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1678B1 -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678B1
KR101901678B1 KR1020170008324A KR20170008324A KR101901678B1 KR 101901678 B1 KR101901678 B1 KR 101901678B1 KR 1020170008324 A KR1020170008324 A KR 1020170008324A KR 20170008324 A KR20170008324 A KR 20170008324A KR 101901678 B1 KR101901678 B1 KR 101901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tooth
guard
lingual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561A (ko
Inventor
이영준
이민석
이화정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17000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6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가드 및 상기 내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한 브라켓 장치가 위치하는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Temporomandibular Joint Balancing Appli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본 발명은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경추가 최대한 정상위치로 정렬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치아 교정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도 치아의 손상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턱관절의 불균형은 외적 충격이나 음식물을 한 편으로만 씹는 편작, 이갈이,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발생하며, 침을 삼키는 일상적인 동작에 의하여도 발생할 수 있다.
현재 턱관절의 중요성은 점점 더 크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와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턱관절 교정 패드나 마우스피스, 교정용 장치 등 다수의 턱관절 보호 장치들이 발명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미국 특허등록 제5,259,762호의 'ORAL APPLIANCE', 제5,624,257호의 'ORAL APPLIANCE'는 치아를 고정하는 외측 가드가 베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장치의 착용시 치아 고정력을 높일 수는 있으나, 치아에 과도한 압박을 가하여 통증을 유발하고, 착용감을 떨어지게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장치의 착용 도중 턱관절을 사용하는 경우 치아의 이동이나 손상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턱관절 균형 장치는 치아 교정 치료를 받지 않고 있는 일반적인 사용자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브라켓(braket) 등과 같은 치아 교정 장치를 장착하여 치아 교정 치료를 받고 있는 사용자는 착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특허 제5,259,762호 미국 특허등록 제5,624,2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브라켓(braket) 등과 같은 치아 교정 장치를 장착하여 치아 교정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착용할 수 있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균형을 유지시켜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경추가 최대한 정상위치로 정렬되도록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순측 및/또는 설측 브라켓 장치를 장착하였을 때 순측 및/또는 설측 브라켓 장치가 브라켓 삽입부에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가드 및 상기 내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한 브라켓 장치가 위치하는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측 가드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외측 가드 및 상기 하부 외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한 순측(脣側) 브라켓 장치가 위치하는 순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가드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하부 내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한 설측(舌側) 브라켓 장치가 위치하는 설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사용자가 브라켓(braket) 등과 같은 치아 교정 장치를 장착하여 치아 교정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편안하게 착용하여 턱관절 불균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 사이에 삽입되어 턱관절의 불균형을 중심균형위치로 재위치 시켜줌으로써 턱관절의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경추가 최대한 정상위치로 정렬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순측 및/또는 설측 브라켓 장치를 장착하였을 때 순측 및/또는 설측 브라켓 장치가 브라켓 삽입부에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며, 브라켓 보철물로부터 입술이나 혀에 가해지는 부정적 자극이나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또한 상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사용자가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순측(脣側) 브라켓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설측(舌側) 브라켓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모습이다.
도 3은 치아의 윗니와 아랫니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B-B'선, C-C'선, D-D'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서 내측 가드를 제거한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B-B'선, C-C'선, D-D'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선, B-B'선, C-C'선, D-D'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 B-B'선, C-C'선, D-D'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치아 교정 치료는 단순히 비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히 하는 것을 포함하여 성장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골격적 부조화를 바로잡아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건강한 구강 조직 및 아름다운 얼굴 모습을 만들어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치아 교정 치료는 메탈,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브라켓(braket)을 와이어로 연결하여 형성한 브라켓 장치가 주로 사용된다. 브라켓 장치는 사용자의 치아의 윗니 및/또는 아랫니의 외측(사용자의 입술 방향)에 장착되는 순측(脣側) 브라켓 장치와 사용자의 치아의 윗니 및/또는 아랫니의 내측(사용자의 혀 방향)에 장착되는 설측(舌側) 브라켓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은 사용자가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순측(脣側) 브라켓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모습이고, 도 2는 사용자가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설측(舌側) 브라켓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모습이다.
한편, 사용자의 치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 중앙으로부터 안쪽 앞니, 가쪽 앞니, 송곳니, 첫째 작은 어금니, 둘째 작은 어금니, 첫째 큰 어금니, 둘째 큰 어금니, 셋째 큰 어금니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사용자가 전술한 순측 및/또는 설측 브라켓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도 턱관절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크게 사용자가 순측 및 설측 브라켓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순측 및 설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 제1 실시예, 사용자가 순측 브라켓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순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 제2 실시예, 및 사용자가 설측 브라켓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 제3 실시예를 들 수 있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순측 및 설측 브라켓 장치용)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A-A'선, B-B'선, C-C'선, D-D'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에서 내측 가드를 제거한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B-B'선, C-C'선, D-D'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100), 상기 받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가드(200), 및 상기 받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가드(300)를 포함한다.
받침부(100)는 전체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치아의 가장자리 부분(어금니 부분)이 넓은 것을 고려하여 착용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중앙 부분(앞니 부분)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100)는 치아 교합시 가장자리 부분이 받침부(100)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턱관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를 위하여 어금니가 닿는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앞니가 닿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하여 어금니가 앞니 보다 언제나 먼저 닿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받침부(100)의 상부는 윗니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윗니의 정상 위치에 따라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00)는 가장자리 부분의 좌측 및 우측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교정 목적에 따라서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와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차이가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 가드(200)는 사용자의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210)와 사용자의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220)로 형성된다.
상부 외측 가드(210)는 받침부(100)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윗니 안착 시 윗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외측 가드(21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윗니 외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외측 가드(210)에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윗니에 장착된 순측(脣側) 브라켓 장치가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부 순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부 외측 가드(210)는 상부 외측 가드(2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상부 순측 돌출부(212)를 포함하고, 상부 외측 가드(210)와 상부 순측 돌출부(2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상부 순측 브라켓 삽입부)에 사용자의 윗니에 장착된 순측 브라켓 장치가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상부 외측 가드(210)와 상부 순측 돌출부(212)가 순측 브라켓 장치를 안정하게 감싸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상부 외측 가드(210)는 사용자의 윗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순측 개별 브라켓을 가로지르도록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상부 순측 중앙 돌출부(214)를 포함하며, 그리고 순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순측 중앙 돌출부(214)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214a)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외측 가드(210)는 사용자의 윗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순측 개별 브라켓을 포위하는 형태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상부 순측 보조 돌출부(216)를 포함하며, 그리고 순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순측 보조 돌출부(216)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216a)을 포함한다.
전술한 상부 순측 중앙 돌출부(214)와 와이어 가이딩 홈(214a) 및 상부 순측 보조 돌출부(216)와 와이어 가이딩 홈(216a)은 하나의 턱관절 균형 장치에 함께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부 외측 가드(220)는 받침부(100)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아랫니 안착 시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외측 가드(22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아랫니 외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외측 가드(220)에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아랫니에 장착된 순측(脣側) 브라켓 장치가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부 순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하부 외측 가드(220)는 하부 외측 가드(220)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하부 순측 돌출부(222)를 포함하고, 하부 외측 가드(220)와 하부 순측 돌출부(2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하부 순측 브라켓 삽입부)에 사용자의 아랫니에 장착된 순측 브라켓 장치가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하부 외측 가드(220)와 하부 순측 돌출부(222)가 순측 브라켓 장치를 안정하게 감싸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하부 외측 가드(220)는 사용자의 아랫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순측 개별 브라켓을 가로지르도록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하부 순측 중앙 돌출부(224)를 포함하며, 그리고 순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순측 중앙 돌출부(224)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224a)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외측 가드(220)는 사용자의 아랫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순측 개별 브라켓을 포위하는 형태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하부 순측 보조 돌출부(226)를 포함하며, 그리고 순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순측 보조 돌출부(226)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226a)을 포함한다.
전술한 하부 순측 중앙 돌출부(224)와 와이어 가이딩 홈(224a) 및 하부 순측 보조 돌출부(226)와 와이어 가이딩 홈(226a)은 하나의 턱관절 균형 장치에 함께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내측 가드(300)는 사용자의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310)와 사용자의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320)로 형성된다.
상부 내측 가드(310)는 받침부(100)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윗니 안착 시 윗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내측 가드(31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윗니 내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내측 가드(310)에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윗니에 장착된 설측(舌側) 브라켓 장치가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부 설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부 내측 가드(310)는 상부 내측 가드(3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상부 설측 돌출부(312)를 포함하고, 상부 내측 가드(310)와 상부 설측 돌출부(3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상부 설측 브라켓 삽입부)에 사용자의 윗니에 장착된 설측 브라켓 장치가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상부 내측 가드(310)와 상부 설측 돌출부(312)가 설측 브라켓 장치를 안정하게 감싸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상부 외측 가드(210)와 마찬가지로, 상부 내측 가드(310)는 사용자의 윗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설측 개별 브라켓을 가로지르도록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상부 설측 중앙 돌출부(미도시)를 포함하며, 그리고 설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설측 중앙 돌출부(미도시)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미도시)을 포함한다.
하부 내측 가드(320)는 받침부(100)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아랫니 안착 시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내측 가드(32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아랫니 내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내측 가드(320)에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아랫니에 장착된 설측(舌側) 브라켓 장치가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부 설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하부 설측 가드(320)는 하부 설측 가드(320)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하부 설측 돌출부(322)를 포함하고, 하부 내측 가드(320)와 하부 설측 돌출부(3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하부 설측 브라켓 삽입부)에 사용자의 아랫니에 장착된 설측 브라켓 장치가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하부 내측 가드(320)와 하부 설측 돌출부(322)가 설측 브라켓 장치를 안정하게 감싸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하부 내측 가드(320)는 사용자의 아랫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설측 개별 브라켓을 가로지르도록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하부 설측 중앙 돌출부(324)를 포함하며, 그리고 설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설측 중앙 돌출부(324)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324a)을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순측 브라켓 장치용)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A-A'선, B-B'선, C-C'선, D-D'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100'), 상기 받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가드(200'), 및 상기 받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가드(300')를 포함한다.
받침부(100')는 전체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치아의 가장자리 부분(어금니 부분)이 넓은 것을 고려하여 착용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중앙 부분(앞니 부분)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100')는 치아 교합시 가장자리 부분이 받침부(100')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턱관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를 위하여 어금니가 닿는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앞니가 닿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하여 어금니가 앞니 보다 언제나 먼저 닿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받침부(100')의 상부는 윗니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윗니의 정상 위치에 따라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00')는 가장자리 부분의 좌측 및 우측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교정 목적에 따라서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와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차이가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 가드(200')는 사용자의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210')와 사용자의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220')로 형성된다.
상부 외측 가드(210')는 받침부(100')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윗니 안착 시 윗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외측 가드(21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윗니 외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외측 가드(210')에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윗니에 장착된 순측(脣側) 브라켓 장치가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부 순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부 외측 가드(210')는 상부 외측 가드(2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상부 순측 돌출부(212')를 포함하고, 상부 외측 가드(210')와 상부 순측 돌출부(2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상부 순측 브라켓 삽입부)에 사용자의 윗니에 장착된 순측 브라켓 장치가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상부 외측 가드(210')와 상부 순측 돌출부(212')가 순측 브라켓 장치를 안정하게 감싸게 된다.
한편, 상부 외측 가드(2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상부 순측 중앙 돌출부와 와이어 가이딩 홈 및/또는 상부 순측 보조 돌출부와 와이어 가이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외측 가드(220')는 받침부(100')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아랫니 안착 시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외측 가드(22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아랫니 외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외측 가드(220')에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아랫니에 장착된 순측(脣側) 브라켓 장치가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부 순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하부 외측 가드(220')는 하부 외측 가드(220')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하부 순측 돌출부(222')를 포함하고, 하부 외측 가드(220')와 하부 순측 돌출부(2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하부 순측 브라켓 삽입부)에 사용자의 아랫니에 장착된 순측 브라켓 장치가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하부 외측 가드(220')와 하부 순측 돌출부(222')가 순측 브라켓 장치를 안정하게 감싸게 된다.
한편, 하부 외측 가드(22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하부 순측 중앙 돌출부와 와이어 가이딩 홈 및/또는 하부 순측 보조 돌출부와 와이어 가이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내측 가드(300')는 사용자의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310')와 사용자의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320')로 형성된다.
상부 내측 가드(310')는 받침부(100')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윗니 안착 시 윗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내측 가드(31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윗니 내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내측 가드(320')는 받침부(100')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아랫니 안착 시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내측 가드(32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아랫니 내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설측 브라켓 장치용)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3의 A-A'선, B-B'선, C-C'선, D-D'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는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100"), 상기 받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가드(200"), 및 상기 받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가드(300")를 포함한다.
받침부(100")는 전체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치아의 가장자리 부분(어금니 부분)이 넓은 것을 고려하여 착용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자리 부분의 폭이 중앙 부분(앞니 부분)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부(100")는 치아 교합시 가장자리 부분이 받침부(100")에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턱관절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어금니 부분의 충격 완화를 위하여 어금니가 닿는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앞니가 닿은 중앙 부분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하여 어금니가 앞니 보다 언제나 먼저 닿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받침부(100")의 상부는 윗니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윗니의 정상 위치에 따라 내측으로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00")는 가장자리 부분의 좌측 및 우측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교정 목적에 따라서 좌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와 우측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차이가 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 가드(200")는 사용자의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210")와 사용자의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220")로 형성된다.
상부 외측 가드(210")는 받침부(100")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윗니 안착 시 윗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외측 가드(21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윗니 외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외측 가드(220")는 받침부(100")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아랫니 안착 시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외측 가드(22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아랫니 외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가드(300")는 사용자의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310")와 사용자의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320")로 형성된다.
상부 내측 가드(310")는 받침부(100")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윗니 안착 시 윗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내측 가드(31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윗니 내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내측 가드(310")에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윗니에 장착된 설측(舌側) 브라켓 장치가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부 설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부 내측 가드(310")는 상부 내측 가드(3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상부 설측 돌출부(312")를 포함하고, 상부 내측 가드(310")와 상부 설측 돌출부(31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상부 설측 브라켓 삽입부)에 사용자의 윗니에 장착된 설측 브라켓 장치가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상부 내측 가드(310")와 상부 설측 돌출부(312")가 설측 브라켓 장치를 안정하게 감싸게 된다.
한편, 상부 내측 가드(3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상부 설측 중앙 돌출부와 와이어 가이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 내측 가드(320")는 받침부(100")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며, 사용자의 아랫니 안착 시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내측 가드(320")는 사용 시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내측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경사각은 아랫니 내측의 통상적인 경사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 내측 가드(320")에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해 사용자의 아랫니에 장착된 설측(舌側) 브라켓 장치가 안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부 설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된다. 예컨대, 하부 설측 가드(320")는 하부 설측 가드(320")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하부 설측 돌출부(322")를 포함하고, 하부 내측 가드(320")와 하부 설측 돌출부(3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하부 설측 브라켓 삽입부)에 사용자의 아랫니에 장착된 설측 브라켓 장치가 위치되어, 전체적으로 하부 내측 가드(320")와 하부 설측 돌출부(322")가 설측 브라켓 장치를 안정하게 감싸게 된다.
한편, 하부 내측 가드(32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를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하부 설측 중앙 돌출부와 와이어 가이딩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 100": 받침부 200, 200', 200": 외측 가드
210, 210', 210": 상부 외측 가드 212, 212': 상부 순측 돌출부
220, 220', 220": 하부 외측 가드 222, 222': 하부 순측 돌출부
300, 300', 300": 내측 가드 310, 310', 310": 상부 내측 가드
312, 312": 상부 설측 돌출부 320, 320', 320": 하부 내측 가드
322, 322": 하부 설측 돌출부

Claims (13)

  1. 치아의 윗니 및 아랫니가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가드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윗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 외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외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외측을 지지하는 하부 외측 가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외측 가드는, 상기 상부 외측 가드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치아의 윗니에 장착된 순측(脣側) 브라켓 장치를 감싸는 상부 순측 돌출부; 상기 치아의 윗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순측 개별 브라켓을 가로지르도록 치아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순측 중앙 돌출부; 상기 순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순측 중앙 돌출부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 상기 치아의 윗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순측 개별 브라켓을 포위하는 형태로 치아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순측 보조 돌출부; 및 상기 순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순측 보조 돌출부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외측 가드는,
    상기 하부 외측 가드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치아의 아랫니에 장착된 순측 브라켓 장치를 감싸는 하부 순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외측 가드는,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순측 개별 브라켓을 가로지르도록 치아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순측 중앙 돌출부; 및
    상기 순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순측 중앙 돌출부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외측 가드는,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순측 개별 브라켓을 포위하는 형태로 치아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순측 보조 돌출부; 및
    상기 순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순측 보조 돌출부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9. 제1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드는,
    상기 받침부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윗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받침부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내측을 지지하는 하부 내측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내측 가드 및 상기 하부 내측 가드 중 적어도 하나는 치아 교정 치료를 위한 설측(舌側) 브라켓 장치가 위치하는 설측 브라켓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내측 가드는,
    상기 상부 내측 가드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치아의 윗니에 장착된 설측 브라켓 장치를 감싸는 상부 설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내측 가드는,
    상기 치아의 윗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설측 개별 브라켓을 가로지르도록 치아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설측 중앙 돌출부; 및
    상기 설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설측 중앙 돌출부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내측 가드는,
    상기 하부 내측 가드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서 치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치아의 아랫니에 장착된 설측 브라켓 장치를 감싸는 하부 설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내측 가드는,
    상기 치아의 아랫니의 안쪽 앞니들에 각각 장착된 설측 개별 브라켓을 가로지르도록 치아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설측 중앙 돌출부; 및
    상기 설측 개별 브라켓을 연결하는 와이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설측 중앙 돌출부에 형성된 와이어 가이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20170008324A 2017-01-17 2017-01-17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90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24A KR101901678B1 (ko) 2017-01-17 2017-01-17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324A KR101901678B1 (ko) 2017-01-17 2017-01-17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561A KR20180084561A (ko) 2018-07-25
KR101901678B1 true KR101901678B1 (ko) 2018-09-27

Family

ID=63059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324A KR101901678B1 (ko) 2017-01-17 2017-01-17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6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85B1 (ko) 2020-03-17 2020-10-12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20220000810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20220000791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333B1 (ko) * 2018-12-18 2019-08-07 박미라 치아주위근육 정상 중립대 형성을 위한 개인 맞춤형 맹출유도와 골격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577A (ja) * 2007-12-25 2009-07-16 Nippon Dental Support:Kk 歯列矯正具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付勢力付与具
US20140352704A1 (en) * 2013-05-30 2014-12-04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for protecting the teeth of a us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66242C (en) 1989-09-06 2003-11-25 Christopher John Farrell An oral appliance
US5624257A (en) 1991-10-31 1997-04-29 Farrell; Christopher J. Oral applia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3577A (ja) * 2007-12-25 2009-07-16 Nippon Dental Support:Kk 歯列矯正具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付勢力付与具
US20140352704A1 (en) * 2013-05-30 2014-12-04 Christopher John Farrell Oral appliance for protecting the teeth of a us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585B1 (ko) 2020-03-17 2020-10-12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20220000810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20220000791A (ko)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561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678B1 (ko) 치아 교정 치료용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344394B1 (ko) 치아 교정 및 턱관절 균형 장치
KR101381485B1 (ko) 치아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CN105982743B (zh) 用于齿颚矫正治疗的牙用线材支持器以及矫正器
US5415542A (en) Orthodontic finishing appliance
US5752822A (en) Apparatus for relieving upper airway disorders and related problems
EP3388018B1 (e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US4637796A (en) Office fabricated, adjustable function regulator
JPH0710267B2 (ja) 筋肉拡張用の口腔保護器具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100883168B1 (ko) 턱관절 보호 기구
KR101637087B1 (ko) 경추 교정용 턱관절 균형 장치
BR102020011112A2 (pt) Dispositivos de retração dentária
JP2018505021A (ja) 高さ調節型スプリント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844663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KR200443404Y1 (ko) 턱관절 보정을 위한 구강내 장치
US20130337398A1 (en) Assembly Formed by a Bracket, a Clip and a Base for an Orthodontic Apparatus, and Orthodontic Apparatus Comprising Same
JP7105011B2 (ja) 顎角度保持用補助具及びこれを含む顎角度矯正装置
KR200461324Y1 (ko) 슬릿형 턱관절 균형 장치
US10357335B2 (en) Orthodontic appliances for correcting teeth irregularities and for retaining the position of teeth
KR101832856B1 (ko) 단계식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용 구강 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KR102098391B1 (ko) 근기능 교정장치
CA2392634A1 (en) A newly developed face bow and protraction headgear in correction of anterior openbite class iii patients
KR102285057B1 (ko) 턱관절 교정용 마우스피스
US20170290727A1 (en) Cervical trac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