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24Y1 -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 Google Patents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24Y1
KR200461324Y1 KR2020110001008U KR20110001008U KR200461324Y1 KR 200461324 Y1 KR200461324 Y1 KR 200461324Y1 KR 2020110001008 U KR2020110001008 U KR 2020110001008U KR 20110001008 U KR20110001008 U KR 20110001008U KR 200461324 Y1 KR200461324 Y1 KR 200461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slit
guard
outer guard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이화정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이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준 filed Critical 이영준
Priority to KR2020110001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양 측면에는 상기 상부 외측 가드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Slit}
본 고안은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턱관절의 불균형을 해소하여 턱관절과 연관된 근육의 이완을 유도하고, 뇌척수액의 순환을 활성화시키며,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킨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턱관절의 불균형은 외적 충격이나 음식물을 한 편으로만 씹는 편작, 이갈이,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침을 삼키는 일상적인 동작에 의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현재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 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고안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미국특허등록 제5,259,762호의 'ORAL APPLIANCE', 제5,624,257호의 'ORAL APPLIANCE' 는 치아를 고정하는 외측 가드가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장치의 착용시 치아 고정력을 높일 수는 있으나, 치아에 과도한 압박을 가하여 통증을 유발하고, 착용감을 떨어지게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장치의 착용 도중 턱관절을 사용하는 경우 치아의 과도한 이동이나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치아의 이동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치의 외측 가드에 슬릿을 형성하여 치아의 지지력을 완화하고, 치아의 이동을 일정 부분 허용하도록 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부의 중앙 및 좌우측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을 형성하여 앞니 부분은 물론 어금니 부분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100), 상기 받침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110),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120),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130),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1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양 측면에는 상기 상부 외측 가드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1 슬릿 및 제2 슬릿(114,11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양 측면에는 상기 하부 외측 가드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3 슬릿 및 제4 슬릿(118,11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은 치아가 상기 상부 외측 가드에 접촉되는 경우 윗니에 미치는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윗니의 견치 부분과 어금니 부분이 안착되는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슬릿 및 제4 슬릿은 치아가 상기 하부 외측 가드에 접촉되는 경우 아랫니에 미치는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아랫니의 견치 부분과 어금니 부분이 안착되는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슬릿 및 제4 슬릿은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의 양 측면에 어금니의 안착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 홀(152,1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내측 가드는 상기 상부 내측 가드 보다 뒤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내측 가드는 상기 상부 내측 가드 보다 더 급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착용시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를 위하여 어금니가 먼저 닿을 수 있도록 어금니가 닿는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앞니가 닿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된다.
본 고안은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치아의 이동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장치의 외측 가드에 슬릿을 형성하여 치아의 지지력을 완화하고, 치아의 이동을 일정 부분 허용하도록 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치아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받침부의 중앙부 및 좌우측 측면에 홀을 형성하여 앞니 부분은 물론, 어금니 부분의 충격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정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정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100), 상기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110), 상기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120),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130), 및 상기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14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홀(150) 및 상기 받침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홀(152,15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100)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치아 교합시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받침부(100)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도 2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된다. 이는 본 고안의 턱관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를 위하여 어금니가 닿는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앞니가 닿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하여 어금니가 앞니 보다 언제나 먼저 닿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는 치아의 가장자리 부분(어금니 부분)이 넓은 것을 고려하여 착용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중앙 부분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00)의 상부는 윗니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윗니의 정상 위치에 따라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100)는 두께가 중앙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일반적인 치아의 형상에 따라 중앙 부분의 경사 각도가 가장자리 부분의 경사 각도 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앙 부분의 경사 각도가 가장자리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경사 각도가 작게 형성된다. 가장자리 부분의 경사 각도는 거의 수평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100)는 가장자리 부분의 좌측 및 우측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와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차이가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좌측 어금니 부분과 우측 어금니 부분의 단차를 고려하여 상기 받침부(100)의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우측 가장자리 부분과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 차이는 1mm 내지 5mm 정도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아의 구조적 차이에 따라 우측 어금니가 좌측 어금니보다 먼저 맞물리게 되고, 맞물리는 부분 역시 우측 어금니 부분의 면적이 좌측 어금니의 부분보다 넓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우측 어금니가 안착되는 부분의 두께를 좌측 어금니가 안착되는 부분보다 두껍게 형성하여 미묘한 좌우측 치아 구조의 차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 외측 가드(110)는 상기 받침부(100) 상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윗니의 안착시 윗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외측 가드(110)의 양 측면에는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고정력을 완화시키는 제1 슬릿 및 제2 슬릿(114,1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114,116)은 턱관절의 사용시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기 상부 외측 가드로 인하여 치아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발생하는데, 치아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치아가 상기 상부 외측 가드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이 분리되도록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114,116)은 치아가 상기 상부 외측 가드에 접촉되는 경우 윗니에 미치는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윗니의 견치 부분과 어금니 부분이 안착되는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내측 가드(120)는 상기 받침부(100) 상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윗니의 안착시 윗니를 지지하되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내측 가드(120)는 상기 상부 외측 가드(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 외측 가드(130)는 상기 받침부(100) 하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아랫니의 안착시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외측 가드(1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고정력을 완화시키는 제3 슬릿 및 제4 슬릿(118,1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슬릿 및 제4 슬릿(118,119)은 턱관절의 사용시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기 하부 외측 가드로 인하여 치아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발생하는데, 아랫니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화하기 위하여 치아가 상기 하부 외측 가드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이 분리되도록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슬릿 및 제4 슬릿(118,119)은 치아가 상기 하부 외측 가드에 접촉되는 경우 아랫니에 미치는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랫니의 견치 부분과 어금니 부분이 안착되는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114,1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는 상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이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윗니 외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치아에 미치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는 상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은 물론, 하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이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윗니 및 아랫니 외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부 외측 가드 및 하부 외측 가드가 연동하여 치아에 미치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어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 내측 가드(140)는 상기 받침부(100) 하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아랫니의 안착시 아랫니를 지지하되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일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앞니 부분은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시 윗니가 아랫니의 앞에 위치하고, 아랫니는 윗니의 뒤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교합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내측 가드(120)는 상기 하부 내측 가드(140) 보다 뒤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 내측 가드(140)의 중앙부는 상기 상부 내측 가드(120)의 중앙부 보다 1mm 내지 3mm 뒤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교합시 아랫니가 윗니의 뒤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하부 내측 가드(140)의 중앙부는 상기 상부 내측 가드(120)의 중앙부 보다 더 급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홀(150)은 착용시 구강 내로의 공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며, 앞니의 안착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100)의 중앙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 홀(152,154)는 어금니의 안착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100)의 양 측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받침부 110 : 상부 외측 가드
120 : 상부 내측 가드 130 : 하부 외측 가드
140 : 상부 내측 가드 150 : 중앙 홀
152,154 : 측면 홀

Claims (9)

  1.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100);
    상기 받침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110);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120);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130);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14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양 측면에는 상기 상부 외측 가드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1 슬릿 및 제2 슬릿(114,1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양 측면에는 상기 하부 외측 가드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중앙과 측면이 분리되도록 하는 제3 슬릿 및 제4 슬릿(118,11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은 치아가 상기 상부 외측 가드에 접촉되는 경우 윗니에 미치는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윗니의 견치 부분과 어금니 부분이 안착되는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슬릿 및 제4 슬릿은 치아가 상기 하부 외측 가드에 접촉되는 경우 아랫니에 미치는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아랫니의 견치 부분과 어금니 부분이 안착되는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슬릿 및 제4 슬릿은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받침부(100)의 양 측면에 어금니의 안착시 충격이 완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측면 홀(152,15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내측 가드는 상기 상부 내측 가드 보다 뒤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내측 가드는 상기 상부 내측 가드 보다 더 급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착용시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를 위하여 어금니가 먼저 닿을 수 있도록 어금니가 닿는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앞니가 닿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KR2020110001008U 2011-02-07 2011-02-07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KR200461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08U KR200461324Y1 (ko) 2011-02-07 2011-02-07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08U KR200461324Y1 (ko) 2011-02-07 2011-02-07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324Y1 true KR200461324Y1 (ko) 2012-07-12

Family

ID=4713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008U KR200461324Y1 (ko) 2011-02-07 2011-02-07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2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394B1 (ko) 2013-05-14 2013-12-23 정수창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6004777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70028582A (ko) * 2015-09-04 2017-03-14 성진욱 턱관절 교정장치
KR101917298B1 (ko) * 2017-01-17 2018-11-12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안정형 턱관절교합 균형장치
KR20220000810A (ko) *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EP4005527A4 (en) * 2019-07-31 2022-12-28 Sheepmedical Co., Ltd. ORTHODONTIC TOO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404Y1 (ko) 2007-05-23 2009-02-10 정수용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404Y1 (ko) 2007-05-23 2009-02-10 정수용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394B1 (ko) 2013-05-14 2013-12-23 정수창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6004777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637087B1 (ko) * 2014-10-23 2016-07-07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20170028582A (ko) * 2015-09-04 2017-03-14 성진욱 턱관절 교정장치
KR101725846B1 (ko) 2015-09-04 2017-04-11 성진욱 턱관절 교정장치
KR101917298B1 (ko) * 2017-01-17 2018-11-12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안정형 턱관절교합 균형장치
EP4005527A4 (en) * 2019-07-31 2022-12-28 Sheepmedical Co., Ltd. ORTHODONTIC TOOL
KR20220000810A (ko) *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382847B1 (ko) * 2020-06-26 2022-04-08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324Y1 (ko)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381485B1 (ko)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344394B1 (ko)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KR100926483B1 (ko)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637087B1 (ko)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US20140352704A1 (en) Oral appliance for protecting the teeth of a user
US8585401B2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WO2012123817A1 (en)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strength and balance
AU6911494A (en) Composite mouthguard
KR100883168B1 (ko) 턱관절 보호 기구
KR102029965B1 (ko)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KR101844663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101901678B1 (ko)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2088942B1 (ko) 이갈이 방지구
KR102125967B1 (ko) 턱관절 척추 교정기
KR101725846B1 (ko) 턱관절 교정장치
KR200463108Y1 (ko) 2단 가드형 턱관절 균형 장치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US10383760B2 (en) Therapeutic dental appliance
KR101180285B1 (ko) 턱관절 균형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455055Y1 (ko)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922544B1 (ko) 맞춤형 턱관절교합 균형장치
KR101917298B1 (ko) 안정형 턱관절교합 균형장치
KR102597507B1 (ko)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TWI784758B (zh) 肌肉機能療法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