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087B1 -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 Google Patents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087B1
KR101637087B1 KR1020140144122A KR20140144122A KR101637087B1 KR 101637087 B1 KR101637087 B1 KR 101637087B1 KR 1020140144122 A KR1020140144122 A KR 1020140144122A KR 20140144122 A KR20140144122 A KR 20140144122A KR 101637087 B1 KR101637087 B1 KR 10163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teeth
outer guard
receiving portion
forme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778A (ko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140144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0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가 개시된다.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 있어서,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외측 가드가 상기 상부 외측 가드보다 소정 거리 이상 후방 및 내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Cervical Correction}
본 발명은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켜 상부 경추 특히 축추를 정렬시키고, 축추와 관련된 환추 및 기타 척추의 균형회복에 도움을 주며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관절은 입을 벌리거나 닫는 운동과 하악골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관절로 회전운동과 활주운동이 일어나며 저작기능과 발음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양측성 관절로서, 측두골과 하악골로 이루어져 있다.
턱관절은 12개의 뇌신경 중 9개가 지나가고 수많은 혈관, 임파, 신경 등이 분포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턱관절의 불균형은 상부 경추가 아탈구되는 원인이 되며, 특히 상부 경추 중 축추(제2 경추)의 아탈구는 환추(제1 경추)를 비롯한 전신척추의 구조를 무너뜨리는 원인이 된다. 턱관절의 불균형은 턱관절 및 전신척추와 연관된 근육 밸런스를 깨트리게 되어, 중추신경계를 비롯한 척추관절 및 근골격계 질환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순환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비뇨생식기 질환, 호흡기 질환, 성장장애 등의 광범위한 전신 증상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우리 몸의 척추는 목뼈부터 꼬리뼈까지 33마디의 척추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목뼈는 7, 등뼈는 12, 허리뼈는 5, 나머지는 엉치뼈(천골뼈)와 꼬리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축을 갖고 있는 척추는 제2번 경추이고 이는 축을 가지고 있어 축추라고도 불린다. 또한, 머리와 축추 사이에는 고리처럼 생긴 척추가 있는데 이를 고리 환자 환추라고 한다.
이러한 턱관절의 불균형은 외적 충격이나 음식물을 한 편으로만 씹는 편측저작, 이갈이,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침을 삼키는 일상적인 동작에 의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 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발명되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259,762호의 'ORAL APPLIANCE' 및 제5,624,257호의 'ORAL APPLIANCE'에는 일정 높이의 완충 장치를 치아 사이에 삽입하여 치아의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턱관절을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치아가 안착되는 몸체부(base portion)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정형화된 높이를 갖도록 설계되어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하지는 못하며, 개인별 턱관절 불균형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악 치아와 하악 치아가 안착되는 교합면은 생리적인 정상교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았으며 구치부의 패드 두께 또한 생리적인 안정위 공간(free way space)을 고려하여 장치가 제작되지 않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악부가 상악부보다 소정 거리만큼 후방 또는 내측방으로 배치되어 정상교합 위치에서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하악을 정상교합 위치(1급 정상교합 위치)에 재위치시키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불균형화된 양측 턱관절이 안정위 공간(free way space) 이내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턱관절 주변에 분포된 9개 뇌신경의 부정적인 시그널을 꺼줌으로써, 축추를 비롯한 상부 경추 및 전신척추에 연결된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 전신척추를 정렬시키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 있어서,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외측 가드가 상기 상부 외측 가드보다 소정 거리 이상 후방 및 내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전치부가 구치부보다 상기 상부 외측 가드로부터 내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 외측 가드와 상기 하부 외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장 형성되어 견치의 외측을 지지하는 견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하부 내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견치의 안착을 위한 내측으로 패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는 상단, 중단, 하단의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중단보다 연질로 이루어져 착용감을 높이고, 상기 중단은 상기 상단 및 하단보다 경질로 이루어져 강도를 유지하며, 상기 받침부의 중앙부에는 구강 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고, 앞니의 안착시 충격을 완충하는 중앙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턱관절 균형 장치에 있어서,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악부가 상악부보다 소정 거리만큼 후방 또는 내측방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하악부가 상악부보다 소정 거리만큼 후방 또는 내측방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받침부(110), 상부 외측 가드(120), 그리고 하부 외측 가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내측 가드(140) 및 하부 내측 가드(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치아가 배치된 형상과 동일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10)는 치아의 가장자리 부분(어금니 부분)이 넓은 것을 고려하여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중앙 부분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10)는 치아 교합시 가장자리 부분이 받침부(110)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턱관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를 위하여, 어금니가 닿는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앞니가 닿은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함으로써 어금니가 앞니보다 먼저 닿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받침부(110)는 상단, 중단, 하단의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상단 및 하단은 중단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고, 중단은 상단 및 하단보다 강한 재질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받침부(110)의 상부는 윗니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윗니의 정상 위치에 따라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외측 가드(120)는 받침부(110)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치아의 안착시 윗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 외측 가드(120)는 윗니의 외측을 일정 부분이상 덮음으로써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외측 가드(120)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외측 가드(120)는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내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하부 외측 가드(130)는 받침부(110)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치아의 안착시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상부 외측 가드(120)와 유사하게 아랫니의 외측을 일정 부분이상 덮음으로써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외측 가드(130)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외측 가드(130)는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내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외측 가드(130)가 상부 외측 가드(120)보다 소정 거리 후방 및 내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즉, 하부 외측 가드(130)는 상부 외측 가드(120)보다 전치부뿐만 아니라, 구치부 또한 상악보다 하악이 기존의 구강장치들보다 내측으로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외측 가드(130)의 전치부(앞니의 안착 부분)가 구치부(어금니의 안착 부분)보다 상부 외측 가드(120)로부터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기존의 구강장치들은 상, 하악 전치부 및 구치부의 치아교합이 정상교합 위치에 유도되도록 상부 외측 가드와 하부 외측 가드 위치가 설계된 장치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하악의 교합이 전치부는 상악의 후방에 위치하고, 구치부는 상악의 내측방에 놓이는 정상교합 위치에 유도되도록 상부 외측 가드 및 하부 외측 가드가 설계되었다.
추가적으로, 상부 내측 가드(140)는 받침부(110)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윗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내측 가드(140)는 상부 외측 가드(1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내측 가드(140)는 장치의 중심을 확인하고, 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기 위하여 슬릿에 의하여 돌출 형성되는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내측 가드(150)는 받침부(110)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부(110)의 상부에는 치아의 윗니가 안착될 수 있으며, 받침부(110)의 외측 테두리에는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120)가 형성되고, 받침부(110)의 내측 테두리에는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1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내측 가드(140)는 견치의 안착을 위해 내측으로 패인 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내측 가드도 견치의 안착을 위해 내측으로 패인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부 내측 가드 및 하부 내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견치의 안착을 위한 내측으로 패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부(110)의 하부에는 치아의 아랫니가 안착될 수 있으며, 받침부(110)의 외측 테두리에는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130)가 형성되고, 받침부(110)의 내측 테두리에는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15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내측 가드(150)는 견치의 안착을 위해 내측으로 패인 홈(1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외측 가드(130)가 상부 외측 가드(120)보다 소정 거리 후방 및 내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이 하부 외측 가드(130)의 전치부(앞니의 안착 부분)(131)가 상부 외측 가드(120)의 전치부로부터 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하부 외측 가드(130)의 전치부(131)는 상부 외측 가드(120)의 전치부로부터 2.5~3mm 정도 후방에 배치되고, 하부 외측 가드(130)의 구치부(132)는 상부 외측 가드(120)의 구치부로부터 1mm 정도 내측방(상악보다 안쪽)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외측 가드(130)의 전치부(131)가 후방에 배치되는 수치는 평균 치아 폭과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간 거리 등을 통계 처리하여 설계되는 것으로, 치아의 크기 및 배치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외측 가드(130)가 상부 외측 가드(120)보다 내측방에 배치되며, 구치부의 패드 높이는 안정위 공간(free way space) 이내에서 편안한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닥부(110)의 상부 외측 테두리에는 상부 외측 가드(120)가 형성되고, 바닥부(110)의 하부 외측 테두리에는 하부 외측 가드(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외측 가드(130)를 상부 외측 가드(120)보다 소정 거리 이상 후방 또는 내측방으로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외측 가드(130)는 상부 외측 가드(120)보다 전치부뿐만 아니라, 구치부 또한 상악보다 하악이 기존의 구강장치들보다 내측으로 배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구강장치들보다 섬세하게 설계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일 수 있으며 경추 교정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소정 거리는 상악 및 하악 치아의 평균 치아 폭과 상악 및 하악의 치아간 거리 등을 통계 처리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하부 외측 가드(130)의 구치부는 상부 외측 가드(120)의 구치부보다 1mm 정도 내측방(상악의 어금니보다 하악의 어금니가 안쪽에 배치됨)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치아의 전치부뿐 아니라 구치부까지의 모든 치아 높이는 평균치를 입력하여 설계되어, 기존의 장치들과 그 형태 역시 차이가 있다. 또한, 상악과 하악의 전치부 및 구치부 치아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악궁의 전치부 및 구치부 내외측 가이드의 경사도 역시 면밀하게 통계치를 입력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외측 가드(130)가 상부 외측 가드(120)보다 소정 거리 이상 후방 또는 내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외측 가드(120)와 하부 외측 가드(130)는 성인의 평균 치아의 높이를 반영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상부 외측 가드(120)의 높이가 하부 외측 가드(13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전치부의 높이가 구치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이 등 사용자 개인의 치아 높이를 반영하여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내측 가드(140)는 받침부(110)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윗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내측 가드(140)는 상부 외측 가드(1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부 내측 가드(140)는 장치의 중심을 확인하고, 혀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기 위하여 슬릿에 의하여 돌출 형성되는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내측 가드(150)는 받침부(110)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외측 가드(130)가 상부 외측 가드(120)보다 소정 거리 이상 후방 또는 내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10)는 상단, 중단, 하단의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상단과 하단은 중단보다 연질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고, 중단은 상단과 하단보다 경질로 이루어져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받침부(110)는 3단으로 구성된 일체형 패드 받침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10)의 중앙부에는 구강 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한 중앙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홀(111)은 앞니의 안착시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받침부(110)에는 착용시 구강 내로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앞니의 안착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받침부(110)의 중앙에 적어도 하나의 중앙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금니의 안착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받침부(110)의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홀을 추가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전치부 부분을 자른 단면도(도 1의 사시도에서 중앙 부분을 자른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악의 교합이 전치부는 상악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부 외측 가드(120)의 전치부와 하부 외측 가드(130)의 전치부의 위치가 표현된 중앙 부분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악의 전치부는 전방홈(내, 외측 가드 사이)에 놓이고, 하악의 전치부는 후방홈(내, 외측 가드 사이)에 놓임으로써, 상, 하악이 정상교합 위치로 유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8의 (b) 및 (c)를 참조하면,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구치부 부분을 자른 단면도(도 1의 사시도에서 가장자리 부분을 자른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치부는 상악의 내측방에 놓이는 정상교합 위치에 유도되도록 상부 외측 가드(120) 및 하부 외측 가드(130)가 설계될 수 있다.
즉, 상악 구치부의 상부 외측 가드(120) 및 상부 내측 가드(140)의 위치보다 하악 구치부의 하부 외측 가드(130) 및 하부 내측 가드(150)의 위치가 내측방에 설계되어, 상, 하악의 구치부 교합이 이상적인 정상교합 위치로 유도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상, 하악 교합력이 뇌의 시상하부 중심부로 집중되어 뇌신경계에도 가장 편안한 교합력이 작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치부의 상, 하악 치아의 평균 교합각(도 8의 (a) 참조)과 구치부의 정상교합을 이루는 상하악 교합각(도 8의 (b), (c) 참조)을 설계에 반영하고, 전치부와 구치부의 성인 평균 치아 크기(가로x세로) 및 치아 높이를 반영(측면도)하여 편안한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받침부(110), 상부 외측 가드(120), 그리고 하부 외측 가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내측 가드(140) 및 하부 내측 가드(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와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외측 가드(120)는 받침부(110)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치아의 안착시 윗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상부 외측 가드(120)는 윗니의 외측을 일정 부분이상 덮음으로써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외측 가드(120)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 외측 가드(120)가 연장 형성되어 견치(송곳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는 견치 가이드(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견치와 잇몸 사이의 높이가 다른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보다 크기 때문에 견치를 일정 부분이상 덮을 수 있도록 상부 외측 가드(120)에서 돌출 형성된 견치 가이드(121)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외측 가드(130)는 받침부(110)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치아의 안착시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상부 외측 가드(120)와 유사하게 아랫니의 외측을 일정 부분이상 덮음으로써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외측 가드(130)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하부 외측 가드(130)가 연장 형성되어 아랫니의 견치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견치 가이드(13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 외측 가드(120)와 하부 외측 가드(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장 형성되어 견치(송곳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견치 가이드(121, 131)를 더 포함함으로써, 견치의 안착 및 교정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부정교합 교정 효과를 위해 설계하여 치아교정에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주걱턱 형태의 부정교합도 정상교합 위치에 하악을 이동시켜 재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턱관절 교정 효과, 상부 경추 교정 효과, 전신 척추 교정 효과를 위해 설계하여, 기존 장치보다 하악이 좀더 내측방(또는 후방)으로 편안하게 이동됨으로써 정상교합을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사용자의 치아 상태 및 사용에 따라 그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상부 외측 가드의 전치부를 개방하거나 상악의 상부 외측 가드를 제거하여 치열 및 교합 상태의 문제가 있거나 운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받침부, 하부 외측 가드, 상부 내측 가드, 그리고 하부 내측 가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성은 도 1 내지 도 8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받침부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치아가 배치된 형상과 동일한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외측 가드는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상부 외측 가드와 유사하게 아랫니의 외측을 일정 부분이상 덮음으로써 치아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외측 가드는 치아와 잇몸 사이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내측 가드는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윗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내측 가드는 상부 외측 가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내측 가드는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내측 가드 및 하부 내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견치의 안착을 위한 내측으로 패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의 중앙부에는 구강 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고, 앞니의 안착시 충격을 완충하는 중앙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치아 교합시 발생하는 상하의 압력을 완충하여 치아를 보호하고, 턱관절에 제공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 교합시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치아교정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잠자는 시간에도 착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턱관절 보호 및 치아교정의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불균형화된 양측 턱관절이 안정위 공간(free way space) 이내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턱관절 주변에 분포된 9개 뇌신경의 부정적인 시그널을 꺼주어, 축추를 비롯한 상부 경추 및 전신척추에 연결된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 전신척추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 및
    견치의 일정 부분을 덮도록 상기 상부 외측 가드와 상기 하부 외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 형성되어 견치의 외측을 지지하는 견치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외측 가드가 상기 상부 외측 가드보다 소정 거리 이상 후방 및 내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전치부가 구치부보다 상기 상부 외측 가드로부터 내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치아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키며,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전치부는 정상교합을 이루는 상, 하악 치아의 전치부의 평균 교합각을 반영하여 상기 상부 외측 가드로부터 내측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구치부는 정상교합을 이루는 상, 하악 치아의 구치부의 평균 교합각을 반영하여 상기 상부 외측 가드로부터 내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받침부는,
    상단, 중단, 하단의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중단보다 연질로 이루어져 착용감을 높이고, 상기 중단은 상기 상단 및 하단보다 경질로 이루어져 강도를 유지하며, 치아 교합시 전치부보다 구치부의 교합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받침부의 전치부의 두께보다 구치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구치부는 안정위 공간(free way space) 이내에서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고, 상기 받침부의 중앙부에는 구강 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며 앞니의 안착시 충격을 완충하는 중앙홀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
    를 더 포함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하부 내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견치의 안착을 위한 내측으로 패인 홈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6. 삭제
  7.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단, 중단, 하단의 3중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중단보다 연질로 이루어져 착용감을 높이고, 상기 중단은 상기 상단 및 하단보다 경질로 이루어져 강도를 유지하며, 치아 교합시 전치부보다 구치부의 교합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상기 받침부의 전치부의 두께보다 구치부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며 상기 구치부는 안정위 공간(free way space) 이내에서 교합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되고, 상기 받침부의 중앙부에는 구강 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며 앞니의 안착시 충격을 완충하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의 전치부를 개방하거나 상기 전치부 및 구치부를 개방하고,
    견치의 일정 부분을 덮도록 상기 상부 외측 가드와 상기 하부 외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 형성되어 견치의 외측을 지지하는 견치 가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전치부는 정상교합을 이루는 상, 하악 치아의 전치부의 평균 교합각을 반영하여 상기 상부 외측 가드로부터 내측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구치부는 정상교합을 이루는 상, 하악 치아의 구치부의 평균 교합각을 반영하여 상기 상부 외측 가드로부터 내측방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20140144122A 2014-10-23 2014-10-23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63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22A KR101637087B1 (ko) 2014-10-23 2014-10-23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22A KR101637087B1 (ko) 2014-10-23 2014-10-23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78A KR20160047778A (ko) 2016-05-03
KR101637087B1 true KR101637087B1 (ko) 2016-07-07

Family

ID=5602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122A KR101637087B1 (ko) 2014-10-23 2014-10-23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434A (ko) * 2018-03-12 2019-09-20 문천호 턱관절 척추 교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692B1 (ko) * 2016-08-08 2018-08-02 김성욱 턱관절 장애 균형 장치
KR102098391B1 (ko) * 2018-10-23 2020-04-07 박동신 근기능 교정장치
JP6875018B2 (ja) * 2019-07-31 2021-05-19 株式会社デンタルアシスト 歯科矯正具
KR102285057B1 (ko) * 2019-09-05 2021-08-03 문천호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2164585B1 (ko) * 2020-03-17 2020-10-12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9456B2 (ja) 2002-08-19 2004-11-17 優一郎 河原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KR200461324Y1 (ko) * 2011-02-07 2012-07-12 이영준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643A (ko) * 2003-09-16 2005-03-21 이종고 코골이 교정구
KR20120033386A (ko) * 2010-09-30 2012-04-09 조아라 코골이 방지 및 턱관절 교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9456B2 (ja) 2002-08-19 2004-11-17 優一郎 河原 無呼吸症候群又はいびき症改善用のマウスピース
KR200461324Y1 (ko) * 2011-02-07 2012-07-12 이영준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434A (ko) * 2018-03-12 2019-09-20 문천호 턱관절 척추 교정기
KR102125967B1 (ko) 2018-03-12 2020-06-23 문천호 턱관절 척추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778A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087B1 (ko)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344394B1 (ko)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US8459267B2 (en) Mouthguar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KR100926483B1 (ko) 턱관절 균형 장치
CA2573572C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head injury
KR101381485B1 (ko)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0883168B1 (ko) 턱관절 보호 기구
KR200443403Y1 (ko) 치아 보호용 장치
JP2018505021A (ja) 高さ調節型スプリント及びその作製方法
US20140069441A1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KR101844663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200443404Y1 (ko)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KR200461324Y1 (ko)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901678B1 (ko)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JP3244272B2 (ja) 口部用品
KR102125967B1 (ko) 턱관절 척추 교정기
KR102098391B1 (ko) 근기능 교정장치
KR20170106864A (ko) 단계식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20170028582A (ko) 턱관절 교정장치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KR101180285B1 (ko)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조 방법
JP2020137899A (ja) 下顎第一大臼歯専用マウスピース
KR200455055Y1 (ko)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745561B1 (ko) 조절 가능한 턱 관절 교합 보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