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625B1 -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 Google Patents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625B1
KR102011625B1 KR1020190044413A KR20190044413A KR102011625B1 KR 102011625 B1 KR102011625 B1 KR 102011625B1 KR 1020190044413 A KR1020190044413 A KR 1020190044413A KR 20190044413 A KR20190044413 A KR 20190044413A KR 102011625 B1 KR102011625 B1 KR 102011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mouthpiece
sides
support
sn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석
신상남
Original Assignee
고영석
신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석, 신상남 filed Critical 고영석
Priority to KR102019004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턱걸이가 구비되어 마우스피스가 구강으로부터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하며, 턱걸이부를 유연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풀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하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치열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악지지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악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턱걸이부;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턱걸이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본 발명은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턱걸이가 구비되어 마우스피스가 구강으로부터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하며, 턱걸이부를 유연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풀리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하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에 인후부가 좁아지면서 호흡하는 공기가 기도로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고 주변을 진동켜 떨리는 소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코골이가 심해지면 수면을 하는 동안 신선한 공기가 뇌에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여 숙면을 취하기 어렵게 된다. 수면중에 코골이를 심하게 하면 낮동안 졸음과 피로감을 느끼며, 심한경우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 등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더 나아가 코골이는 주변사람들의 숙면에도 방해를 주기 때문에 단체생활을 힘들게 하고, 주변사람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심리적 압박감으로 인하여 주눅들게 만드는 등 여러 가지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유발하게 된다.
코골이는 대부분 밤에 잠을 자는 동안에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낮 시간에는 인후부 주변의 근육들이 긴장되거나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밤 시간에는 이들 근육들이 이완되면서 인후부 주변의 살이 늘어지기 때문이다.
코골이증상을 완하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특히 간단한 장치로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가 제시되고 있다.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0015호(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있다.
종래기술은 마우스피스를 입안에 장착하여 수면을 취하는 방식인데, 전방 측벽(421)과 하악 지아 지지부(460)가 입술과 치아 사이에 끼도록 하여 마우스피스가 수면 중에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이나 구조는 입을 조면만 벌려도 마우스피스가 구강으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마우스피스가 구강에 과도하게 견고하도록 고정되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어 오히려 숙면을 방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적당한 조건에서는 구강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구강에 장착된 마우스피스가 너무 쉽게 이탈하여 코골이방지의 효과를 누릴 수 없거나 매우 잠깐동안만 효과가 있을 뿐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종래기술은 마우스피스를 물고있어도 쉽게 입을 벌릴 수 있는데, 이는 하악을 전방으로 당겨주는 효과를 반감시켜 코골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떨어지거나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KR 10-2017-0030015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에 털걸이를 구비하여 상기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하악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털걸이는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쉽게 이탈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과도하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치열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악지지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악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턱걸이부;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턱걸이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봉과, 일단이 상기 연결봉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턱걸이부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연결띠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연결봉은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양측이 상기 바디부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바디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침이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연결띠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띠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이 상기 띠결합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턱걸이부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는 상기 띠결합홀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띠고정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띠는 상기 연결봉보다 연질로 구성되어 특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띠결합홀이 상기 연결봉보다 커지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턱걸이부는, 내측이 턱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구조를 가지는 턱안착부와 상기 턱안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턱의 하부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턱받이부와 상기 턱안착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턱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턱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턱받이부와 상기 턱지지부는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에 의하면 마우스피스가 하악이 벌어지는 것을 지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코골이방지효과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악을 고정하는 턱걸이부에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면 자동으로 탈락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과도하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의 연결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우스피스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의 연결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은 사용자가 입안에 착용하는 마우스피스(100)와, 사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걸이부(230) 및 상기 마우스피스(100)와 턱걸이부(230)를 연결하는 연결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우스피스(100)는 치열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성을 가지는 바디부(110)와,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악지지부(130)와, 상기 바디부(110)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악지지부(150) 및 상기 바디부(1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손잡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110)는 평판이 치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타측방향으로 가면서 넓어지도록 구성된다. 바디부(110)는 치아가 맞닿은 부분의 내측이 전부나 일부가 비어있고, 타측방향은 개방되어 V자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치아에 부담이나 무리를 주지 않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재질은 양악의 움직임이나 볼살의 움직임을 다소 편하게 해 주고, 치아에 부담이나 무리를 주지 않으며, 수면 중에 혀의 움직임도 편하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즉, 바디부(110)의 내측에 비어있는 공간에서 혀가 비교적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디부(110)의 내측에는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을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지지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113)는 바디부(110)보다 얇게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이 다소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하면서 내측에서 혀가 비교적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대(11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바디부(110)는 구강 속에서 양악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구성되어야 한다. 바디부(110)의 재질로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 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 상기의 재질 외에도 인체에 무해하고 유연하면서도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디부(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악지지부(130)와 하악지지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상악지지부(130)는 치아의 내·외측을 감싸면서 지지하는 것으로, 바디부(110)의 상부로 치열의 형상에 대응하게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치아의 내측을 지지하는 상부내측지지대(135)와 치아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부외측지지대(133)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부내측지지대(135)와 상부외측지지대(133)의 사이에 상악의 치아가 위치하게 된다. 하악지지부(150)는 바디부(110)의 하부로 치열의 형상에 대응하게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악지지부(130)와 마찬가지로 하부내측지지대(155)와 하부외측지지대(153)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내측지지대(155)와 하부외측지지대(153)의 사이에 하악의 치아가 위치하게 된다. 내측지지대(135, 155)와 외측지지대(133, 153) 사이의 간격은 치아와 잇몸이 충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은 사용자가 수면 중에 삼켜서 목으로 넘어가면 안되기 때문에 내측지지대(135, 155)는 비교적 낮고, 외측지지대(133, 153)는 높게 구성된다. 외측지지대(133, 153)는 치아와 입술 사이에 삽입되면서 장착되는 것으로 마우스피스(100)를 착용하였을 때 불편함을 주지 않는 한도 내에서 가급적 높게 구성되도록 하고, 끝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잇몸이나 입술의 내측 피부와 맞닿기 때문에 이들 피부에 상처나 무리를 주지않는 구조와 재질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지지대(135, 155)는 무의식적인 양악의 움직임에는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의 높이면 충분하며, 치아보다는 ㅉ짧게 구성하여 내측 잇몸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악지지부(130)와 하악지지부(150)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높이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고려하여 사용연령이나 구강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하악지지부(150)는 상악지지부(130) 보다 일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하악을 구강의 전방으로 당겨주어 기도를 넓혀주기 때문에 수면 중에 혀가 기도를 막아서 코골이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람의 구강구조는 상악이 하악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하악지지부(150)를 전방으로 돌출시키면 상기 하악이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가려고 하면서 구강에 삽입한 마우스피스(100)를 안쪽으로 당겨주게 된다. 그리하여 마우스피스(100)에 상악과 하악이 서로 엇갈리는 힙이 작용하여 상기 마우스피스(100)를 고정하는 효과도 있다.
상악지지부(130)와 하악지지부(150)는 바디부(110) 보다 경질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악지지부(130)와 하악지지부(150)는 바디부(110) 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중 사출을 할 수 있다. 다만, 상악지지부(130)와 하악지지부(150)가 바디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바디부(110)에는 길이방향(일측에서 타측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115)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15)은 마우스피스(100)를 구강에 착용한 상태에서 입안의 침이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관통홀(115)은 좌·우측방향으로 연통되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수면중에도 본능적으로 몸을 뒤척이게 되는데, 이는 동일한 자세로 계속해서 잠을 자면 바닥과 맞닿는 부분이 눌려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처럼 몸을 뒤척일 때마다 입 안의 침도 자연스럽게 좌우로 흐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 안의 침이 원활하게 유동하지 못하면 한 쪽으로 몰린 침이 입 밖으로 흘러내릴 수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은 바디부(110)의 좌우측으로 침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115)이 형성된다.
손잡이부(170)는 바디부(110)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마우스피스(100)를 구강에 착용하더라도 입술 밖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손잡이부(170)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00)를 구강에 장착하거나 제거할 때 잡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마우스피스(100)를 구강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턱걸이부(230)는 후술하여 설명할 연결유닛(200)에 의하여 마우스피스(100)와 연결되어 상기 마우스피스(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악이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턱걸이부(230)는 턱의 형상에 대응하는 턱안착부(235)와 상기 턱안착부(235)의 하부에 구비되어 턱의 하부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턱받이부(250)와 상기 턱안착부(235)의 양측에 구비되어 턱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턱지지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턱안착부(235)는 턱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상기 턱과 맞닿는 내측이 오목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턱받이부(250)는 턱안착부(235)의 타측방향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턱의 하부에 걸리면서 피부를 자극하지 않도록 비교적 평편하거나 턱과 맞닿는 부분이 다소 오목하게 라운드지도록 구성된다. 턱지지부(240)는 상기 턱안착부(235)의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면서 수직으로 돌출되어 턱의 양측면을 지지한다. 턱지지부(240)의 내측으로 턱과 맞닿는 부분은 피부를 자극하거나 가압하지 않도록 상기 턱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이 오목하게 라운드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로 분리되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소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안착부(235)에 턱의 뽀족한 부분을 맞대고, 턱지지부(240)가 턱의 하부에 오도록 하여 착용한다.
한편, 턱안착부(235)의 양측으로 턱지지부(240)의 외측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연결띠(2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띠고정부(245)가 구비된다. 제2 띠고정부(245)는 후술하여 설명할 연결봉(190)의 제1 띠고정부(195)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제1 띠고정부(195)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턱받이부(250)와 턱지지부(240)는 도 4와 같이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유닛(200)은 마우스피스(100)와 턱걸이부(2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유닛(200)은 바디부(110)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봉(190)과, 일측이 상기 연결봉(19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타측이 턱걸이부(230)의 양측에 구비된 제2 띠고정부(245)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띠(210)로 구성된다.
연결봉(190)은 바디부(11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연결봉(190)은 일정한 길이의 막대봉 형상으로 구성되어 바디부(110)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양측이 상기 바디부(110)의 양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연결봉(190)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봉(19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봉이나 막대모양으로 구성되고, 바디부(110)에는 상기 연결봉(190)보다 다소 작은 결합홀(미도시)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190)이 결합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봉(190)이 바디부(110)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된 연결봉(190)의 양측에 후술하여 설명할 연결띠(210)를 결합하면 상기 연결띠(210)가 피부로부터 다소 이격된 상태로 구강에 장착할 수 있다. 연결봉(190)은 견고하면서도 취성이 지나치게 높지 않고 다소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막대모양의 양단에 외력이 가해지면 일부가 휘어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복원되도록 구성하여 연결띠(210)와 함께 마우스피스(100)를 지지할 때 착용자의 입과 턱 사이의 거리에 능동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봉(190)의 양측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연결띠(2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띠고정부(195)가 구비된다. 제1 띠고정부(195)는 연결봉(190)의 다른 부분보다 가늘게 형성된 띠안착부(193)와, 상기 띠안착부(193)의 외측에 연결띠(210)가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구체 또는 반구체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구성되며 상기 띠안착부(193)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걸림턱(19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 띠고정부(19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후술하여 설명할 연결띠(21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봉(190)은 경질이면서도 외력을 받으면 일부 휘어지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띠(210)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일측이 연결봉(190)의 제1 띠고정부(19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턱걸이부(230)의 양측에 구비된 제2 띠고정부(12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띠(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띠결합홀(2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띠결합홀(215)에 연결봉(190)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바디부(110)와 턱걸이부(230)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띠결합홀(215)은 전술하여 설명할 띠안착부(193)와 동일하거나 다소 크게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190) 또는 띠안착부(193)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94)보다는 다소 작게 구성된다. 연결띠(210)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띠결합홀(215)에 외력을 가하여 연결봉(190)을 삽입하면 상기 띠결합홀(215)이 탄성변형 및 확장되면서 삽입된다. 그리고 띠결합홀(215)이 띠안착부(193) 보다는 다소 크고 연결봉(190) 또는 걸림턱(194) 보다는 작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띠(210)가 상기 연결봉(19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는 쉽게 회동하면서도 외측으로 쉽게 빠지지는 않는 결합구조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의 사용방법이나 상태를 살펴보면, 마우스피스(100)를 구강에 삽입하여 양악 사이에 물고, 턱걸이부(230)를 턱에 걸어서 사용한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턱걸이부(230)는 연결유닛(200)에 의하여 마우스피스(10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닛(200)의 연결띠(210)를 조절하여 턱걸이부(230)와 마우스피스(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1 띠고정부(195)와 제2 띠고정부(245) 사이의 거리를 구강과 턱 사이의 거리보다 다소 짧게 하여 마우스피스(100)와 턱걸이부(230)를 착용하면 연결봉(190)의 탄성력과 연결띠(2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착용자에게 큰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도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은 착용자가 수면 중에도 답답함을 느껴서 무의식적으로 제거하는 행동을 하는 경우에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즉, 임의로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견고하게 고정되지만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임의로 가해지면 쉽게 제거되어 사용자의 숙면을 방해하거나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면 중에 답답함이나 불편함을 느껴서 턱걸이부(230) 또는 연결유닛(200)을 당기면 연결띠(210)가 연결봉(19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봉(190)은 탄성력을 가지는 막대모양의 봉이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마우스피스(100)의 바디부(110)는 연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연결봉(190)의 양측이 아래로 일부 쳐지면서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띠(200)도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일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연결봉(190)이 아래로 처지면서 외측으로 밀려서 쉽게 빠질 수가 있다. 연결띠(210)가 연결봉(190)으로부터 이탈하면 턱걸이부(230)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마우스피스 110: 바디부
113: 지지대 130: 상악지지부
133: 상부외측지지대 135: 상부내측지지대
150: 하악지지부 153: 하부외측지지대
155: 하부내측지지대 170: 손잡이부
190: 연결봉 193: 띠안착부
194: 걸림턱 195: 제1 띠고정부
200: 연결유닛 210: 연결띠
215: 띠결합홀 230: 턱걸이부
235: 턱안착부 240: 턱지지부
245: 제2 띠고정부 250:턱받이부

Claims (8)

  1. 치열의 형상에 대응되는 구성을 가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악지지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악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턱걸이부;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턱걸이부를 연결하는 연결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봉과, 일단이 상기 연결봉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턱걸이부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연결띠로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바디부의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양측이 상기 바디부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코골이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침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띠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띠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이 상기 띠결합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바디부와 상기 턱걸이부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의 양단에는 상기 띠결합홀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띠고정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띠는 상기 연결봉보다 연질로 구성되어 특정수준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띠결합홀이 상기 연결봉보다 커지도록 변형되면서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턱걸이부는,
    내측이 턱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한 구조를 가지는 턱안착부와 상기 턱안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턱의 하부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턱받이부와 상기 턱안착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턱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턱지지부로 구성되는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턱받이부와 상기 턱지지부는 이격되도록 구성된는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KR1020190044413A 2019-04-16 2019-04-16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KR102011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13A KR102011625B1 (ko) 2019-04-16 2019-04-16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413A KR102011625B1 (ko) 2019-04-16 2019-04-16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625B1 true KR102011625B1 (ko) 2019-08-16

Family

ID=6780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413A KR102011625B1 (ko) 2019-04-16 2019-04-16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40A (ko) 2020-01-23 2021-08-02 서울대학교병원 자동 하악 전방 이동 장치
KR102306423B1 (ko) 2020-11-26 2021-09-28 황병열 강도와 품질이 우수한 경량 콘크리트 데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00810A (ko) *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20230023900A (ko) * 2021-08-11 2023-02-20 이동훈 이갈이 방지 가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053Y1 (ko) * 2004-12-03 2005-04-19 이종대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KR101133537B1 (ko) * 2011-11-24 2012-04-09 김희윤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KR101235888B1 (ko) * 2012-07-24 2013-02-21 김희윤 코골이 방지부재
KR20170030015A (ko) 2015-09-08 2017-03-16 고영석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053Y1 (ko) * 2004-12-03 2005-04-19 이종대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KR101133537B1 (ko) * 2011-11-24 2012-04-09 김희윤 자가 맞춤형 코골이 방지장치
KR101235888B1 (ko) * 2012-07-24 2013-02-21 김희윤 코골이 방지부재
KR20170030015A (ko) 2015-09-08 2017-03-16 고영석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440A (ko) 2020-01-23 2021-08-02 서울대학교병원 자동 하악 전방 이동 장치
KR102455342B1 (ko) 2020-01-23 2022-10-18 서울대학교병원 자동 하악 전방 이동 장치
KR20220000810A (ko) * 2020-06-26 2022-01-04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382847B1 (ko) * 2020-06-26 2022-04-08 류성훈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2306423B1 (ko) 2020-11-26 2021-09-28 황병열 강도와 품질이 우수한 경량 콘크리트 데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23900A (ko) * 2021-08-11 2023-02-20 이동훈 이갈이 방지 가드
KR102597883B1 (ko) * 2021-08-11 2023-11-02 이동훈 이갈이 방지 가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625B1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JP7296370B2 (ja) 口腔訓練器具
US7857831B2 (en) Lip closing tool
US5666973A (en) Device to reduce or prevent night clenching and grinding of teeth and snoring
US6470886B1 (e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headgear
AU2012350369B2 (en) Oral sleep apnoea device
US20100311008A1 (en) Oral tongue positioning device
KR100596129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US2880509A (en) Dental appliance
JP2010264090A (ja) いびき又は無呼吸症候群改善用マウスピース
US9492310B2 (en) Adjustable tongue retaining oral appliance
KR101922091B1 (ko)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US20120031411A1 (en) Oral appliance
KR20150019340A (ko)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EP0982013A1 (en) Device to prevent snoring
US20230131956A1 (en) Anti-snoring device
CN212973217U (zh) 止鼾设备
KR102483879B1 (ko) 코골이 방지기구
JPS6013460Y2 (ja) いびき防止器
JP3228155U (ja) タック付き衛生マスク
US11096821B2 (en) System and method of tongue and jaw stabilization
JP3193717U (ja) Tch防止具
JP2000139984A (ja) いびき抑制装置
JPH0674121U (ja) 口開放就寝癖防止顎枕パート2
JP2005000327A (ja) 口腔装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