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091B1 -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 Google Patents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091B1
KR101922091B1 KR1020160124041A KR20160124041A KR101922091B1 KR 101922091 B1 KR101922091 B1 KR 101922091B1 KR 1020160124041 A KR1020160124041 A KR 1020160124041A KR 20160124041 A KR20160124041 A KR 20160124041A KR 101922091 B1 KR101922091 B1 KR 10192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curved
upper dental
insertion housing
se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038A (ko
Inventor
함종욱
Original Assignee
함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종욱 filed Critical 함종욱
Priority to KR102016012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0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4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치열이 안착되는 상악치열안착부재의 하부내측중앙부에 혀삽입 하우징부를 형성하여 혀가 혀삽입 하우징부에 삽입되어 상악치열의 중앙인 입천정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하여 상,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려 발생되는 이갈이습관을 방지하고 코골이방지 및 발음교정을 하도록 한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는; 상악치열에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를 형성한 상악치열 안착부재(10)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 혀의 선단 및 외측둘레가 삽입 및 이탈되는 혀삽입 하우징부(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 housing for correcting the bruxism habits}
본 발명은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악치열안착부재의 하부내측중앙부에 혀삽입 하우징부를 형성하여 혀가 혀삽입 하우징부에 삽입되어 상악치열의 중앙인 입천장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하여 상,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려 발생되는 이갈이습관을 방지하고 코골이방지 및 발음교정을 하도록 한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갈이란 특별한 목적 없이 윗니와 아랫니를 맞대고 치아끼리 갈아대는 행위를 말한다.
또한, 이갈이는 이 악물기, 잘못된 혀의 위치, 구호흡(입으로 숨을 쉬는 것)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이갈이는 코골이와 마찬가지로 불쾌한 소리를 유발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고통을 줄뿐만 아니라, 본인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갈이는 그 소리로 인해 주위 사람들의 수면을 방해하고 정신적인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갈이가 반복적으로 진행되게 되면 턱을 움직이는 근육들이 반복적으로 비정상적인 힘을 많이 받게 되고, 이로 인해 근육에 묵직하고 뻣뻣한 느낌이나 통증이 발생 될 수 있고, 이갈이로 인한 턱이 뒤로 이동하여 최후방 치아만 닿고 그 외의 치아들이 닿지 않는 개방교합으로 인한 턱교정수술 및 교정치료를 하거나 하악을 견인하는 장치를 이용해서 턱의 위치를 되돌리는 치료를 요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악치열에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0a)를 형성한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의 외측둘레 일측 및 타측에 상기 하악치열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상부 외측 이탈방지턱(200a)과, 하악치열에 안착되도록 하부안착부(110b)을 형성한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와, 상기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의 내측둘레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상악치열이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하부 내측 이탈방지턱(200b)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갈이를 방지하는 치과장치는 상기 상부 외측 이탈방지턱(200a)을 갖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를 상악치열에 끼우고 상기 하부 내측 이탈방지턱(200b)를 갖는 상기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를 하악치열에 끼워야만 상,하악 치열이 맞닿지 않아 이갈이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이갈이를 방지하여 치아의 마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하악치열에 상기 상부외측 이탈방지턱(200a)을 갖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와, 상기 하부 내측 이탈방지턱(200b)를 갖는 상기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를 항상 상악 또는 하악치열에 장착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54234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악치열이 안착되는 상악치열안착부재의 하부내측중앙부에 혀삽입 하우징부를 형성하여 혀가 혀삽입 하우징부에 삽입되어 상악치열의 중앙인 입천장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하여 상,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려 발생되는 이갈이습관을 방지하고 코골이방지 및 발음교정을 하도록 한 새로운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는;
상악치열에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를 형성한 상악치열 안착부재(10)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 혀의 선단 및 외측둘레가 삽입 및 이탈되는 혀삽입 하우징부(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형성된 하부 만곡받침부(21)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의 상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서 상부로 만곡된 상부 만곡받침부(22)로 형성되어 혀가 삽입되게 혀삽입 하우징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는 띠형태로 만곡 형성된 만곡띠부(22a)와, 혀의 일부가 입천장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만곡띠부(22a)의 내측에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22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는 혀의 선단 1/4의 하부면적이 안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는 상악치열 안착부재(10a)의 하부 내측중앙부 하부에 형성된 하부받침턱(21a)과, 상기 하부받침턱(21a)의 상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a)의 하부 내측중앙부에서 상부로 만곡된 상부 만곡받침부(22)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는 띠형태로 만곡 형성된 만곡띠부(22a)와, 혀의 일부가 입천장에 닿을 있도록 상기 만곡띠부(22a)의 내측에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22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턱(21a)은 혀의 선단 1/8의 하부면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악치열이 안착되는 상악치열안착부재의 하부내측중앙부에 혀삽입 하우징부를 형성하여 혀가 혀삽입 하우징부에 삽입되어 상악치열의 중앙인 입천장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하여 상,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려 발생되는 이갈이습관을 방지하고 코골이방지 및 발음교정을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이갈이 치료 목적의 장치는 장치를 장착하고 있을 때만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혀삽입 하우징부에 혀를 삽입 고정하여 혀가 입천장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악치열에 상악치열 안착부재를 안착하여 상,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하게 하는 과정을 6개월 이상 지속하면 이갈이 습관이 개선되어 이후에는 더 이상 장치를 착용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혀삽입 하우징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도 4의 개략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이갈이방지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혀삽입 하우징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는 상악치열 안착부재(10)와, 혀삽입 하우징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그 내부에 상악치열이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안착부(11)는 상악치열이 안착되어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를 상기 상악치열에 안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이를 가는 습관을 갖은 사용자의 상악치열을 본떠서 레진으로 형성되거나 3D 스캐너로 상악치열을 스캔해서 레진으로 형성되어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2년 이상 장기간 사용 시 또는 사용자가 레진에 대한 과민증이 있는 경우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 혀의 선단 및 외측둘레가 삽입 및 이탈되게 형성된다.
즉, 혀의 선단이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혀의 선단이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의 내부에서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형성된 하부 만곡받침부(2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의 상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서 상부로 만곡된 상부 만곡받침부(22)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는 띠형태로 만곡 형성된 만곡띠부(22a)와, 혀의 일부가 입천장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만곡띠부(22a)의 내측에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22b)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혀의 일부가 입천장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만곡띠부(22a)의 내측에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22b)로 형성되는 것은;
혀의 선단이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의 상부 사이에 삽입 시, 혀의 선단의 상부가 입천장에 맞닿아 혀를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의 상부 사이에 삽입 시 혀가 좀 더 편안하게 삽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는 혀의 선단 1/4의 하부면적이 안착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는 혀의 선단 1/4의 하부면적이 안착되게 형성되는 것은 혀의 선단 1/4이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의 상부 사이에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삽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인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의 상부 사이에 혀의 선단이 삽입되어 이를 갈 경우 하악치열의 앞니들이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의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의 외측면에 맞닿아 상악치열의 어금니와 하악치열의 어금니를 서로 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가져 이를 갈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혀가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에 삽입되게 되면 상악치열의 어금니와 하악치열의 어금니가 서로 떨어지게 될 경우 입술을 닫아 코로 숨을 쉬는 것이 용이하다.
취침 전에 상악치열에 안착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에 혀를 삽입하여 취침하게 되면 이갈이를 방지하고 이갈이로 인한 이마모 및 코골이를 방지하고, 발음 또한 교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로 구성된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를 구비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6개월 이상 상악치열에 안착하고 혀를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사이에 삽입하여 이갈이 습관을 교정하여 이갈이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는 상악치열 안착부재(10a)의 하부 내측중앙부 하부에 형성된 하부받침턱(21a)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받침턱(21a)의 상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a)의 하부 내측중앙부에서 상부로 만곡된 상부 만곡받침부(22)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는 띠형태로 만곡 형성된 만곡띠부(22a)와, 혀의 일부가 입천장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만곡띠부(22a)의 내측에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22b)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혀의 선단이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받침턱(21a)의 상부 사이에 삽입 시, 혀의 선단의 상부가 입천장에 맞닿아 혀를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받침턱(21a)의 상부 사이에 삽입 시 혀가 좀더 편안하게 삽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하부받침턱(21a)은 혀의 선단 1/8의 하부면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받침턱(21a)은 혀의 선단 1/8의 하부면이 안착되게 형성되는 것은 혀의 선단 1/8이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받침턱(21a)의 상부 사이에 삽입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인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받침턱(21a)의 상부 사이에 혀의 선단이 삽입되어 이를 갈 경우 하악치열의 앞니들이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의 상기 하부 받침턱(21a)의 외측면에 맞닿아 상악치열의 어금니와 하악치열의 어금니를 서로 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가져 이를 갈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혀가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에 삽입되게 되면 상악치열의 어금니와 하악치열의 어금니가 서로 떨어지게 될 경우 입술을 닫아 코로 숨을 쉬는 것이 용이하다.
취침 전에 상악치열에 안착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 또는 10a)의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에 혀를 삽입하여 취침하게 되면 이갈이를 방지하고 이갈이로 인한 코골이 및 이마모를 방지하고, 발음 또한 교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 또는 하부 받침턱(21a)으로 구성된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를 구비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 또는 10a)는;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의 하부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 또는 하부받침턱(21a)으로 구성된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를 구비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 또는 10a)를 6개월 이상 취침 시 사용하여 이갈이 습관이 교정되고 난 다음에는 본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이갈이를 개선하게 된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상악치열안착부재(10 또는 10a)의 하부내측중앙부에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를 형성하여 혀가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에 삽입되어 상악치열의 중앙인 입천장 중앙에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리지 않도록 하여 상,하악치열이 서로 맞물려 발생되는 이갈이습관을 방지하고 코골이방지 및 발음교정을 하도록 한 이갈이 습관교정을 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10a: 상악치열안착부재 11: 상부안착부
20,: 혀삽입 하우징부 21: 하부 만곡받침부
21a: 하부 받침턱 22: 상부 만곡받침부
22a: 만곡띠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상악치열에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를 형성한 상악치열 안착부재(10)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 혀의 선단 및 외측둘레가 삽입 및 이탈되는 혀삽입 하우징부(20)가 형성되되,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형성된 하부 만곡받침부(21)와,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의 상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서 상부로 만곡되며 상부 만곡받침부(22)는 띠형태로 만곡 형성된 만곡띠부(22a)와, 혀의 일부가 입천정에 닿을 있도록 상기 만곡띠부(22a)의 내측에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22b)로 구성된 상부 만곡받침부(22)로 형성되어 혀가 삽입되게 혀삽입 하우징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만곡받침부(21)는 혀의 선단 1/4의 하부면적이 안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혀삽입 하우징부(20)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 하부에 형성된 하부받침턱(21a)과, 상기 하부받침턱(21a)의 상부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 내측중앙부에서 상부로 만곡된 상부 만곡받침부(22)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만곡받침부(22)는 띠형태로 만곡 형성된 만곡띠부(22a)와, 혀의 일부가 입천장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만곡띠부(22a)의 내측에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22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턱(21a)은 혀의 선단 1/8의 하부면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KR1020160124041A 2016-09-27 2016-09-27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KR10192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41A KR101922091B1 (ko) 2016-09-27 2016-09-27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041A KR101922091B1 (ko) 2016-09-27 2016-09-27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38A KR20180034038A (ko) 2018-04-04
KR101922091B1 true KR101922091B1 (ko) 2018-11-27

Family

ID=6197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041A KR101922091B1 (ko) 2016-09-27 2016-09-27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91B1 (ko) * 2018-10-23 2020-04-07 박동신 근기능 교정장치
KR102388578B1 (ko) * 2020-02-14 2022-06-17 주식회사 함바이오텍 혀 훈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9566A (zh) * 2013-12-27 2015-07-01 林彦璋 气流干扰式的通鼻止鼾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9566A (zh) * 2013-12-27 2015-07-01 林彦璋 气流干扰式的通鼻止鼾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38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7786B2 (en) Oral training appliance
JP2019103853A (ja) 下顎前突症のiii級の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口腔用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562106A (en) Dental appliance for relief of sno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536168A (en) Mouth worn apparatus, a method for treating jaw and teeth malformation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snoring
JP4597702B2 (ja) 口唇閉鎖具
KR102029965B1 (ko)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US9375289B1 (en) Intra-oral device
JP6006291B2 (ja) 機能的歯牙顔面整形外科装置
WO2005000142A3 (en) Sleep appliance
US20140332011A1 (en) Oral sleep apnoea device
KR200443403Y1 (ko) 치아 보호용 장치
US9192455B1 (en) Oral appliances and methods of making oral appliances
US20180325721A1 (en) Dental aligner, method of production, and orthosis comprising such an aligner
JP2014133016A (ja) マウスピース型いびき又は睡眠時無呼吸症防止具
JP2013106811A (ja) 軟口蓋安定器
KR102088942B1 (ko) 이갈이 방지구
KR101922091B1 (ko)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JP2010264090A (ja) いびき又は無呼吸症候群改善用マウスピース
US11607336B2 (en)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US20120031410A1 (en)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US11166839B2 (en) Passive tongue retention device
KR101877839B1 (ko) 이갈이억제용 장치
US11712365B2 (en) Oral appliance
US20150238347A1 (en) Dental sleep appliance
JP3193717U (ja) Tch防止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