부(10)의 전방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측 전방가이드(21)와, 받침부(10)의 전방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하측 전방가이드(22)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가이드부(30)는 받침부(10)의 후방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측 후방가이드(31)와, 받침부(10) 후방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하측 후방가이드(32)로 이루어지고,
    상측 전방가이드(21)는 중앙에 요입공(23)이 형성되며,
    상측 전방가이드(21)의 높이(h1) 보다 상측 후방가이드(31)의 높이(h2)가 더 높게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0)의 양측 말단의 상측받침면(11)과 하측받침면(12) 사이에 실리콘 부재(40)가 매입되고,
    사용자가 착용시 사용자의 턱관절 주변의 근육과 신경들이 이완되도록 시술자가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 상악의 치열에 대하여 하악의 치열의 위치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악과 하악을 맞물어 상기 열가소성 재질을 성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재질은 EVA(Ethylene Vinyl Acet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는 측면의 두께(a1)가 정면의 두께(a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의 양 측면의 받침부 폭(d1)은 앙 중앙의 받침부 폭(d2)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투명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
  8. 삭제
KR1020160086564A 2016-07-08 2016-07-08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1844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64A KR101844663B1 (ko) 2016-07-08 2016-07-08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PCT/KR2017/007257 WO2018009010A1 (ko) 2016-07-08 2017-07-06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564A KR101844663B1 (ko) 2016-07-08 2016-07-08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027A KR20180006027A (ko) 2018-01-17
KR101844663B1 true KR101844663B1 (ko) 2018-04-02

Family

ID=6091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564A KR101844663B1 (ko) 2016-07-08 2016-07-08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4663B1 (ko)
WO (1) WO201800901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85B1 (ko) 2020-03-17 2020-10-12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20220000810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20220000791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967B1 (ko) * 2018-03-12 2020-06-23 문천호 턱관절 척추 교정기
CN110728880A (zh) * 2019-10-29 2020-01-24 山西师范大学 美声唱法开口音嘴矫正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46B1 (ko) * 2007-07-26 2007-12-13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이를 이용한 치열부정교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66242C (en) * 1989-09-06 2003-11-25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al appliance
JPH05300915A (ja) * 1992-04-27 1993-11-16 Molten Corp マウスピ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93761A1 (ko) * 2011-01-03 2012-07-12 Park Kyun Seob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비중격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두개골 봉합부 교정용 마우스피스 구조체
KR101381485B1 (ko) * 2012-06-08 2014-04-04 이영준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46B1 (ko) * 2007-07-26 2007-12-13 박균섭 치열 부정교합 교정용 마우스피스, 이를 이용한 치열부정교합 교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85B1 (ko) 2020-03-17 2020-10-12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20220000810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20220000791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9010A1 (ko) 2018-01-11
KR20180006027A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663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1344394B1 (ko)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KR200443403Y1 (ko) 치아 보호용 장치
KR101947634B1 (ko)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US11833008B1 (en) Dental appliance and method for adjusting and holding the position of a user's jaw to a relaxed position of the jaw
KR100883168B1 (ko) 턱관절 보호 기구
EP1773235A2 (en) Custom mouthguard
AU2015266592B2 (en) Oral appliance for treating sleep apnea
US20140069441A1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KR101637087B1 (ko)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2202863B1 (ko) 악정형 기능을 겸비한 치아 교정장치
KR200443404Y1 (ko)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102643742B1 (ko) 턱관절 안정장치
NZ585015A (en) A dental appliance elastically deformable to apply a correction force at a base of the crown
KR102098391B1 (ko) 근기능 교정장치
JP3215287U (ja) 歯科矯正具
WO2018008616A1 (ja) 歯科用矯正器具
CN213406360U (zh) 壳状牙齿矫治器、牙齿矫治套组和矫治系统
CN211834785U (zh) 一种用于正畸过程中佩戴的牙合垫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JP6120780B2 (ja) 口腔装置
CN219397836U (zh) 一种导下颌向前的齿用装置
KR101745561B1 (ko) 조절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US20200113653A1 (en) Mouth Guard
KR20180025140A (ko) 조절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