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340A -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340A
KR20150019340A KR20130096090A KR20130096090A KR20150019340A KR 20150019340 A KR20150019340 A KR 20150019340A KR 20130096090 A KR20130096090 A KR 20130096090A KR 20130096090 A KR20130096090 A KR 20130096090A KR 20150019340 A KR20150019340 A KR 20150019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fastening part
engaging portion
infant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을수
Original Assignee
김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을수 filed Critical 김을수
Priority to KR20130096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340A/ko
Publication of KR2015001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0Devices for preventing finger-su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 A61F2005/0167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adjus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손가락 빨기를 방지하기 위해 유아의 엄지손가락에 감싸 착용하는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손가락 중 유아가 가장 많이 빨고 있는 엄지손가락에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본 발명의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를 단단히 감싸 착용할 수 있고, 유아의 연령 및 성장발육 차에 따른 손가락 반경 사이즈 크기에 맞추어 반경 조절이 가능한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device for preventing thumb-sucking}
본 발명은 유아의 엄지손가락를 감싸도록 착용하여 유아의 손가락 빨기를 방지하기 위한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아의 엄지손가락를 감싸 착용하여 유아의 손가락 빨기를 방지하기 위한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손가락 중 유아가 가장 많이 빨고 있는 엄지손가락에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를 감싸 착용하고, 유아의 연령 및 성장발육 차이에 따른 손가락 사이즈에 맞추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누구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손가락을 빠는 습관이 있다. 연구에 의하면 손가락 빨기는 약 1세에서 40퍼센트, 5세 정도에서 20퍼센트, 10세에 5퍼센트의 어린이에게서 나타나는 버릇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손가락 빠는 버릇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자연히 사라지지만 늦게까지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손가락을 빠는 습관은 턱뼈와 치아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고, 음식을 씹고 숨쉬는 것에 대한 지장 초래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얼굴형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아는 손가락을 빠는 것을 통해 기쁨이나 따뜻함, 만족감, 긴장감이 없는 편안함을 경험하며, 두려움을 느끼거나 배가 고플 때, 졸릴 때 혹은 불쾌할 때 등 여러 불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손가락을 빨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지나치게 손가락 빠는 것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유아에게 심리적으로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으로, 유아에게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면서도 손가락 빨기의 지속성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은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전통적으로 일반 가정에서 손가락 빠는 버릇을 교정하기 위해서, 손가락에 반창고 등을 감싸는 방법, 손가락에 쓴맛이 나는 약을 발라놓는 방법, 고무젖꼭지를 대용하는 방법, 취침 중에 장갑과 같은 것을 씌워 놓는 방법 등 여러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유아에게 지나치게 스트레스를 주게 되거나 위생에 문제가 있는 등 소기의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손가락 빨기 습관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251645호(2001년10월 10일 등록)의 '손가락 흡입 방지장치'를 포함한 많은 기구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손가락 흡입방지장치는,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삽입되는 흡입구의 반경이 일률 고정적으로 제작됨으로써, 연령 및 신체조건에 따라 손가락 굵기 각기 다른 유아가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손가락 흡입방지장치는, 유아의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흡입구가 완전히 밀폐되어 통풍이 되지 않음으로써 유아의 침이 흡입구 내부로 침투될 경우, 사용자인 유아의 엄지손가락 살갗이 짓무르거나 헐게 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초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는 종래의 손가락 흡입방지장치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삽입되는 흡입구의 반경이 일률 고정적으로 제작됨으로써, 연령 및 신체조건에 따라 손가락 굵기 각기 다른 유아가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유아의 엄지 손가락이 삽입되는 흡입구가 완전히 밀폐되어 통풍이 되지 않음으로써 유아의 침이 흡입구 내부로 침투될 경우, 사용자인 유아의 엄지손가락 살갗이 짓무르거나 각종 피부 질환의 유발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해결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는 상기와 같은 종래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싸면서 착용하는 손가락착용부(1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일단부에 연장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끼움돌기(20a)가 돌출형성되는 제1체결부(2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타단부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20a)가 대응 삽입되는 끼움공(30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와 결착하는 제2체결부(30); 및, 상기 제1체결부(20)의 상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 및 제2체결부(30)의 결착시 상기 제1체결부(20)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끼움돌기(20a)의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30)는 상기 손가락착용구(10)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연장형성함으로써, 유아의 손가락 크기에 따라 손가락착용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먼저, 유아의 엄지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착용부를 제1,2체결부로 고정 결착하고, 제1체결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끼움체를 제1체결부의 끼움움돌기에 체결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손가락착용부를 유아의 엄지손가락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손가락착용부의 타단부에 다수의 제2체결부를 길이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연령 및 성장발육 차에 따른 손가락 반경 사이즈 크기에 맞추어 반경 조절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착용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길이조절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유아의 손가락 빨기를 방지하기 위해 유아의 엄지손가락에 감싸 착용하는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손가락 중 유아가 가장 많이 빨고 있는 엄지손가락에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본 발명의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를 단단히 감싸 착용할 수 있고, 유아의 연령 및 성장발육 차에 따른 손가락 반경 사이즈 크기에 맞추어 반경 조절이 가능한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착용상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길이조절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 유아의 엄지손가락을 감싸면서 착용하는 손가락착용부(1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일단부에 연장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끼움돌기(20a)가 돌출형성되는 제1체결부(2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타단부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20a)가 대응 삽입되는 끼움공(30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와 결착하는 제2체결부(30); 및, 상기 제1체결부(20)의 상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 및 제2체결부(30)의 결착시 상기 제1체결부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끼움공(30a)에 삽입 돌출된 끼움돌기(20a)의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체(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싸 착용하는 손가락착용부(1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일단부에 연장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끼움돌기(20a)가 돌출형성되는 제1체결부(2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타단부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20a)가 대응 삽입되는 끼움공(30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와 결착하는 제2체결부(30); 상기 제1체결부(20)의 상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 및 제2체결부(30)의 결착시 상기 제1체결부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끼움돌기의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체;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하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쪽을 감싸고, 내부에 관통공(50a)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50); 상기 제1연결부(50)와 대칭되게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하부 타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0a)에 대응 삽입하도록 돌출되고 내부가 관통된 제1고정돌기(60a)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50)와 결착하는 제2연결부(60); 상기 제1체결부(2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손가락의 측면을 감싸며, 내부가 관통된 제2고정돌기(70a)가 형성되는 제3연결부(70); 및, 상기 제1고정돌기(60a)와 상기 제2고정돌기(70a)에 끼워져 상호 결착된 상기 제1연결부(50)와 제2연결부(60) 및 상기 제3연결부(70)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밴드(8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손가락착용부(10)는 직사각형, 사다리꼴 또는 타원형상으로 제작되며, 유아의 엄지손가락에 유연하고 부드럽게 감쌀 수 있는 무독성의 실리콘재질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장공(10a)이 형성되며, 내면에는 다수의 돌기(10b)가 형성되는데, 상기 장공(10a)과 돌기(10b)는 유아의 엄지손가락에 상기 손가락착용부(10)가 완전히 밀착될 경우 손가락착용부(10)와 유아의 손가락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줌으로써, 유아의 침 또는 습한 기후에 의해 유아의 손가락에 공기가 통하지 않아 피부가 짓무르거나 이에 따른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우측단부에는 내부가 관통된 터널형상의 끼움돌기(20a)가 구비된 제1체결부(20)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죄측단부에는 상기 끼움돌기(20a)가 삽입 관통하는 끼움공(30a)이 구비된 제2체결부(30)가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20)의 상단부에는 상기 끼움돌기(20a)의 내부로 삽입 관통하는 바(bar)형상의 끼움체(40)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손가락착용부(10)는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의 엄지손가락의 일측에 제1체결부(20)를 고정하고 제2체결부(30)를 손가락의 외주로 한바퀴 돌려 다시 상기 제1체결부(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체결부(30)의 끼움공(30a)을 상기 제1체결부(20)의 끼움돌기(20a)에 끼워 상기 제1체결부(20) 및 제2체결부(30)를 상호 결착하며 이후, 상기 끼움체(40)를 제1체결부(20) 방향으로 휘어 상기 끼움돌기(20a) 내부로 관통시켜 상기 1체결부(20)에서 상기 제2체결부(30)가 빠지지 않도록 단단히 체결함으로써 상기 손가락착용부(10)를 유아의 엄지손가락에 감싸 단단히 고정한다.
즉, 상기 손가락착용부(10)는 제1체결부(20) 및 제2체결부(20)를 결착한 후, 제1체결부(20)의 끼움돌기(20a)에 끼움체(40)를 끼움으로써 유아의 엄지손가락에 밀착 고정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의 상기 제2체결부(30)는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죄측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하여 유아의 엄지손가락에 감싸 착용되는 손가락착용부(10)의 전체길이를 유아의 엄지손가락 반경 사이즈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나이와 신체발육 차에 따라 각기 다른 손가락 반경 사이즈를 갖는 다양한 연령의 유아에 적용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20)에 제2체결부(20)가 결착된 후, 제1체결부(20)의 끼움돌기(20a)에 상기 끼움체(40)가 끼워지는데, 상기 끼움체(40)의 일측부에는 걸림돌기(40a)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체(40)가 상기 끼움돌기(20a)에 체결시 상기 걸림돌기(40a)가 상기 끼움돌기(20a)를 관통하여 역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걸어주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는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하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유아)의 손바닥쪽을 감싸고, 내부에 적어도 2 이상의 관통공(50a)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50)와; 상기 제1연결부(50)와 대칭되게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하부 타측에 연장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0a)에 대응 삽입하도록 돌출되고 내부가 터널방식으로 관통된 제1고정돌기(60a)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50)와 결착하는 제2연결부(60)와; 상기 제1체결부(5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손가락의 측면을 감싸며, 내부가 관통된 제2고정돌기(70a)가 형성되는 제3연결부(70); 및 상기 제1고정돌기(60a)와 상기 제2고정돌기(70a)에 끼워져 상호 결착된 상기 제1,2연결부(50,60)와 상기 제3연결부(70)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밴드(8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1,2연결부(50,60) 및 제3연결부(70)는 상기 손가락착용부(10)가 유아의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도록 다시 한번 유아의 손에 상기 연결밴드(80)로 묶어주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는 유아의 손가락을 감싸는 손가락착용부(10)의 길이를 손가락반경에 맞추어 조절가능함으로써, 손가락 크기가 연령 및 신체크기에 따라 다양한 모든 유아에 적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길이조절에 따른 제1,2체결부(20,30)의 결착 후, 상기 끼움체(40)를 상기 제1체결부(20)의 끼움돌기(20a)에 체결함으로써, 간단 용이하게 체결하면서도 상기 손가락착용부(10)를 유아의 손가락에서 쉽게 분리할 수 없는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손가락착용부 20 : 제1체결부
30 : 제2체결부 40 : 끼움체
50 : 제1연결부 60 : 제2연결부
70 : 제3연결부 80 : 연결밴드

Claims (4)

  1.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싸면서 착용하는 손가락착용부(1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일단부에 연장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끼움돌기(20a)가 돌출형성되는 제1체결부(2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타단부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20a)가 대응 삽입되는 끼움공(30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와 결착하는 제2체결부(30); 및,
    상기 제1체결부(20)의 상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 및 제2체결부(30)의 결착시 상기 제1체결부(20)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끼움돌기(20a)의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체(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2. 사용자의 손가락을 감싸면서 착용하는 손가락착용부(1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일단부에 연장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끼움돌기(20a)가 돌출형성되는 제1체결부(2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타단부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끼움돌기(20a)가 대응 삽입되는 끼움공(30a)이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와 결착하는 제2체결부(30); 및,
    상기 제1체결부(20)의 상단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0) 및 제2체결부(30)의 결착시 상기 제1체결부(20) 방향으로 휘어져 상기 끼움돌기(20a)의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체(4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하부 일측에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쪽을 감싸고, 내부에 관통공(50a)이 형성되는 제1연결부(50);
    상기 손가락착용부(10)의 하부 타측에 상기 제1연결부(50)와 대칭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0a)에 대응 삽입하도록 돌출되고 내부가 관통된 제1고정돌기(60a)가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50)와 결착하는 제2연결부(60);
    상기 제1체결부(2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손가락의 측면을 감싸며, 내부가 관통된 제2고정돌기(70a)가 형성되는 제3연결부(70); 및,
    상기 제1고정돌기(60a)와 상기 제2고정돌기(70a)에 끼워져 상호 결착된 상기 제1,2연결부(50,60)와 상기 제3연결부(70)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밴드(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30)는 상기 손가락착용구(10)의 타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착용구(1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의 장공(1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KR20130096090A 2013-08-13 2013-08-13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KR20150019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090A KR20150019340A (ko) 2013-08-13 2013-08-13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6090A KR20150019340A (ko) 2013-08-13 2013-08-13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340A true KR20150019340A (ko) 2015-02-25

Family

ID=5257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6090A KR20150019340A (ko) 2013-08-13 2013-08-13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93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395A (ko) 2015-06-15 2016-12-23 이석진 핑거토이를 포함하는 영유아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장치
WO2018044023A1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모비유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KR101987598B1 (ko) 2018-11-05 2019-06-10 윤종희 손가락 빨기 교정용 스티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7395A (ko) 2015-06-15 2016-12-23 이석진 핑거토이를 포함하는 영유아 손가락 빨기 방지 교정장치
WO2018044023A1 (ko) * 2016-08-29 2018-03-08 주식회사 모비유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KR101987598B1 (ko) 2018-11-05 2019-06-10 윤종희 손가락 빨기 교정용 스티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35776A1 (en) Swaddling garment
CN104000680B (zh) 负压式口部装置
US20120016416A1 (en) Teething Glove
JP2006230689A (ja) 口唇閉鎖具
KR102011625B1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유닛
US10897666B2 (en) Sound-attenua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70261168A1 (en) Wearable infant blanket
KR20150019340A (ko)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KR200474449Y1 (ko) 이갈이 방지구
US20200352828A1 (en) Apparatus Useful for Infant Teething and Suckling
KR101828841B1 (ko) 범용 코골이 방지기구
US20150005806A1 (en) Rhinoplasty applian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130117899A1 (en) Slip-Over Light Blocking Sleep Mask
KR101925517B1 (ko) 손가락 빨기 교정기구
KR200301232Y1 (ko) 손가락 빨기 방지기구
KR20130000969U (ko) 일회용 손가락 빨기 교정 씌우개
CN211633815U (zh) 一种拇指矫正带
US20170231297A1 (en) Face and chin guard for infants
US20150034090A1 (en) Cannula cover and adjuster
CN208726002U (zh) 一种唇颊型口腔支架
US11446213B2 (en) Teething growth device having wrist band
US10335350B1 (en) Pacifier which helps wean toddlers off pacifiers
US20060084923A1 (en) Gastrostomy feeding tube cushion device
TWM444160U (zh) 止鼾帶
CN213489825U (zh) 一种防压疮头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